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828B1 - 배터리 차지에 기초한 동적 슬립 모드 - Google Patents

배터리 차지에 기초한 동적 슬립 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828B1
KR101746828B1 KR1020167037009A KR20167037009A KR101746828B1 KR 101746828 B1 KR101746828 B1 KR 101746828B1 KR 1020167037009 A KR1020167037009 A KR 1020167037009A KR 20167037009 A KR20167037009 A KR 20167037009A KR 101746828 B1 KR101746828 B1 KR 10174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battery
rail
sleep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036A (ko
Inventor
앨리 타하
헥터 프레이레스 코레토
라훌 카샵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4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9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switching to a backup power supply
    • H02J2007/0067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동적 슬립 임계 전압과 관련하여 동작하는 전력 관리 기술이 제공된다. 디바이스의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크면, 디바이스에 대한 슬립 모드 동안, 디바이스에 대한 전압 레일은 콜랩스된다. 역으로,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작으면, 디바이스에 대한 슬립 모드 동안, 전압 레일은 소싱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차지에 기초한 동적 슬립 모드{DYNAMIC SLEEP MODE BASED UPON BATTERY CHARGE}
관련 출원
[0001] 본 출원은, 2014년 7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일련번호 제 14/329,79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0002] 본 출원은 전력 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터리 전압에 기초한 동적 슬립(sleep) 모드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0003] 배터리-전력공급형 디바이스의 사용 동안 배터리 차지가 소진(deplete)됨에 따라, 대응하는 배터리 전압이 감소한다. 어떤 시점에서, 배터리가 방전됨에 따라 배터리 전압이 수용가능하지 않게 낮아짐으로써 디바이스가 파워 다운(power down)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 전압이 소프트웨어 컷오프(cutoff) 임계 전압(이를테면, 3.5 V) 아래로 강하하면 핸드셋(handset)이 파워 다운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그 후, 배터리가 재충전될 때까지 디바이스는 사용가능하지 않다. 소비자들은 연장된 사용 시간들을 요구하기 때문에, 디바이스 셧다운(shutdown)을 가급적 길게 지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4]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서, 배터리는, 대응하는 전력 도메인들을 서플라이(supply)하는 다수의 상이한 전력 레일(rail)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각각의 전력 레일은, 로우 드롭아웃(low dropout) 조정기와 같은 대응하는 전력 조정기에 의해 소싱(source)된다. 디바이스들은 통상적으로, 다양한 전력 레일들에 대한 전력 조정기들을 관리하기 위한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한다.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디바이스가 대기(standby) 또는 슬립 모드에 있는 동안 전력 레일들 중 여러 가지(assorted) 전력 레일들을 PMIC가 파워 다운시키는 것이 전형적이다. 예를 들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 모바일 텔레폰은 주로 유휴(idle) 대기(슬립) 모드에 있다. 그 후, 모바일 텔레폰은, 메시지들 또는 콜(call)들을 확인하기 위해 자신의 DRX(discontinuous receive) 사이클에 따라 주기적으로 웨이크 업(wake up)할 것이다.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 레일들은 통상적으로,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파워 다운된다. 대신에, 슬립 모드 동안 전력 레일이 소싱되면, 전력 레일에 커플링되는 트랜지스터들 및 다른 디바이스들은, 배터리를 불필요하게 방전시키는 누설 전류를 전도할 것이다.
[0005] 현대의 전력 관리 기술들은 동작 시간들을 증가시키지만, 부가적인 배터리 수명을 위한 당업계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0006] 슬립 동작 모드 및 액티브 동작 모드 둘 모두를 갖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슬립 모드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레일은,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에 비교되는 바에 의존하여 상이하게 제어된다.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을 초과하면, 전력 레일에 대한 전력 조정기가 슬립 모드 동안 셧 오프(shut off)됨으로써, 전력 레일에 대한 전압이 콜랩스(collapse)된다(전압이 접지가 됨). 역으로,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 미만이면, 전력 조정기는 슬립 모드 동안 전력 레일을 소싱한다. 거의 소진된 배터리에도 불구하고 전력 레일 전압을 유지하는 것은 반-직관적(counter-intuitive)이지만, 슬립 모드 동안 소싱되는 전력 레일로부터의 누설 전류에 기인하는 결과적인 전력 손실보다는, 배터리에 대한 소프트웨어 컷오프 임계 전압에 관련한 디바이스의 연장된 동작 수명이 더 중요하다. 그와 관련하여, 배터리 전압이 소프트웨어 컷오프 임계 전압 미만으로 강하하면, 감소된 배터리 전압으로 인한 오작동 또는 손상으로부터 디바이스를 보호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셧 다운시키는 것이 일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셧 다운은,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 미만으로 강하하면 슬립 모드 동안 전력 서플라이 전압을 유지하도록 전력 레일을 소싱함으로써, 종래의 동작에 관하여 본원에 개시된 디바이스들에 대해 지연된다.
