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405B1 -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405B1
KR102149405B1 KR1020200021933A KR20200021933A KR102149405B1 KR 102149405 B1 KR102149405 B1 KR 102149405B1 KR 1020200021933 A KR1020200021933 A KR 1020200021933A KR 20200021933 A KR20200021933 A KR 20200021933A KR 102149405 B1 KR102149405 B1 KR 10214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ayment
server
user
benef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호
Original Assignee
정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호 filed Critical 정운호
Priority to KR102020002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5Personalisation of cards for use
    • G06Q20/3555Personalisation of two or more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7Cards having a plurality of specified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06Q20/425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using two different networks, one for transaction and one for security confi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은, 사용자에게 발급된 대표카드번호에 여러 개의 카드번호를 연결하고, 대표카드번호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결제할 때 연결된 여러 개의 카드번호 중에서 사용자에게 최대의 혜택을 줄 수 있는 카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해당 카드사의 결제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를 처리한다.

Description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Card Payment Method using Automatic Card Selection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발급된 대표카드번호에 여러 개의 카드번호를 연결하고, 대표카드번호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결제할 때 연결된 여러 개의 카드번호 중에서 사용자에게 최대의 혜택을 줄 수 있는 카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해당 카드사의 결제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를 처리하는 다중 카드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인당 여러 장의 카드를 발급받아 가지고 있지만 지갑에 모든 카드를 가지고 다니지는 않는다. 여러 장의 카드를 발급받는 이유는 카드 별로 제공하는 혜택이 다르기 때문이지만, 지갑이 두꺼워지는 불편과 상황마다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를 기억하고 선택하는 번거로움도 있기 때문에 마트나 홈쇼핑 등 혜택 규모가 큰 몇 건의 경우에만 카드 선택에 신경써서 혜택을 받을 수 있고, 모든 가맹점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빠짐없이 모두 받기는 어렵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특허출원 제 10-2016-0013053호(2016.02.02, 카드 사용 후 결제 카드를 선택하는 카드 결제 장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카드 결제 방법)에서는 가맹점에서 복합 카드로 1차로 선 결제하고, 결제 시점이 도래하기 전에 결제 카드가 미선택된 개별 결제 건마다 최적의 혜택이 제공될 실제 신용 카드를 선택하여 2차로 결제함으로써 최적의 카드 혜택을 제공받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카드 결제 서버가 카드사로부터 정산을 받기 전에 가맹점에게 선정산을 해주는 방식으로 취소 및 환불을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 수 있으며 가맹점의 폐업 등에 따른 리스크도 존재한다. 또한 가맹점에서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과 카드사에 실 카드로 결제 승인 정보가 생성되는 시기가 상이하여 향후 정산에도 불일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카드 결제 후 매번 사용자가 최적의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가 무엇인지를 기억해서 다수의 결제건에 대해 일일이 결제카드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 다른 특허출원 제 10-2015-0143073호(2015.10.13, 앱카드 연동 대표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에서는 앱 또는 웹을 통해 여러 개의 카드를 앱카드로 등록하고 이중 주결제카드를 설정하고, 이 앱카드를 대표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표준규격의 대표 실물카드를 발급한 후, 대표 실물카드로 가맹점에서 결제하면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앱카드의 주결제카드로 카드사 서버시스템에서 승인 또는 매입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특정 상황에서 최대의 혜택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앱카드로 주결제카드를 실시간으로 변경하면 실물카드의 결제 요청을 앱카드에서 선택된 카드로 대체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는 단일 카드사가 자신의 카드사 내에서 발급한 카드들 내에서 카드 변경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가맹점에서 다양한 카드사와 제휴하여 특정 시점에는 특정 카드에 대해 할인혜택을 부여하는 현실 상황에는 적용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매번 사용자가 결제하기 전에 최적의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가 무엇인지를 기억해서 앱을 실행시킨 후 주결제카드를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 다른 특허출원 제 10-2014-0106143호(2014.08.14, 통합 기능의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서는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이를 대신하기 위한 대표 카드를 등록하고,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결제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에 따라 대표 카드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 하고, 등록된 결제 수단 중 대표 카드가 대신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결제 수단을 설정하여 대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에 대하여 대표 카드에 설정된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대표 카드로 대체될 수 있는 결제 수단을 사용자가 결제 전에 직접 앱을 통해 선택 및 변경하는 방법과 함께, 위치정보(GPS 등)를 가지고 지역 또는 가맹점을 매칭하여 대표 카드로 대체될 수 있는 결제 수단을 자동으로 선택 및 변경하는 방법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대략의 위치정보만을 습득할 수 있으며 여러 층의 건물의 경우 어느 층의 어느 가맹점에 방문한 것인지를 정확히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결제 전에 가맹점을 식별하기 위해 별도의 블루투스 단말기나 저주파발생 단말기를 일일이 가맹점에 설치하는 등 별도의 비용을 요구하여 실제 비즈니스에서 확산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단순히 위치정보 만을 가지고는 정확한 가맹점을 매칭하기 어려워 사용자의 개입 없이 대표 카드로 대체될 수 있는 결제 수단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에서는 가맹점에서 대표 카드를 제시하면 가맹점을 통해 대표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이 결제 서비스 시스템으로 수신되도록 표현되어 있어 가맹점에서 결제 서비스 시스템에 이르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만일 가맹점에서 직접 결제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신하는 경우 일일이 가맹점의 POS 시스템을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만일 가맹점에서 VAN사를 거쳐 결제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신하는 경우에도 여러 개의 VAN사 중계시스템과 일일이 연계 개발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 다른 특허출원 제 10-2010-0031773호(2010.04.07,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추천 결제 방법, 모바일 추천 결제 시스템)에서는 가맹점의 POS (Point of sales)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통신망상 서비스 서버로 번호가 제외된 다수의 신용카드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서비스 서버에서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카드 혜택 정보, 가맹점으로부터 가맹점 할인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멤버십 카드, 쿠폰 및 포인트 정보를 전달 받아 해당 가맹점에서 결제 시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결제 조건을 분석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일일이 가맹점의 결제 혜택 정보를 확인하여 신용카드를 선택하는 일 없이도 자동으로 최적의 조건으로 카드 결제 및 통합 결제가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POS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결제카드를 요청하기 위해 POS시스템과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하는 별도의 디바이스를 설치하거나 POS시스템의 변경개발이 필요하여 실 비즈니스에서 가맹점 확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체 카드 가맹점 3백만 중에서 POS가 설치된 가맹점은 수십만 개로 단순한 CAT (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단말기가 설치된 가맹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방식이다. 또한 매번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서비스서버를 거쳐 다수의 카드사서버로 카드 별 혜택을 요청하고 수신받는 과정을 거치는 방식은 결제처리에 걸리는 시간 및 카드사 서버의 추가적인 시스템 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4-0102391호(2014.08.08) 휴대 단말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카드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휴대 단말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카드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 2016-0013053호(2016.02.02) 카드 사용 후 결제 카드를 선택하는 카드 결제 장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카드 결제 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5-0143073호(2015.10.13) 앱카드 연동 대표카드, 그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0-0031773호(2010.04.07)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추천 결제 방법, 모바일 추천 결제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4-0106143호(2014.08.14) 통합 기능의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본 발명은 가맹점의 POS나 CAT 등 기존 결제용 단말기의 수정이나 변경이 없이 전체 가맹점에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고, 매번 사용자가 최적의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를 선택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최적 혜택 카드를 선택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발급된 대표카드에 여러 개의 카드번호를 연결하고, 대표카드 번호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결제할 때 연결된 여러 개의 카드번호 중에서 사용자에게 최대의 혜택을 줄 수 있는 카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해당 카드사의 결제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를 처리한다. “대표카드”는 제1카드사에서 발급한 실물 카드이며, 이하, “대표카드” “대표 실물 카드” 또는 “제1카드” 등으로 혼용하여 지칭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맹점의 POS나 CAT 등 결제용 단말기의 수정이나 변경이 없이 전체 가맹점에서 사용자의 기존 결제습관 그대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실물카드를 발급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이 플라스틱 실물카드에는 특정 카드사와 제휴하여 해당 카드사의 BIN번호로 발급받은 대표카드번호(CNO1)를 발급받아 저장함으로써, 가맹점의 결제단말기(300)에서 결제할 경우 해당 결제 승인요청 전문이 대표카드번호의 BIN(Bank Identification Number)을 보유한 대표카드사의 결제서버인 제1결제서버(400)를 거쳐서 결제중계서버(500)로 전달되도록 구성하였다. 대표카드사는 대표카드(제1카드)를 발급한 카드사를 의미하며, 이하, “대표카드사” 또는 “제1카드사”로 지칭한다.
