KR101747520B1 -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520B1
KR101747520B1 KR1020150079834A KR20150079834A KR101747520B1 KR 101747520 B1 KR101747520 B1 KR 101747520B1 KR 1020150079834 A KR1020150079834 A KR 1020150079834A KR 20150079834 A KR20150079834 A KR 20150079834A KR 101747520 B1 KR101747520 B1 KR 10174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olypropylene
layer
surfactant
hydrophi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308A (ko
Inventor
장동기
박재규
서형민
윤영일
김명호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5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forming webs during fibre formation, e.g. flash-spinn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벼 육묘용 친수성 못자리용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스펀본드(SS)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계열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층과 멜트블로운 층이 적층된 다층 부직포는 전체 중량이 30 내지 60gsm(g/㎡)으로 되게 하고, 웹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카렌더를 통과하여 형태를 안정시키는 단계와; 그런 다음 소수성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표면에 친수액제로 계면활성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계면활성제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는 특정한 구조의 다층 부직포로 구성하고 소수성인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표면에 친수성을 갖도록 계면활성제를 부착하므로써 표면 개질을 통해 종래의 벼 육묘용으로 사용되는 소수성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가 사용환경의 변화에 따라 스프링쿨러에 의한 관수나, 우천시 물고임 현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한 하중으로 어린 모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체하는 차광망을 대체할 수 있으며, 차광망 등을 사용하므로써 발생하는 보온성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Hydrophilic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for cultivating rice and the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므로써 벼 육묘를 위한 못자리용 보온덮개로 사용시 물고임 현상을 없애고 이런 현상으로 인한 어린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친수성을 갖는 못자리용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벼 육묘를 위한 못자리용 보온덮개는 골주를 터널형태로 설치하고 그위에 비닐을 씌어 고정하여 보온용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비닐은 통기성이 없어서, 날씨의 변화에 따라 덮고, 벗기기를 반복하며 많은 비용과 시간, 노력을 들여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이 되어왔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5578호에서는, "망체형의 부직포를 내피로 하고, 그 외면에 키토산액과 전분의 혼합체를 스프레이하여 접합매개체로 형성하여, 그 위에 비닐지를 외피로 접합시켜 일체화 된 덮개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못자리용 보온덮개"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25285호에서, "벼 육묘 재배 방법에 있어서, (가) 못자리 바닥을 부직포로 멀칭하고, (나) 부직포로 멀칭한 못자리에 육묘상자를 치상한 다음, (다) 육묘상자 위를 부직포로 피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9-0107922호에서, "폴리에스터 재질이고, 4데니아 이하 굵기를 가지는 저데니아의 단섬유와, 별도의 외피를 각각 구비하는 재료 준비 공정(S1); 상기 단섬유를 시트 형태의 패딩솜으로 구성하는 패딩솜 제조 공정(S2); 상기 구성한 패딩솜을 열처리하여, 시트 형태로 고정한 패딩솜부직포를 구성하는 열처리 공정(S3); 상기 재료 준비 공정(S1)에서 구비한 외피를, 상기 구성한 패딩솜부직포를 감싸고, 실로 봉제하여 패딩솜부직포와 외피를 일체화한 농업용 보온 부직포 덮개를 구성하는 일체화 공정(S4)으로 완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보온 부직포 덮개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단순한 비닐로 된 보온덮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부직포로 구성되는 농업용, 특히 벼 육묘를 위한 보온덮개에 대해 제안되어 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에서 제시된 통기성이 좋은 부직포를 이용한 새로운 육묘법이 도입되면서 이전의 비닐을 사용하는 육묘법에서의 상기한 많은 문제점은 개선되었으나, 농촌 인구의 고령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영농기술의 발달로 동절기에도 특수작물을 재배하고, 기계화 대량화가 진행되면서 각 농가마다 필요한 량을 직접 재배하던 방법에서 벗어나 점차 육묘장에서 대량 육묘 또는 도로변 마당 등에서 스프링쿨러로 관수를 하며 육묘하는 등의 육묘환경의 변화도 함께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이때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비친수성으로 인해 스프링쿨러로 관수시나 노지에서 사용시 우천시에는 부직포 위에 물이 고이고, 고인 물의 하중에 의해 하부의 어린 모는 손상을 입고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여전히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로부터 못자리용 부직포로는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는 소수성을 지녀, 벼 육묘 기간 중 우천시나, 육묘공장의 하우스 내에서 스프링쿨러 등으로 관수시 부직포 위에 물이 고이고 물이 고인 부분의 하부에 있는 어린 모는 고인 물의 하중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어 성장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의 벼 육묘 못자리용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소수성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면을 친수성을 갖도록 특정하게 하고 최적의 가공 방법을 제시하므로 부직포에 물 고임 현상을 없애고 이로 인한 어린 모의 