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915B1 -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915B1
KR101745915B1 KR1020150056560A KR20150056560A KR101745915B1 KR 101745915 B1 KR101745915 B1 KR 101745915B1 KR 1020150056560 A KR1020150056560 A KR 1020150056560A KR 20150056560 A KR20150056560 A KR 20150056560A KR 101745915 B1 KR101745915 B1 KR 101745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unit
infrared sensor
control unit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731A (ko
Inventor
황효상
Original Assignee
황효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효상 filed Critical 황효상
Priority to KR102015005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91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1/3511Lift-slab; characterised by a purely vertical lifting of floors or roof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구조물(110), 그리고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위한 제어장치부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은, 하부의 설치 대상이 된 자가의 방(110b)과, 상부의 주거 공간에 해당되는 다른 세대의 방(110b-1) 사이에 형성되되, 슬라브 구조 형성을 위해 시멘트 콘크리트로 영구적인 구조를 형성하거나, 이동형 철골 구조물 또는 목재와 같은 이동형 구조물을 이용한 구조를 형성하는 루프탑구조물(110a); 루프탑구조물(110a)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기 순환 영역을 형성하는 환풍장치부(112); 및 설치 대상이 된 방(110b)에서 루프탑구조물(110a)로의 출입을 위한 고정식 계단, 가동식 계단, 리프트 중 하나로 형성되며, 사람이 탑승하거나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리프트로 설치된 경우 리모컨(19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옥탑 이동 구조물(111); 을 포함하며,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위한 제어장치부는, 제어부(120), 제 1 소음 측정센서(130-1) 내지 제 n 소음 측정센서(130-n)(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소음 측정센서 집합체(130), 제 1 적외선 센서(150-1) 내지 제 n 적외선 센서(150-n)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 집합체(150), 저장부(160), 경고표시부(170), 송수신부(180) 및 리모컨(190)을 포함하며, 제 1 소음 측정센서(130-1)와 제 1 적외선 센서(150-1)는 하나의 유닛 단위로 형성하며, 전단의 구분자("제 2 내지 n")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 n 소음 측정센서(130-n)와 제 n 적외선 센서(150-n) 까지 각 유닛 단위를 형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 단위가 루프탑구조물(110a) 내부에 형성되며, 제어부(120)는, 자가의 방(110b) 상부의 루프탑구조물(110a)에 형성된 하나의 유닛 단위를 이루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인체 신호가 감지된 경우, 인체 신호를 감지한 적외선 센서와 유닛 단위를 구성하는 소음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루프탑구조물(110a)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한 제 1 소음 측정정보를 수신한 뒤, 자가의 방(110b) 또는 다른 세대의 방(110b-1) 상부의 루프탑구조물(110a)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 집합체(150) 중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적외선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한 뒤, 추출된 적외선 센서와 하나의 유닛 단위를 구성하는 소음 측정센서로 소음 측정에 따른 제공 명령을 전송하여, 제공 명령을 수신한 소음 측정센서로부터 제 2 소음 측정정보를 반환받은 뒤, 제어부(120)는 제 1 소음 측정정보와 제 2 소음 측정정보의 정량적 수치를 비교값(차이값)을 연산하여,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제어부(120)는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표시부(170)로 층간 소음이 발생함을 음성 또는 영상 신호로 표시하도록 하거나, 리모컨(190)으로 층간 소음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수신부(180)를 제어하여 전송하여, 리모컨(190) 상에 층간 소음 발생 메시지가 음성, 영상 및 진동 중 하나에 