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626B1 -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626B1
KR101744626B1 KR1020150057390A KR20150057390A KR101744626B1 KR 101744626 B1 KR101744626 B1 KR 101744626B1 KR 1020150057390 A KR1020150057390 A KR 1020150057390A KR 20150057390 A KR20150057390 A KR 20150057390A KR 101744626 B1 KR101744626 B1 KR 101744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etection
banknote
base
detec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390A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to KR1020150057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62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 G07D7/164Thickness
    • G07D11/0084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2Testing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처리기의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안내판(15)으로 지폐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투입부(10); 상기 안내판(15)의 이송경로에 다수의 인덕턴스 센서(25)를 지니고, 이에 대향하도록 각각의 검출자(23)를 지지하는 베이스(20); 상기 이송경로에서 지폐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베이스(20)에 일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검출롤러(30); 상기 이송경로에서 지폐의 타면에 접촉하도록 검출롤러(30)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구동롤러(40); 및 상기 검출롤러(30) 상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제진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지폐계수기 등에서 지폐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테이프가 감긴 것을 선별하는 작동의 정확성은 물론 장기간에 걸쳐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taped banknotes}
본 발명은 지폐와 같은 매체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폐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테이프가 감긴 것을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폐와 같은 매체를 취급하는 티켓발권기, 복권발행기, 계수기 등에 있어서 매체를 처리하는 작동의 신속성과 정확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지폐 계수기의 경우 가장 널리 보급되어 보편화된 ATM이면서도 신속ㆍ정확성 측면에서 매우 높은 신뢰성을 요한다. 다만, 손상된 지폐에 테이프가 부착된 경우 처리 과정의 오류를 유발하므로 별도로 선별하는 부가적 기능도 겸비해야 한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94426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56949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테이프권 검출장치로, 초음파를 만들어서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와, 상기 송신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초음파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테이프가 붙여진 위치, 길이 및 폭을 검출하는 분석/검출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지폐 등 유가증권에 부착된 테이프를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검출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에 의하면 초음파 센서의 감도가 예민하여 습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급속한 신뢰성 변동을 나타내면서 고가이므로 실용적 설계에 한계성을 보인다.
선행문헌 2는 두 도체판 사이에서 주기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주기파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와, 상기 주기파 수신 도체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정렬하여 A/D 컨버팅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지폐를 테이프권으로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유가 증권 형태의 지폐에 테이프의 부착 여부를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검출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에 의하면 구조적 안정성이 미흡하여 유격과 진동에 의한 떨림 등으로 정확성이 저하되고 미세 먼지의 누적에 의하여 작동 신뢰성 유지가 곤란한 단점을 나타낸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94426호 "초음파를 이용한 테이프권 검출장치 및 그 방법" (공개일자 : 2008. 10. 23.)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56949호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테이프권 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공개일자 : 2010. 7. 2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계수기 등에서 지폐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테이프가 감긴 것을 선별하는 작동의 정확성은 물론 장기간에 걸쳐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체처리기의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안내판으로 지폐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투입부; 상기 안내판의 이송경로에 다수의 인덕턴스 센서를 지니고, 이에 대향하도록 각각의 검출자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이송경로에서 지폐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베이스에 일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검출롤러; 상기 이송경로에서 지폐의 타면에 접촉하도록 검출롤러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검출롤러 상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제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베이스는 다수의 조인트와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변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검출롤러는 각각의 지지축에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인접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검출자와 결합되는 검출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롤러는 양단에 피동풀리를 지닌 구동축 상에 다수로 결합되고, 각각의 피동풀리에 구동풀리와 아이들풀리를 대칭적으로 연결하여, 회전 구동시 구동롤러의 양단에서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롤러는 안내판에 대한 기준점의 축방향 흔들림이 없도록 구동축의 적어도 일단에서 베어링을 부시와 브라켓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진판은 고정편에서 검출롤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편, 수직편 상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연장되는 경사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계수기 등에서 지폐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테이프가 감긴 것을 선별하는 작동의 정확성은 물론 장기간에 걸쳐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치된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를 결합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동롤러에 대한 개략적 설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판을 다양한 자세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어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매체처리기의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를 검출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매체처리기는 지폐 계수기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티켓발권기, 복권발행기 등의 여타 ATM 기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테이프권 지폐는 손상된 지폐에 테이프를 부착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부(10)가 안내판(15)으로 지폐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도 1에서 부호 M은 매체인 지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히 테이프권 지폐로 가정한다. 투입부(10)는 낱장 또는 다량으로 투입된 매체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부분이다. 안내판(15)은 투입부(10)의 지폐 투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지폐를 설정된 경로로 이송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20)가 상기 안내판(15)의 이송경로에 다수의 인덕턴스 센서(25)를 지니고, 이에 대향하도록 각각의 검출자(23)를 지지하는 구조를 지닌다. 베이스(20)는 고강도 소재를 사용하여 지폐의 장변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한다. 베이스(20) 상에는 다수의 제1통공(21)을 일직선 상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제1통공(21)의 양측으로 2개의 제2통공(22)을 일직선 상으로 형성한다. 인덕턴스 센서(25)는 코일에 전류를 흘려 자기장 변화를 유도하는 방식으로서 베이스(20)의 일면(외면)에 제1통공(21)과 각각 대응하도록 결합된다. 인덕턴스 센서(25)의 외면에는 전선(도시 생략)이 결선된다. 다수의 금속성 검출자(23)는 인덕턴스 센서(25)에 대향하여 인덕턴스 변화를 유발하도록 베이스(20)의 제1통공(21)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서 검출자(23)는 2단 구조이면서 직경이 작은 부분에 나선을 형성한 형태로 예시한다.
