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102B1 - 보안성이 강화된 게이트장치 - Google Patents
보안성이 강화된 게이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7102B1 KR101747102B1 KR1020170019493A KR20170019493A KR101747102B1 KR 101747102 B1 KR101747102 B1 KR 101747102B1 KR 1020170019493 A KR1020170019493 A KR 1020170019493A KR 20170019493 A KR20170019493 A KR 20170019493A KR 101747102 B1 KR101747102 B1 KR 1017471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rank
- sliding bar
- link arm
- bar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05F15/63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allowing or involving a secondary movement of the wing, e.g. rotational or transversal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는,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기립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축결합되며,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링크암프레임; 상기 링크암프레임의 일단에 축결합되며, 기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링크암프레임의 타단에 축결합되며,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프레임; 및 크랭크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크랭크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크랭크프레임은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크랭크축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바부재가 상기 슬라이딩슬릿이 형성된 상기 승강프레임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지지하여 이동함으로써 승강이동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게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효과적으로 통로를 개폐하여 보안성을 강화한 게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출입국심사대와 같이 출입통제 또는 개찰 등이 요구되는 시설에 있어서, 해당 시설에서 요구되는 사항에 따라 자동으로 게이트(gate)를 개폐 가능한 출입통제장치 또는 개찰장치 등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로를 효과적으로 개폐하여 보안성을 강화한 게이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는,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기립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축결합되며,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링크암프레임; 상기 링크암프레임의 일단에 축결합되며, 기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링크암프레임의 타단에 축결합되며,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프레임; 및 크랭크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크랭크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크랭크프레임은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크랭크축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바부재가 상기 슬라이딩슬릿이 형성된 상기 승강프레임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지지하여 이동함으로써 승강이동된다.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바부재의 상승이동에 의해 상승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딩바부재의 하강이동에 의해 하강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바부재는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하부측의 개방제어위치 및 상부측의 폐쇄제어위치 사이를 전환이동하며, 상기 폐쇄제어위치는 상기 슬라이딩바부재의 이동경로 중 최고점을 경과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바부재가 상기 개방제어위치로 전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의 개방위치로 전환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딩바부재가 상기 폐쇄제어위치로 전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폐쇄위치로 전환이동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장치는, 상기 크랭크프레임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 가능한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서 상기 크랭크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암부재; 및 상기 회전암부재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암부재는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바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회전암부재의 일단을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완충력을 제공 가능한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회전암부재가 상기 폐쇄제어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경과하여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부재; 및 상기 회전암부재가 상기 개방제어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경과하여 상기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장치는, 상기 회전암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암부재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센서프레임; 및 상기 센서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암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장치는, 상기 링크암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축결합에 제공되는 링크암축부재; 상기 링크암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축결합에 제공되는 도어축부재; 및 상기 링크암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축결합에 제공되는 승강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축부재, 링크암축부재 및 상기 승강축부재는 상기 링크암프레임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암프레임은,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부에 축결합되는 제1 링크암프레임; 및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단부에 축결합되는 제2 링크암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는 도어프레임을 효과적으로 전환이동시킬 수 있는바, 통로를 효과적으로 개폐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어프레임이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로 전환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도어프레임의 전환이동 과정에서의 승강프레임의 승강이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도어프레임이 폐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게이트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A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어프레임이 개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게이트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의 (b)는 도 5의 (a)에 B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도어프레임이 개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회전암부재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의 (b)는 도어프레임이 폐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회전암부재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어프레임이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로 전환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도어프레임의 전환이동 과정에서의 승강프레임의 승강이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도어프레임이 폐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게이트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A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어프레임이 개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게이트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의 (b)는 도 5의 (a)에 B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도어프레임이 개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회전암부재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의 (b)는 도어프레임이 폐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회전암부재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게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1, 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대칭적인 구성을 구비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게이트장치(1, 1')에 구비되는 도어프레임(10)이 일정한 이동경로를 따라 전환이동 함으로써 통로(P)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도 1에는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게이트장치(1, 1')만을 도시하였으나, 일측의 게이트장치(1)와 타측의 게이트장치(1')가 통로(P)를 기준으로 180°회전이동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도 1에는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게이트장치(1, 1')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게이트장치(1, 1')의 일 예에 불과하며, 게이트장치(1)가 단독으로 구비되어 통로(P)를 개폐하는 경우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일측의 게이트장치(1)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나, 일측의 게이트장치(1) 단독으로 통로(P)를 개폐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와 대응하는 구성으로 구비되는 타측의 게이트장치(1')를 더 포함하여 통로(P)를 개폐하는 경우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1)는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기립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 크랭크축부재(34)를 구비하여 베이스프레임(20)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크랭크프레임(30), 크랭크프레임(30)과 연동되어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프레임(40), 승강프레임(40)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링크암프레임(50a, 50b) 및 링크암프레임(50a, 50b)에 연동되어 개방위치(Xo) 및 폐쇄위치(Xc)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도어프레임(10)을 포함한다.