의해 출력되도록 하며, 제어부(120)는, 리모컨(190)으로부터 상기 비교값을 판단하기 위한 한계치에 대한 민감도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60) 상에 저장한 뒤, 층간소음 발생 여부를 판단시 사용하며, 제어부(120)는 옥탑 이동 구조물(111)이 리프트로 설치된 경우, 리모컨(19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리프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공동주택, 그 밖의 2층 이상으로 건물을 지은 모든 숙박 시설에서 각 층별로 소음관계를 해소하여, 이웃 간의 층간 소음으로 인한 다툼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루프탑구조물을 활용함으로써, 주방 또는 욕실에는 세탁 공간으로 응접실에 해당하는 거실에는 체력 단력 공간으로 사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각 층별로 소음문제도 해결하고 공간도 활용할 수 있어서 일거양득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Hybrid surface structure for soundproof interlayer and various-purposes in multi-unit dwelling, and system for interlayer noise reduc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동주택, 그 밖의 2층 이상으로 건물을 지은 모든 숙박 시설에서 각 층별로 소음관계를 해소하여, 이웃 간의 층간 소음으로 인한 다툼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는 의식주가 반드시 필요하다. 의식주 중 거주에 필요한 주택을 지을 때 2층 이상으로 공동주택을 지을 경우에 각 층별로 소음관계로 수많은 민원이 발생하여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심지어는 위층에 사는 사람과 아랫집에 사는 이웃 간에 소음관계로 목숨을 잃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곧 이웃끼리 인정으로 살아가야 하는데 도리어 소음관계로 따뜻한 인정은 사라지고 다툼만 일어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아이들이 뛰는 소리에 해당하나 아이들이 자기 집에서도 마음 놓고 놀지를 못하고 각 층별로 소음관계로 민원이 발생하여 싸움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기술문헌]
1.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The structure for sound proof interlayer)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10944호)
2.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4315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주택, 그 밖의 2층 이상으로 건물을 지은 모든 숙박 시설에서 각 층별로 소음관계를 해소하여, 이웃 간의 층간 소음으로 인한 다툼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루프탑(rooftop)구조물을 활용함으로써, 주방 또는 욕실에는 세탁 공간으로 응접실에 해당하는 거실에는 체력 단력 공간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층별로 소음문제도 해결하고 생활용품을 보관하는 다용도실(일명, 홍익방)의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서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도록 하기 위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구조물(110), 그리고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위한 제어장치부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은, 하부의 설치 대상이 된 자가의 방(110b)과, 상부의 주거 공간에 해당되는 다른 세대의 방(110b-1) 사이에 형성되되, 슬라브 구조 형성을 위해 시멘트 콘크리트로 영구적인 구조를 형성하거나, 이동형 철골 구조물 또는 목재와 같은 이동형 구조물을 이용한 구조를 형성하는 루프탑구조물(110a); 루프탑구조물(110a)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기 순환 영역을 형성하는 환풍장치부(112); 및 설치 대상이 된 방(110b)에서 루프탑구조물(110a)로의 출입을 위한 고정식 계단, 가동식 계단, 리프트 중 하나로 형성되며, 사람이 탑승하거나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리프트로 설치된 경우 리모컨(19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옥탑 이동 구조물(111); 을 포함하며,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위한 제어장치부는, 제어부(120), 제 1 소음 측정센서(130-1) 내지 제 n 소음 측정센서(130-n)(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소음 측정센서 집합체(130), 제 1 적외선 센서(150-1) 내지 제 n 적외선 센서(150-n)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 집합체(150), 저장부(160), 경고표시부(170), 송수신부(180) 및 리모컨(190)을 