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721B1 -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 - Google Patents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721B1
KR100402721B1 KR10-2000-0073541A KR20000073541A KR100402721B1 KR 100402721 B1 KR100402721 B1 KR 100402721B1 KR 20000073541 A KR20000073541 A KR 20000073541A KR 100402721 B1 KR100402721 B1 KR 100402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eedling
nail
ric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285A (ko
Inventor
홍광표
정완규
김영광
송근우
강동주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filed Critical 경상남도
Priority to KR10-2000-007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721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1Tunnel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rows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01G22/22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벼 육묘방법에 있어서, (가) 못자리 바닥을 부직포로 멀칭하고, (나) 부직포로 멀칭한 못자리에 육묘상자를 치상한 다음, (다) 육묘상자 위를 부직포로 피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묘 방법으로 인하여 통풍관리 등의 작업이 생력화되고, 비닐터널 설치를 위한 자재 등이 절약되며, 육묘 후 육묘상자를 못자리에서 쉽게 뗄 수 있다.

Description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METHOD FOR RAISING SEEDLING OF RICE USING SPUNBONDED FABRIC}
본 발명은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 더욱 구체적으로 벼 육묘 방법에 있어서 부직포를 못자리 바닥에 멀칭하고 육묘상자 치상 후 육묘상자 위에 피복하는 용도로 사용하여 육묘의 생력화를 꾀하는,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육묘 방법은 못자리를 설치한 후 육묘상자를 치상하고 비닐 터널을 만들어 보온을 유지해줌으로써 모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며, 이 때 생육 후기 온도가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고온으로 인한 생리 장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에 구멍을 뚫어 주거나 비닐을 들어 주어 통풍을 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이러한 종래 육묘 방법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죽을 터널형으로 세운 후 바깥쪽에 비닐을 씌워 고정시켰기 때문에 과다한 노력과 비용으로 인하여 불편한 점이 많았다. 또한 육묘 중 온도 상승시 지나치게 온도가 높아져 고온 장해를 입기 쉽고, 심할 경우 모가 썩어버리게 되므로, 온도를 낮추어 주기 위해 비닐에 구멍을 뚫어 주거나 일일이 손으로 비닐을 올려주어 바람을 통하게 해주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국내 공개등록실용신안공보 제 99-35578호(발명의 명칭: 못자리용 보온덮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은 터널을 설치할 필요 없이 치상된 육묘상자 위를 직접 덮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비닐을 외피로 사용했기 때문에 비가 올 경우 부직포 위에 물이 고여서 부직포와 맞닿은 모의 생육을 극히 나쁘게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또한 종래의 상자 육묘 방법은 육묘 후 뿌리가 땅속 깊이 박혀 손으로 육묘상자를 떼어내기가 힘들다. 이를 위하여 상자떼기를 위한 간단한 장치가 고안되어 있기도 하나, 이것도 불편한 점이 많았다.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부단히 연구 노력한 결과, 부직포를 못자리 바닥에 깔고 육묘상자를 치상한 후 그 위에 부직포를 피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착안하여,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못자리에 치상한 육묘상자 위를 부직포로 피복시킴으로써 육묘를 생력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못자리 바닥에 부직포를 멀칭함으로써 육묘 후 육묘상자를 떼어내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상태도(육묘상자 치상 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상태도(육묘 후)이고,
도 3는 종래의 비닐보온절충못자리의 설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부직포 2 : 육묘상자 3 : 깔판용 부직포 4 : 비닐 5 : 활죽
