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095B1 -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095B1
KR101746095B1 KR1020150120004A KR20150120004A KR101746095B1 KR 101746095 B1 KR101746095 B1 KR 101746095B1 KR 1020150120004 A KR1020150120004 A KR 1020150120004A KR 20150120004 A KR20150120004 A KR 20150120004A KR 101746095 B1 KR101746095 B1 KR 101746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chair
fram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692A (ko
Inventor
허동구
이인식
Original Assignee
허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동구 filed Critical 허동구
Priority to KR102015012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0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additional seat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height of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에 있어서, 상측에는 팔걸이바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지면 지지바가 구비되며 상기 팔걸이바와 상기 지면 지지바를 수직바로 연결시킨 한 쌍의 직립부재와, 상기 직립부재가 바닥에 세워지도록 연결하는 전후 한 쌍의 안착부재를 갖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안착부재에 선택적으로 올려져 고정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의자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다수의 부재를 조립시켜 설치하도록 하고 동시에 프레임에 좌판이 간편하게 안착 고정될 수 있는 장점 및 프레임에 설치된 좌판에 쿠션력이 제공될 수 있는 장점 그리고 프레임에 안착된 좌판에 등받이가 설치되고 등받이가 각도 조절됨과 동시에 보관이 편리하게 접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a chair for cushion and seat separated type}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부재로 조립된 프레임에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이 높이 조절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좌판에 앉은 경우 등받이의 접힘 및 각도 조절은 물론 사용자에게 쿠션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 다수의 사람들은 일상 생활의 대부분을 가정, 학교, 직장, 식당 등에서 생활하고 이동시에는 자가용 또는 대중의 교통수단을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한 장소에서 사람들의 대부분은 필연적으로 의자를 사용하게 된다. 즉, 생활의 대부분을 의자와 함께 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의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이 높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착석시에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의자를 요구하게 되었고 또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유익한 의자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의자의 기본적 형태를 살펴보면, 착석자의 엉덩이 즉, 둔부와 대퇴부를 받쳐주는 좌판과, 이 좌판의 단부에서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및 착석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좌판은 의자의 기능을 발현시키고자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좌판을 바닥에 올려놓고 쿠션재를 내장하는 경우 방석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좌판에 등받이를 설치하는 경우 좌식 의자로 이용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좌판을 프레임에 올려놓는 경우 일반 의자로 적용할 수 있다.
종래 의자를 살펴보면, 한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2405호 의자 프레임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의자 프레임을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의자의 보관 및 운반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는 의자이며, 의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이 철재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 상기 각 프레임의 결합부위에 볼트공을 형성시키고, 볼트공내에 볼트를 체결하여 각각의 프레임을 결합시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경우 구성 부품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운반은 물론 조립이 힘든 문제점이 있고, 조립후 사용시 사용자에게 편안한 쿠션력을 제공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0-0011743호 의자 등받이용 기능성 쿠션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외부에 형성된 커버의 내부에 쿠션재를 형성하고 등받이의 쿠션역활을 하도록 등받이 전방에 구성되고, 후방에는 등받이를 끼울 수 있는 별도의 주머니를 형성시킨 것이다.
다시말해 의자 등받이용 쿠션으로 의자 등받이와 맞닿는 부분에 편안함을 주도록 구성하고, 착석한 사람의 등과 맞닿는 부분의 반대편에 쿠션 외부 재질을 한 겹 덧대어 의자 등받이에 쿠션을 편리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의자이다.
