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484B1 -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484B1
KR101746484B1 KR1020160172276A KR20160172276A KR101746484B1 KR 101746484 B1 KR101746484 B1 KR 101746484B1 KR 1020160172276 A KR1020160172276 A KR 1020160172276A KR 20160172276 A KR20160172276 A KR 20160172276A KR 101746484 B1 KR101746484 B1 KR 101746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server
prepaid card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호
Original Assignee
한국선불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선불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선불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불카드 발행부터 폐기의 과정을 관리할 수 있으며, 자체 선불카드 발행이 어려운 경우에 티-그리드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트랜잭션 이력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이벤트 및 프로모션 활용이 가능한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T-Grid Service system Using Integrated Management of Transaction history}
본 발명은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불카드 발행부터 폐기의 과정을 관리할 수 있으며, 자체 선불카드 발행이 어려운 경우에 티-그리드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트랜잭션 이력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이벤트 및 프로모션 활용이 가능한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불 카드의 발행, 판매, 사용을 연계한 서비스가 도입되지 않아 선불카드의 발행 혹은 멤버쉽 발행 등을 수행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싶은 업체들의 경우에 영업과 판매의 노하우 등을 전수할 수 없어 해당 업체가 자신만의 서비스를 구축하고 싶어도 복합한 서비스 관리로 인하여 구축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커피숍의 경우에 자신들의 멤버쉽 관리, 결제, 회원 관리 등을 수행하고 싶어도 비용이 과다로 지출되며, 인력 리소스가 없어 사실상 독자적인 서비스는 불가능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선불카드는 발행 Type별로(선불 충전카드, 기프트 카드, 모바일 쿠폰 등) 발행 대행 업체가 상이하여 동일 브랜드를 발행 Type별로 다양한 업체에서 발행 유통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발행 대행사의 파편화 이슈로 유통, 관리 및 정산의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으며, 선불 충전카드와 멤버십 서비스를 연계하고 싶은 경우에도 고비용과 높은 개발 난이도, 복잡한 서비스 관리로 인하여 구축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자체 개발이 진행된 경우에도 거래 데이터의 마케팅활용 역량 부족, 영업과 판매 노하우 부족으로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사용자 또한 동일 브랜드의 선불카드를 발행 대행사에 개별적으로 연락하여 유효기간을 연장하거나 환불을 받는 등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겪어왔다.
따라서, 표준화된 플랫폼을 제공하여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 항목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절차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인 티-그리드(T-Grid) 서비스를 통해 발행하고자 하는 카드 Type과 유통채널, 디자인을 통합적으로 발행 관리하고, 최소한의 개발 공수로 멤버십 서비스 및 T-grid 내 다른 결제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발행사 모두 효율적이며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한 티-그리드는 API를 통해 자사의 선불 카드를 발행하고 충전, 결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발행된 카드는 티 그리드에서 제공하는 유통망을 통해 판매를 할 수 있으며, 브랜드 간의 교차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며, 티 그리드를 이용하는 제휴사는 서비스 목적에 맞게 발행사가 될 수도 있고, 사용처 또는 판매처가 될 수도 있으며, 선불카드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나 포스를 연계한 오프라인 서비스가 모두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985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불 결제수단의 유시즈 써클(Usage Circle) 전 과정을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멤버십 서비스, 결제, 회원관리를 자체 개발 및 유지보수 리소스 문제로 진행이 불가했던 것을 표준화된 프리페이드 토탈 솔루션(Prepaid Total Solution) 제공으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 항목을 손쉽게 선택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티-그리드(T-Grid) 서비스를 통해 카드 타입, 모바일 쿠폰, 디지털 코드, 멤버쉽 등 다양한 형태의 프리페이드 솔루션(Prepaid solution)을 선택 가능하며, 기업고객의 특성에 맞는 유통(충전)망을 통해 선불제품을 판매(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업고객의 프리페이드(Prepaid) 제품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및 모바일 상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타 결제수단과 다양한 방법의 스왑(Swap)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자신의 고객들에게 사용가치가 높은 프리페이드(Prepaid) 제품을 제공하고 독창적인 코-마케팅(Co-marketing) 및 사업제휴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리페이드(Prepaid) 정산시스템 및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하여 트랜잭션 이력(서비스가입, 선불카드 및 쿠폰의 구매 사용 데이터)을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DB 추출 등 관련 IT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처 제휴, 타 결제수단과의 제휴, 유통채널과의 프로모션(Promotion) 개발 및 진행 등 전문적이고 숙련된 코-워크(Co-work)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랜잭션 정보로 마케팅 효과분석, 재거래가능성, 고객의 미래가치 측정, 거래패턴 분석 등을 통해 마케팅 타겟을 세그먼트하여 해당 고객에게 최적화된 맞춤 혜택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며, 프리페이드 마켓(Prepaid Market)의 법적, 기술적 표준의 변화에 따른 업그레이드(Up-Grade)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은,
선불 카드의 충전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며, 선불 카드의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며, 선불 카드의 활성화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매장포스단말기(100);와
선불 카드의 발급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며, 선불 카드의 충전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며, 선불 카드의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며, 디지털 선불 카드의 구매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단말기(200);와
상기 매장포스단말기(100) 및 모바일단말기(200)에서 충전 요청 정보, 결제 요청 정보, 발급 요청 정보, 활성화 요청 정보, 디지털 선불 카드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여 인증을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결제/충전서비스서버(300);와
판매점단말기(400)의 선불 카드의 구매 요청 정보와 활성화 요청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여 인증을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판매서비스서버(500);와
모바일 상품권(600)의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여 인증을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온라인서비스서버(700);와
상기 결제/충전서비스서버(300), 판매서비스서버(500), 온라인서비스서버(700)들로부터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서버(800);와
인증서의 유효성이 존재하면, 선불 카드의 결제 요청 정보일 경우에 카드 결제를 수행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선불카드의 발급 요청 정보, 충전 요청 정보, 활성화 요청 정보를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제공하며, 선불카드의 발급 정보, 충전 정보, 카드 결제 정보, 활성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0)에 저장시키기 위한 중앙API서버(1200);와