생장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1999-003557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0025285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9-010792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벼 육묘용 못자리용 부직포로써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통기성과 보온성을 저해하지 않고, 노면이나 육묘 공장에서 대량으로 사용하면서, 우천시나 스프링쿨러 등에 의한 관수시에도 부직포 위에 물 고임 현상이 없고, 물 고임 현상의 발생에 따른 하부 어린 모의 손상이나 생육 장해를 방지하는 못자리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못자리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를 일정한 압력과 온도를 조정하여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고 친수성을 가질 수 있도록 계면활성제를 부착하여 친수성을 갖는 상태로 제작하고, 이 과정에서 최적의 조건을 설정하여 생산함으로써 종래에 사용 중인 못자리용 부직포가 갖는 통기성과 보온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우천이나 스프링쿨러에 의한 관수시에 발생하는 물 고임 현상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어린 모의 손상과 생육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달성되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스펀본드(SS)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계열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벌집 모양의 냉각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하며, 이때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되고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여 제조되고
상기 멜트블로운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측면에서 불어주는 핫 에어(HOT AIR)에 의해 연신되고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먼저 방사된 스펀본드 층위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부직포 웹을 형성하여 제조되고
상기 스펀본드 층과 멜트블로운 층이 적층된 다층 부직포는 전체 중량이 30 내지 60gsm(g/㎡)으로 되게 하고, 웹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카렌더를 통과하여 형태를 안정시키는 단계와; 그런 다음 소수성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표면에 친수액제로 계면활성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계면활성제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디옥틸나트륨설포숙신산계 계면활성제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의 도포량은 계면활성제의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전체 부직포 중량 대비 0.2 내지 1.0%가 부착되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친수액제로 계면활성제는 물에 1중량%로 희석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도포량은 부직포 중량대비 픽업(Pick up)율이 20% 내지 100%가 되도록 유지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다층 부직포에서 멜트블로운 층은 전체 부직포 중량에서 10중량%를 넘지 않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다층 부직포는 두께가 0.1 내지 0.5mm로 되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벼 육묘용 친수성 못자리용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는;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스펀본드(SS)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계열 다층 부직포로서,
상기 스펀본드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벌집 모양의 냉각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하며, 이때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되고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하여 부직포 웹으로 형성되고;
상기 멜트블로운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측면에서 불어주는 핫 에어(HOT AIR)에 의해 연신되고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먼저 방사된 스펀본드 층위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부직포 웹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펀본드 층과 멜트블로운 층이 적층된 다층 부직포는 전체 중량이 30 내지 60gsm(g/㎡)으로 되게 하고, 웹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카렌더를 통과하여 형태를 안정시키는 단계와; 그런 다음 소수성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표면에 친수액제로 계면활성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계면활성제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는 특정한 구조의 다층 부직포로 구성하고 소수성인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표면에 친수성을 갖도록 계면활성제를 부착하므로써 표면 개질을 통해 종래의 벼 육묘용으로 사용되는 소수성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가 사용환경의 변화에 따라 스프링쿨러에 의한 관수나, 우천시 물고임 현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한 하중으로 어린 모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체하는 차광망을 대체할 수 있으며, 차광망 등을 사용하므로써 발생하는 보온성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벼 육묘용 친수성 못자리용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스펀본드(SS)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계열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벌집 모양의 냉각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하며, 이때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되고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여 제조되고, 상기 멜트블로운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측면에서 불어주는 핫 에어(HOT AIR)에 의해 연신되고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먼저 