하지만, 상기한 쿠션은 의자의 필요시 등받이에 끼워서 사용하는 것으로 의자의 등받이에 적용하는 경우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10154호 복수의 조립지지판으로 조립된 의자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좌판부와 등받이부의 기본 골조가 형성된 의자프레임의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상에 복수의 조립지지판을 삽입고정시키므로서, 좌판과 등받이에 설치되는 조립지지판의 설치숫자를 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의자의 좌판 및 등받이의 폭과 등받이의 높이에 따라 조립지지판의 숫자를 맞게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결국은 의자프레임의 크기만을 변형시키면 의자의 폭과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의자의 크키를 마음대로 넓히거나 좁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실내의 크기를 고려한 가장 적절한 크기의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의자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가 있으며, 또한, 의자를 개발하는 의자개발비가 저렴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조립이 힘든 문제점이 있고, 또한 좌판 또는 등받이의 쿠션력이 약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0-0011743호 공개일 2010년 12월 03일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2405호 공고일 2000년 11월 15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10154호 공고일 2013년 09월 23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의자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다수의 부재를 조립시켜 설치하도록 하고 동시에 프레임에 좌판이 간편하게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프레임에 설치된 좌판에 쿠션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 프레임에 안착된 좌판에 등받이가 설치되고 등받이가 각도 조절됨과 동시에 보관이 편리하게 접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자에 있어서, 상측에는 팔걸이바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지면 지지바가 구비되며 상기 팔걸이바와 상기 지면 지지바를 수직바로 연결시킨 한 쌍의 직립부재와, 상기 직립부재가 바닥에 세워지도록 연결하는 전후 한 쌍의 안착부재를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안착부재에 선택적으로 올려져 고정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을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판의 단부에 등받이가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가 상기 좌판에 대해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 중 후방측 안착부재가 수직하중 발생시 상기 직립부재에 대해 쿠션력이 제공되도록 완충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수단은, 스프링 또는 가스 스프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가 상기 직립부재에 대해 상하로 높이 조절되도록 높이조절수단을 제공함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좌판의 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탄성 유동되는 걸림턱을 갖는 스프링탄지편, 상기 등받이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외측 둘레에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기어가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위치 고정편, 상기 회전핀에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스프링탄지편의 걸림턱과 접촉시 상기 걸림턱이 상기 기어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접촉단 및 상기 위치 고정편에 구비된 각도조절핀이 일정구간 이동후 걸림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잠금해제구간이 형성되는 제어편으로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첫째; 의자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다수의 부재를 조립시켜 설치하도록 하고 동시에 프레임에 좌판이 간편하게 안착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프레임에 설치된 좌판에 쿠션력이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프레임에 안착된 좌판에 등받이가 설치되고 등받이가 각도 조절됨과 동시에 보관이 편리하게 접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은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3은 도 2에서 등받이 전개 및 접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프레임의 조립 과정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프레임 조립 과정에 대한 다른 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안착부재의 쿠션 과정을 보인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쿠션 과정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6의 다른 예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서 등받이가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각도 조절됨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각도조절수단의 요부를 분리시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의 도시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선택적으로 조립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판(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목재 소재가 바람직하며, 상측에 수평하게 위치되는 팔걸이바(111), 하측에 수평하게 위치되는 지면 지지바(112), 상기 팔걸이바(111)와 상기 지면 지지바(112)를 연결하는 수직바(113)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직립부재(110)와, 상기 직립부재(110)가 세워지도록 연결하는 전후 한 쌍의 안착부재(120)(120a)로 구성된다.
즉, 양쪽으로 평행하게 지면 지지바(112)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지면 지지바(112)의 전방과 후방에 수직바(113)를 각각 세워서 고정시킨 후 상기 수직바(113)의 상단에서 상기 지면 지지바(112)와 평행을 이루도록 한 후 팔걸이바(111)를 결합시키면 직립부재(110)의 조립이 완료되고, 이후 안착부재(120)의 양단을 서로 대응되는 상기 수직바(113)의 일측에 연결하면 프레임(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좌판(200)은, 내부에 쿠션재가 충진되며 사용자가 앉는 경우 엉덩이를 지지하게 되고, 저면이 상기 안착부재(120)에 체결수단(400)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체결수단(400)은, 상기 좌판(200)의 저면에 구비되는 너트홈(420)과, 상기 안착부재(120)에 형성되어 잠금볼트(440)가 통과되어 걸림되면서 상기 너트홈(420)에 나사결합되는 잠금볼트(440)를 안내하는 안내홀(460)로 이루어진다.