도 6(a)를 참조하여 검출 원리를 부연 설명하면, 검출자(23)의 외측으로 판스프링(23a)이 배치되고 인덕턴스 센서(25)의 안테나(65)가 판스프링(23a)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지폐(M)의 테이프(T)가 검출롤러(30)를 통과하면 검출자(23)가 판스프링(23a)을 밀어 안테나(65)와의 거리가 부호 A에서 B로 좁아지면서 안테나(65) 측에 발생되는 역기전력이 커지고 이에 따라 인덕턴스는 작아진다. 도 6(b)에서 제어기판(60)의 부호 N1 내지 N12로 표시한 안테나(65)가 각각의 판스프링(23a)과 대향하도록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c)에서 매체(M)의 테이프(T)가 N3, N4, N6, N7, N8의 안테나(65)를 통하여 감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베이스(20)는 다수의 조인트(26)와 스프링(28)을 개재하여 탄성변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20)를 안내판(15)에 결합함에 있어서 탄성력을 받는 조인트(26) 방식을 적용한다. 도 2에서 베이스(20)의 양단에 각각 2개의 조인트(26)가 도시되고, 도 1에서 조인트(26)의 헤드에 스프링(28)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후술하는 구동롤러(40)의 요동으로 베이스(20)와 평행도가 맞지 않으면 인덕턴스 검출의 정확성이 저하된다. 이에 베이스(20)를 스프링(28)에 의한 탄성변위 상태로 결합하여 구동롤러(40)와의 평행도를 항시 설정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롤러(30)가 상기 이송경로에서 지폐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베이스(20)에 일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이다. 검출롤러(30)와 구동롤러(40)는 안내판(15)의 이송경로에 밀착 상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검출롤러(30)의 일방향 왕복운동은 제1통공(21)에 대응한 축방향 직선운동 외에 어느 운동도 배제하여 검출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검출롤러(30)는 각각의 지지축(31)에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인접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검출자(23)와 결합되는 검출봉(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와 같이 2개의 검출롤러(30)가 몸체 상의 지지축(31)에 베어링(37)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유니트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에서 지지축(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검출봉(33)과 안내봉(32)이 형성된다. 검출봉(33)은 베이스(20)의 제1통공(21)에 수용되어 검출자(23)와 결합된다. 안내봉(32)은 베이스(20)의 제2통공(22)에 수용되어 유니트의 불필요한 회동을 억제한다. 이러한 검출롤러(30)의 유니트는 도 2 및 도 3처럼 베이스(20)의 제1통공(21)에 각각 대응하도록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베이스(20)와 각각의 검출롤러(30) 사이에는 스프링(35)이 설치된다.