크랭크프레임(30)은 크랭크축부재(34)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0)과 축결합되며, 크랭크프레임(30)은 크랭크축부재(34)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크랭크프레임(30)은 베이스프레임(20)의 기립 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40)은 베이스프레임(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프레임(20)을 기준으로 크랭크프레임(30)의 외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40)에는 크랭크프레임(30)와 승강프레임(40)의 연동을 보조하는 슬라이딩슬릿(4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슬릿(42)은 도어프레임(10)의 이동방향과 대체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슬라이딩슬릿(42) 내에는 크랭크프레임(3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바부재(32)가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바부재(32)는 크랭크축부재(34)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크랭크프레임(3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바부재(32)가 슬라이딩슬릿(42)이 형성된 승강프레임(40)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지지하여 회전함으로써 승강프레임(40)이 승강이동될 수 있다.
링크암프레임(50a, 50b)은 크랭크프레임(3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1 링크암프레임(50a) 및 크랭크프레임(3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2 링크암프레임(50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링크암프레임(50a) 및 제2 링크암프레임(50b)은 각각 제1 링크암축부재(52a) 및 제2 링크암축부재(52b)를 구비하여 베이스프레임(20)에 축결합되며, 제1 링크암프레임(50a) 및 제2 링크암프레임(50b)은 각각 제1 링크암축부재(52a) 및 제2 링크암축부재(52b)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10)의 일측에는 도어프레임(10)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링크암프레임(50a) 및 제2 링크암프레임(50b)의 각각의 타단은 지지프레임(1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링크암프레임(50a)의 일단은 제1 승강축부재(44a)에 의해 승강프레임(40)의 상단부와 축결합되며, 제2 링크암프레임(50b)의 일단은 제2 승강축부재(44b)에 의해 승강프레임(40)의 하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암프레임(50a)의 타단은 제1 도어축부재(54a)에 의해 지지프레임(12)의 상부측에 축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링크암프레임(50b)의 타단은 제2 도어축부재(54b)에 의해 지지프레임(12)의 하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암프레임(50a) 및 제2 링크암프레임(50b)은 절곡부를 구비하는 절곡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절곡부에는 제1 링크암축부재(52a) 및 제2 링크암축부재(52b)가 축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링크암프레임(50a)의 일단에는 제1 승강축부재(44a)가 축결합되고, 제1 링크암프레임(50a)의 타단에는 제1 도어축부재(54a)가 축결합되며, 제1 링크암프레임(50a)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형성된 절곡부에 제1 링크암축부재(52a)가 축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암프레임(50b) 역시 일단에는 제2 승강축부재(44b)가 축결합되고, 제2 링크암프레임(50b)의 타단에는 제2 도어축부재(54b)가 축결합되며, 제2 링크암프레임(50b)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형성된 절곡부에 제2 링크암축부재(52b)가 축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a) 및 (b)는 도어프레임이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로 전환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의 (a) 내지 (d)는 도어프레임의 전환이동 과정에서의 승강프레임의 승강이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바부재(32)가 크랭크프레임(30)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프레임(10)은 베이스프레임(20) 일측의 개방위치(Xo)에 위치하에 된다. 즉, 슬라이딩바부재(32)가 하부측의 개방제어위치(Yo)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프레임(10)은 개방위치(Xo)에 위치하게 되며, 그에 따라 통로(P)가 개방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바부재(32)가 크랭크프레임(30)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프레임(10)은 베이스프레임(20)으로부터 이격되는 폐쇄위치(Xc)에 위치하게 된다. 즉, 슬라이딩바부재(32)가 상부측의 폐쇄제어위치(Yc)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프레임(10)은 폐쇄위치(Xc)에 위치하게 되며, 그에 따라 통로(P)가 폐쇄될 수 있다. 슬라이딩바부재(32)의 위치가 개방제어위치(Yo) 및 폐쇄제어위치(Yc) 사이를 전환이동 함으로써, 도어프레임(10)은 개방위치(Xo) 및 폐쇄위치(Xc) 사이를 전환이동 할 수 있다.