이에 조립시에는 안착부재(120)에 좌판(20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너트홈(420)과 안내홀(460)이 일체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홀(460)에 잠금볼트(440)를 통과시켜 상기 너트홈(420)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좌판(200)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10)가 힌지핀(3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210)는 상기 좌판(200)에 대해 각도조절수단(70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식 의자를 이루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700)은, 도 9 내지 도 11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좌판(200)의 단부에 구비되며 걸림턱(712)을 갖는 스프링탄지편(710)과, 상기 등받이(210)의 단부에 구비되며 회전핀(300)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외측 둘레에 상기 걸림턱(722))에 걸림 고정되는 기어(722)가 형성되는 위치 고정편(720), 및 상기 힌지핀(300)에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스프링탄지편(710)의 걸림턱(712)과 접촉시 상기 걸림턱(712)이 상기 기어(722)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접촉단(732)을 갖는 제어편(7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탄지편(710)에,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스프링(740)이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중 부호 750은 각도조절핀이며, 상기 각도조절핀(750)은 상기 위치 고정편(720)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편(730)의 잠금해제구간(734)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편(73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각도조절수단(700)을 통한 각도 조절시 접힘 상태에서 등받이(210)를 전개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면 각도조절핀(750)이 제어편(730)을 회전시켜 상기 걸림턱(712)이 상기 제어편(730)의 접촉단(732)로부터 벗어나 기어(722)에 걸림되면 최대 전개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탄지편(710)의 걸림턱(712)이 위치 고정편(720)의 기어(722)에 걸림되면서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후, 착석자가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면 등받이(210)를 좌판(200)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걸림턱(712)이 회전되는 기어(722)에 걸림되고 순차적으로 회동시키면 걸림턱(712)이 또다른 기어(722)에 걸림되면서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이후 접힘시키고자 하면 등받이(210)를 좌판(200)의 표면과 접하도록 회전시키면 접힘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접힘 상태에서 운반 및 보관을 하면 부피 최소화는 물론 좌판(200)과 등받이(210)의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착부재(120)(120a)는, 상기 직립부재(110)에 대해 높이조절수단(500)을 통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수단(500)은, 상기 직립부재(110)의 수직바(113)에 상하로 등간격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안내홀(510), 상기 안착부재(120)의 양쪽 단부에 상기 볼트안내홀(510)을 통과하는 잠금볼트(520)가 나사 조임되도록 형성된 너트고정홈(530) 및 상기 너트고정홈(530)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볼트(520)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너트(540)를 포함한다.
이에따라 높이 조절시에는, 상기 안착부재(120)의 양단에 형성된 너트고정홈(530)을 상기 직립부재(110)의 해당되는 볼트안내홀(510)에 일치시킨 다음 잠금볼트(520)로 잠금 결합시키면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좌판(200)에 쿠션이 제공되도록 함을 보인 것이다.
즉, 상기 안착부재(120)(120a) 중 후방측 안착부재(120a)가 수직하중 발생시 상기 직립부재(110)에 대해 쿠션력이 제공되도록 완충수단(600)을 구비함을 보인 것이다.
상기 완충수단(600)은, 상기 직립부재(110)의 수직바(113)에 형성된 가이드홈(610), 상기 안착부재(120a)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610)에 삽입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가이더(620), 상기 가이드홈(610)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더(620)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탄성 변형력을 가지는 스프링(6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수단(6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는 안착부재(120a)에 모두 설치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후방측 안착부재(120a)에만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좌판(200)의 전방은 상기 안착부재(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면 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좌판(200)에 착석하게 되면 좌판(200)의 후방이 완충수단(600)인 스프링(630)에 의해 쿠션력을 발생하게 된다.