[0007] 슬립 모드 동안,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 미만이면, 전력 레일은 적어도, 저-전압 동작 모드에 충분한 전압, 이를테면 SRAM 메모리 상태들과 같은 상태들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전압으로 소싱된다. 전력 레일 상에서의 이러한 사전에 존재하는 전압 때문에, 배터리는, 그렇지 않았으면 슬립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디바이스가 트랜지션(transition)하는 경우 전력 레일의 콜랩스된 상태로부터의 소싱 시에 발생했을 전류의 서지(surge)(돌입 전류(inrush current))를 서플라이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전류 서지는, 배터리 전압을 소프트웨어 컷오프 임계 전압 미만으로 풀링(pull)했을 것이고, 이는 그 후, 배터리에 남아있는 계속된 동작에 대해 충분한 차지에도 불구하고 디바이스의 셧다운을 트리거링한다. 본원에 개시된 동적 전력 관리 기술들은 유리하게, 이러한 남아있는 차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연장된 동작 시간들을 획득한다.
[0008] 이들 및 다른 유리한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완전하게 인식될 수 있다.
[0009]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기술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예시적인 전자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0010] 도 2a는, 종래의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원에 대한 배터리 전압, 컷오프 임계 전압, 및 배터리 전류를 예시한다.
[0011] 도 2b는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 배터리에 대한 남아 있는 배터리 전압 대 차지를 예시한다.
[0012] 도 2c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원에 대한 배터리 전압, 컷오프 임계 전압, 및 배터리 전류를 예시한다.
[0013] 도 3a는, 종래의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원에 대한 배터리 전압, 레일 전압, 벅 인덕터(buck inductor) 전류, 및 배터리 전류를 예시한다.
[0014] 도 3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슬립 모드로부터의 동적 전압 스텝퍼 레이트(stepper rate) 복원에 대한 배터리 전압, 레일 전압, 벅 인덕터 전류, 및 배터리 전류를 예시한다.
[0015]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0016]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 및 그들의 이점들은,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완전하게 이해된다. 도면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서 예시되는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사용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0017] 기존의 배터리에 대한 어떠한 변경들도 요구함이 없이 배터리-전력공급형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전력 관리 기술이 개시된다. 이러한 전력 관리 기술에서, 동적 슬립 임계 전압에 관하여 전력 레일들이 관리된다. 이러한 기술은, 대응하는 슬립 모드들로 독립적으로 파워 다운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력 도메인들을 갖는 시스템-온-칩(SOC; system-on-a-chip)과 같은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에 적용된다. 각각의 전력 도메인은, 자신 고유의 전력 조정기, 이를테면 전력 도메인에 대한 전압 레일 또는 레일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선형 드롭아웃 조정기(LDO; linear dropout regulator)에 대응할 수 있다. 본원에 정의되는 바와 같이, 용어들 "전력 레일" 및 "전압 레일"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슬립 모드로 트랜지션하려 하는 전력 도메인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을 초과하면, 대응하는 전력 조정기가 셧 다운됨으로써 전력 도메인에 대한 전력 레일이 슬립 모드 동안 콜랩스된다. 역으로,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 미만이면, 슬립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전력 도메인에 대한 전력 조정기는, 전력 레일 상에 적어도 감소된 전압을 계속 유지한다. 예를 들어, 감소된 전압은, 슬립 모드 동안, 전력 도메인에서의 메모리들에 대한 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모드에 있는 전력 레일이,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을 초과하면 콜랩스되고 그리고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 미만이면 콜랩스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슬립 모드는 동적이다.