상기 중앙API서버로부터 선불 카드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300);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은, 선불 결제수단의 유시즈 써클(Usage Circle) 전 과정을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멤버십 서비스, 결제, 회원관리를 자체 개발 및 유지보수 리소스 문제로 진행이 불가했던 것을 표준화된 프리페이드 토탈 솔루션(Prepaid Total Solution) 제공으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 항목을 손쉽게 선택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티-그리드(T-Grid) 서비스를 통해 카드 타입, 모바일 쿠폰, 디지털 코드, 멤버쉽 등 다양한 형태의 프리페이드 솔루션(Prepaid solution)을 선택 가능하며, 기업고객의 특성에 맞는 유통(충전)망을 통해 선불제품을 판매(충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기업고객의 프리페이드(Prepaid) 제품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및 모바일 상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타 결제수단과 다양한 방법의 스왑(Swap)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자신의 고객들에게 사용가치가 높은 프리페이드(Prepaid) 제품을 제공하고 독창적인 코-마케팅(Co-marketing) 및 사업제휴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리페이드(Prepaid) 정산시스템 및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하여 트랜잭션 이력(서비스가입, 선불카드 및 쿠폰의 구매 사용 데이터)을 이용한 맞춤형 마케팅 DB 추출 등 관련 IT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처 제휴, 타 결제수단과의 제휴, 유통채널과의 프로모션(Promotion) 개발 및 진행 등 전문적이고 숙련된 코-워크(Co-work)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트랜잭션 정보로 마케팅 효과분석, 재거래가능성, 고객의 미래가치 측정, 거래패턴 분석 등을 통해 마케팅 타겟을 세그먼트하여 해당 고객에게 최적화된 맞춤 혜택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할 수 있으며, 프리페이드 마켓(Prepaid Market)의 법적, 기술적 표준의 변화에 따른 업그레이드(Up-Grade)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T-Grid를 통한 혁신적인 선불카드 기술 도입으로 충전식 카드, 기프트카드, 모바일쿠폰 등 다양한 선불카드 서비스를 제공하여 신규 고객 유치, 멤버십 프로그램과 연계한 충성고객확보, 고객의 결제 패턴 분석을 통한 사업 전개, 상품 판매 전 선수금을 통한 이자수익, 온/오프라인 모바일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한 배포, 거래정보 및 회원정보의 안전한 보안적용 등을 최소한의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T-Grid의 혁신적이고 보안성이 뛰어난 선불카드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사의 비용과 위험은 최소화하고 이윤은 극대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카드 디자인 서비스와 B2B 및 B2C 유통(판매)을 지원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매장포스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결제/충전서비스서버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판매점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판매서비스서버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상품권 구매를 원하는 모바일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상품권 구매를 원하는 온라인서비스서버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중앙API서버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선불카드 발급시 정보 흐름도이며, 도 11은 선불카드 충전시 정보 흐름도이며, 도 12는 선불카드 결제시 정보 흐름도이며, 도 13은 선불카드 활성화시 정보 흐름도이며, 도 14는 디지털 선불카드 판매시 정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티-그리드 서비스는 Prepaid Market에서의 온/오프라인, 모바일까지 모든 채널에서 사용 가능한 선불충전카드, POSA기프트카드, 모바일쿠폰 등을 발행, 유통(판매), 사용(결제), 폐기, 정산, 고객분석에 이르는 선불결제수단의 Usage Circle 전 과정을 한곳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선불결제수단의 발행, 유통, 정산 등을 포함하는 Total Solution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트랜잭션 이력이란, 선불카드의 발행, 충전, 결제, 환불 등의 거래 이력을 의미하며, 이를 바탕으로 카드의 이용 패턴을 파악하여 이벤트 및 프로모션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고객이 카드를 발급받고 상품을 구매하거나 충전, 결제 등의 행위를 저장하는데, 발생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을 하며, 이를 기반으로 연관된 추가 거래 및 정산 처리를 하며, 데이터를 가공하여 유의미한 이용 패턴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은, 매장포스단말기(100), 모바일단말기(200), 결제/충전서비스서버(300), 판매점단말기(400), 판매서비스서버(500), 온라인서비스서버(700), 인증서버(800), 중앙API서버(1200), 데이터베이스(1300), 프로모션/이벤트서비스서버(1400), 컨텐츠관리서버(1500), 데이터분석서버(1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매장포스단말기(100)는 선불 카드의 충전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며, 선불 카드의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며, 선불 카드의 활성화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모바일단말기(200)는 선불 카드의 발급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며, 선불 카드의 충전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며, 선불 카드의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며, 디지털 선불 카드의 구매 요청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특징적인 것은 매장포스단말기라는 오프라인 상에서의 선불카드 충전, 결제, 활성화 등을 기본적으로 제공하지만, 모바일단말기라는 온라인 상에서도 선불카드 발급 요청, 충전 요청, 결제 요청 등을 수행하는 것이며, 특히 디지털 선불카드의 구매 요청도 수행하는 점에서 종래의 기술들과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에서도 선불카드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게 되며, 이를 통해 선불카드 발행부터 폐기의 과정을 관리할 수 있으며, 자체 선불카드 발행이 어려운 경우에 티-그리드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업체들에게도 최소한의 비용으로 사업화가 가능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제/충전서비스서버(300)는 매장포스단말기(100) 및 모바일단말기(200)에서 충전 요청 정보, 결제 요청 정보, 발급 요청 정보, 활성화 요청 정보, 디지털 선불 카드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여 인증을 처리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판매서비스서버(500)는 판매점단말기(400)의 선불 카드의 구매 요청 정보와 활성화 요청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여 인증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판매점에서 발생되는 선불 카드 구매, 활성화 작업을 중개하는 역할이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 구글 기프트 카드를 GS25나 미니스톱 등과 같은 유통사에서 판매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온라인서비스서버(700)는 모바일 상품권(600)의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여 인증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모바일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할 경우에 이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상기 인증서버(800)는 상기 결제/충전서비스서버(300), 판매서비스서버(500), 온라인서비스서버(700)들로부터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X.509 인증을 처리하며, 각 서비스 대상 거래처별로 개별 인증서를 발급한다.
상기 인증서에는 유효성 여부와 함께 거래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공개키, 개인키 기반의 암호화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처리되는 서비스에 따라 인증서의 유효성을 체크하여 안전한 통신을 보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앙API서버(1200)는 인증서의 유효성이 존재하면, 선불 카드의 결제 요청 정보일 경우에 카드 결제를 수행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선불카드의 발급 요청 정보, 충전 요청 정보, 활성화 요청 정보를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제공하며, 선불카드의 발급 정보, 충전 정보, 카드 결제 정보, 활성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0)에 저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매장포스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장포스단말기(100)는,
선불카드 충전을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충전 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110)와,
선불카드 결제를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결제 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120)와,
상기 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110), 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매장포스단말기정보획득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110)는 선불카드 충전을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충전 금액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120)는 선불카드 결제를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결제 금액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매장포스단말기정보획득부(130)는 상기 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110), 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경우에는 오프라인에서 고객들이 선불카드 결제, 활성화, 충전 등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단말기(200)는,
선불카드의 발급을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를 획득하기 위한 카드발급요청정보획득부(210)와,
선불카드의 충전을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충전 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모바일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220)와,