도 8은 상기 완충수단(60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 내지 도 7 에서의 스프링(630)이 가스스프링(630a)으로 적용되어도 무방함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스스프링(630a)은, 가스가 저장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며 일단 피스톤이 가스 압력에 의해 이동되며 타단 로드가 상기 안착부재(120a)의 가이더(620)에 접하는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부재(120)의 하중 발생시 가스압을 통해 쿠션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안착부재(120)(120a)에 상기 좌판(20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면 상기 안착부재(120a)가 가스스프링(630a)를 이루는 피스톤로드를 누루게 되고 동시에 피스톤로드는 가스압을 통해 쿠션력을 제공하여 사용자는 안전하게 쿠션력을 제공받으며 착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프레임
110: 직립부재 111: 팔걸이바
112: 지면 지지바 113: 수직바
120,120a: 안착부재
200: 좌판
210: 등받이
400: 체결수단
420: 너트홈 440: 잠금볼트
500: 높이조절수단
510: 볼트안내홀 520: 잠금볼트
530: 너트고정홈 540: 너트
600: 완충수단
610: 가이드홈 620: 가이더
630: 스프링 630a: 가스스프링
700: 각도 조절수단

Claims (4)

  1. 의자에 있어서,
    상측에는 팔걸이바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지면 지지바가 구비되며 상기 팔걸이바와 상기 지면 지지바를 수직바로 연결시킨 한 쌍의 직립부재와, 상기 직립부재가 바닥에 세워지도록 연결하는 전후 한 쌍의 안착부재를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안착부재에 선택적으로 올려져 고정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판의 단부에 등받이가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가 상기 좌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핀을 중심으로 연결되며 더불어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좌판의 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탄성 유동되는 걸림턱을 갖는 스프링탄지편, 상기 등받이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외측 둘레에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기어가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위치 고정편, 상기 힌지핀에 결합되며 외측에 상기 스프링탄지편의 걸림턱과 접촉시 상기 걸림턱이 상기 기어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접촉단 및 상기 위치 고정편에 구비된 각도조절핀이 일정구간 이동후 걸림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잠금해제구간이 형성되는 제어편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안착부재(120)(120a) 중 후방측 안착부재(120a)가 수직하중 발생시 상기 직립부재(110)에 대해 쿠션력이 제공되도록 완충수단(600)을 구비하며;
    상기 완충수단(600)은, 상기 직립부재(110)의 수직바(113)에 형성된 가이드홈(610), 상기 안착부재(120a)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610)에 삽입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가이더(620), 상기 가이드홈(610)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더(620)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탄성 변형력을 가지는 스프링(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20004A 2015-08-26 2015-08-26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 KR101746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004A KR101746095B1 (ko) 2015-08-26 2015-08-26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004A KR101746095B1 (ko) 2015-08-26 2015-08-26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692A KR20170024692A (ko) 2017-03-08
KR101746095B1 true KR101746095B1 (ko) 2017-06-27

Family

ID=5840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004A KR101746095B1 (ko) 2015-08-26 2015-08-26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0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681B2 (ja) * 1991-09-06 2001-05-08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水添用触媒の製造法および回収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405Y1 (ko) 2000-06-02 2000-11-15 윤상원 의자 프레임
KR20100011743U (ko) 2009-05-25 2010-12-03 김진영 의자 등받이용 기능성 쿠션
KR101310154B1 (ko) 2011-02-09 2013-09-23 이준구 복수의 조립지지판으로 조립된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681B2 (ja) * 1991-09-06 2001-05-08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水添用触媒の製造法および回収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692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95881A1 (en) Articulated seating mechanism
AU2010308638B2 (en) A sitting arrangement
JP6704392B2 (ja) バランスジョイント
JP5823816B2 (ja) 腰掛の起立補助装置
US20160022044A1 (en) Flexible Substrate Assembly and Associated Furniture Using the Same
KR102028263B1 (ko)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KR101365153B1 (ko)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KR101746095B1 (ko) 좌판 분리 및 쿠션 가능한 의자
KR101922491B1 (ko) 스프링이 적용된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JP5705979B2 (ja) シート座面姿勢調整
KR200464496Y1 (ko) 다기능 낚시의자
KR101078268B1 (ko) 노약자용 변기 겸용 의자
KR20180093552A (ko) 접이식 의자의 프레임 구조
KR200340269Y1 (ko)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KR101111580B1 (ko) 의자등받이용 체결장치
KR20170024691A (ko)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형 좌식 의자
JP2009189598A (ja) 椅子
KR102104759B1 (ko) 요추전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식 의자용 좌판
JP3160015U (ja) 折りたたみ型長椅子
JP4547019B2 (ja) 椅子における座の前後摺動装置
KR20010077063A (ko) 운동기구 겸용 의자
KR100858161B1 (ko) 의자의 틸팅 장치
WO2009127493A1 (en) Space-saving collapsible piece of furniture, particularly for supporting objects and people
ITUB20154742A1 (it) Elemento di arredamento in particolare dotato almeno di una seduta
JP5597792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