슬라이딩바부재(32)의 이동에 따른 승강프레임(40)의 승강이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바부재(32)가 하부측의 개방제어위치(Yo)에 위치하는 경우, 슬라이딩바부재(32)는 슬라이딩슬릿(42)이 형성된 승강프레임(40)의 일측단에 밀착되며, 지지프레임(12)은 도면을 기준으로 크랭크프레임(30)의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슬라이딩바부재(32)가 개방제어위치(Yo)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프레임(10)은 베이스프레임(20) 일측의 개방위치(Xo)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프레임(30)이 크랭크축부재(34)를 기준으로 회전을 개시함으로써 슬라이딩바부재(32)는 상부측으로 이동을 개시하며, 슬라이딩바부재(32)는 슬라이딩슬릿(42)이 형성된 승강프레임(40) 타측단에 밀착되어 승강프레임(40)을 상부측으로 이동시킨다. 승강프레임(40)이 상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면을 기준으로 지지프레임(12)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프레임(30)의 회전이 계속됨에 따라 승강프레임(40)은 더욱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지지프레임(12)이 도면을 기준으로 크랭크프레임(30)의 우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프레임(30)의 회전이 지속됨에 따라 슬라이딩바부재(32)는 슬라이딩바부재(32)의 이동경로의 최 상부점을 통과하게 되며, 슬라이딩바부재(32)가 이동경로의 최 상부점을 통과시 승강프레임(40) 역시 승강프레임(40)의 이동경로의 최 상부점을 통과하게 된다. 크랭프레임(30)은 슬라이딩바부재(32)가 이동경로의 최 상부점 일측의 폐쇄제어위치(Yc)에 위치하는 경우 회전이동을 중단하며, 그에 따라 승강프레임(40)의 승강이동이 중단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바부재(32)가 폐쇄제어위치(Yc)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프레임(10)은 베이스프레임(20)으로부터 이격되는 폐쇄위치(Xc)에 위치하게 된다.
도 4의 (a)는 도어프레임이 폐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게이트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A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어프레임이 개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게이트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의 (b)는 도 5의 (a)에 B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제어위치(Yc)는 지면으로부터 크랭크축부재(34)를 향해 연장된 기준선(l-l')을 기준으로, 개방제어위치(Yo)로부터 슬라이딩바부재(32)가 이동한 경로의 맞은편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바부재(32)는 개방제어위치(Yo)로부터 기준선(l-l') 우측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기준선(l-l')을 통과한 후 기준선(l-l') 좌측의 폐쇄제어위치(Yc)로 전환이동하게 된다. 즉, 폐쇄제어위치(Yc)가 기준선(l-l')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바부재(32)의 이동경로와 맞은편에 위치하는바, 도어프레임(10)이 폐쇄위치(Xc)에서 견고하게 위치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1)는, 추가적인 시건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도어프레임(10)이 폐쇄위치(Xc)에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통로(P)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0)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20a)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0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베이스플레이트(20a)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0b) 사이에는 크랭크프레임(3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구동수단(60)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수단(60)의 일 예로 모터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크랭크프레임(3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모든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구동수단(60)은 반드시 제1 베이스플레이트(20a)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0b) 사이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설비 환경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수단(60)은 회전 구동력을 적절히 조절 가능한 변속수단(6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수단(6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 구동력은 구동축부재(63)를 통해 제2 베이스플레이트(20b)의 일측에 구비된 제1 풀리(64a)에 전달될 수 있다.