본 발명은 벼 육묘 재배 방법에 있어서,(가) 못자리 바닥을 부직포로 멀칭하고,(나) 부직포로 멀칭한 못자리에 육묘상자를 치상한 다음,(다) 육묘상자 위를 부직포로 피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서 엠보싱 처리되어 있고, 백색이나 적색을 띄고, 중량 40 ∼ 100 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상기 (가) 단계는 부직포로 멀칭하기 전의 못자리 바닥을 경운하여 못자리를 고른 다음, 2 ∼ 3 일 정도 말려주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다) 단계의 육묘상자 위를 부직포로 피복하여 주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부직포를 팽팽하게 당겨 육묘상자에 밀착되도록 부직포를 피복한 다음, 피복하고 남은 부직포의 가장자리를 1 ∼ 2 m 간격으로 두고 흙덩이로 눌러 부직포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한다.벼 육묘 재배시 물관리는 육묘상자 밑면 바로 아래까지 물을 담아주는 것이 적합하며, 육묘 재배 후 본잎이 3 매 정도가 되거나 또는 육묘상자 치상 후 20 ∼ 25 일 경과 후 부직포를 벗겨내는 것이 적당하다.이하, 각 단계로 나누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1) 못자리 바닥을 부직포로 멀칭하는 단계
육묘 후 상자 떼기를 쉽게 하기 위해 못자리에 육묘상자 치상하기 전에 부직포를 멀칭하기 위한 못자리 바닥을 경운하여 못자리 고르기를 한 후 물을 빼고 2 ∼ 3 일 정도 말려 상자와 닿는 못자리 윗 부분을 경화시켜 준다.
못자리에 멀칭된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엠보싱 처리된 것으로, 중량은 40 ∼ 100 g/㎡인 것을 사용하며 재생품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못자리 바닥에 멀칭된 부직포는 미세한 구멍이 발달해 있기 때문에 육묘상자에 물과 영양분은 잘 전달하지만, 뿌리가 부직포 밑으로 뚫고 들어가 땅속에 박히는 것을 억제하여, 묘의 생육은 종전과 같으면서도 육묘 후 상자떼기를 쉽게 할 수 있다.
표 1은 부직포 멀칭에 따른 육묘 후 생육과 상자떼기시 장력을 비교한 것이다. 표 1과 같이 육묘후 묘소질인 초장, 엽수 및 묘충실도는 관행(무처리)과 같으면서 육묘 후 상자떼기를 할 때 관행(무처리)에 비해 상자떼기 장력이 34% 감소함으로서 쉽게 상자떼기가 가능하였다.
(2) 육묘상자 위를 부직포로 피복하는 단계
못자리에 육묘상자를 치상한 후 피복하는 부직포의 종류는 앞서 못자리 멀칭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농업용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엠보싱 처리되어 있고, 중량은 40 ∼ 100 g/㎡인 것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백색으로 가공되어 나오나 필요에 따라 붉은 색으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로 육묘상자 위를 피복하는 방법은 부직포를 팽팽하게 당겨 육묘상자에 밀착되도록 부직포를 피복한 다음, 피복하고 남은 부직포의 가장자리를 1 ∼ 2 m 간격으로 두고 흙덩이로 눌러 부직포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한다. 이 때 못자리 고랑에 물을 관수하여 부직포 가장자리가 물에 젖어 못자리 바닥에 밀착되도록 한다.
부직포 종류별 묘소질은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농용 부직포의 경우 부직포 중량에 관계없이 관행(보온절충못자리)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부직포에 비닐을 덧붙인 다스란의 경우에는 육묘 진행 중 비가 올 경우 육묘상자 위에 비가 고인다. 이 때문에 아랫부분의 묘 생육이 극히 불량해져 성묘율이 낮게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육묘시 초장은 17 ㎝ 정도로 이앙 작업에 적당했던 반면, 관행(보온절충못자리)의 경우 23 ㎝로 약간 도장된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건묘 육성에는 관행(보온절충못자리)에 비해 부직포를 덮어주는 육묘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부직포 육묘 기간중의 물관리는 상자 밑면 바로 아래까지만 물을 담아주어 육묘상자 안이 마르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자 윗면까지는 물이 차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육묘기간 중 부직포를 벗겨주는 시기는 본잎이 3 매 정도가 되거나 또는 육묘상자 치상 후 20 ∼ 25일 경과 후가 적당하며, 특히 부직포를 벗긴 후에는 저온이나 서리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은 통풍관리 등의 작업이 생력화되고, 비닐터널 설치를 위한 자재 등이 절약되며, 육묘 후 육묘상자를 못자리에서 쉽게 뗄 수 있어 표 3과 같이 육묘노동력은 28%, 자재비용은 48%를 각각 절감할 수 있다.
벼농사는 기계화로 그 작업이 크게 생력화되고 있으나, 육묘 작업은 아직도 생력화 정도가 크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개발된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은 통풍관리 등의 작업이 생력화되고, 비닐터널 설치를 위한 자재 등이 절약되며, 육묘 후 육묘상자를 못자리에서 쉽게 뗄 수 있다.