선불카드의 결제를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결제 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모바일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230)와,
카드발급요청정보획득부(210), 모바일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220), 모바일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23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정보획득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발급요청정보획득부(210)는 선불카드의 발급을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를 획득하게 되는데, 기기 아이디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220)는 선불카드의 충전을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충전 금액을 획득하게 되며, 상기 모바일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230)는 선불카드의 결제를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결제 금액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바일정보획득부(240)는 카드발급요청정보획득부(210), 모바일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220), 모바일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23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결제/충전서비스서버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충전서비스서버(300)는,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발급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 거래처 코드 정보, 기기 아이디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발급 완료에 따른 카드 식별 정보, 카드 번호 정보를 획득하여 모바일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한 카드발급처리부(310)와,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충전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 거래처 코드 정보, 카드 번호 정보, 충전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충전 완료에 따른 카드 식별 정보, 카드 번호 정보, 충전 금액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매장포스단말기(100) 혹은 모바일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한 카드충전처리부(320)와,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결제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 거래처 코드 정보, 카드 번호 정보, 결제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결제 완료에 따른 카드 식별 정보, 카드 번호 정보, 결제 금액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매장포스단말기(100) 혹은 모바일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한 카드결제처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인 정보의 흐름은 도 10 내지 도 14를 통해 도시하였으며, 이를 참조하면 상기한 구성수단들의 동작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카드발급처리부(31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발급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인증서), 거래처 코드 정보, 기기 아이디 정보(사용자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게 된다.
이후, 인증서버로부터 카드발급 완료에 따른 카드 식별 정보, 카드 번호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모바일단말기(200)로 카드발급 완료에 따른 카드 번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카드충전처리부(32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충전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인증서), 거래처 코드 정보, 카드 번호 정보, 충전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충전 완료에 따른 카드 식별 정보, 카드 번호 정보, 충전 금액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매장포스단말기(100) 혹은 모바일단말기(200)로 카드 충전 완료에 따른 카드번호, 충전 금액, 카드 잔액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카드결제처리부(33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결제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인증서), 거래처 코드 정보, 카드 번호 정보, 결제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결제 완료에 따른 카드 식별 정보, 카드 번호 정보, 결제 금액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매장포스단말기(100) 혹은 모바일단말기(200)로 커드 결제 완료에 따른 결제 금액, 카드 잔액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판매점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매점단말기(400)는,
선불카드 활성화를 요청하기 위하여 선불 카드번호, 상품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카드활성화요청정보획득부(410)와,
상기 카드활성화요청정보획득부(4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판매서비스서버(500)로 제공하기 위한 매장포스단말기정보획득부(42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카드활성화요청정보획득부(410)는 선불카드 활성화를 요청하기 위하여 선불 카드번호, 상품금액을 획득하게 되며, 상기 매장포스단말기정보획득부(420)는 상기 카드활성화요청정보획득부(4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판매서비스서버(5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판매서비스서버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매서비스서버(500)는,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활성화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 거래처 코드 정보, 카드 번호 정보, 상품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활성화 완료에 따른 카드 번호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판매점단말기(400)로 제공하기 위한 카드활성화처리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카드활성화처리부(51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활성화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인증서), 거래처 코드 정보, 카드 번호 정보, 상품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활성화 완료에 따른 카드 번호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판매점단말기(400)로 카드 활성화 완료에 따른 카드 번호, 카드 잔액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카드 활성화의 경우에는 오프라인으로 진행하기에 매장포스단말기 혹은 판매점단말기를 통해 진행하는 것이며,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진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매장포스단말기 혹은 판매점단말기를 활용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상품권 구매를 원하는 모바일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상품권 구매를 원하는 모바일단말기(600)는,
디지털 선불카드의 구매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품 코드, 구매 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디지털카드구매요청정보획득부(610)와,
디지털카드구매요청정보획득부(6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온라인서비스서버(700)로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정보획득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것은 선불카드를 온라인을 통해 구매할 수 있는 것인데, 이를 위하여, 상기 디지털카드구매요청정보획득부(610)는 디지털 선불카드의 구매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품 코드, 구매 금액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상품권 구매를 원하는 온라인서비스서버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라인서비스서버(700)는,
요청 정보가 디지털 선불 카드 구매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 거래처 코드 정보, 상품 코드 정보, 구매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활성화 완료에 따른 핀 번호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모바일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카드구매처리부(71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디지털카드구매처리부(71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청 정보가 디지털 선불 카드 구매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인증서), 거래처 코드 정보, 상품 코드 정보, 구매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활성화 완료에 따른 핀 번호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모바일단말기(200)로 디지털 선불카드 판매완료에 따른 핀번호, 카드 잔액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의 중앙API서버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API서버(1200)는,
