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629B1 -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 Google Patents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629B1
KR102197629B1 KR1020190115750A KR20190115750A KR102197629B1 KR 102197629 B1 KR102197629 B1 KR 102197629B1 KR 1020190115750 A KR1020190115750 A KR 1020190115750A KR 20190115750 A KR20190115750 A KR 20190115750A KR 102197629 B1 KR102197629 B1 KR 102197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er
unit
cap
assembly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열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닉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닉테크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닉테크노스
Priority to KR1020190115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42Devices for removing barrel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8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hreaded caps
    • B67B7/182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hreaded caps power-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의 개폐에 필요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조립체; 구동부조립체에 체결되어 작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조립체; 및 캡에 체결되어, 연결부조립체로부터 전달된 작동력으로 캡을 개폐하는 클램퍼조립체;를 포함하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은 캡의 배치상태에 대응하여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Description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Cap opening and closing unit of container}
본 발명은 드럼용기의 캡을 개폐시키기 위한 캡 개폐유닛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등의 제조공정에서는 다양한 약품이 이용된다. 경우에 따라 이들 약품은 유독성, 인화성 등을 띄고 있어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제조공정에 있어 상기와 같은 약품은 드럼용기에 수용되어 취급될 수 있다. 드럼용기는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캡으로 밀폐되고, 캡은 각 공정에서 내용물의 배출을 위해 개방될 수 있다. 다만 내용물이 유독성 등을 띄고 있는 약품일 경우, 작업자가 캡을 직접 개폐하는데 안전상의 문제가 뒤따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등록특허 제10-1642640호(특허문헌 1)는 작업자가 직접 접근하지 않고 무인으로 드럼용기의 캡을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화 수단을 제안한 바 있다.
특허문헌 1의 자동화 수단은 "드럼 용기용 캡 개폐유닛" 등으로 명명되고, 소정의 기계적 구조에 의해 캡을 회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의 자동화 수단은 드럼용기의 내부 압력 등에 따라 캡이 다소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태에서도 캡과의 원활한 결합 및 개폐 동작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상기의 자동화 수단은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작이 쉽지 않고 고가이며, 유지 관리상 어려움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642640호(2016.07.19.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캡의 배치상태에도 불구하고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 알려진 캡 개폐유닛을 보다 개선하여 구조적 단순화시키면서도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캡의 개폐에 필요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조립체; 상기 구동부조립체에 체결되어 상기 작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조립체; 및 상기 캡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조립체로부터 전달된 상기 작동력으로 상기 캡을 개폐하는 클램퍼조립체;를 포함하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은 캡의 배치상태에 대응하여 제2클램퍼유닛이 적절히 상하 이동되어,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은 캡의 배치상태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 단순화되어 그 제작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오작동이나 유지 점검에도 유리한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드럼용기의 캡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개폐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구동부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구동부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위치가이드부의 분해도이다.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클램퍼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클램퍼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6a은 도 2에 도시된 클램퍼조립체의 제1작동도이다.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클램퍼조립체의 제2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드럼용기의 캡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캡(10)에는 복수의 리브(11)가 구비될 수 있다. 리브(11)는 캡(10)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리브(11)는 캡(10) 측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캡(10)은 드럼용기의 배출구에 체결될 수 있다. 