크랭크축부재(34)는 제1 베이스플레이트(20a)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0b)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제1 베이스플레이트(20a)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0b)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크랭크축부재(34)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크랭크축부재 하우징(3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플레이트(20b)의 일측에는 크랭크축부재(34)와 연결되며, 크랭크축부재(34)와 함께 회전 가능한 제2 풀리(64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풀리(64a) 및 제2 풀리(64b)는 벨트(65)로 연결되어 구동수단(6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 구동력이 벨트(65)를 통해 제2 풀리(64b)에 전달되며, 제2 풀리(64b)가 회전함에 따라 크랭크프레임(30)이 회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제1 풀리(64a), 제2 풀리(64b) 및 이들을 연결하는 벤트(65)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수단(6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적절한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암축부재(52a) 및 제2 링크암축부재(54b) 역시 제1 베이스플레이트(20a)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0b)를 모두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베이스플레이트(20a)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0b) 사이에는 제1 링크암축부재(52a) 및 제2 링크암축부재(54b)를 외부로부터 감싸도록 구비되는 링크암축부재 하우징(53a, 53b)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프레임(20b)의 후단측에는 크랭크축부재(34)와 연결되어, 크랭크축부재(34)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암부재(80)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암부재(80)는 그 선단부가 슬라이딩바부재(32)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회전암부재(80)의 외측에는 회전암부재(80)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센서프레임(92)이 배치되며, 센서프레임(92)은 제2 베이스플레이트(20b)의 일측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센서프레임(20) 상에는 크랭크축부재(34)를 중심으로 슬라이딩바부재(32)의 이동 경로와 중심을 같이하는 동심원 형상의 센서홀(94, 96)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센서홀(94, 96) 상에는 회전암부재(80)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전달 가능한 센서부재들(90)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센서프레임(92)의 상부측에는 회전암부재(80)의 회전 반경을 제한 가능한 스토퍼유닛들(70a, 70b)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8의 (a)는 도어프레임이 개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회전암부재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의 (b)는 도어프레임이 폐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회전암부재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0)이 폐쇄위치(Xc)에 위치하는 경우의 회전암부재(8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센서부재(90a)가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프레임(10)이 개방위치(Xo)에 위치하는 경우의 회전암부재(8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센서부재(90b)가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센서부재(90a)는 폐쇄제어위치(Yc)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센서부재(90b)는 개방제어위치(Yo)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재들(90)은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회전암부재(80)의 위치 정보의 측정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제어유닛(도시 안함)은 센서부재들(90)로부터 위치정보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위치정보에 따라 구동수단(60)을 제어할 수 있다.
스토퍼유닛(70)은 제1 센서부재(90a)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스토퍼유닛(70a) 및 제2 센서부재(90b)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스토퍼유닛(70b)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스토퍼유닛(70a) 및 제2 스토퍼유닛(70b)에 의해 크랭크프레임(30)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스토퍼유닛(70a)에 의해 슬라이딩바부재(32)가 폐쇄제어위치(Yc)를 경과하여 회전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스토퍼유닛(70b)에 의해 슬라이딩바부재(32)가 개방제어위치(Yo)를 경과하여 회전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스토퍼유닛(70a)은 회전암부재(80)의 일단을 지지 가능한 제1 지지부재(72a) 및 제1 지지부재(72a)에 완충력을 제공 가능한 제1 완충부재(74a)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스토퍼유닛(70b) 역시 회전암부재(80)의 타단을 지지 가능한 제2 지지부재(72b) 및 제2 지지부재(72b)에 완충력을 제공 가능한 제2 완충부재(74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장치(1)는 슬라이딩바부재(32)는 슬라이딩슬릿(42)을 형성하는 승강프레임(40)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지지하여 이동함으로써 도어프레임(10)을 효과적으로 전환이동시킬 수 있는바, 효과적으로 통로(P)를 개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게이트장치 10: 도어프레임 20: 베이스프레임
30: 크랭크프레임 40: 승강프레임 50: 링크암프레임
60: 구동수단 70: 스토퍼유닛 80: 회전암프레임
90: 센서부재
30: 크랭크프레임 40: 승강프레임 50: 링크암프레임
60: 구동수단 70: 스토퍼유닛 80: 회전암프레임
90: 센서부재
Claims (11)
-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기립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축결합되며,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링크암프레임;
상기 링크암프레임의 일단에 축결합되며, 기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링크암프레임의 타단에 축결합되며,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프레임; 및
크랭크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크랭크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크랭크프레임은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크랭크축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이동 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바부재가 상기 슬라이딩슬릿이 형성된 상기 승강프레임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지지하여 이동함으로써 승강이동되는, 게이트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바부재의 상승이동에 의해 상승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딩바부재의 하강이동에 의해 하강이동하는, 게이트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부재는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하부측의 개방제어위치 및 상부측의 폐쇄제어위치 사이를 전환이동하며,
상기 폐쇄제어위치는 상기 슬라이딩바부재의 이동경로 중 최고점을 경과한 지점에 위치하는, 게이트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바부재가 상기 개방제어위치로 전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의 개방위치로 전환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딩바부재가 상기 폐쇄제어위치로 전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폐쇄위치로 전환이동되는, 게이트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장치는,