포함하며, 제 1 소음 측정센서(130-1)와 제 1 적외선 센서(150-1)는 하나의 유닛 단위로 형성하며, 전단의 구분자("제 2 내지 n")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 n 소음 측정센서(130-n)와 제 n 적외선 센서(150-n) 까지 각 유닛 단위를 형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 단위가 루프탑구조물(110a) 내부에 형성되며, 제어부(120)는, 자가의 방(110b) 상부의 루프탑구조물(110a)에 형성된 하나의 유닛 단위를 이루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인체 신호가 감지된 경우, 인체 신호를 감지한 적외선 센서와 유닛 단위를 구성하는 소음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루프탑구조물(110a)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한 제 1 소음 측정정보를 수신한 뒤, 자가의 방(110b) 또는 다른 세대의 방(110b-1) 상부의 루프탑구조물(110a)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 집합체(150) 중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적외선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한 뒤, 추출된 적외선 센서와 하나의 유닛 단위를 구성하는 소음 측정센서로 소음 측정에 따른 제공 명령을 전송하여, 제공 명령을 수신한 소음 측정센서로부터 제 2 소음 측정정보를 반환받은 뒤, 제어부(120)는 제 1 소음 측정정보와 제 2 소음 측정정보의 정량적 수치를 비교값(차이값)을 연산하여,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제어부(120)는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표시부(170)로 층간 소음이 발생함을 음성 또는 영상 신호로 표시하도록 하거나, 리모컨(190)으로 층간 소음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수신부(180)를 제어하여 전송하여, 리모컨(190) 상에 층간 소음 발생 메시지가 음성, 영상 및 진동 중 하나에 의해 출력되도록 하며, 제어부(120)는, 리모컨(190)으로부터 상기 비교값을 판단하기 위한 한계치에 대한 민감도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60) 상에 저장한 뒤, 층간소음 발생 여부를 판단시 사용하며, 제어부(120)는 옥탑 이동 구조물(111)이 리프트로 설치된 경우, 리모컨(19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리프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에 있어서, 루프탑구조물(110a)과 그 상부에 형성된 다른 세대의 방(110b-1) 사이의 영역에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T-150mm 철근콘크리트, T-30mm 압축스치로폼, 온수파이프 축조물, 몰탈/강화마루장판 마감재 순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대상이 된 방(110b)의 바닥면은 최하층인 1층의 경우에는 성토다짐 위에 T-60mm 버림콘크리트, T-110 가등급 스치로폼이 형성된 뒤, T-150mm 철근콘크리트, T-30mm 압축스치로폼, 온수파이프 축조물, 몰탈/강화마루장판 마감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에 있어서, 루프탑구조물(110a)에는 선풍기, 김치 냉장고 및 체력 단력 기구를 포함하는 장치를 놓기 위해 방(110b)을 포함한 주거 공간의 천장 위치 전체에 80cm 내지 120cm 높이로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며, 루프탑구조물(110a)을 다용도 실로 사용하는 경우 높이를 100cm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은, 공동주택, 그 밖의 2층 이상으로 건물을 지은 모든 숙박 시설에서 각 층별로 소음관계를 해소하여, 이웃 간의 층간 소음으로 인한 다툼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은,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루프탑구조물을 활용함으로써, 주방 또는 욕실에는 세탁 공간으로 응접실에 해당하는 거실에는 체력 단력 공간으로 사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은, 각 층별로 소음문제도 해결하고 공간도 활용할 수 있어서 일거양득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100)에서의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100)에서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위한 제어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100)에서의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이하,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은 루프탑구조물(110a), 방(110b), 옥탑 이동 구조물(111) 그리고 환풍장치부(112)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루프탑구조물(110a)은 하부의 설치 대상이 된 방(110b)과, 상부의 주거 공간에 해당되는 다른 세대의 방(110b-1) 사이에 형성된다.