드럼용기는 캡(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출구는 드럼용기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캡(10)은 드럼용기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캡(10)은 평행한 상태로의 배치가 의도되나, 드럼용기 내부의 압력, 내용물의 수용 상태, 기타 외부적인 요인 등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드럼용기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드럼용기 상면이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함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캡(10)은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개폐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캡 개폐유닛(A)은 구동부조립체(100), 연결부조립체(300) 및 클램퍼조립체(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조립체(100), 연결부조립체(300) 및 클램퍼조립체(500)는 대체로 상하 배치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캡 개폐유닛(A)은 드럼용기로의 접근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캡 개폐유닛(A)은 드럼용기 상측에 배치되어, 드럼용기 상면의 캡(10)에 접근 가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캡 개폐유닛(A)은 소정의 지지 구조에 지지되어 드럼용기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지지 구조에는 캡 개폐유닛(A)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구동부조립체(100)는 대체로 캡 개폐유닛(A)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조립체(100)는 캡(10)으로의 접근, 캡(10)의 개폐 등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조립체(100)의 상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연결부조립체(300)는 구동부조립체(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조립체(300)는 상측의 구동부조립체(100)와 하측의 클램퍼조립체(500) 사이에서 구동부조립체(100)와 클램퍼조립체(500)를 연결하고, 구동부조립체(100)의 구동력을 클램퍼조립체(500)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부조립체(300)의 상세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클램퍼조립체(500)는 연결부조립체(300)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클램퍼조립체(500)는 대체로 캡 개폐유닛(A)의 하단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클램퍼조립체(500)는 캡(10)에 체결되어 캡(10)에 작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캡(10)은 회전되어 개폐 동작될 수 있다. 클램퍼조립체(500)의 상세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구동부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구동부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구동부조립체(100)는 제1구동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11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제1구동부(110)는 Z축 방향의 구동축을 가지고, 구동부바디(120)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1구동부(110)는 스플라인축(130)으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제1구동부(110)의 구동력은 풀리(111, 113) 및 벨트(112)를 통해 스플라인축(1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구동부(110)는 제1텐션조절부(140)를 매개로 구동부바디(1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텐션조절부(140)는 제1구동부(110)의 벨트(112)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텐션조절부(140)는 제1이동브라켓(141) 및 제1조정나사(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이동브라켓(141)은 구동부바디(120)에 대해 X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부바디(120)에 체결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구동부바디(120) 측면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슬롯(121)이 구비될 수 있고, 제1이동브라켓(141)은 이러한 제1슬롯(121)에 체결되어, 제1슬롯(121)을 따라 X축 방향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이동브라켓(141) 측면에는 제1고정홀(141a)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고정홀(141a)은 제1이동브라켓(14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홀(141a)과 구동부바디(120) 간에는 핀 등 소정의 고정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이동브라켓(141)의 X축 방향의 소정 위치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제1이동브라켓(141)은 일차적으로 후술할 제1조정나사(142)와 벨트(112) 텐션에 의해 위치 유지되고, 이후 상기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조정나사(142)는 제1이동브라켓(141)의 X축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조정나사(142)는 구동부바디(120)에 나합되어, 벨트(112)의 텐션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제1이동브라켓(141)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정나사(142)의 X축 방향 위치가 조절되면, 제1이동브라켓(141)이 벨트(112) 텐션에 의해 X축 방향 이동되고, 벨트(112) 텐션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조립체(100)는 제2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15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제2구동부(150)는 Z축 방향의 구동축을 가지고, 구동부바디(120)를 사이에 두고 제1구동부(110)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구동부(150)는 스플라인축(130)으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구동부(150)는 제1구동부(110)와 유사하게 풀리(151, 153) 및 벨트(152)를 통해 스플라인축(130)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구동부(150)는 전술한 제1구동부(110)와 함께 스플라인축(130)을 회전 및 상하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플라인축(130)은 제1, 2구동부(110, 150)에 의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거나, Z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스플라인축(130)은 회전 및 상하 이동이 함께 이뤄질 수 있다.