인증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발급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기기 아이디를 포함한 카드 발급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발행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카드발급관리부(1210)와,
인증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충전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충전 금액을 포함한 카드 충전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충전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충전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충전 금액,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카드충전관리부(1220)와,
인증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결제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결제 금액을 포함한 카드 충전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결제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충전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결제 금액,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카드결제관리부(1230)와,
인증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활성화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상품 금액을 포함한 카드 활성화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상품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활성화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상품 금액,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카드활성화관리부(1240)와,
인증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디지털 선불카드 구매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상품 코드, 구매 금액을 포함한 카드 활성화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핀번호, 상품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활성화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카드번호, 핀번호, 상품 금액, 카드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디지털카드구매관리부(1250)를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발급관리부(121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발급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기기 아이디를 포함한 카드 발급 요청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후,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발행시에 카드번호,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발행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 카드충전관리부(122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충전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충전 금액을 포함한 카드 충전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충전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충전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충전 금액,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드결제관리부(123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결제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결제 금액을 포함한 카드 충전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결제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충전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결제 금액,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 카드활성화관리부(124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활성화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상품 금액을 포함한 카드 활성화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상품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활성화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상품 금액,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 디지털카드구매관리부(125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디지털 선불카드 구매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상품 코드, 구매 금액을 포함한 카드 활성화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핀번호, 상품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활성화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카드번호, 핀번호, 상품 금액, 카드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2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은, 프로모션/이벤트서비스서버(1400), 컨텐츠관리서버(1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모션/이벤트서비스서버(1400)는 판매점단말기(400)로부터 프로모션 혹은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프로모션 혹은 이벤트 정보를 판매점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
즉, 판매점단말기로부터 프로모션 정보 혹은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토대로 어느 이벤트 혹은 프로모션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가를 분석하여 추후 이를 토대로 판매점단말기로 이벤트 혹은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관리서버(1500)는 프로모션/이벤트서비스서버에 저장된 프로모션 혹은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트랜잭션 정보를 참조하여 이와 연관된 상품 서비스 혹은 쿠폰 정보를 선정하여 프로모션/이벤트서비스서버로 프로모션 혹은 이벤트 진행시 서비스를 연계하게 되는 것이다.
즉, 객관적인 정보를 토대로 가장 적합한 프로모션 혹은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 3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금액, 구매자, 판매자 및 장소, 시간을 포함한 트랜잭션 정보를 획득하여 연령대별, 성별, 지역별, 시간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거나, 특정 시간이나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이벤트 혹은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위하여 판매 추이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분석서버(1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분석서버를 통해 트랜잭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토대로 고객들의 성향을 분석하게 되며, 이를 토대로 타켓 마케팅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 4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API서버(1200)는 해외CP(900), 국내CP(1000)와 연계할 경우에 연계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카드발행사와 해외 카드발행사 혹은 타발행시스템들과 모두 인터페이스가 되어 확장 서비스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CP는 Card Partner의 약어이며 카드발행사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라, 충전 및 결제 요청시, 가변바코드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300)에서 생성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가변바코드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 데이터를 이용한 이벤트, 프로모션을 진행하여 이를 통해 2차 고객 유입을 위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용자의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데, 연령대별, 성별, 지역별, 시간대별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또한, 판매 추이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이나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이벤트를 기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불카드를 이용하는 서비스 사업자는 자체적으로 유통망을 이끌어내기는 어렵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서비스하는 업체와 제휴가 되어 있는 유통망을 통해 선불카드의 유통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은 선불카드 이용서비스 사업자와 유통망 사업자를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은 REST API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최근에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보편화되고 선호하는 연동 방식이다.
이러한 표준화된 인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선불카드 서비스 사업자는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시스템 연동시, 송 수신되는 데이터의 가독성이 높아 개발 기간 및 테스트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매장포스단말기
200 : 모바일단말기
300 : 결제/충전서비스서버