루프탑구조물(110a)은 일명 "홍익방"으로 호칭할 수 있으며, 홍익방이란 공동주택의 각 층별로 소음에 의하여 발생되는 층간소음 문제를 해소하고 이웃간에 인정을 베풀며 서로에게 이익을 주고 다용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자재, 물건 등을 보관하는 창고 역활도 할 수 있는 방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홍익방은 우리나라 한옥만이 가지는 독특한 형태의 다용도 방인 다락방과 동일 유사 또는 확대된 기능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루프탑구조물(110a)과 설치 대상이 된 방(110b) 사이에는 슬라브 구조 형성을 위해 시멘트 콘크리트로 영구적인 구조를 형성하거나, 이동형 철골 구조물 또는 목재와 같은 이동형 구조물을 이용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철거가 용이하고 필요에 의하여 설치와 제거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루프탑구조물(110a)의 구역공간의 내측을 형성하는 건축재료는 방수, 방음, 방한의 건축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와 같이 루프탑구조물(110a)과 그 상부에 형성된 다른 세대의 방(110b-1) 사이의 영역 a2에는 층간 소음 최소화를 위해 하부로부터 상부로 T-150mm 철근콘크리트, T-30mm 압축스치로폼, 온수파이프 축조물, 몰탈/강화마루장판 마감재 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설치 대상이 된 방(110b)의 바닥면은 도 2와 같이 최하층인 1층의 경우에는 영역 a1과 같이 성토다짐 위에 T-60mm 버림콘크리트, T-110 가등급 스치로폼이 형성된 뒤, 상술한 T-150mm 철근콘크리트, T-30mm 압축스치로폼, 온수파이프 축조물, 몰탈/강화마루장판 마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루프탑구조물(110a)에는 계절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선풍기, 김치 냉장고, 체력 단력 기구 등과 같은 장치를 놓기 위해 방(110b)을 포함한 주거 공간의 천장 위치 전체에 80cm 내지 120cm 높이로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루프탑구조물(110a)을 다용도 실로 사용하는 경우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높이를 100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세서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방(110b)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도 1과 같이 하나의 세대를 이루는 각 방(110b)과, 거실, 주방, 욕실, 내실 등에도 동일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주방 또는 욕실에는 세탁 공간으로 루프탑구조물(110a)을 활용할 수 있고, 응접실에 해당하는 거실에는 체력 단력 공간으로 루프탑구조물(110a)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루프탑구조물(110a)에는 환풍장치부(112), 그리고 창문을 조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기 순환 영역이 구비되어야 한다.
옥탑 이동 구조물(111)은 설치 대상이 된 방(110b)에서 루프탑구조물(110a)로의 출입을 위한 고정식 계단, 가동식 계단, 리프트 중 하나로 형성 가능하며, 사람이 탑승하거나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리프트로 설치된 경우 리모컨(19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 제어부(12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방(110b)의 상측부분에 전등설치를 위한 전선배치, 미관과 벽지도배 등을 위하여 천정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층간소음을 한번 더 방지한다.
도 3은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100)에서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위한 제어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100)은 하이브리드 구조물(110) 외에, 제어부(120), 소음 측정센서 집합체(130), 적외선 센서 집합체(150), 저장부(160), 경고표시부(170), 송수신부(180) 및 리모컨(190)을 포함한다.
여기서 소음 측정센서 집합체(130)는 제 1 소음 측정센서(130-1) 내지 제 n 소음 측정센서(130-n)(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한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 집합체(150)는 제 1 적외선 센서(150-1) 내지 제 n 적외선 센서(150-n)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소음 측정센서(130-1)와 제 1 적외선 센서(150-1)는 하나의 유닛 단위로 형성하며, 전단의 구분자("제 2 내지 n")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 n 소음 측정센서(130-n)와 제 n 적외선 센서(150-n) 까지 각 유닛 단위를 형성한다.
각 유닛 단위에서 소음 측정센서 및 적외선 센서는 루프탑구조물(110a) 내부에 형성된다.
각 적외선 센서(150-1 내지 150-n)에 의해 인체 신호가 감지된 경우, 인체 신호를 감지한 적외선 센서와 유닛 단위를 구성하는 소음 측정센서(140-1 내지 140-n)는 루프탑구조물(110a)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며, 측정된 제 1 소음 측정정보를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적외선 센서 집합체(150) 중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적외선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한 뒤, 추출된 적외선 센서와 하나의 유닛 단위를 구성하는 소음 측정센서(140-1 내지 140-n)로 소음 측정에 따른 제공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소음 측정센서로부터 제 2 소음 측정정보를 반환받는다.
이후, 제어부(120)는 제 1 소음 측정정보와 제 2 소음 측정정보의 정량적 수치를 비교값(차이값)을 연산함으로써,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경고표시부(170)로 층간 소음이 발생함을 음성 또는 영상 신호로 표시하도록 하거나, 리모컨(190)으로 층간 소음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수신부(180)를 제어하여 전송함으로써, 리모컨(190) 상에 층간 소음 발생 메시지가 음성, 영상 및 진동 중 하나에 의해 출력되도록 한다.