제1, 2구동부(110, 150)에 의한 스플라인축(130)의 회전 및 상하 이동은,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의 결합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2구동부(110, 150)의 구동력은 볼 스크류 스플라인(ball screw spline) 구조를 통해 스플라인축(130)에 전달되어, 스플라인축(130)을 회전 및 상하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동부(110)는 하측의 풀리(111, 113) 및 벨트(112)를 통해 스플라인축(130)에 결합된 로터리 볼 스핀들 너트(미도시)를 회전 구동하고, 제2구동부(150)는 상측의 풀리(151, 153) 및 벨트(152)를 통해 스플라인축(130)에 결합된 로터리 볼 스크류 너트(미도시)를 회전 구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스플라인축(130)은 로터리 볼 스핀들 너트 및 로터리 볼 스크류 너트의 회전 방향, 속도에 따라 회전 또는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볼 스크류 스플라인 구조는 당업계에 기 공지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필요에 따라, 제2구동부(150)는 제2텐션조절부(160)를 매개로 구동부바디(1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텐션조절부(160)는 제2구동부(150)의 벨트(152)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2이동브라켓(161) 및 제2조정나사(1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이동브라켓(161) 및 제2조정나사(162)는 전술한 제1이동브라켓(141) 및 제1조정나사(142)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위치가이드부의 분해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연결부조립체(300)는 스플라인축(130)에 체결되어, 스플라인축(130)의 회전 및 상하 이동을 클램퍼조립체(500)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부조립체(300)는 스플라인축(130) 하단에 체결되는 연결실린더(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실린더(310)는 구동부조립체(100)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플라인축(130)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연결실린더(310) 내측에 체결될 수 있다. 스플라인축(130)은 연결실린더(310) 내측에서 작동축(320)과 연결될 수 있다. 작동축(320)은 연결실린더(310)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작동축(320)은 연결실린더(310) 내부에서 소정의 기계적 구조를 통해 스플라인축(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동축(320)은 스플라인축(130)의 회전 및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 및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조립체(300)는 작동축(320) 하단에 배치되는 위치가이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가이드부(330)는 클램퍼조립체(500)의 XY평면상 위치를 탄성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동작 제어 과정에서의 오차, 캡(10)의 배치 등에도 불구하고, 클램퍼조립체(500)와 캡(10) 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위치가이드부(330)는 작동축(320) 하단 부위에 구비된 상부블록(331), 상부블록(331)의 하부에 체결되는 중간블록(332), 중간블록(332)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블록(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블록(331)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331a)을 구비할 수 있다. 중간블록(332)은 상부블록(331)에 대응되는 상면 부위에 제2레일(332a)을 구비할 수 있다. 제2레일(332a)은 제1레일(331a)과 대응되도록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레일(331a)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간블록(332)은 제1, 2레일(331a, 332a)을 따라 Y축 방향 이동될 수 있다.
중간블록(332)은 상면 부위에 상기와 같은 제2레일(332a)이 구비될 수 있고, 하면 부위에는 제3레일(332b)이 구비될 수 있다. 제3레일(332b)은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부블록(333)은 중간블록(332)에 대응되는 상면 부위에 제4레일(333a)을 구비할 수 있다. 제4레일(333a)은 제3레일(332b)과 대응되도록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3레일(332b)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블록(333)은 제3, 4레일(332b, 333a)을 따라 X축 방향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부블록(333)에 지지된 클램퍼조립체(500)는 XY평면상에서 그 위치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위치가이드부(330)는 중간블록(332)을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체(334), 하부블록(333)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체(334)는 상부블록(331)에 장착 지지될 수 있고,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탄성체(334)는 중간블록(332)의 Y축 방향 양쪽 측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간블록(332)은 Y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2탄성체(335)는 중간블록(332)에 장착 지지될 수 있고,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탄성체(335)는 하부블록(333)의 X축 방향 양쪽 측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부블록(333)은 X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1, 2탄성체(334, 335)는 중간블록(332) 및 하부블록(333)을 적절히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공지된 다양한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2탄성체(334, 335)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연결실린더(310)와 위치가이드부(330) 사이에는 완충수단(34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완충수단(340)은 연결실린더(310)와 위치가이드부(330) 간을 탄성 지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수단(340)는 작동축(320)을 통해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상부의 스플라인축(130)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클램퍼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클램퍼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클램퍼조립체(500)는 연결부조립체(300)의 하단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램퍼조립체(500)는 하부블록(333) 하측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클램퍼조립체(500)는 연결부조립체(300) 하단에 체결되는 클램퍼바디(510)와, 클램퍼바디(510)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1클램퍼유닛(520)과, 