[0018] 부가하여, 전력 조정기들 중 일부는, 본원에 개시된 전력 관리 기술에서 그들의 전력 레일들을 콜랩스시키는 것이 허용될 수 있지만,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 미만이면, 슬립 모드로부터 다시 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동안 그들의 레일들을 소싱하는 것에 관하여 더 느린 전압 스텝핑(stepping) 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을 초과하면, 슬립 모드로부터 활성 동작 모드로 트랜지션할 때 대응하는 전력 레일 상의 전력 서플라이 전압을 부스팅(boost)하기 위해 더 빠른 전압 스텝핑 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0019] 본원에 개시되는 전력 관리 기술의 실시예를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예시적인 시스템(100)이 도 1에 도시된다. 시스템(100) 내의 SOC(110)는,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전력 레일(121)에 의해 전력공급되는 복수의 독립적인 전력 도메인들을 포함한다.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101)는, 다양한 전력 레일들(121)의 전압 및 전력 시퀀싱(sequencing)을 관리한다. 이러한 전력 관리를 제공하기 위해, PMIC(101)는, 원하는 전력 시퀀싱 및 전압 레벨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로직 회로(125)를 포함한다. PMIC(101)는, SOC(110) 내의 전력 도메인들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스피커 드라이버, USB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다수의 주변기기 디바이스들(예시되지 않음)에 대한 전력을 또한 관리할 수 있다. 전력 레일들(121) 뿐만 아니라 주변기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PMIC(101)는, 대응하는 로우 드롭아웃(LDO) 조정기들(120) 뿐만 아니라 스위칭 전력 조정기들, 이를테면 벅 조정기들(115)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기들(120 및 115)은 배터리(105)로부터 그들의 전력을 유도(derive)한다. 로직 회로(125)는, 동적 슬립 임계 전압에 관하여 배터리(105)에 대한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동적 슬립 임계 전압은, 로직 회로(125)에 의해 구현되는 슬립 모드들의 동적 속성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SOC(110) 내의 전력 도메인이 슬립 모드로 트랜지션될 것이고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을 초과하면, 로직 회로(125)가 대응하는 LDO 조정기(120)를 셧 다운시킴으로써 그에 대한 전력 레일(121) 상의 전압이 콜랩스된다(접지로 방전됨). 그러나,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 미만이면, 로직 회로(125)는, 대응하는 LDO 조정기(120)를 적어도 저 전압 모드로 유지함으로써, 전력 서플라이 전압을 전달하도록 소싱되게 그에 대한 전력 레일(121)을 유지한다.
[0020] 일 실시예에서, PMIC(101)는, SOC를 서플라이하는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큰 경우에는 SOC에 대한 슬립 모드 동안 제 1 전력 레일이 콜랩스되도록, 그리고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SOC에 대한 슬립 모드 동안 제 1 전력 레일이 소싱되도록 제 1 전력 레일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압 레일은, 그 전압 레일의 전압이 전력 조정기에 의해 전력 서플라이 전압 레벨로 유지되는 경우 "소싱"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0021] 동적 슬립 임계 전압을 사용하는 것의 이점들은, 종래의 슬립 모드로부터의 트랜지션에 대해 수반되는 전류들 및 전압들을 예시하는 도 2a를 참조하여 더 완전하게 인식될 수 있다. 모드 트랜지션 이전의 배터리 전압(200)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컷오프 임계 전압(205)을 초과한다. 배터리 전압(200)이 컷오프 임계 전압(205) 미만이라고 대응하는 PMIC가 결정하면, 대응하는 PMIC는, SOC 또는 ASIC에서의 임의의 손상 또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SOC 또는 ASIC에 대한 전력 레일들을 서플라이하기 위한 전력 조정기들을 셧 다운시킨다. 배터리 전류(210)는, 슬립 모드로부터의 트랜지션 이전에 무시가능하다(예컨대, 1 mA(milli-amp)). 4 밀리초 근방에서, 배터리 전류(210)에서 큰 스파이크(spike)가 명확히 나타나는데, 이는, 대응하는 전력 레일이 자신의 콜랩스된 상태로부터 소싱되는 경우(전압이 전력 서플라이 전압 레벨로 증가됨)에 돌입 전류로서 표시되는 현상이다. 그러한 돌입 전류는, 배터리 차지를 소진시키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특히,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에 남아있는 차지의 퍼센티지가 소진됨에 따라 배터리 전압(200)이 강하한다. 동시에, 배터리의 내부 저항이 또한 상승한다. 따라서, 배터리 전압(200)에서의 돌입-전류-유도(inrush-current-induced) 딥(dip)들이,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제어된 셧다운을 트리거링할 수 있는 영역(201)이 존재한다. 그러한 셧다운들은, 배터리의 내부 저항에서의 대응하는 증가로 인해, 더 낮은 온도들에서 심지어 더 빈번하게 트리거링될 것이다. 온도에 관계없이, 배터리 전압(200)이 컷오프 임계 전압(205) 미만으로 내려가면, 그 후,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셧다운이 발생할 것이다.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돌입-전류-유도 배터리 전류(210) 곱하기 내부 배터리 저항에 기인하는 오믹 드롭(ohmic drop)의 결과로서, 배터리 전압(200)에 대한 시점 A에서 그러한 셧다운이 발생한다. 그러나, 도 2b의 영역(2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제어된 셧다운에도 불구하고, 배터리에 남아있는 이용가능한 차지 부분(예컨대, 2%)이 여전히 존재한다.