한편, VAN사와 제휴하고 특정 BIN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가 결제수단으로 제시될 경우, VAN사의 중계서버에서 직접 결제중계서버(500)로 결제 정보가 전송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다수의 VAN사와 제휴 및 시스템 연동의 어려움이 존재하고, 대형 유통사의 경우에는 VAN사를 거치지 않고 카드사와 직접 전용선으로 네트워크를 연결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특정 카드사와 제휴하여 대표카드(제1카드)를 실물카드로 발급하고, 해당 대표카드로 결제하면 반드시 대표카드를 발급한 카드사의 결제서버인 제1결제서버(400)를 거쳐서 결제중계서버(500)로 전달받는 방식을 택했다.
또한 사용자가 최적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를 일일이 선택하지 않고 자동화하기 위해 결제중계서버(500)에는 사전에 전체 카드사의 전체 카드상품에 대해 가맹점별 업종별 할인 및 적립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을 카드 별 혜택DB(520)로 사전 구성하고, 대표카드 (제1카드) 결제 승인 요청(T1) (이하, “제1결제 승인 요청(T1)”이라고도 지칭 한다)에 함께 전송된 제1가맹점 식별번호(MNO1)를 이용해 가맹점을 특정하고 사용자가 보유한 카드 목록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최대의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카드를 자동으로 선택한 후 선택된 카드사의 결제서버인 제2결제서버(600)에 선택된 카드번호(CNO2)와 제2카드사의 가맹점 식별번호(MNO2)로 치환된 카드 승인 요청(T2) (이하, “제2결제 승인 요청(T2)”이라고도 지칭 한다)을 송신하는 방식을 구성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은 제1 가맹점의 단말기(300), 제1 결제서버(400), 제2 결제서버(600), 및 결제중계서버(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제서버(400)는 제1카드사의 결제서버이고, 상기 제1 결제서버(400)에는 상기 제1 카드사가 발급한 제1카드(200)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1카드(200)는 가상 결제 용도로 지정된 은행식별번호(Bank Identification Number: BIN)를 이용하여 발급된 실물 카드이고,
상기 제2 결제서버(600)는 n개의 제2 카드사의 결제서버이고, n은 1 이상의 자연수이며, 상기 n번째 제2카드사의 결제서버에는 n번째 제2카드사가 발급한 하나 이상의 제2 카드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카드는 실물 카드이며,
상기 제2 카드는 상기 제1카드에 등록되어 있고, 상기 제1카드에 등록된 상기 제2카드는 총 m개이며, m은 1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제1 결제서버(400) 및 제2 결제서버(600)와 각각 연결되고,
제1 결제서버(400)는 상기 결제중계서버(500)을 경유하여 제2 결제서버(600)와 통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제1 가맹점의 단말기(300)가 외부로부터 제3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제1 가맹점의 단말기(300)가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T1)을 생성하고, 상기 제1 결제서버(400)로 상기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T1)을 전송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제1 결제서버(400)는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 (T1)에 포함된 BIN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카드가 제1카드(200)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상기 제3카드가 상기 제1카드(200)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결제서버(400)는 상기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 (T1)을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로 전송함으로써 가상 결제 절차를 개시하고,
상기 제3카드가 상기 제1카드(200)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결제서버(400)는 가상 결제 절차를 종료하는 단계;
(e)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상기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T1)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개의 제2 카드 중 가장 혜택이 큰 k번째 제2카드(k는 1이상이고 m 이하인 자연수)를 자동으로 지불 카드로 선택하는 단계;
(f)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제2 결제승인 요청전문(T2)을 생성하고, 상기 k번째 제2카드를 발급한 제2 카드사의 제2 결제서버(600)에 상기 제2 결제승인 요청전문(T2)을 전송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g)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제2 결제서버(600)로부터 제2 카드승인결과(TR2)를 수신하는 단계;
(h)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제2 카드승인결과(TR2)를 이용하여 제1 카드승인결과(TR1)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결제서버(400)에 회신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1 결제서버(400)가 제1카드승인결과(TR1)를 제1 가맹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제1 결제서버(400)를 경유해서만 상기 제1 가맹점의 단말기(300)와 통신 가능하다. 상기 m은 n과 같거나 큰 숫자이다.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상기 제1카드승인결과(TR1)를 상기 제1 결제서버(400)에 전송한다.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상기 제1카드승인결과(TR1)를 이용하여 매입데이터(T3)를 생성하고, 상기 매입데이터(T3)를 상기 제1결제서버(400)에 전송함으로써 매입을 처리한다.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카드결제DB(540)와, 사용자의 재무 DB(550)와, 마케팅 DB(560)와,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 DB(5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j)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상기 제1카드승인결과(TR1)와 제2 카드승인결과(TR2)를 이용하여 카드결제이력(CTR)을 생성하여 카드결제DB(540)에 저장하고, 상기 카드결제이력(CTR)을 사전에 정의된 소비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의 재무 DB(550)에 저장하는 단계와;
(k)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p개의 마케팅 상품 정보를 상기 사전에 정의된 소비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p개의 마케팅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마케팅 DB(560)에 저장하며, 상기 p는 2 이상의 자연수인 단계와;
(l)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카드결제이력(CTR)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재무 DB(550)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 (제1콘텐츠)을 생성하고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DB(570)에 저장하는 단계와;
(m)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 DB(570)와 상기 카드결제이력(CTR)을 반영하여 상기 p개의 마케팅 상품 중 하나 이상을 추천 마케팅 상품(제2콘텐츠)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n)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i) 사용자에게 카드 결제로 인해 사용자가 받게 된 혜택 정보(CBA)와, (ii)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제1 콘텐츠)와, (iii) 추천 마케팅 상품(제2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실시간 소비조언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상기 제1결제승인요청전문(T1)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맹점에 대하여 상기 m개의 제2카드에서 부여하는 혜택을 각각 계산하고, 상기 m개의 제2 카드 중 가장 혜택이 큰 k번째 제2카드를 자동으로 지불 카드로 선택한다.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가맹점DB(530), 사용자별 카드DB(510), 카드 별 혜택DB(520)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e-1)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제1 결제승인요청전문(T1)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DB(530)를 검색하여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 식별번호(MNO1) 및 가맹점업종(MBC)을 확인하는 단계; 및
(e-2)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제1 결제승인요청전문(T1)에 포함된 상기 제1 카드(200)의 카드번호(CNO1)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카드DB(510)를 검색하여 사용자별 카드 목록을 확인하는 단계; 및
(e-3)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사용자별 카드 목록에 포함된 n개의 제2 카드 각각에 대하여 카드 별 혜택DB(520)를 검색하여 카드 별 혜택정보를 메모리에 적재하는 단계; 및