즉, 사람이 있는 경우의 하나의 루프탑구조물(10a)에 있어서의 제 1 소음 측정정보와, 사람이 없는 경우의 다른 루프탑구조물(10a)에 있어서의 디폴트(default)에 해당하는 소음 정보인 제 2 소음 측정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다른 세대에 의해 유발되는 소음이 아닌 방(110b)에 형성된 루프탑구조물(110a)에 의한 너무 심한 소음 유발의 경우 경고를 통해 사전에 루프탑구조물(110a)의 상부에 해당하는 다른 세대와의 민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리모컨(190)으로부터 상술한 비교값을 판단하기 위한 한계치에 대한 민감도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60) 상에 저장한 뒤, 상술한 방식으로 층간소음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110: 하이브리드 구조물
110a: 루프탑구조물
110b: 방
111: 옥탑 이동 구조물
112: 환풍장치부
120: 제어부
130: 소음 측정센서 집합체
150: 적외선 센서 집합체
160: 저장부
170: 경고표시부
180: 송수신부
190: 리모컨

Claims (6)

  1. 하이브리드 구조물(110), 그리고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위한 제어장치부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은,
    하부의 설치 대상이 된 자가의 방(110b)과, 상부의 주거 공간에 해당되는 다른 세대의 방(110b-1) 사이에 형성되되, 슬라브 구조 형성을 위해 시멘트 콘크리트로 영구적인 구조를 형성하거나, 이동형 철골 구조물 또는 목재와 같은 이동형 구조물을 이용한 구조를 형성하는 루프탑구조물(110a);
    루프탑구조물(110a)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기 순환 영역을 형성하는 환풍장치부(112); 및
    설치 대상이 된 방(110b)에서 루프탑구조물(110a)로의 출입을 위한 고정식 계단, 가동식 계단, 리프트 중 하나로 형성되며, 사람이 탑승하거나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리프트로 설치된 경우 리모컨(19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옥탑 이동 구조물(111); 을 포함하며,
    하이브리드 구조물(110)을 위한 제어장치부는, 제어부(120), 제 1 소음 측정센서(130-1) 내지 제 n 소음 측정센서(130-n)(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소음 측정센서 집합체(130), 제 1 적외선 센서(150-1) 내지 제 n 적외선 센서(150-n)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 집합체(150), 저장부(160), 경고표시부(170), 송수신부(180) 및 리모컨(190)을 포함하며, 제 1 소음 측정센서(130-1)와 제 1 적외선 센서(150-1)는 하나의 유닛 단위로 형성하며, 전단의 구분자("제 2 내지 n")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 n 소음 측정센서(130-n)와 제 n 적외선 센서(150-n) 까지 각 유닛 단위를 형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 단위가 루프탑구조물(110a) 내부에 형성되며,
    제어부(120)는, 자가의 방(110b) 상부의 루프탑구조물(110a)에 형성된 하나의 유닛 단위를 이루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인체 신호가 감지된 경우, 인체 신호를 감지한 적외선 센서와 유닛 단위를 구성하는 소음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루프탑구조물(110a)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한 제 1 소음 측정정보를 수신한 뒤, 자가의 방(110b) 또는 다른 세대의 방(110b-1) 상부의 루프탑구조물(110a)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 집합체(150) 중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적외선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한 뒤, 추출된 적외선 센서와 하나의 유닛 단위를 구성하는 소음 측정센서로 소음 측정에 따른 제공 명령을 전송하여, 제공 명령을 수신한 소음 측정센서로부터 제 2 소음 측정정보를 반환받은 뒤,
    제어부(120)는 제 1 소음 측정정보와 제 2 소음 측정정보의 정량적 수치를 비교값(차이값)을 연산하여, 비교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제어부(120)는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표시부(170)로 층간 소음이 발생함을 음성 또는 영상 신호로 표시하도록 하거나, 리모컨(190)으로 층간 소음이 발생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수신부(180)를 제어하여 전송하여, 리모컨(190) 상에 층간 소음 발생 메시지가 음성, 영상 및 진동 중 하나에 의해 출력되도록 하며,
    제어부(120)는, 리모컨(190)으로부터 상기 비교값을 판단하기 위한 한계치에 대한 민감도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60) 상에 저장한 뒤, 층간소음 발생 여부를 판단시 사용하며,
    제어부(120)는 옥탑 이동 구조물(111)이 리프트로 설치된 경우, 리모컨(19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리프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루프탑구조물(110a)과 그 상부에 형성된 다른 세대의 방(110b-1) 사이의 영역에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T-150mm 철근콘크리트, T-30mm 압축스치로폼, 온수파이프 축조물, 몰탈/강화마루장판 마감재 순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치 대상이 된 방(110b)의 바닥면은 최하층인 1층의 경우에는 성토다짐 위에 T-60mm 버림콘크리트, T-110 가등급 스치로폼이 형성된 뒤, T-150mm 철근콘크리트, T-30mm 압축스치로폼, 온수파이프 축조물, 몰탈/강화마루장판 마감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루프탑구조물(110a)에는 선풍기, 김치 냉장고 및 체력 단력 기구를 포함하는 장치를 놓기 위해 방(110b)을 포함한 주거 공간의 천장 위치 전체에 80cm 내지 120cm 높이로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며, 루프탑구조물(110a)을 다용도 실로 사용하는 경우 높이를 100cm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6. 삭제