[0022] 슬립 모드를 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개시된 전력 관리 기술은 유리하게, 종래에 컷오프 임계 전압 이슈로 인해 이용가능하지 않았을 배터리 차지의 남아있는 부분을 이용한다. 동적 슬립 모드로부터의 웨이크업을 위한 결과적인 배터리 전류(215)가 도 2c에 도시된다. 이러한 동적 슬립 모드에서, 배터리 전압(200)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이러한 실시예에서는 3.5 V)보다 높았으면, 대응하는 전압 레일은 콜랩스될 것이다. 배터리 전압(200)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 미만으로 강하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전압 레일은 콜랩스되지 않지만, 대신, 대응하는 LDO 조정기에 의해 저 전압 모드로 유지된다. 따라서, 슬립 모드가 활성 또는 어웨이크(awake)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경우, 어떠한 돌입 전류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 후, 배터리 전압(200)이 컷오프 임계 전압(205)(일 실시예에서, 3.5V와 동일함)을 초과하게 유지됨으로써, 디바이스는 결코 셧 다운되지 않지만, 대신, 계속 동작할 수 있다.
[0023] 도 2b의 영역(201)에 관하여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종래의 슬립 모드에서 방전될 것에 부가하여 이후 이용될 수 있는, 전체 배터리 차지 중 단지 수 퍼센트의 배터리 차지가 존재한다. 그러나, 총 이용가능한 배터리 차지 중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의 배터리 차지는 실제로는 상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종래의 셀룰러 텔레폰 배터리는 2000 내지 3100 mAh(mill-amp hours) 범위의 총 차지 저장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총 차지 저장의 2퍼센트는 부가적인 배터리 수명을 위한 대략적으로 40 내지 62 mAh의 차지와 동등하다. 슬립 모드 전력 사용은 통상적으로 1.4 내지 2.5 mAh이어서, 가외의(extra) 2%는 이후 29 내지 25 시간의 가외의 유휴 대기 시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차지를 더 실용적인 용어들로 변환하면, 정상 사용 패턴들을 고려한 모바일 텔레폰의 평균 DoU(days of use) 전류는 약 40 내지 50 mA이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차지 보존 기술들은, (폰을 사용함이 없이 단지 대기 모드로 두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별도의 1.1 내지 1.2 시간의 정상 사용을 제공한다. 이것은, 배터리에 대한 어떠한 변경들도 요구함이 없이 배터리 수명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킨다. 그와 관련하여, 배터리의 사이즈를 증가시킴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과제이다. 그러나, 사이즈의 증가는 그 후, 소형의 디바이스 풋프린트(footprint)를 무산시킨다. 본원에 개시된 전력 관리 기술들은, 배터리 사이즈 또는 비용에서의 어떠한 실제의 증가를 요구함이 없이 더 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0024] 동적 슬립 모드는, 배터리 차지가 소진되는 경우에 전력 레일들의 콜랩싱(collapsing)이 심지어 더 강건하게(vigorously) 강제될 것이 예상될 것이라는 점에서 반-직관적이다. 전력 레일이 콜렙스되는 경우, 그러한 전력 레일로부터 어떠한 누설 전류도 존재할 수 없으며, 따라서, 배터리 상에서의 어떠한 유출(drain)도 존재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전력 레일이 심지어 슬립 모드에서 감소된 전압 상태로 유지되면, 약간의 누설 전류 손실이 존재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손실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가능해질 수 있는 증가된 정상 사용 시간들이 우위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수용가능하다. 동적 슬립 모드의 구현에도 불구하고 몇몇 전력 레일들은 여전히 콜랩스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남아있는 배터리 수명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이 일상적이라는 점에서, 배터리 차지가 줄어듬에 따라 사용자가 배터리 차지의 불안정한(precarious) 상태를 인지한다는 것이 가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러한 시간들에서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들)를 통한 음악 재생 또는 비디오 게이밍과 같은 전력-소비적(power-hungry) 모드들의 동작을 사용하는 기대들을 갖지 않을 것이다. 이들 선택적 동작 모드들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에 대응하는 전력 레일들은, 배터리 전압이 동적 전압 임계치 미만으로 감소했다 하더라도 콜랩스될 수 있다. 