(e-4)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가맹점 식별번호(MNO1)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적재된 카드 별 혜택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1 가맹점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제2카드 각각에 부여하는 혜택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되는 혜택이 있는 경우에 제2카드 각각에 대한 혜택을 계산하여 혜택이 가장 큰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적용되는 혜택을 적용혜택(CBA)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e-5) 상기 (e-4) 단계에서 해당되는 혜택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e-1) 단계에서 확인한 가맹점업종(MBC)을 이용하여 메모리에 적재된 카드 별 혜택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가맹점업종에서 n개의 제2카드 각각에 대해 부여하는 혜택이 있는지 확인하고, 혜택이 있는 경우에 제2카드 각각에 대한 혜택을 계산하여 혜택이 가장 큰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적용되는 혜택을 적용혜택(CBA)으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별 혜택DB(520)는 (i) 카드 별 가맹점별 혜택, (ii) 카드 별 업종별 혜택, (iii) 혜택이 적용되기 위한 전제조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가맹점DB(530)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T1)은 (i) 상기 제1카드사에서 상기 제1 가맹점에 부여한 제1 가맹점 식별번호(MNO1)와 (ii) 제1카드의 카드번호(CNO1)를 포함한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제2결제승인요청전문(T2)을 생성하는 단계는:
(f-1) 상기 제1카드의 카드번호(CNO1)를 제2카드의 카드번호(CNO2)로 치환하는 단계;
(f-2) 상기 가맹점DB(530)를 검색하여 상기 k번째 카드를 발급한 제2카드사에서 상기 제1 가맹점에 부여한 제2가맹점 식별번호(MNO2)를 추출하는 단계; 및
(f-3) 상기 제1 가맹점 식별번호(MNO1)을 상기 제2가맹점 식별번호(MNO2)로 치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DB(530)는: (i) 제1카드사가 제1 가맹점에 부여한 가맹점 식별번호(MNO1), (ii) 제1 가맹점의 사업자등록번호, (iii) 제1 가맹점의 상호, (iv) 제1 가맹점의 업종 (v) 제1 가맹점의 주소, (vi) 제1 가맹점의 전화번호, (vii) 제1 가맹점에 대한 제2카드사별 가맹점 식별번호(MNO2) 매핑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ii) 제1 가맹점에 대한 제2카드사별 가맹점 식별번호(MNO2) 매핑정보는 제1 가맹점의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준으로 매핑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준으로 매핑하는 경우, 사업자등록번호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가맹점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인 카드 결제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대표카드사 (즉, “제1카드사”)의 카드 BIN을 이용한 대표카드를 발급하고, 대표카드사 (제1카드사)를 통해 결제중계서버로 결제승인요청을 전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맹점의 기존 결제시스템에 전혀 변화를 주지 않고 전체 가맹점에서 대표카드로 결제된 전체 거래에 대해 카드 결제에 따른 최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매번 결제할 때마다 사용자가 최적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를 수동 선택하는 별도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결제승인요청전문에 포함된 가맹점코드를 활용하여 정확한 가맹점을 특정하고, 서버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카드 목록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최대의 혜택을 줄 수 있는 카드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결제한 후 사용자의 단말에 발송하는 메시지를 통해서 사용자가 이번 결제를 통해 받은 혜택은 물론, 사용자의 지난 결제 이력 누적 분석에 의한 실시간 소비조언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에서 실시간 소비조언 생성 및 전송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의 프로세스 중 최대 혜택 카드 선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의 프로세스 중 결제승인요청전문 치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실시간 소비조언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보유카드”와, “제3카드”와, “제2카드”와 “선택된 제2카드”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개인재무관리시스템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여, 각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사용자가 보유한 실물 카드를 “보유 카드” 또는 “제3 카드”라 정의한다. 사용자가 결제 시에 제시할 카드는 “제3카드”로 정의한다. 사용자가 결제 시에 제시할 카드는 보유 카드 중 하나일 것이므로, “제3카드”는 “보유 카드”와 동일한 의미가 된다.
보유 카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1카드에 등록된다. 제1카드에 등록된 보유 카드를 “제2카드”로 정의한다. 제2카드는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 포인트 카드, 리워드 카드 등 일반 가맹점에서 결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카드에 등록된 제2카드 중에서 결제용으로 자동 선택된 카드를 “선택된 제2카드”로 정의한다.
“보유카드”와, “제3카드”와, “제2카드”와 “선택된 제2카드”의 상관 관계를 그림으로 표시하면 도7과 같다. 도7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별도로 기술한다.
카드 정보 등록 단계
도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대표 실물 카드 발급을 요청하면, 제1카드사는 제1카드번호(CNO1)를 저장한 제1카드(200)를 사용자에게 발급한다. 예를 들어, 제1카드사는 BC카드 발급사, 신한카드 발급사, 국민카드 발급사, 현대카드 발급사, 삼성카드 발급사, 하나카드 발급사, 롯데카드 발급사, 농협카드 발급사, 비자카드 발급사, 마스터 카드 발급사 등이 될 수 있다.
결제 중계 서버(500)는 제1카드사와 사전 협약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1카드를 발급하기로 약정할 수 있다. 제1카드번호(CNO1)는 사전에 지정된 BIN을 이용하여 발급된다. 즉, 제1카드번호(CNO1)에 포함된 BIN 정보를 분석하면, 결제를 위해 제시된 카드가 일반 카드인지 혹은 결제 중계 서버(500)와의 협약에 의해 특수 목적으로 발급된 대표 실물 카드(제1카드)인지 구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카드를 수령하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앱(110)에서 제1카드 수령등록을 한다. 사용자가 보유한 카드 (이하, “보유 카드”라 지칭한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1카드에 등록한다. 제1카드에 등록된 제3카드를 “제2카드”로 정의한다. 사용자가 보유한 카드 중 최적의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모든 카드를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결제 중계 서버(500)에서는 사용자가 등록하는 모든 카드 정보를 사용자별 카드 DB(510)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제1카드 수령등록을 하는 세부적인 과정은, 먼저 앱에서 사용자 본인이 맞는지를 확인하고 검증하기 위해, 휴대폰본인인증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본인인증은 사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통신사, 휴대폰번호를 입력받아 이동통신사에 전송함으로써, 현재 인증요청한 정보가 해당 이동통신사의 고객으로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검증하고 유효한 사용자의 휴대폰번호가 맞으면 6자리의 임의의 숫자를 사용자에게 문자메시지로 전송하고 화면에 전송된 숫자를 입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본인 여부와, 현재 등록과정을 진행하는 단말기가 본인의 단말기가 맞는지 여부를 동시에 검증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먼저 앱에서 휴대폰본인인증을 거치고 나서, 발송된 제1카드의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카드 뒷면의 3자리 숫자)값 등을 입력함으로써 카드 수령 등록을 결제 중계 서버(500)에 요청한다. 결제 중계 서버(500)에서는 입력된 제1카드번호(CNO1)의 값이 카드 발급 시 저장된 제1카드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증하여 일치하면 카드 수령 등록을 완료하고 이후 결제 중계 서버(500)로 유입되는 결제승인요청을 활성화한다.
사용자는 보유한 실물카드 (즉, “보유 카드”)의 전부 또는 일부를 등록하여 제1카드와 연결할 수 있다. 보유 카드를 등록할 때마다 보유 카드의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 등을 입력받고 해당 카드사의 결제서버에 전송하여 등록되는 보유 카드가 유효한 카드인지를 검증한다. 검증에 성공하면 해당 카드 정보를 사용자별 카드 DB(510)에 저장한다. 이런 절차를 거쳐서 제1카드에 등록된 보유 카드를 “제2카드”로 정의한다. 제2카드는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 포인트 카드, 리워드 카드 등 일반 가맹점에서 결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를 포함한다. 제2카드사는 제2카드를 발급하는 일반 카드사이다. 예를 들어, 제2카드사는 BC카드 발급사, 신한카드 발급사, 국민카드 발급사, 현대카드 발급사, 삼성카드 발급사, 하나카드 발급사, 롯데카드 발급사, 농협카드 발급사, 비자카드 발급사, 마스터 카드 발급사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국민카드사가 제1카드사인 경우를 가정해 본다. 결제 중계 서버(500) 운영사는 국민카드사와 사전 협약을 통해 특수 용도의 제1카드를 발급하기로 한다. 사용자 A가 일반카드 7장 (국민카드 1, 국민카드 2, 신한카드 1, 신한카드 2,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을 이미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7장의 일반 카드를 “보유 카드”로 지칭한다.