상기 크랭크프레임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 가능한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서 상기 크랭크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암부재; 및
상기 회전암부재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암부재는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바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게이트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회전암부재의 일단을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완충력을 제공 가능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게이트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회전암부재가 상기 폐쇄제어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경과하여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부재; 및
상기 회전암부재가 상기 개방제어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경과하여 상기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게이트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장치는,
상기 회전암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암부재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센서프레임; 및
상기 센서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암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게이트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장치는,
상기 링크암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축결합에 제공되는 링크암축부재;
상기 링크암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축결합에 제공되는 도어축부재; 및
상기 링크암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축결합에 제공되는 승강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축부재, 링크암축부재 및 상기 승강축부재는 상기 링크암프레임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게이트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암프레임은,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부에 축결합되는 제1 링크암프레임; 및
상기 크랭크프레임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단부에 축결합되는 제2 링크암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9493A KR101747102B1 (ko) | 2017-02-13 | 2017-02-13 | 보안성이 강화된 게이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9493A KR101747102B1 (ko) | 2017-02-13 | 2017-02-13 | 보안성이 강화된 게이트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7102B1 true KR101747102B1 (ko) | 2017-06-14 |
Family
ID=5921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9493A KR101747102B1 (ko) | 2017-02-13 | 2017-02-13 | 보안성이 강화된 게이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710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4543B1 (ko) * | 2017-08-29 | 2018-05-14 | (주)글로넥스 | 스피드 게이트 장치 |
CN109598823A (zh) * | 2017-09-30 | 2019-04-09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基于多传感器的身份识别装置及身份识别方法 |
KR102085455B1 (ko) * | 2018-10-29 | 2020-03-05 | 김병기 | 스윙타입 게이트 장치 |
US20220090434A1 (en) * | 2018-10-15 | 2022-03-24 | Shanghai Huaming Intelligent Terminal Equipment Co., Ltd. | Switch device for turnstile passag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9390B1 (ko) | 2012-08-27 | 2013-07-29 | 이대희 |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
KR200468123Y1 (ko) | 2012-08-28 | 2013-08-07 | 이대희 | 게이트도어의 개,폐상태 록킹수단을 가진 출입통제용 게이트장치 |
KR101621230B1 (ko) | 2013-05-28 | 2016-05-17 | 주식회사 푸른기술 | 개찰구의 슬라이딩 도어기구 |
-
2017
- 2017-02-13 KR KR1020170019493A patent/KR1017471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9390B1 (ko) | 2012-08-27 | 2013-07-29 | 이대희 |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
KR200468123Y1 (ko) | 2012-08-28 | 2013-08-07 | 이대희 | 게이트도어의 개,폐상태 록킹수단을 가진 출입통제용 게이트장치 |
KR101621230B1 (ko) | 2013-05-28 | 2016-05-17 | 주식회사 푸른기술 | 개찰구의 슬라이딩 도어기구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4543B1 (ko) * | 2017-08-29 | 2018-05-14 | (주)글로넥스 | 스피드 게이트 장치 |
CN109598823A (zh) * | 2017-09-30 | 2019-04-09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基于多传感器的身份识别装置及身份识别方法 |
US20220090434A1 (en) * | 2018-10-15 | 2022-03-24 | Shanghai Huaming Intelligent Terminal Equipment Co., Ltd. | Switch device for turnstile passage |
KR102085455B1 (ko) * | 2018-10-29 | 2020-03-05 | 김병기 | 스윙타입 게이트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7102B1 (ko) | 보안성이 강화된 게이트장치 | |
KR100662406B1 (ko) | 냉장고 | |
EP2617666A1 (en) | Guider for conveying sheet-shaped object | |
GB2579955A (en) | Movable baseplate cover and inboard barrier gate of a lift system for a motorized vehicle | |
CN206019686U (zh) | 避光装置及采用该避光装置的检测设备 | |
US11981356B2 (en) | Transport vehicle | |
KR20200134954A (ko) | 호이스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 |
WO2022206129A1 (zh) | 射线检查设备、以及检查目标的方法 | |
CN205826368U (zh) | 单臂防尘盖驱动控制装置 | |
CN208685501U (zh) | 一种新型人行速通摆闸门 | |
KR20170025265A (ko) | 랙-피니언 동력전달구조를 갖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장치 | |
US7162835B1 (en) | Gravity safety door for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inspecting semiconductors | |
EP3202300A1 (en) | Sliding door drive device with safety control | |
JPH09285584A (ja) | ゴルフ練習機のティーアップ装置 | |
KR102214633B1 (ko) | 대기 화학물질 검출장비 탑재차량 | |
CN114657916B (zh) | 环形查验通道 | |
CN206278646U (zh) | 键盘电路出厂全检站 | |
JP3759021B2 (ja) | 昇降床式プール | |
JP3289678B2 (ja) | 測定装置 | |
KR101662828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승강패널승하강장치 | |
KR102197629B1 (ko) |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 |
CN203188147U (zh) | 一种翼闸驱动装置 | |
CN217553529U (zh) | 一种双挡规升降驱动装置 | |
CN107559560A (zh) | 一种自助签证摄像装置 | |
JPH04223999A (ja) | 無人搬送車のテーブル昇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