방사된 스펀본드 층위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부직포 웹을 형성하여 제조되며; 여기서, 상기 스펀본드 층과 멜트블로운 층이 적층된 다층 부직포는 전체 중량이 30 내지 60gsm(g/㎡)으로 되게 하고, 웹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카렌더를 통과하여 형태를 안정시키는 단계와; 그런 다음 소수성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표면에 친수액제로 계면활성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계면활성제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는 멜트블로운 층의 유무와 스판본드층의 구성 수, 순서에 따라 SS, SMS 계열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특히 디옥틸나트륨설포숙신산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옥틸나트륨설포숙신산계 계면활성제는 형태 안정화된 부직포에 최적의 친수성을 부여하여 배수성을 가장 적절하게 향상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친수제로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데, 적절한 배수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그 도포량을 조절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계면활성제는 그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전체 부직포 중량 대비 0.2 내지 1.0%가 부착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친수성 계면활성제가 부직포 중량대비 고형분 기준 0.2%를 미달하게 되면 친수성이 미흡하여 물 고임 현상이 발생하며, 반대로 1.0%를 초과하면 지나친 친수성으로 부직포 함수량이 너무 많아 부직포의 자중에 의해 모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의 부직포 표면에 도포하는 양의 조절이 극히 중요한데,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친수액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물에 1중량%로 희석된 친수성 계면활성제 용액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구성 내로 되는 계면활성제의 도포를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친수성 계면활성제 용액을 부직포 중량대비 픽업(Pick up)율이 20% 내지 100%가 되도록 유지하여 제조하므로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부직포는 그 구성에서 멜트블로운 층을 전체 부직포 중량에서 10중량%를 넘지않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멜트블로운 층이 10중량%를 초과하면 통기성이 나빠져 뜸묘가 발생하는 등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의 제조에는 자외선(UV) 안정제를 부가하여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을 더욱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UV 안정제는 스펀본드 층에 부가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스펀본드 제조용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UV 안정제를 마스터배치로 하여 최종적으로 약 0.5% 포함되도록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SMS 계열 다층 부직포를 생산하기 위해, 스펀본드 층에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한다. 이때 농업용으로 사용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UV 안정제를 마스터배치로 하여 UV 안정제가 최종적으로 0.5% 포함되도록 량을 조정하여 같이 투입한다. 용융된 폴리머는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벌집 모양의 냉각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된다. 이때,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되고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특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부직포 웹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멜트블로운 층에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방사 하고,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측면에서 불어주는 핫 에어에 의해 연신되고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특수 컨베이어 벨트 상에 먼저 방사된 스펀본드 층 위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부직포 웹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3층인 스펀본드 층의 웹을 형성하여 SMS 웹을 형성하고 전체 중량이 40gsm, 멜트블로운 층은 전체 중량의 2.5%가 되도록 하여, 웹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카렌더를 통과하여 형태를 안정시킨다. 소수성 부직포의 표면을 친수성을 가질 수 있도록 물에 희석하여 준비한 디옥틸나트륨설포숙신산계 계면활성제를 최종 부직포 중량대비 고형분 기준 0.5%가 되도록 부착하고, 건조 열처리하여 친수성을 갖는 벼 육묘용 못자리 부직포를 생산한다.
이렇게 제조된 부직포의 흡수속도를 측정하고, 또한 부직포의 물성과 보온율을 하기 실험예에 의해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부직포의 구성을 SS로 멜트블로운을 포함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물성과 흡수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계면활성제를 고형분 기준 전체 부직포 중량의 0.1%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며, 물성과 흡수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계면활성제를 고형분 기준 전체 부직포 중량의 1.1%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며, 물성과 흡수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못자리 육묘시 물 고임이 전혀 없는 차광망을 사용하여 물성과 흡수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와 보온재 및 보온덮개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각각이 물성을 평가하였다.
(1) 단위면적당 무게(중량:gsm(g/㎡)): ASTM D 3776-1985의 방법에 준해 측정하였다.
(2) 흡수속도(sec): EDANA 150. 3-96 NONWOVEN COVERSTOCK LIQUID STRIKE-THROUGH TIME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보온율(%): KS K 0560:2011, 항온법 KS K 0466에 규정시험기로 36.5℃*30분 방열 소비전력으로 측정하였다.