사용자 A는 결제 중계 서버(500)에 접속하여 제1카드 발급을 요청한다. 제1카드사인 국민카드가 특수카드인 제1카드를 사용자 A에게 발급한다. 사용자 A가 결제 중계 서버(500)에 접속하여 7장의 보유 카드 중 5장(국민카드 1, 신한카드 1,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을 상기 제1카드에 등록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상기 5장의 등록된 카드가 “제2카드”가 된다.
사용자별 카드 DB(510)에 저장되는 카드정보는 제2카드사에 카드결제 승인을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제2카드사에 앱카드 인증방식으로 카드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제2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앱카드전문 중 카드등록 전문을 이용하여 카드를 등록하고 결과값으로 받은 인증용 토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제 카드결제 승인을 요청할 때는 이 인증용 토큰정보 또는 이 토큰정보를 제2카드사에 전송하여 받은 인증값을 앱카드전문 중 승인요청 전문에 포함하여 제2카드사의 제2결제서버(600)에 요청하는 제2결제승인요청전문(T2)을 생성할 수 있다.
만일 제2카드사에서 별도의 인증용 토큰정보를 발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카드의 제2 카드번호(CNO2)와 유효기간 등 인증정보를 직접 저장해 두었다가 이 정보를 이용하여 제2카드사의 제2결제서버(600)에 요청하는 제2결제승인요청전문(T2)를 생성할 수 있다.
(a) 단계
사용자가 임의의 가맹점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임의의 카드 (이하, 제3카드라 한다)를 제시하면서 결제를 요청한다. 가맹점주는 제1가맹점단말기(300)에 제3카드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결제 시에 제시할 카드는 보유 카드 중 하나일 것이므로, “제3카드”는 결국 “보유 카드”와 동일한 대상을 지칭하며, 이하에서 혼용하여 사용된다.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은 발급된 카드가 IC카드인 경우 제1가맹점단말기(300)의 IC카드 삽입구에 제3카드를 삽입하여 IC카드의 IC칩에서 결제승인에 필요한 카드정보를 읽을 수 있다. 발급된 카드가 마그네틱카드인 경우, 제1가맹점단말기(300)의 마그네틱 리더기에 제3카드를 통과시키는 방식(Swipe)으로 결제승인에 필요한 카드정보를 읽을 수 있다.
발급된 카드가 앱카드인 경우 단말기에서 앱을 실행하고 앱에서 1D바코드나 QR코드를 생성하여 가맹점에 제시하고, 제1가맹점단말기(300)에 연결된 1D바코드리더기나 2D바코드리더기를 이용하여 읽어들임으로써 결제승인에 필요한 카드정보를 읽을 수 있다.
(b) 단계: 제1결제승인요청 전문(T1) 생성 및 전송 단계
제3카드의 카드번호에 포함된 BIN정보를 기준으로 결제요청 정보가 VAN사 또는 제3카드사와의 전용선을 통해 제3카드사의 서버로 송신된다. 제3카드사는 제3카드를 발급한 카드사이다.
결제요청 정보가 VAN사를 거치는 경우에는 VAN사에서 보유한 카드사별 BIN 목록을 기준으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BIN이 어느 카드사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카드사로 제1결제승인요청 전문(T1)을 전송한다.
결제요청 정보가 제3카드사와의 전용선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는 제1가맹점단말기(300) 또는 가맹점에서 보유한 서버에 저장된 BIN 목록을 기준으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BIN이 어느 카드사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카드사로 제1결제승인요청 전문(T1)을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 제1카드사가 국민카드사이고, 사용자가 제시한 제3카드가 농협카드인 경우를 가정해 보자. 농협카드는 제1카드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농협카드에 저장된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를 거쳐 농협카드 발급사 서버로 전달된다. 즉, 제1결제승인요청 전문(T1)이 제3카드 발급사 서버로 전송된다.
다른 예에서, 제1카드사가 국민카드사이고, 사용자가 제시한 제3카드가 삼성카드인 경우를 가정해 보자. 삼성카드는 제1카드에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의 정의에 따르면, 삼성카드는 제2카드가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삼성카드 실물카드 자체를 제3카드로 제시했으므로 제시된 카드가 제2카드로 등록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제시된 삼성카드(제2카드)에 저장된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를 거쳐 삼성카드 발급사 (제2카드사)의 서버로 직접 전달된다. 즉, 제1결제승인요청 전문(T1)이 제2카드 발급사 서버로 전송된다.
또 다른 예에서, 제1카드사가 국민카드사이고, 사용자가 제시한 제3카드가 제1카드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제시된 제1카드에 저장된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를 거쳐 제1카드 발급사인 국민카드사 서버 즉, 제1결제서버(400)로 전달된다. 즉, 제1결제승인요청 전문(T1)이 제1카드 발급사의 서버로 전송된다.
(c)단계: 결제를 위해 제시된 카드가 제1카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제1 결제서버(400)는 제3카드번호(CNO1)에 포함된 BIN정보를 기준으로 결제를 위해 제시된 제3카드가 특수 용도로 발급된 제1카드인지 혹은 일반 용도로 발급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특수 용도로 발급된 제1카드에는 결제 중계 서버(500)가 발급한 대표 카드 용도의 제1카드번호(CNO1)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제1결제서버(400)에는 제1카드사에서 관리하는 모든 카드에 해당하는 BIN목록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BIN 중에는 제1카드사에서 직접 발행하는 일반 카드용도의 BIN도 있고, 외부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제공하는 특수 용도(예를 들어, 제1카드 용도)의 BIN도 있다. 외부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제공되는 특수 BIN인 경우에는 해당 BIN으로 시작하는 카드번호에 대해 외부의 어느 제휴사 서버로 전송할지를 관리하기 위해 대상 제휴사의 서버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있다.
(d)단계
대표 카드 번호에 해당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결제 절차가 진행된다. 즉, 결제를 위해 제시된 제3카드가 제1카드사가 발행한 대표 카드(제1카드)로 판단되면, 제1결제서버(400)는 결제 중계 서버(500)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대표 카드 번호에 해당되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결제 절차가 종료된다.
이 경우, 일반 결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일반 결제 절차는 공지의 신용 카드 결제 절차, 직불 카드 결제 절차, 리워드 카드 결제 절차를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결제서버(400)는 상기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 (T1)을 제1카드사의 일반 결제승인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승인 처리하고, 제1카드승인결과(TR1)를 제1가맹점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영수증을 발행함으로써 결제를 종료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카드사가 국민카드사이고, 사용자가 제시한 제3카드가 제1카드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제시된 제1카드에 저장된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를 거쳐 제1카드 발급사인 국민카드사 서버 즉, 제1결제서버 (400)으로 전달된다. 상기 (b) 단계 참고. 제1 결제서버(400)는 제3카드번호(CNO1)에 포함된 BIN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3카드가 제1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c) 단계 참고.
만약, 사용자가 제시한 제3카드가 국민카드사가 발행한 대표 카드라면 (즉, 제1카드라면), 국민카드사 서버 즉, 제1결제서버 (400)는 결제 중계 서버(500)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반면, 사용자가 제시한 제3카드가 국민카드사가 발행한 일반 카드라면 (즉, 제1카드가 아니라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결제 절차는 종료되고 일반 결제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일반 결제 절차가 개시되면, 국민카드사 서버 즉, 제1결제서버 (400)는 상기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 (T1)을 제1카드사(즉, 국민카드사)의 일반 결제승인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승인 처리하고, 제1카드승인결과(TR1)를 제1가맹점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영수증을 발행함으로써 일반 결제를 종료한다.