클램퍼바디(510)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2클램퍼유닛(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2클램퍼유닛(520, 530)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클램퍼유닛(520)은 클램퍼바디(510)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2클램퍼유닛(530) 또한 클램퍼바디(510)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제1, 2클램퍼유닛(520, 530)은 예시된 바와 같이 상호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원주 방향을 따라 제1클램퍼유닛(520) 및 제2클램퍼유닛(530)이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제1클램퍼유닛(520)은 캡(10)의 회전에 필요한 작동력과, 캡(10)을 들어 올리는데 필요한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클램퍼유닛(530)은 캡(10)의 회전에 필요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한편, 캡(10)의 배치 상태(예컨대, 기울어진 상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클램퍼유닛(520)은 클램퍼바디(5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클램퍼유닛(520)은 힌지축(52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1클램퍼유닛(520)에는 제1결합홈(52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홈(522)은 캡(10)의 리브(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클램퍼유닛(520)은 캡(10)에 회전 작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결합홈(522)은 상하로 연장된 슬릿(slit) 형태로 예시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클램퍼유닛(520) 하단에는 걸림단(523)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단(523)은 캡(10)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캡(10)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1클램퍼유닛(520)은 제1복원스프링(524)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1복원스프링(524)은 힌지축(521)을 중심으로 한 제1클램퍼유닛(520)의 회동시 제1클램퍼유닛(5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제1복원스프링(524)은 힌지축(521)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으로 예시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2클램퍼유닛(530)은 클램퍼바디(510)에 Z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램퍼바디(510)를 향해 배치된 제2클램퍼유닛(530)의 후면에는 제5레일(531)이 구비될 수 있다. 제5레일(531)은 Z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클램퍼바디(510)에는 제5레일(531)에 대응되는 제6레일(511)이 구비될 수 있다. 제6레일(511)은 Z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5레일(531)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제6레일(511)과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클램퍼유닛(530)은 클램퍼바디(510)에 대해 Z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클램퍼유닛(530) 하단 부위에는 제2결합홈(532)이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홈(532)은 캡(10)의 리브(11)에 체결되어 캡(10)에 회전 작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제1결합홈(522)와 대응된다.
제2클램퍼유닛(530)의 후면 하단부에는 스토퍼(533)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533)는 후술할 제2복원스프링(53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2클램퍼유닛(530)의 초기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제2복원스프링(534)이 제2클램퍼유닛(530)을 하측으로 잡아 당기는데 대응하여, 스토퍼(533)는 제2클램퍼유닛(530)의 하강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스토퍼(533)는 제2클램퍼유닛(530) 후면에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 형상이 클램퍼바디(510)의 일측에 접촉 지지되어, 제2클램퍼유닛(530)의 하강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제2클램퍼유닛(530)은 제2복원스프링(534)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2복원스프링(534)은 제2클램퍼유닛(530)을 Z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Z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제2클램퍼유닛(53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제2복원스프링(534)은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예시되고 있고, 일단이 제2클램퍼유닛(530)에 장착 지지되고, 타단이 클램퍼바디(510)에 장착 지지되어 있다. 다만, 제2복원스프링(534)은 Z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 이동된 제2클램퍼유닛(530)을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형태의 복원 수단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a 및 6b는 도 2에 도시된 클램퍼조립체의 작동도이다.
도 6a 및 6b는 클램퍼조립체(500)를 중심으로 그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드럼용기 상측으로 캡 개폐유닛(A)이 배치되고, 스플라인축(130)이 하강되어 드럼용기의 캡(10)에 클램퍼조립체(500)가 체결된다.
여기서, 캡(10)은 예시된 바에 같이 드럼용기 상면이 돌출되어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캡(10)과 클램퍼조립체(500) 간의 XY평면상 위치 오차는 위치가이드부(330)에 의해 적절히 보정될 수 있다. 즉, 기울어지게 배치된 캡(10)으로 클램퍼조립체(500)가 접근되고, 캡(10)에 클램퍼조립체(5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위치가이드부(330)에 의해 클램퍼조립체(500)가 XY평면상 탄력적으로 이동되며 위치가 보정되고, 캡(10)과 클램퍼조립체(500) 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캡(10)의 기울어진 배치 상태는 제2클램퍼유닛(530)의 상하 이동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 즉, 기울어진 배치에 대응하여 일측의 제2클램퍼유닛(530)이 캡(10) 또는 리브(11)에 밀려 상측으로 탄성 이동됨으로써, 캡(10)의 배치 상태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제2결합홈(532)에 리브(11)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제1클램퍼유닛(520) 또한 대응되는 리브(1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캡(1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일부 제1클램퍼유닛(520)이 리브(11)에 적절히 결합되지 않거나, 캡(10) 하단을 적절히 지지하지 못할 수 있으나, 이는 캡(10)이 개방되어 드럼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적절히 보정될 수 있다.