역으로, 보이스 콜들에 대해서와 같은 기본 기능들에 수반되는 회로에 대한 전력 레일들은 슬립 모드 동안 저-전압 상태로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이들 레일들은, 저-전압 상태에 대해 사용되는 것보다 더 높은 활성 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0025] 동적 슬립 모드에 부가하여, 전력 조정기들은, 그들의 대응하는 전력 레일들의 동적 전압 스텝핑 또는 램핑(ramping)을 구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큰 경우, 슬립 모드로부터의 웨이크업을 위해, 전력 조정기들은, 정상 레이트로 그들의 레일들 상의 전압을 스텝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전력 레일 전압(300)은, 배터리 전압(315)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큰 경우, 대응하는 전력 도메인의 동적 슬립 모드로부터의 웨이크업 동안, 정상 레이트로 램핑된다. 전력 레일 전압(300)에 대한 그러한 상대적으로 빠른 스텝핑은, 대응하는 전력 조정기에 대한 벅 인덕터 전류(305)에서 대응하는 큰 스파이크를 생성한다. 배터리 전류(310)는, 벅 인덕터 전류(305)에서의 스파이크로 인해 현저하게 증가한다. 배터리의 내부 저항으로 인해, 배터리 전압(315)은 배터리 전류(310)에서의 증가로부터 그에 따라 강하한다. 대조적으로, 배터리 전압(320)이 동적 슬립 임계치 미만인 경우, 슬립 모드를 벗어나 웨이크 업하는 전력 레일 전압(330)에 대한 더 낮은 전압 스텝핑 레이트가 도 3b에 도시된다. 더 낮은 전압 스텝핑 레이트로 인해, 벅 인덕터 전류(335)는 도 3a의 벅 인덕터 전류(305)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더 낮은 전류 증가를 갖는다. 따라서, 배터리 전류(325)가 매우 완만한(mild) 증가를 가짐으로써, 배터리의 내부 저항에도 불구하고, 전력 레일 전압(330)의 램핑 업(ramping up) 동안 배터리 전압(320)은 대응하는 작은 딥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더 빠른 전압 스텝핑 레이트는 마이크로초당 40 밀리볼트일 수 있는 반면, 더 느린 전압 스텝핑 레이트는 마이크로초당 5 밀리볼트일 수 있다. 전압 스텝핑 레이트의 이러한 둔화(slowing)는, 디바이스의 후속 웨이크업 동안 비-필수 전력 레일들이 필요하게 된다면,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 미만으로 내려가는 경우에, 콜랩스된 이들 비-필수 전력 레일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보이스 콜 동안 간단히 웹 브라우징을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보이스 콜 기능에 대한 전력 레일들은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콜랩스되지 않았을 수 있다. 비-필수 전력 레일들은 그 후,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낮은 경우에서의 소프트웨어-제어된 셧다운을 방지하기 위해, 감소된 스텝핑 레이트로 파워 업(power up)될 수 있다. 동적 슬립 임계 전압을 사용하는 전력 관리 기술에 대한 동작 방법이 이제 논의될 것이다.
도 4는 예시적인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방법은, SOC(110)와 같은 디바이스 및 그의 전력 레일들(121)에 대해 도 1의 PMIC(101)의 로직 회로(125)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동작(400)은, 디바이스가 슬립 동작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것에 응답하며, 제 1 전력 조정기를 서플라이하는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큰 경우,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전압 레일에 대한 제 1 전력 조정기를 셧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작(400)의 예는,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큰 동안, 도 1의 SOC(110)에 대한 대응하는 전력 레일(121)을 소싱하는 LDO(120)를 셧 다운시키는 것이다. 동작(405)은, 디바이스가 슬립 동작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것에 응답하며,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 미만인 경우, 제 1 전압 레일을 소싱하도록 제 1 전력 조정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파워-온된 상태는, 메모리들의 판독 및 기입 동안 사용되는 것과 같은 활성 전압으로, 또는 그 대신, 유휴 리텐션(retention) 동작 모드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감소된 전압으로 전압 레일을 소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SOC(110)가 슬립 모드에 있고 그리고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치 미만인 동안 LDO(120)가 자신의 대응하는 전력 레일(121)을 소싱되게 유지하기 위한 동작은, 동작(405)의 예이다.