KR1020150056560A 2015-04-22 2015-04-22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KR101745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60A KR101745915B1 (ko) 2015-04-22 2015-04-22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60A KR101745915B1 (ko) 2015-04-22 2015-04-22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31A KR20160125731A (ko) 2016-11-01
KR101745915B1 true KR101745915B1 (ko) 2017-06-12

Family

ID=5748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560A KR101745915B1 (ko) 2015-04-22 2015-04-22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9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673B1 (ko) 2022-12-06 2023-03-22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단열구조체를 이용하는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
KR102537106B1 (ko) 2022-11-11 2023-05-31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개선된 설치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9814A (ja) * 2008-04-01 2009-10-29 Misawa Homes Co Ltd 住戸および集合住宅
JP2014181496A (ja) * 2013-03-19 2014-09-29 Daiwa House Industry Co Ltd 住宅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9814A (ja) * 2008-04-01 2009-10-29 Misawa Homes Co Ltd 住戸および集合住宅
JP2014181496A (ja) * 2013-03-19 2014-09-29 Daiwa House Industry Co Ltd 住宅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106B1 (ko) 2022-11-11 2023-05-31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개선된 설치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 시스템
KR102511673B1 (ko) 2022-12-06 2023-03-22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단열구조체를 이용하는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31A (ko)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nes et al. Stochastic behavioural models of occupants' main bedroom window operation for UK residential buildings
US20210172164A1 (en) Modular housing and related systems and manufacture
KR101745915B1 (ko)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감소 및 다용도 활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시스템
HK1069419A1 (en) Residential building with staggered apartments
KR101679672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JP4185105B2 (ja) 集合住宅
KR20150086940A (ko) 층간소음 알림장치
Staritcyna et al. Energy efficiency in multi-story buildings
Guigou-Carter et al. Comparison of measured and predicted sound insulation for a thermal retrofitted building
JP5219220B2 (ja) 負荷制御システム
JP2011007593A (ja) 負荷制御システム
KR20200005976A (ko) 각 세대별 전용 옥외공간 확보가 가능한 공동주택 구조
JP2000285342A (ja) 自営型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5806869B2 (ja) 建物
JP2022075166A (ja) 住宅建物
KR101414432B1 (ko) 서비스면적 확충을 위한 공동 주택의 구조
JP2010121334A (ja) 建物
KR200410994Y1 (ko) 모기침입 방지장치
RU33542U1 (ru) Мобильный санитарный блок
KR200214899Y1 (ko) 공동주택의 최상층 구조
Ahsen et al. Noise Control In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Context Of National Regulation And An Example
Alobaidy THE EFFICIENCY OF SOUND INSULATION OF MODERN BUILDINGS
KR20240045683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이동식 스마트 간이구조물
JP2015203292A (ja) 住宅
JP2017106230A (ja) 多層長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