Claims (4)

  1.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선불카드 충전을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충전 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110);와
    선불카드 결제를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결제 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120);와
    상기 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110), 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매장포스단말기정보획득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장포스단말기(100)와,

    선불카드의 발급을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를 획득하기 위한 카드발급요청정보획득부(210);와
    선불카드의 충전을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충전 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모바일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220);와
    선불카드의 결제를 요청하기 위하여 기기 아이디, 선불 카드번호, 결제 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모바일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230);와
    카드발급요청정보획득부(210), 모바일카드충전요청정보획득부(220), 모바일카드결제요청정보획득부(23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결제/충전서비스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정보획득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단말기(200)와,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발급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 거래처 코드 정보, 기기 아이디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발급 완료에 따른 카드 식별 정보, 카드 번호 정보를 획득하여 모바일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한 카드발급처리부(310);와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충전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 거래처 코드 정보, 카드 번호 정보, 충전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충전 완료에 따른 카드 식별 정보, 카드 번호 정보, 충전 금액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매장포스단말기(100) 혹은 모바일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한 카드충전처리부(320);와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결제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 거래처 코드 정보, 카드 번호 정보, 결제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결제 완료에 따른 카드 식별 정보, 카드 번호 정보, 결제 금액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매장포스단말기(100) 혹은 모바일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한 카드결제처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제/충전서비스서버(300)와,