[0026] 당업자들이 지금쯤은 이미 인식할 바와 같이, 그리고 가까이 있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변형들, 치환들 및 변경들이 본 개시의 재료들, 장치, 구성들, 및 디바이스들의 사용 방법들에서 그리고 이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본원에서 예시되고 설명된 특정한 실시예들의 범위로 제한되지 않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특정 실시예들이 단지 그들의 몇몇 예들을 통한 것이고, 그보다는 오히려, 특정 실시예들이 이후에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기능적 등가물들의 범위에 완전히 상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Claims (20)

  1.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로서,
    제 1 전력 조정기; 및
    제어 로직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로직 회로는, 제 1 전력 레일(power rail)에 의해 전력공급되는 디바이스가 슬립(sleep) 모드에 있는 경우에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작은 동안에는 상기 제 1 전력 레일을 소싱(source)하고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큰 동안에는 상기 제 1 전력 레일을 전력 콜랩스(power collapse)시키도록, 상기 제 1 전력 조정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조정기는 복수의 제 1 전력 조정기들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조정기는 선형 드롭아웃(linear dropout) 조정기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조정기는 스위칭(switching) 전력 조정기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전력 조정기는 벅 변환기(buck converter)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전력 레일을 소싱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전력 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로직 회로는 추가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슬립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트랜지션(transition)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큰 동안에는 제 1 전압 스텝핑 레이트(stepping rate)에 따라 상기 제 2 전력 레일을 소싱하고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슬립 모드로부터 상기 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작은 동안에는 제 2 전압 스텝핑 레이트에 따라 상기 제 2 전력 레일을 소싱하도록, 상기 제 2 전력 조정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압 스텝핑 레이트는 상기 제 2 전압 스텝핑 레이트보다 더 큰,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 스텝핑 레이트는 마이크로초당 40 밀리볼트이고, 상기 제 2 전압 스텝핑 레이트는 마이크로초당 5 밀리볼트인,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은 3.5 볼트인,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전력 레일을 소싱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전력 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로직 회로는,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 2 전력 조정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
  10.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디바이스가 슬립 동작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전력 조정기를 서플라이(supply)하는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전압 레일에 대한 상기 제 1 전력 조정기를 셧 오프(shut off)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슬립 동작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제 1 전압 레일을 소싱하도록 상기 제 1 전력 조정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조정기를 셧 오프시키는 단계는, 선형 드롭아웃 조정기를 셧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조정기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활성 동작 모드 전압보다 더 작은 전압으로 상기 제 1 전압 레일을 소싱하도록 상기 제 1 전력 조정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슬립 동작 모드로부터 활성 동작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큰 경우, 제 1 전압 스텝핑 레이트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전압 레일을 소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슬립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활성 동작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작은 경우, 제 2 전압 스텝핑 레이트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전압 레일을 소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압 스텝핑 레이트는 상기 제 1 전압 스텝핑 레이트보다 더 작은,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셀룰러 텔레폰(telephone)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작은 경우에 상기 셀룰러 텔레폰이 슬립 동작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전압 레일에 대한 제 2 전력 조정기를 셧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압 레일은, 보이스 콜(voice call)들을 지원하는데 필수적이지 않은 상기 셀룰러 텔레폰 내의 회로를 서플라이하고, 상기 제 1 전압 레일은, 보이스 콜들을 지원하는데 필수적인 상기 셀룰러 텔레폰 내의 회로를 서플라이하는,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6. 시스템으로서,
    배터리;
    제 1 전력 레일에 의해 서플라이되는 적어도 제 1 전력 도메인을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on-a-chip); 및
    상기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전압이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큰 경우에는 상기 SOC에 대한 슬립 모드 동안 상기 제 1 전력 레일이 콜랩스되도록, 그리고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상기 SOC에 대한 상기 슬립 모드 동안 상기 제 1 전력 레일이 소싱되도록 상기 제 1 전력 레일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SOC는, 제 2 전력 레일에 의해 서플라이되는 제 2 전력 도메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력 레일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은 추가로,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에 관한 상기 배터리 전압에 대한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SOC에 대한 상기 슬립 모드 동안 상기 제 2 전력 레일이 콜랩스되도록, 상기 제 2 전력 레일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SOC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컷오프(cutoff) 임계 전압보다 더 작으면 셧 다운(shut down)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컷오프 임계 전압은 3.4 볼트이고, 상기 동적 슬립 임계 전압은 3.5 볼트인, 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셀룰러 텔레폰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67037009A 2014-07-11 2015-05-18 배터리 차지에 기초한 동적 슬립 모드 KR101746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29,790 2014-07-11