항 목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3
소재 - SMS SS SS SS 차광망
총중량 gsm 40 40 40 40 -
MB중량 gsm 1 - - - -
계면활성제 OPU % 0.5 0.5 0.1 1.1 -
흡수속도 SEC 5.1 5.0 60.5 1.2 0.5
보온율 % 55 50 50 50 20
배수성 육안 x
모의생육 육안 x
◎:양호, △:보통, x:불량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스펀본드(SS)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계열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벌집 모양의 냉각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하며, 이때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되고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여 제조되고;
    상기 멜트블로운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측면에서 불어주는 핫 에어(HOT AIR)에 의해 연신되고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먼저 방사된 스펀본드 층위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부직포 웹을 형성하여 제조되고;
    상기 스펀본드 층과 멜트블로운 층이 적층된 다층 부직포는 전체 중량이 30 내지 60gsm(g/㎡)으로 되게 하고 또한 다층 부직포에서 멜트블로운 층은 전체 부직포 중량에서 10중량%를 넘지 않도록 하고, 웹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카렌더를 통과하여 형태를 안정시키는 단계와; 그런 다음 소수성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표면에 디옥틸나트륨설포숙신산계 계면활성제를 계면활성제의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전체 부직포 중량 대비 0.2 내지 1.0%가 부착되도록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계면활성제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벼 육묘용 친수성 못자리용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액제로 계면활성제는 물에 1중량%로 희석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도포량은 부직포 중량대비 픽업(Pick up)율이 20% 내지 100%가 되도록 유지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벼 육묘용 친수성 못자리용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부직포는 두께가 0.1 내지 0.5mm로 되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벼 육묘용 친수성 못자리용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7. 청구항 제1항,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벼 육묘용 친수성 못자리용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KR1020150079834A 2015-06-05 2015-06-05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747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834A KR101747520B1 (ko) 2015-06-05 2015-06-05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834A KR101747520B1 (ko) 2015-06-05 2015-06-05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08A KR20160143308A (ko) 2016-12-14
KR101747520B1 true KR101747520B1 (ko) 2017-06-14

Family

ID=5757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834A KR101747520B1 (ko) 2015-06-05 2015-06-05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3476B (zh) * 2022-03-25 2022-12-09 湖北大学 一种用于高效环境水汽俘获的双面协同功能涂层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156B1 (ko) 2000-12-22 2002-12-1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477954B1 (ko) 2002-07-25 2005-03-2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재역류방지성이 우수한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297B1 (ko) 1995-08-16 2000-09-15 포만 제프리 엘 중국어 텍스트 처리 컴퓨터 시스템, 형태 처리에 의한 단어 스트링 처리 방법, 중국어 어구 분석 방법
KR100402721B1 (ko) 2000-12-05 2003-10-22 경상남도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
KR20090107922A (ko) 2008-04-10 2009-10-14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광픽업 대물렌즈, 광픽업장치 및 광디스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156B1 (ko) 2000-12-22 2002-12-1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477954B1 (ko) 2002-07-25 2005-03-2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재역류방지성이 우수한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08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9447B1 (de) Superabsorberpolymerfilz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20150129899A (ko) 농작물 보온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8751A (ko) 멀칭용 부직포 구조체
WO2013022045A1 (ja) 農業用被覆材
KR100742962B1 (ko) 멀칭용 다층 구조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 방법
KR101747520B1 (ko)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US20190230920A1 (en) 3d spacer textiles for crop protection and insect control
CN103749104B (zh) 一种用于种植草坪的植生纱线以及生产工艺及其织成品
JP2850423B2 (ja) 果実栽培用袋
KR101863374B1 (ko) 소프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농업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056912B1 (ko) 작물재배용 멀칭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멀칭재
KR100694192B1 (ko)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KR101681162B1 (ko) 항균성 더블 라셀 원단
JP5105177B2 (ja) 保温シート
CN104783970A (zh) 一种生态型纸尿裤的制作方法
JP3286207B2 (ja) 植物育成床
CN108589032B (zh) 一种育苗基布及其制备方法
JP4717673B2 (ja) 吸水・保水シート
KR100865438B1 (ko)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0256067Y1 (ko)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CN109362435A (zh) 一种防虫防草布
RU216640U1 (ru) Пленка антиконденсатная
JP3231491U (ja) 給水マット
JP2957666B2 (ja) 果樹のマルチシート
JP2725931B2 (ja) 抗菌抗カビ性給水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