리브(11)에 제1, 2클램퍼유닛(520, 530)이 결합되면, 클램퍼조립체(500)가 회전되어 캡(10)의 개폐가 이뤄진다. 드럼용기로부터 분리된 캡(10)은 제1클램퍼유닛(520)에 의해 지지되어, 적절히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은 캡의 배치상태에 대응하여 제2클램퍼유닛이 적절히 상하 이동되어,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은 캡의 배치상태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 단순화되어 그 제작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오작동이나 유지 점검에도 유리한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캡 11: 리브
A: 캡 개폐유닛 100: 구동부조립체
110: 제1구동부 120: 구동부바디
121: 제1슬롯 130: 스플라인축
140: 제1텐션조절부 141: 제1이동브라켓
141a: 제1고정홀 142: 제1조정나사
150: 제2구동부 160: 제2텐션조절부
161: 제2이동브라켓 161a: 제2고정홀
162: 제2조정나사 300: 연결부조립체
310: 연결실린더 320: 작동축
330: 위치가이드부 331: 상부블록
331a: 제1레일 332: 중간블록
332a: 제2레일 332b: 제3레일
333: 하부블록 333a: 제4레일
334: 제1탄성체 335: 제2탄성체
340: 완충수단 500: 클램퍼조립체
510: 클램퍼바디 511: 제6레일
520: 제1클램퍼유닛 521: 힌지축
522: 제1결합홈 523: 걸림단
524: 제1복원스프링 530: 제2클램퍼유닛
531: 제5레일 532: 제2결합홈
533: 스토퍼 534: 제2복원스프링

Claims (12)

  1. 캡(10)의 개폐에 필요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조립체(100);
    상기 구동부조립체(100)에 체결되어 상기 작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조립체(300); 및
    상기 캡(10)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조립체(300)로부터 전달된 상기 작동력으로 상기 캡(10)을 개폐하는 클램퍼조립체(50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퍼조립체(500)는,
    상기 연결부조립체(300)에 체결되는 클램퍼바디(510);
    상기 클램퍼바디(5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1클램퍼유닛(520); 및
    상기 클램퍼바디(5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2클램퍼유닛(5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클램퍼유닛(530)은,
    상기 캡(1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퍼바디(510)에 장착되고,
    상기 클램퍼조립체(500)는,
    상기 제1클램퍼유닛(520)에 체결되어, 상기 제1클램퍼유닛(520)을 초기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제1복원스프링(524); 및
    상기 제2클램퍼유닛(530)에 체결되어, 상기 제2클램퍼유닛(530)을 상하 방향의 초기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제2복원스프링(534);를 포함하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퍼유닛(520)은,
    힌지축(521)을 가지고, 상기 클램퍼바디(51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클램퍼유닛(520, 530)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1, 2클램퍼유닛(520, 530)은,
    상기 클램퍼바디(510)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2클램퍼유닛(520, 530)은,
    상기 클램퍼바디(510)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하여 배치된,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퍼유닛(520)은,
    상기 캡(10)의 리브(11)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522); 및
    상기 캡(10)의 하단을 접촉 지지하는 걸림단(5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클램퍼유닛(530)은,
    상기 캡(10)의 다른 리브(11)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532)을 포함하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8. 캡(10)의 개폐에 필요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조립체(100);
    상기 구동부조립체(100)에 체결되어 상기 작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조립체(300); 및
    상기 캡(10)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조립체(300)로부터 전달된 상기 작동력으로 상기 캡(10)을 개폐하는 클램퍼조립체(50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퍼조립체(500)는,
    상기 연결부조립체(300)에 체결되는 클램퍼바디(510);
    상기 클램퍼바디(5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1클램퍼유닛(520); 및
    상기 클램퍼바디(5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2클램퍼유닛(5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클램퍼유닛(530)은,
    상기 캡(1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퍼바디(510)에 장착되고,
    상기 제2클램퍼유닛(530)은,
    상기 클램퍼바디(510)의 제6레일(51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5레일(531);
    상기 제2클램퍼유닛(530)을 상하 방향의 초기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제2복원스프링(534); 및
    상기 제2클램퍼유닛(530)의 최대 하강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533);을 포함하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9. 청구항 1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조립체(300)는,