    선불카드 활성화를 요청하기 위하여 선불 카드번호, 상품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카드활성화요청정보획득부(410);와
    상기 카드활성화요청정보획득부(4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판매서비스서버(500)로 제공하기 위한 매장포스단말기정보획득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매점단말기(400)와,
    요청 정보가 선불카드 활성화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 거래처 코드 정보, 카드 번호 정보, 상품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활성화 완료에 따른 카드 번호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판매점단말기(400)로 제공하기 위한 카드활성화처리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매서비스서버(500)와,

    디지털 선불카드의 구매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품 코드, 구매 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디지털카드구매요청정보획득부(610);와
    디지털카드구매요청정보획득부(6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온라인서비스서버(700)로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정보획득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상품권 구매를 원하는 모바일단말기(600)와,

    요청 정보가 디지털 선불 카드 구매일 경우에, 제휴사 식별 정보, 거래처 코드 정보, 상품 코드 정보, 구매 금액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서버(800)로 제공하며, 인증서버로부터 카드 활성화 완료에 따른 핀 번호 정보, 카드 잔액 정보를 획득하여 모바일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카드구매처리부(7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라인서비스서버(700)와,

    상기 결제/충전서비스서버(300), 판매서비스서버(500), 온라인서비스서버(700)들로부터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서버(800)와,

    중앙API서버(1200)와 연결되는 연계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하여 해외 카드 발행을 수행하기 위한 해외CP(900)와,

    중앙API서버(1200)와 연결되는 연계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하여 국내 카드 발행을 수행하기 위한 국내CP(1000)와,