Claims (6)

  1. 벼 육묘 재배 방법에 있어서,
    (가) 못자리 바닥을 부직포로 멀칭하고,
    (나) 부직포로 멀칭한 못자리에 육묘상자를 치상한 다음,
    (다) 육묘상자 위를 부직포로 피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서 엠보싱 처리되어 있고, 백색이나 적색을 띄고, 중량 40 ∼ 100 g/㎡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육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로 (가) 단계에서 부직포로 멀칭하기 전의 못자리 바닥을 경운하여 못자리를 고른 다음 2 ∼ 3 일 정도 말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육묘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다) 단계의 육묘상자 위를 부직포로 피복하여 주는 단계는 부직포를 팽팽하게 당겨 육묘상자에 밀착되도록 부직포를 피복한 다음, 피복하고 남은 부직포의 가장자리를 1 ∼ 2 m 간격으로 두고 흙덩이로 눌러 부직포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육묘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육묘상자 밑면 바로 아래까지 물을 담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육묘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본잎이 3 매 정도가 되거나 또는 육묘상자 치상 후 20 ∼ 25 일 경과 후 부직포를 벗겨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육묘 방법.
KR10-2000-0073541A 2000-12-05 2000-12-05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 KR100402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541A KR100402721B1 (ko) 2000-12-05 2000-12-05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541A KR100402721B1 (ko) 2000-12-05 2000-12-05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285A KR20010025285A (ko) 2001-04-06
KR100402721B1 true KR100402721B1 (ko) 2003-10-22

Family

ID=1970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541A KR100402721B1 (ko) 2000-12-05 2000-12-05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3704A (zh) * 2013-08-29 2014-01-08 高深 水稻编织布隔层育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520B1 (ko) 2015-06-05 2017-06-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04920132A (zh) * 2015-06-14 2015-09-23 安徽徽大农业有限公司 一种提高水稻种子生产质量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735A (ja) * 1991-06-04 1993-04-20 Asanumagumi:Kk 植物植生用層状構造体
KR970064359A (ko) * 1996-03-22 1997-10-13 남대우 잔디 재배 방법
JPH1014389A (ja) * 1996-07-01 1998-01-20 Agurisu:Kk イチゴの温室栽培方法
KR19980063774U (ko) * 1997-04-21 1998-11-25 심재문 이앙용 육묘상자의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735A (ja) * 1991-06-04 1993-04-20 Asanumagumi:Kk 植物植生用層状構造体
KR970064359A (ko) * 1996-03-22 1997-10-13 남대우 잔디 재배 방법
JPH1014389A (ja) * 1996-07-01 1998-01-20 Agurisu:Kk イチゴの温室栽培方法
KR19980063774U (ko) * 1997-04-21 1998-11-25 심재문 이앙용 육묘상자의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3704A (zh) * 2013-08-29 2014-01-08 高深 水稻编织布隔层育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285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75156A (zh) 一种甜瓜培育方法
CN106982619A (zh) 一种秋冬茬韭菜温室栽培方法
CN107493890A (zh) 一种大棚西瓜的冬春促早栽培方法
CN107409670A (zh) 一种烟草漂浮育苗拔株膜下移栽方法
CN105638358A (zh) 桂花苗的培育方法
CN105917950A (zh) 一种黄蜀葵无公害轻简栽培方法
KR100402721B1 (ko) 부직포를 이용한 벼 육묘 방법
CN108552051A (zh) 一种网室黄瓜杂交制种的方法
CN105359777B (zh) 一种高原地区丝瓜周年生产的栽培方法
CN103766130A (zh) 一种提高油菜毯状苗出苗质量的方法
CN106665250A (zh) 一种苹果根蘖苗砧木培育方法
CN111820093A (zh) 一种生姜穴盘育苗方法
CN110612867A (zh) 一种黄瓜种植方法
JP3774359B2 (ja) 水稲の育苗方法
CN109042050A (zh) 一种葡萄种植方法
CN210168584U (zh) 一种双层拱棚栽培大棚
CN1257644A (zh) 一种芹芽培育方法
CN106577119A (zh) 一种中药材辛夷种苗繁育方法
CN111699903A (zh) 一种黄金芽的种植方法以及加工方法
KR20160069261A (ko) 고추나무 병충해 예방방법 및 장치
CN108684461A (zh) 一种辣椒高效栽培方法
CN107912159A (zh) 一种香叶天竺葵的扦插繁殖方法
CN113396768B (zh) 一种连翘种子的栽培方法
KR200178038Y1 (ko) 씨앗 발아용 매트
CN207383139U (zh) 一种方便式育苗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