(e) 단계: 결제 카드 자동 선택
결제 중계 서버(500)는 보유한 사용자별 카드 DB(510)에 저장된 사용자가 등록한 카드목록을 기준으로 카드별혜택DB(520)에서 각 카드 별 혜택 정보를 조회하여 제1가맹점에서 최대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카드를 자동으로 선택한다.
(f) 단계
결제 중계 서버(500)는 “선택된 제2카드”를 발급한 제2카드사의 가맹점정보를 가맹점DB(530)에서 검색한다.사용자가 등록한 “선택된 제2카드”의 인증정보를 사용하여 제2카드사의 제2 결제서버(600)에 전송할 결제승인요청전문을 생성하고, 이를 제2 결제서버(600)에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한다.
(g)-(i) 단계
제2 결제서버(600)로부터 결제승인결과를 수신하면, 이를 다시 제1카드사의 제1 결제서버(400)에 회신하고, 제1 결제서버(400)는 이를 제1가맹점의 제1가맹점단말기(300)에 회신하여 영수증을 발행한다.
또한 결제 중계 서버(500)는 카드 결제 이력(CTR) 정보를 카드결제DB(540)에 저장하고, 카드결제이력을 분류하여 저장한 사용자의 재무 DB(550)과 마케팅 DB(560)와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 DB(570)를 이용하여 실시간 소비조언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의 앱에 전송한다.
또한 최초 가맹점에서 승인 요청된 대표카드번호와 실제 카드사에서 승인 처리된 카드번호가 상이하므로 향후 정산대사 및 취소 환불 등 이벤트에 대응하기 위해 결제중계서버(500)에 저장하는 카드 결제 이력(CTR)에는 대표카드번호에 해당하는 제1카드번호(CNO1)와 “선택된 제2카드”의 제2카드번호(CNO2)를 모두 저장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 대신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웹브라우저에서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사용자가 보유한 카드를 등록하게 되고, 등록된 카드정보는 앱을 통해 등록된 카드정보와 마찬가지로 결제 중계 서버(500)의 사용자별 카드 DB(510)에 저장된다. 사용자 단말에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제1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시간 소비조언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이 아니라 SMS 문자메시지 또는 모바일 메신저앱을 통해서 발송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제1카드사는 결제 중계 서버(500) 운영사와의 협약에 의해 결제 중계 서버(500)에 대표 카드 번호에 해당하는 제1카드용 BIN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대표 실물 카드 발급을 요청하면, 결제 중계 서버(500)는 제1 카드용 BIN을 포함한 제1카드번호(CNO1)를 저장한 제1카드(200)를 발급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사용자 인증 (예를 들어, 휴대폰 본인인증)을 거친 후 사용자가 보유한 카드 중 전부 또는 일부, 즉 보유카드 또는 제 3카드를 등록하고, 결제 중계 서버(500)는 사용자가 등록한 제 3카드의 유효성을 제2카드사의 제2결제서버(600)를 통해 검증하고,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카드 정보를 사용자별 카드 DB(510)에 제2 카드로 저장한다.
사용자가 제3카드를 제1가맹점단말기(300)를 통해 결제승인요청하면 제1가맹점단말기(300)는 (a)제3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카드 BIN을 기준으로 제3카드가 제1 카드사에서 발급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 카드사에서 발급한 카드인 경우 (b)결제승인요청전문(T1)을 생성하여 제1카드사의 제1결제서버(400)로 결제승인을 요청한다.
제3 카드가 제1카드사에서 발급한 카드가 아닌 경우에는 제3 카드의 BIN을 기준으로 제3 카드를 발급한 각각의 카드사의 결제서버로 결제승인을 요청하게 되며, 본 설명의 취지에 따라 이러한 경우의 추가적인 프로세스 설명이나 도식은 생략한다.
제1 결제서버(400)는 (c)결제승인요청전문(T1)에 포함된 제1카드번호(CNO1)의 BIN을 기준으로 대표카드, 즉 제1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대표카드라고 판단되면 (d)결제승인요청전문(T1)을 결제 중계 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c)단계의 판단 결과 대표카드가 아닌 경우는 사용자가 대표카드가 아닌, 제1카드사가 발급한 제3카드를 가맹점에 제출한 경우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결제 절차가 종료된다. 이 경우, 일반 결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일반 결제 절차는 공지의 신용 카드 결제 절차를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 결제 절차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정보이므로,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결제 중계 서버(500)는 사용자가 등록한 카드목록 중 제1가맹점에서 (e)가장 혜택이 큰 제2카드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제2카드”를 발급한 제2카드사의 제2결제서버(600)에 전송할 (f)결제승인요청전문(T2)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제2결제서버(600)에서 카드결제승인이 완료되면 결제 중계 서버(500)에서 (g)제2카드승인결과(TR2)를 수신하고, (h) 제1카드사의 제1카드번호(CNO1)과 제1가맹점 식별번호(MNO1)을 기준으로 제1카드승인결과(TR1)을 생성하여 제1결제서버(400)에 전송하며, (i) 제1결제서버(400)는 다시 제1가맹점단말기(300)에 제1카드승인결과(TR1)를 전송하여 영수증을 발행한다.
결제 중계 서버(500)는 보유한 카드 결제 이력(CTR)을 기준으로 매입데이터(T3)를 생성하여 제1카드사의 제1 결제서버(400)에 전송한다.
결제 중계 서버(500)는 실시간 소비조언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에서 실시간 소비조언 생성 및 전송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결제중계서버(500)는 카드결제DB(540)와, 사용자의 재무 DB(550)와, 마케팅 DB(560)와,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 DB(570)를 포함한다.
각 단계별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j)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상기 제1카드승인결과(TR1)와 제2 카드승인결과(TR2)를 이용하여 카드결제이력(CTR)을 생성하여 카드결제DB(540)에 저장하고, 상기 카드결제이력(CTR)을 사전에 정의된 소비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의 재무 DB(550)에 저장한다.
최초 가맹점에서 승인 요청된 대표카드번호와 실제 카드사에서 승인 처리된 카드번호가 상이하므로 향후 정산대사 및 취소 환불 등 이벤트에 대응하기 위해 결제중계서버(500)에 저장하는 카드 결제 이력(CTR)에는 대표카드번호에 해당하는 제1카드번호(CNO1)와 제2카드번호(CNO2)를 모두 저장한다.
카드결제이력(CTR)을 소비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할 때는 카드결제이력에 포함된 제1카드사의 제1가맹점 식별번호(MNO1)를 기준으로 가맹점DB(530)을 검색하여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업종(MBC)을 확인하고, 해당 업종이 사전에 정의된 소비분류기준의 어느 분류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분류한다.
(k)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p개의 마케팅 상품 정보를 상기 사전에 정의된 소비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p개의 마케팅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마케팅 DB(560)에 저장하며, 상기 p는 2 이상의 자연수이다.
추천 마케팅을 위해 마케팅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식당 할인 쿠폰B = 한식당 + 강남역 소재 + 할인율 30% + 영화 관람티켓 소지할 경우 추가 20% 할인 + 한달 내 3회 방문 시 추가 50% 할인
미용실 할인 쿠폰 C = 미용 +강남역 소재 + 오전 시간 할인율 70% + 2019년 4월 1일~ 2019년 4월30일 한달 간 유효
(l)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카드결제이력(CTR)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재무 DB(550)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 (제1콘텐츠)을 생성하고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DB(570)에 저장한다.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에는 소비분류별 예산 소비율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사전에 정의된 소비분류에 대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월별예산금액 대비 이번의 카드결제로 발생한 해당 소비분류의 이번달 누적금액을 대비하여 예산 소비에 대한 진척도를 비율로 계산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에는 카드 별 실적 달성율이 포함될 수 있다. 각 카드 별 혜택을 받기 위한 실적기준금액에 대하여 이번의 카드결제로 발생한 해당 카드의 누적실적금액을 대비하여 실적 달성에 대한 진척도를 비율로 계산한다.