    인증서버(800)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발급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기기 아이디를 포함한 카드 발급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발행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카드발급관리부(1210);와
    인증서버로(800)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충전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충전 금액을 포함한 카드 충전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충전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충전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충전 금액,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카드충전관리부(1220);와
    인증서버(800)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결제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결제 금액을 포함한 카드 충전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결제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충전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결제 금액,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카드결제관리부(1230);와
    인증서버(800)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선불카드 활성화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상품 금액을 포함한 카드 활성화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상품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활성화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거래처 코드, 카드 번호, 상품 금액,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카드활성화관리부(1240);와
    인증서버(800)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디지털 선불카드 구매일 경우에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 거래처 코드, 상품 코드, 구매 금액을 포함한 카드 활성화 요청 정보를 제공하며, 선불카드발행서버(1100)로부터 카드번호, 핀번호, 상품 금액, 카드 잔액 정보가 포함된 카드 활성화 완료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서버로 제공하며, 동시에 카드번호, 핀번호, 상품 금액, 카드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디지털카드구매관리부(1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앙API서버(1200)와,

    상기 중앙API서버로부터 선불 카드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되, 상품, 금액, 구매자, 판매자 및 장소, 시간을 포함한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300)와,

    판매점단말기(400)로부터 프로모션 혹은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프로모션 혹은 이벤트 정보를 판매점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프로모션/이벤트서비스서버(1400)와,

    상기 프로모션/이벤트서비스서버에 저장된 프로모션 혹은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트랜잭션 정보를 참조하여 이와 연관된 상품 서비스 혹은 쿠폰 정보를 선정하여 프로모션/이벤트서비스서버로 프로모션 혹은 이벤트 진행시 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관리서버(150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금액, 구매자, 판매자 및 장소, 시간을 포함한 트랜잭션 정보를 획득하여 연령대별, 성별, 지역별, 시간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거나, 특정 시간이나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이벤트 혹은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위하여 판매 추이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분석서버(1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72276A 2016-12-16 2016-12-16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 KR101746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76A KR101746484B1 (ko) 2016-12-16 2016-12-16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76A KR101746484B1 (ko) 2016-12-16 2016-12-16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484B1 true KR101746484B1 (ko) 2017-06-14

Family

ID=5921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276A KR101746484B1 (ko) 2016-12-16 2016-12-16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48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9391B2 (ja) 特典付与方法、特典付与装置及び特典付与システム
US20150348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place software platform
US20090182674A1 (en) Facilitating financial transactions with a network device
US20220027881A1 (en) Payment Processing Using Electronic Benefit Transfer (EBT) System
US202203009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digital proofs of ownership for purchased products
JP2020030783A (ja) サーバ装置、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商取引方法
KR101959808B1 (ko) 온라인 통합 관리 시스템
US201802327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KR101039387B1 (ko) 신용카드 결제정보와 소셜네트워크 정보를 연계한 가맹점별 소셜마케팅 그룹 정보 생성 방법과 상기 소셜마케팅 그룹을 대상으로 한 애프터마케팅 방법
CN104106088A (zh) 网上购物的结账方法
KR101552668B1 (ko) 결제수단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한 상거래 할인방법
US20200334664A1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gift card issuance service, and server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US20170193495A1 (en) Gift card program management platform
KR101014883B1 (ko) 다중 할인/혜택 제공 신용카드를 매개로 한 판매 프로모션방법
KR20210063009A (ko) Pos데이터를 이용한 상품 마케팅 정보의 수집 및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10000092A (ko) 개인 고유번호를 이용한 회원 적립포인트 관리 시스템
KR101746484B1 (ko) 트랜잭션 이력의 통합 관리를 이용한 티-그리드 서비스 시스템
JP6900013B2 (ja) ポイント管理装置及び作動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50149268A1 (en) Mobile couponing system and method
KR20170031476A (ko) 소비자 구매 의사 정보 주도형 원투원 마케팅 커머스 플랫폼 모델
KR20180014802A (ko) 가맹점 홍보 서비스 제공 방법
JP7002491B2 (ja) ユーザの売買情報の取得を所望する事業者サーバを選択する売買情報仲介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2149405B1 (ko)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KR20130082896A (ko) 사용자 그룹별 서비스가 가능한 신용 카드 관리 시스템
KR20150118937A (ko) 위치 기반 가맹점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