    상기 구동부조립체(100)의 스플라인축(130)에 체결되는 연결실린더(310); 및
    상기 연결실린더(310)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퍼조립체(500)의 평면상 위치를 탄성적으로 조정하는 위치가이드부(330);를 포함하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이드부(330)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331a)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실린더(310) 하단에 장착되는 상부블록(331);
    Y축 방향 연장되어 상기 제1레일(331a)에 체결되는 제2레일(332a)과,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3레일(332b)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블록(331)에 대해 Y축 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중간블록(332); 및
    X축 방향 연장되어 상기 제3레일(332b)에 체결되는 제4레일(333a)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블록(332)에 대해 X축 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클램퍼조립체(500)을 지지하는 하부블록(333);을 포함하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이드부(330)는,
    상기 중간블록(332)을 Y축 방향 양측에서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제1탄성체(334); 및
    상기 하부블록(333)을 X축 방향 양측에서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제2탄성체(335);를 포함하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12. 청구항 1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조립체(100)는,
    스플라인축(130)을 지지하는 구동부바디(120);
    풀리(111, 113) 및 벨트(112)를 통해 상기 스플라인축(130)으로 작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110);
    상기 제1구동부(110)가 장착 지지되되, 상기 구동부바디(120)에 X축 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벨트(112)의 텐션을 조절 가능한 제1이동브라켓(141); 및
    상기 벨트(112) 텐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이동브라켓(141)의 X축 방향 일측을 지지하는 제1조정나사(142);를 포함하는,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KR1020190115750A 2019-09-20 2019-09-20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KR102197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750A KR102197629B1 (ko) 2019-09-20 2019-09-20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750A KR102197629B1 (ko) 2019-09-20 2019-09-20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629B1 true KR102197629B1 (ko) 2020-12-31

Family

ID=7408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750A KR102197629B1 (ko) 2019-09-20 2019-09-20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6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640B1 (ko) 2015-01-22 2016-07-26 주식회사 프로텍 드럼 용기용 캡 개폐유닛 및 이를 갖는 드럼 용기용 유체 라인 연결장치
KR20170057970A (ko) * 2015-11-18 2017-05-26 (주)아모레퍼시픽 포장용기 자동 캡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640B1 (ko) 2015-01-22 2016-07-26 주식회사 프로텍 드럼 용기용 캡 개폐유닛 및 이를 갖는 드럼 용기용 유체 라인 연결장치
KR20170057970A (ko) * 2015-11-18 2017-05-26 (주)아모레퍼시픽 포장용기 자동 캡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6538B2 (en) Gate valve
RU24347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деталей
US7440712B2 (en)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including original cover closer
KR101376045B1 (ko) 게이트 밸브
JPH09303578A (ja) 無摺動真空ゲートバルブ
KR101512912B1 (ko) 반송 로봇
KR20140135594A (ko) 로드 포트 장치
CN111358489A (zh) 浮动机构及其超声诊断仪
JP2009028847A (ja) 搬送装置
JP2020510146A (ja) 垂直スライド窓
JP2003092339A (ja) ウエハマッピ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ロードポート
KR20020062973A (ko) 트럭 등의 윙 개폐장치
KR102197629B1 (ko) 드럼용기의 캡 개폐유닛
KR100605086B1 (ko) 게이트 밸브 장치
CN105467990A (zh) 单轴机器人
US20130298467A1 (en) Two-stage interlocked sliding door for machining tank of electric discharge machine
CN110821332B (zh) 一种防爆型自动旋压门装置
KR102376213B1 (ko) 자동 피치 조절이 가능한 픽커장치
KR100358512B1 (ko) 운송장치용 웨이퍼카세트 지지장치
KR20090090018A (ko) 가스 스프링을 이용한 챔버 리드 개폐장치와 이를 이용한리드 개폐 방법
KR101776219B1 (ko) 랙-피니언 동력전달구조를 갖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장치
KR20130098476A (ko) 게이트 밸브
WO2024053507A1 (ja) ゲートバルブ
CN116265375A (zh) 用于液氮罐的罐盖开启装置
KR102632305B1 (ko) Oht 장치의 오픈 카세트용 낙하 방지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