(m)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 DB(570)와 상기 카드결제이력(CTR)을 반영하여 상기 p개의 마케팅 상품 중 하나 이상을 추천 마케팅 상품(제2콘텐츠)으로 선택한다.
추천 마케팅 상품(제2콘텐츠)을 선택할 때는 카드결제이력(CTR)으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여 활용한다.
카드결제이력에 포함된 제1가맹점 식별번호(MNO1)를 기준으로 가맹점DB(530)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가맹점의 주소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의 업종(MBC)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강남에 있는 미용실에서 머리를 했는지, 신촌에 있는 한식당에서 저녁식사를 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상황을 근거로 사용자에게 가치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마케팅 상품을 추천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추천은 사전에 정의된 추천 규칙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임의의 마케팅 상품 추천에 대해 사용자가 반응했는지 여부를 빅데이터로 축적했다가 사용자의 반응율이 좋은 추천을 새로운 추천 규칙으로 축적함으로써 추천의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다.
(n)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i) 사용자에게 카드 결제로 인해 사용자가 받게 된 혜택 정보(CBA)와, (ii)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제1 콘텐츠)와, (iii) 추천 마케팅 상품(제2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실시간 소비조언을 외부로 전송한다.
실시간 소비조언을 사용자에게 전송할 때, 사용자가 단말기에 앱을 설치한 경우에는 앱으로 실시간 메시지를 전송하여 실시간 소비조언을 사용자가 앱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휴대폰번호를 기준으로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메신저앱(예: 카카오톡, 라인)으로 실시간 소비조언을 전송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의 프로세스 중 최대 혜택 카드 선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결제중계서버(500)는 가맹점DB(530), 사용자별 카드DB(510), 카드 별 혜택DB(520)를 포함한다.
상기 (e) 단계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e-1)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제1 결제승인요청전문(T1)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DB(530)를 검색하여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 식별번호(MNO1) 및 가맹점업종(MBC)을 확인한다.
(e-2)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제1 결제승인요청전문(T1)에 포함된 상기 제1 카드(200)의 카드번호(CNO1)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카드DB(510)를 검색하여 사용자별 카드 목록을 확인한다.
(e-3)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사용자별 카드 목록에 포함된 n개의 제2 카드 각각에 대하여 카드 별 혜택DB(520)를 검색하여 카드 별 혜택정보를 메모리에 적재한다.
(e-4)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가맹점 식별번호(MNO1)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적재된 카드 별 혜택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1 가맹점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제2카드 각각에 부여하는 혜택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되는 혜택이 있는 경우에 제2카드 각각에 대한 혜택을 계산하여 혜택이 가장 큰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적용되는 혜택을 적용혜택(CBA)으로 정의한다.
(e-5) 상기 (e-4) 단계에서 해당되는 혜택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e-1) 단계에서 확인한 가맹점업종(MBC)을 이용하여 메모리에 적재된 카드 별 혜택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가맹점업종에서 n개의 제2카드 각각에 대해 부여하는 혜택이 있는지 확인하고, 혜택이 있는 경우에 제2카드 각각에 대한 혜택을 계산하여 혜택이 가장 큰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적용되는 혜택을 적용혜택(CBA)으로 정의한다.
상기 카드 별 혜택DB(520)는 (i) 카드 별 가맹점별 혜택, (ii) 카드 별 업종별 혜택, (iii) 혜택이 적용되기 위한 전제조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 별 혜택DB(520)는 각 카드사별 카드상품별 소개 웹페이지에서 카드 별 상품 소개내용을 웹스크래핑으로 추출하여 분석하거나, 사전에 정의된 카드 별 혜택 자료구조에 따라 사람이 혜택 계산 규칙을 입력하여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가 카드를 결제하고 발생한 승인요청 프로세스의 중간에서 실시간으로 최대혜택을 부여 가능한 카드를 자동으로 선택해야 하므로 카드 별 혜택 계산의 처리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카드 별 혜택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산규칙을 메모리에서 고속으로 처리하는 메모리DB나 룰엔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의 프로세스 중 결제승인요청전문 치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결제중계서버(500)는 가맹점DB(530)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T1)은 (i) 상기 제1카드사에서 상기 제1 가맹점에 부여한 제1 가맹점 식별번호(MNO1)와 (ii) 제1카드의 카드번호(CNO1)을 포함한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제2결제승인요청전문(T2)을 생성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f-1) 상기 제1카드의 카드번호(CNO1)를 제2카드의 카드번호(CNO2)로 치환한다.
(f-2) 상기 가맹점DB(530)를 검색하여 상기 k번째 카드를 발급한 제2카드사에서 상기 제1 가맹점에 부여한 제2가맹점 식별번호(MNO2)를 추출한다.
(f-3) 상기 제1 가맹점 식별번호(MNO1)을 상기 제2가맹점 식별번호(MNO2)로 치환한다.
이러한 제2 결제승인요청전문(T2) 생성 프로세스는 결제승인 지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므로, 성능 향상을 위해 가맹점DB를 메모리에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맹점DB(530)는
(i) 제1카드사가 제1 가맹점에 부여한 가맹점 식별번호(MNO1), (ii) 제1 가맹점의 사업자등록번호, (iii) 제1 가맹점의 상호, (iv) 제1 가맹점의 업종 (v) 제1 가맹점의 주소, (vi) 제1 가맹점의 전화번호, (vii) 제1 가맹점에 대한 제2카드사별 가맹점 식별번호(MNO2) 매핑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vii) 제1 가맹점에 대한 카드사별 가맹점 식별번호(MNO2) 매핑정보는 제1 가맹점의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준으로 매핑하는 것을 포함하며,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준으로 매핑하는 경우, 사업자등록번호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가맹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가맹점DB(530)를 생성하는 방식은 각 카드사와 제휴를 통해 각 카드사가 보유한 가맹점DB를 제공 받은 후 카드사별 가맹점DB를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준으로 상호 매핑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카드사가 가맹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스크래핑하여 기준 가맹점DB를 구축한 후 기준 가맹점 DB의 사업자등록번호를 이용하여 각 카드사별 가맹점번호를 검색하여 매핑할 수도 있다.
각 카드사의 가맹점DB를 사업자등록번호로 검색했을 때 여러 개의 가맹점목록이 검색되는 경우에는 해당 가맹점의 주소나 업종 등 추가적인 정보를 이용해서 매핑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드 결제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실시간 소비조언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간 소비조언에는 카드결제에 따른 적용혜택(111)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제2카드 자동선택으로 해당 가맹점에서 받게 된 혜택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예를들어 특정 가맹점이 S카드로 결제할 경우 5%적립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 제2카드로 S카드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결제한 경우 “S카드로 결제하여 5%적립혜택을 받았습니다(500포인트)”와 같이 이번의 카드결제로 받은 혜택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실시간 소비조언에는 카드결제에 따른 예산 소비율(112)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사전에 정의된 소비분류에 대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월별예산금액 대비 이번의 카드결제로 발생한 해당 소비분류의 이번달 누적금액을 대비하여 예산 소비에 대한 진척도를 비율로 계산하고, 이를 도표와 숫자로 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카드 별 실적 달성율(113)이 포함될 수 있다. 각 카드 별 혜택을 받기 위한 실적기준금액에 대하여 이번의 카드결제로 발생한 해당 카드의 누적실적금액을 대비하여 실적 달성에 대한 진척도를 비율로 계산하고, 이를 도표와 숫자로 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소비에 대한 조언(114)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이번의 카드결제로 발생한 주요 이벤트나 분석결과 등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이번의 카드결제로 해당 카드의 기준실적금액을 초과한 경우에는 “S카드 이용실적 목표 30만원을 초과 달성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고, 이번달의 온라인쇼핑금액이 다른 달의 평균치를 일정 기준값(예: 120%) 이상 초과하면 “이번달 온라인쇼핑금액이 평균대비 120%입니다. 과소비에 주의하십시오”와 같은 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상품/서비스에 대한 추천 광고(115)가 포함될 수 있다.