US14/329,790 US9426748B2 (en) 2014-07-11 2014-07-11 Dynamic sleep mode based upon battery charge
PCT/US2015/031401 WO2016007228A1 (en) 2014-07-11 2015-05-18 Dynamic sleep mode based upon battery char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36A KR20170004036A (ko) 2017-01-10
KR101746828B1 true KR101746828B1 (ko) 2017-06-13

Family

ID=5327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7009A KR101746828B1 (ko) 2014-07-11 2015-05-18 배터리 차지에 기초한 동적 슬립 모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26748B2 (ko)
EP (1) EP3167521B1 (ko)
JP (1) JP6203983B1 (ko)
KR (1) KR101746828B1 (ko)
CN (1) CN106537714B (ko)
WO (1) WO20160072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176A1 (ko) * 2021-12-16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859B1 (ko) * 2015-09-09 202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177068A1 (en) * 2015-12-17 2017-06-22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tandby power savings
US10339093B2 (en) * 2016-03-29 2019-07-02 Intel Corporation USB interface using repeaters with guest protocol support
US10305319B2 (en) 2017-08-24 2019-05-28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Switching converter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sleep mode
EP3742257B1 (en) 2019-05-20 2022-02-16 NXP USA, Inc. System and method of power mode management for a processor
CN110346729B (zh) * 2019-06-21 2021-01-19 惠州市亿兆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调整电池管理系统休眠过程的方法
EP3796128B1 (en) 2019-09-23 2023-08-30 NXP USA, Inc. Power mode transition management for power supply
JP2022096898A (ja) 2020-12-18 2022-06-30 キオクシア株式会社 メモリ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20220125601A (ko) 2021-03-05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37871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CN116339833A (zh) * 2021-12-15 2023-06-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信传输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3527B2 (en) * 1992-02-27 2003-11-04 Fujitsu Limited Power switching unit of a portable telephone capabl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battery supply voltage thereof
US6571091B1 (en) * 1995-05-30 2003-05-27 Motorola, Inc.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use in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6160490A (en) * 1998-02-02 2000-12-12 Motorola Apparatus for improving the battery life of a selective call receiver
KR100607928B1 (ko) 1999-04-13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발생장치
KR100584324B1 (ko) * 2003-08-22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US7369815B2 (en) * 2003-09-19 2008-05-0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llapse for a wireless terminal
US7279926B2 (en) * 2004-05-27 2007-10-09 Qualcomm Incoporated Headswitch and footswitch circuitry for power management
US7664970B2 (en) 2005-12-30 2010-02-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zero voltage processor sleep state
KR20060028850A (ko) * 2004-09-30 2006-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JP4487754B2 (ja) * 2004-12-10 2010-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端末およびその電圧供給制御装置、ならびに電圧供給制御方法
PL2010988T3 (pl) * 2006-04-24 2018-10-31 Nokia Technologies Oy Układ i sposób zarządzania i sterowania komunikacją bliskiego zasięgu dla mobilnego urządzenia wielofunkcyjnego, gdy urządzenie jest nienaładowane lub tylko częściowo naładowane
DE602006012231D1 (de) 2006-08-10 2010-03-25 Research In Motion Ltd Vorrichtung zur Leistungssteuerung in einer elektronischen Vorrichtung
US20080058883A1 (en) * 2006-08-29 2008-03-06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early battery end of life events on multi-transceiver systems
US8135443B2 (en) * 2006-08-31 2012-03-13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device with priority based power savings control and method thereof
US8074086B1 (en) 2006-12-11 2011-12-06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dynamic in-rush current control in a power management circuit
US7795842B2 (en) * 2007-08-13 2010-09-14 Modu Ltd. Adjustable cut-off voltage for mobile device battery
US8437809B2 (en) * 2007-03-28 2013-05-07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565816B2 (en) * 2007-06-20 2013-10-22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098914A1 (en) * 2007-10-15 2009-04-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or disabling features based on a battery level threshold