추천 마케팅 상품에 대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자주 이용하는 식당의 분류(예: 한식, 중식, 일식, 양식, 패스트푸드 등)나 가맹점 명칭에서 확인될 수 있는 특정 메뉴에 대한 선호도(예: 부대찌게, 감자탕, 냉면 등)에 따라 특정 식당분류나 메뉴에 대해 맛집으로 알려진 식당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앱에서 주문이 발생한 위치정보나 서비스가 제공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황(시간, 위치, 이용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맞는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남역 근처에서 12시에 점심식사를 하고 12시 40분에 카드결제를 한 경우, 카드결제한 가맹점의 명칭 및 업종을 토대로 사용자가 강남역 근처에서 점심식사를 한 상황을 파악하고 강남역 근처의 커피숍의 할인쿠폰과 함께 “홍길동님, 점심 맛있게 드셨나요? 100m 거리에 맛있는 커피숍이 있어 할인쿠폰과 함께 추천해 드립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도 7은 “보유카드”와, “제3카드”와, “제2카드”와 “선택된 제2카드”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보유한 실물 카드를 “보유 카드” 또는 “제3 카드”라 정의한다. 사용자가 결제 시에 제시할 카드는 “제3카드”로 정의한다. 사용자가 결제 시에 제시할 카드는 보유 카드 중 하나일 것이므로, “제3카드”는 “보유 카드”와 동일한 의미가 된다.
보유 카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1카드에 등록된다. 제1카드에 등록된 보유 카드를 “제2카드”로 정의한다. 제2카드는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 포인트 카드, 리워드 카드 등 일반 가맹점에서 결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카드에 등록된 제2카드 중에서 결제용으로 자동 선택된 카드를 “선택된 제2카드”로 정의한다.
일 실시예로, 국민카드사가 제1카드사인 경우를 가정해 본다. 사용자 A가 일반카드 7장 (국민카드 1, 국민카드 2, 신한카드 1, 신한카드 2,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을 이미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7장의 일반 카드를 “보유 카드”로 지칭한다.
사용자 A는 결제 중계 서버(500)에 접속하여 제1카드 발급을 요청한다. 제1카드사인 국민카드가 특수카드인 제1카드를 사용자 A에게 발급한다. 사용자 A가 결제 중계 서버(500)에 접속하여 7장의 보유 카드 중 5장 (국민카드 1, 신한카드 1,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을 상기 제1카드에 등록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상기 5장의 등록된 카드가 “제2카드”가 된다.
사용자가 제시한 제3카드가 농협카드인 경우, 농협카드는 제1카드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농협카드에 저장된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를 거쳐 농협카드 발급사 서버로 전달된다. 즉, 제1결제승인요청 전문(T1)이 제3카드 발급사 서버로 전송된다.
사용자가 제시한 제3카드가 삼성카드인 경우, 삼성카드는 제1카드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정의에 따르면, 삼성카드는 제2카드가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삼성카드 실물카드 자체를 제3카드로 제시했으므로 제시된 카드가 제2카드로 등록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제시된 삼성카드(제2카드)에 저장된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를 거쳐 삼성카드 발급사 (제2카드사)의 서버로 직접 전달된다. 즉, 제1결제승인요청 전문(T1)이 제2카드 발급사 서버로 전송된다.
사용자가 제시한 제3카드가 제1카드인인 경우, 제시된 제1카드에 저장된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를 거쳐 제1카드 발급사인 국민카드사 서버 즉, 제1결제서버(400)로 전달된다. 즉, 제1결제승인요청 전문(T1)이 제1카드 발급사의 서버로 전송된다.

Claims (10)

  1.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은 제1 가맹점의 단말기(300), 제1 결제서버(400), 제2 결제서버(600), 및 결제중계서버(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제서버(400)는 제1카드사의 결제서버이고, 상기 제1 결제서버(400)에는 상기 제1 카드사가 발급한 제1카드(200)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1카드(200)는 가상 결제 용도로 지정된 은행식별번호(Bank Identification Number: BIN)를 이용하여 발급된 실물 카드이고,
    상기 제2 결제서버(600)는 n개의 제2 카드사의 결제서버이고, n은 1 이상의 자연수이며, n번째 제2카드사의 결제서버에는 상기 n번째 제2카드사가 발급한 하나 이상의 제2 카드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카드는 실물 카드이며,
    상기 제2 카드는 상기 제1카드에 등록되어 있고, 상기 제1카드에 등록된 상기 제2카드는 총 m개이며, m은 1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제1 결제서버(400) 및 제2 결제서버(600)와 각각 연결되고,
    제1 결제서버(400)는 상기 결제중계서버(500)을 경유하여 제2 결제서버(600)와 통신하며,
    상기 카드 결제 방법은
    (a) 제1 가맹점의 단말기(300)가 외부로부터 제3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제1 가맹점의 단말기(300)가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T1)을 생성하고, 상기 제1 결제서버(400)로 상기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T1)을 전송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제1 결제서버(400)는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 (T1)에 포함된 BIN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카드가 제1카드(200)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상기 제3카드가 상기 제1카드(200)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결제서버(400)는 상기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 (T1)을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로 전송함으로써 가상 결제 절차를 개시하고,
    상기 제3카드가 상기 제1카드(200)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결제서버(400)는 가상 결제 절차를 종료하는 단계;
    (e)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상기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T1)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개의 제2 카드 중 가장 혜택이 큰 k번째 제2카드(k는 1이상이고 m 이하인 자연수)를 자동으로 지불 카드로 선택하는 단계;
    (f)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제2 결제승인 요청전문(T2)을 생성하고, 상기 k번째 제2카드를 발급한 제2 카드사의 제2 결제서버(600)에 상기 제2 결제승인 요청전문(T2)을 전송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g)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제2 결제서버(600)로부터 제2 카드승인결과(TR2)를 수신하는 단계;
    (h)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제2 카드승인결과(TR2)를 이용하여 제1 카드승인결과(TR1)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결제서버(400)에 회신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1 결제서버(400)가 제1카드승인결과(TR1)를 제1 가맹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제1 결제서버(400)를 경유해서만 상기 제1 가맹점의 단말기(300)와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은 n과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상기 제1카드승인결과(TR1)를 상기 제1 결제서버(4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상기 제1카드승인결과(TR1)를 이용하여 매입데이터(T3)를 생성하고, 상기 매입데이터(T3)를 상기 제1결제서버(400)에 전송함으로써 매입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카드결제DB(540)와, 사용자의 재무 DB(550)와, 마케팅 DB(560)와,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 DB(570)를 포함하며,
    (j)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상기 제1카드승인결과(TR1)와 제2 카드승인결과(TR2)를 이용하여 카드결제이력(CTR)을 생성하여 카드결제DB(540)에 저장하고, 상기 카드결제이력(CTR)을 사전에 정의된 소비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의 재무 DB(550)에 저장하는 단계와;
    (k)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p개의 마케팅 상품 정보를 상기 사전에 정의된 소비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p개의 마케팅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마케팅 DB(560)에 저장하며, 상기 p는 2 이상의 자연수인 단계와;
    (l)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카드결제이력(CTR)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재무 DB(550)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 (제1콘텐츠)을 생성하고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DB(570)에 저장하는 단계와;
    (m)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 DB(570)와 상기 카드결제이력(CTR)을 반영하여 상기 p개의 마케팅 상품 중 하나 이상을 추천 마케팅 상품(제2콘텐츠)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n)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i) 사용자에게 카드 결제로 인해 사용자가 받게 된 혜택 정보(CBA)와, (ii) 사용자 재무 프로파일(제1 콘텐츠)와, (iii) 추천 마케팅 상품(제2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실시간 소비조언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상기 제1결제승인요청전문(T1)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맹점에 대하여 상기 m개의 제2카드에서 부여하는 혜택을 각각 계산하고, 상기 m개의 제2 카드 중 가장 혜택이 큰 k번째 제2카드를 자동으로 지불 카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가맹점DB(530), 사용자별 카드DB(510), 카드 별 혜택DB(520)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제1 결제승인요청전문(T1)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DB(530)를 검색하여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 식별번호(MNO1) 및 가맹점업종(MBC)을 확인하는 단계; 및
    (e-2)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제1 결제승인요청전문(T1)에 포함된 상기 제1 카드(200)의 카드번호(CNO1)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카드DB(510)를 검색하여 사용자별 카드 목록을 확인하는 단계; 및
    (e-3)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사용자별 카드 목록에 포함된 n개의 제2 카드 각각에 대하여 카드 별 혜택DB(520)를 검색하여 카드 별 혜택정보를 메모리에 적재하는 단계; 및
    (e-4)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가맹점 식별번호(MNO1)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적재된 카드 별 혜택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1 가맹점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제2카드 각각에 부여하는 혜택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되는 혜택이 있는 경우에 제2카드 각각에 대한 혜택을 계산하여 혜택이 가장 큰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적용되는 혜택을 적용혜택(CBA)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e-5) 상기 (e-4) 단계에서 해당되는 혜택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결제중계서버(500)가 상기 (e-1) 단계에서 확인한 가맹점업종(MBC)을 이용하여 메모리에 적재된 카드 별 혜택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가맹점업종에서 n개의 제2카드 각각에 대해 부여하는 혜택이 있는지 확인하고, 혜택이 있는 경우에 제2카드 각각에 대한 혜택을 계산하여 혜택이 가장 큰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적용되는 혜택을 적용혜택(CBA)으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별 혜택DB(520)는 (i) 카드 별 가맹점별 혜택, (ii) 카드 별 업종별 혜택, (iii) 혜택이 적용되기 위한 전제조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중계서버(500)는 가맹점DB(530)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결제승인 요청전문(T1)은 (i) 상기 제1카드사에서 상기 제1 가맹점에 부여한 제1 가맹점 식별번호(MNO1)와 (ii) 제1카드의 카드번호(CNO1)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제2결제승인요청전문(T2)을 생성하는 단계는:
    (f-1) 상기 제1카드의 카드번호(CNO1)를 제2카드의 카드번호(CNO2)로 치환하는 단계;
    (f-2) 상기 가맹점DB(530)를 검색하여 상기 k번째 제2카드를 발급한 제2카드사에서 상기 제1 가맹점에 부여한 제2가맹점 식별번호(MNO2)를 추출하는 단계; 및
    (f-3) 상기 제1 가맹점 식별번호(MNO1)을 상기 제2가맹점 식별번호(MNO2)로 치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DB(530)는:
    (i) 제1카드사가 제1 가맹점에 부여한 가맹점 식별번호(MNO1), (ii) 제1 가맹점의 사업자등록번호, (iii) 제1 가맹점의 상호, (iv) 제1 가맹점의 업종 (v) 제1 가맹점의 주소, (vi) 제1 가맹점의 전화번호, (vii) 제1 가맹점에 대한 제2카드사별 가맹점 식별번호(MNO2) 매핑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vii) 제1 가맹점에 대한 제2카드사별 가맹점 식별번호(MNO2) 매핑정보는 제1 가맹점의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준으로 매핑하는 것을 포함하며,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준으로 매핑하는 경우, 사업자등록번호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가맹점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KR1020200021933A 2020-02-22 2020-02-22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KR102149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933A KR102149405B1 (ko) 2020-02-22 2020-02-22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933A KR102149405B1 (ko) 2020-02-22 2020-02-22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405B1 true KR102149405B1 (ko) 2020-08-28

Family

ID=7226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933A KR102149405B1 (ko) 2020-02-22 2020-02-22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40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853A (ko) * 2008-03-18 2009-09-23 김창모 사용자의 최적 카드를 자동 선정하여 승인 처리하는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신용카드 결제 방법
KR20100031773A (ko) 2007-07-13 2010-03-24 도와 메탈스 앤드 마이닝 가부시끼가이샤 삼산화이비소의 처리 방법
KR20120014447A (ko) * 2010-08-09 2012-02-17 마승민 대표카드, 가상카드를 이용한 카드 사용 내지 결제 방법
KR20120049766A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하나은행 부가통신망을 이용한 직불카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2391A (ko) 2013-02-13 2014-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6143A (ko) 2013-02-26 2014-09-03 권민철 내지문 박막 증착용 보트
KR20150143073A (ko) 2014-06-13 2015-12-23 주식회사 링크넷 방화문 제작을 위한 도면 생성 및 견적 시스템
KR20160013053A (ko) 2013-06-03 2016-02-03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발효 맥아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3974B1 (ko) * 2019-07-20 2020-02-05 정운호 카드 승인 문자 메시지와 카드 이메일 청구서 거래내역 매핑을 통한 실시간 소비 조언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773A (ko) 2007-07-13 2010-03-24 도와 메탈스 앤드 마이닝 가부시끼가이샤 삼산화이비소의 처리 방법
KR20090099853A (ko) * 2008-03-18 2009-09-23 김창모 사용자의 최적 카드를 자동 선정하여 승인 처리하는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신용카드 결제 방법
KR20120014447A (ko) * 2010-08-09 2012-02-17 마승민 대표카드, 가상카드를 이용한 카드 사용 내지 결제 방법
KR20120049766A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하나은행 부가통신망을 이용한 직불카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2391A (ko) 2013-02-13 2014-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6143A (ko) 2013-02-26 2014-09-03 권민철 내지문 박막 증착용 보트
KR20160013053A (ko) 2013-06-03 2016-02-03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발효 맥아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43073A (ko) 2014-06-13 2015-12-23 주식회사 링크넷 방화문 제작을 위한 도면 생성 및 견적 시스템
KR102073974B1 (ko) * 2019-07-20 2020-02-05 정운호 카드 승인 문자 메시지와 카드 이메일 청구서 거래내역 매핑을 통한 실시간 소비 조언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휴대 단말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카드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휴대 단말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카드추천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1449B2 (en) Open payment network
US11599863B1 (en) Selection of a financial account associated with a proxy object
US9224141B1 (en) Encoding a magnetic stripe of a card with data of multiple cards
AU2019240552A1 (en) Complex paymen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US11238426B1 (en) Associating an account with a card
US201301590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use of loyalty program points as form of payment
SG187283A1 (en) Intelligent payment system
KR101781408B1 (ko) 택스 리펀드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9595030B2 (en) Flexible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process
KR20020050219A (ko) 선택적 그리고 자동적으로 할인을 적용한 신용카드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AU20183725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users in two domains
KR20150017781A (ko) 상품 고유코드를 이용한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5115B1 (ko) 결제 정보 처리 방법
CA3162110A1 (en) Providing a customer with a number of payment scenarios
RU2674324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настройки операции на компьютерной системе, соединенной со множеством компьютерных систем через компьютерную сеть,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вусторонней связи идентификатора операции
US11741446B2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processing
US201802327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JP2018133107A (ja) 購買支援装置、購買支援システム、購買支援方法、購買支援プログラム
US20040249746A1 (en) Optimized management of E-Commerce transactions
KR102149405B1 (ko) 카드 자동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RU2582452C1 (ru) Способ оплаты заказа в ресторане с помощью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US20150149268A1 (en) Mobile couponing system and method
KR20040075671A (ko) 쿠폰 사용 방법
WO2020142105A1 (en) Smart payment systems and methods
KR20050006771A (ko) 전자 쿠폰을 이용한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