KR20090044872A (ko) 2007-11-01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및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JP5439715B2 (ja) * 2007-11-20 2014-03-1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396515B2 (en) * 2007-11-30 2013-03-12 Symbol Technologies, Inc. Dynamic battery capacity allocation for data retention among mobile computers and electronic devices
US8028185B2 (en) 2008-03-11 2011-09-27 Globalfoundries Inc. Protocol for transitioning in and out of zero-power state
US7928715B2 (en) 2008-04-22 2011-04-19 Seiko Instruments Inc. Switching regulator
US8364113B2 (en) * 2008-07-03 2013-01-29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Data message service controller and method for handling emergency text messaging
US20120108224A1 (en) * 2009-01-09 2012-05-03 Qualcomm Incorporated Using quality of service to control hardware for low battery scenarios
US7936205B2 (en) * 2009-06-17 2011-05-03 Qualcomm Incorporated Leakage reduction in electronic circuits
GB2472051B (en) 2009-07-22 2012-10-10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s
KR101638799B1 (ko) * 2009-11-05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 간 슬립 사이클 설정을 협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88144B1 (ko) * 2010-06-16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원 관리 방법
KR20120025274A (ko) * 2010-09-07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컷오프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US9104211B2 (en) * 2010-11-19 2015-08-11 Google Inc. Temperature controller with model-based time to target calculation and display
KR20120090513A (ko) 2011-02-08 201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 게이팅 반도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WO2013015924A1 (en) 2011-07-26 2013-01-31 Marvell World Trade Ltd. Zero power hibernation mode with instant on
CN103312855A (zh) * 2012-03-09 2013-09-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备份方法及装置、移动终端
JP6248926B2 (ja) * 2012-03-29 2017-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電源制御方法及びセンサノード
US8984307B2 (en) * 2012-05-21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battery current load management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JP5909438B2 (ja) * 2012-12-20 2016-04-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4009629B (zh) * 2013-02-21 2018-09-28 马维尔国际有限公司 可配置的dc-dc变换器
US9131452B2 (en) * 2013-10-25 2015-09-08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in a two-way device based on battery impedance
CN103607014B (zh) * 2013-11-27 2015-09-09 上海艾为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充电芯片中的充电控制系统
US20150282091A1 (en) * 2014-03-28 2015-10-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DSDS/DSDA Idle Power Optimization by Adaptive RF Power Retention and Delta Programm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176A1 (ko) * 2021-12-16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7228A1 (en) 2016-01-14
US9426748B2 (en) 2016-08-23
EP3167521A1 (en) 2017-05-17
CN106537714A (zh) 2017-03-22
EP3167521B1 (en) 2018-06-20
JP2017531414A (ja) 2017-10-19
US20160014700A1 (en) 2016-01-14
JP6203983B1 (ja) 2017-09-27
CN106537714B (zh) 2019-02-01
KR20170004036A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828B1 (ko) 배터리 차지에 기초한 동적 슬립 모드
CN105425928B (zh) 电力管理集成电路、电力管理方法和移动设备
JP4466656B2 (ja) 携帯電話端末の充電制御装置及び充電制御方法
CN110892360B (zh) 用于管理处于非活动模式的微控制器所消耗的功率的系统和方法
US201401760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having a multiple battery configuration
EP17273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a handheld communication system
WO2015062415A1 (zh) 控制供电的方法和无线终端
KR20120124870A (ko)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충전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60049807A1 (en) Charger External Power Device Gain Sampling
US20110181113A1 (en) Fuel cell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US9537392B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dynamic voltage management
US20140015505A1 (en) Efficient Energy Use in Low Power Products
US11294447B2 (en) Dynamic battery power management based on battery internal impedance
CN211701852U (zh) 一种降压模块和移动终端
US10797596B2 (en) Transient booster for zero static loadline switching regulator
US20140167842A1 (en) Power circuit and method thereof
CN111465911B (zh) 用于上电和深度掉电退出的低涌流电路
JP2010172088A (ja) 電子機器及び充電制御方法
US8615277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unctional blocks individually controlled to selectively enter power-saving mode and relate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155270A (ja) 電子機器
CN111987754A (zh) 可移动设备以及对负载供电的控制方法
CN114928146A (zh) 电子设备
CN111048036A (zh) Oled显示装置
JP2016213932A (ja) 電子機器
JP2017093266A (ja) 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