이에, 본 발명의 상기한 방식에 의하면 안내판(15)을 통과하는 지폐에 부착된 테이프가 매우 작거나, 복수이거나, 두께의 편차가 있더라도 특정의 검출롤러(30)에 의하여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베이스(20)를 기반으로 인덕턴스 센서(25), 검출자(23), 검출롤러(30)가 은폐되므로 지폐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먼지를 침입과 누적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롤러(40)가 상기 이송경로에서 지폐의 타면에 접촉하도록 검출롤러(30)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구조이다. 구동롤러(40)는 안내판(15) 상에서 지폐에 대한 이송력을 인가하도록 다수의 풀리와 벨트(46)를 이용하여 모터(도시 생략)와 연결된다. 검출롤러(30)와 구동롤러(40)가 지폐의 일면과 타면을 밀착하는 힘은 스프링(35)에 의하여 인가되고 조절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롤러(40)는 양단에 피동풀리(42)를 지닌 구동축(41) 상에 다수로 결합되고, 각각의 피동풀리(42)에 구동풀리(43)와 아이들풀리(44)를 대칭적으로 연결하여, 회전 구동시 구동롤러(40)의 양단에서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롤러(40)는 하나의 구동축(41) 상에 각각의 검출롤러(30)와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구동축(41)의 일단에 배치된 피동풀리(42)에는 구동풀리(43)와 벨트(46)가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받는다. 이와 같은 편심된 구동 방식에 의하면 구동축(41)의 요동에 의하여 베이스(20)와의 평행도를 저하시킨다. 이에, 구동축(41)의 타단에도 피동풀리(42), 아이들풀리(44), 벨트(46)를 동일한 방식으로 대칭적으로 구성하면 불필요한 흔들림을 제거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롤러(40)는 안내판(15)에 대한 기준점의 축방향 흔들림이 없도록 구동축(41)의 적어도 일단에서 베어링(47)을 부시(48)와 브라켓(49)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구동롤러(40)의 구동축(41)을 안내판(15)에 설치하는 방식을 예시한다. 구동축(41)의 일단에는 플랜지형 베어링(47)을 타단에는 일반형 베어링(47)을 설치한다. 플랜지형 베어링(47)은 브라켓(49)을 이용하여 안내판(15)에 고정한다. 플랜지형 베어링(47)과 피동풀리(42) 사이에는 부시(48)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구동축(41)의 축방향 유동을 억제하여 기준점을 유지하므로 결과적으로 검출롤러(30), 검출자(23), 인덕턴스 센서(25)에 의한 검출 정확성을 높인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설계 요소가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므로 주요 작동부의 가공공차, 조립공차 등에 의한 영향이 적어 테이프권 검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진판(50)이 상기 검출롤러(30) 상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제진판(50)은 검출롤러(30)에 부착된 미세 먼지 등을 분리하여 검출자(23)와 인덕턴스 센서(25)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종래와 같이 제진판(50)을 하나의 판재로 형성하면 강성이 약하여 미세 먼지와 마찰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진동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진판(50)은 고정편(51)에서 검출롤러(3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편(53), 수직편(53) 상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연장되는 경사편(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편(51)은 검출롤러(30)의 중심에 고정되고, 수직편(53)은 고정편(51)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검출롤러(30)에 반경방향으로 접촉하고, 경사편(55)은 수직편(53)에서 약 45˚로 절곡되어 검출롤러(30)에 경사진 방향으로 접촉한다. 이에 도 5(c)와 같이 일차적으로 경사편(55)에서 이물질을 낙하시키고 수직편(53)에서 검출롤러(30)에 부착된 미세 먼지를 분리시킨다. 고정편(51), 수직편(53), 경사편(55)가 다단으로 절곡된 상태이므로 강성이 높아져 불필요한 진동이 억제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투입부 15: 안내판
20: 베이스 21, 22: 통공
23: 검출자 25: 인덕턱스 센서
26: 조인트 28: 스프링
30: 검출롤러 31: 지지축
32: 안내봉 33: 검출봉
40: 구동롤러 41: 구동축
42: 피동풀리 43: 구동풀리
44: 아이들풀리 46: 벨트
48: 부시 50: 제진판
53: 수직편 55: 경사편
60: 제어기판 65: 안테나

Claims (6)

  1. 매체처리기의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안내판(15)으로 지폐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투입부(10);
    상기 안내판(15)의 이송경로에 다수의 인덕턴스 센서(25)를 지니고, 이에 대향하도록 각각의 검출자(23)를 지지하는 베이스(20);
    상기 이송경로에서 지폐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베이스(20)에 일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검출롤러(30);
    상기 이송경로에서 지폐의 타면에 접촉하도록 검출롤러(30)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구동롤러(40); 및
    상기 검출롤러(30) 상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제진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20)는 다수의 조인트(26)와 스프링(28)을 개재하여 탄성변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롤러(30)는 각각의 지지축(31)에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인접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검출자(23)와 결합되는 검출봉(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40)는 양단에 피동풀리(42)를 지닌 구동축(41) 상에 다수로 결합되고, 각각의 피동풀리(42)에 구동풀리(43)와 아이들풀리(44)를 대칭적으로 연결하여, 회전 구동시 구동롤러(40)의 양단에서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40)는 안내판(15)에 대한 기준점의 축방향 흔들림이 없도록 구동축(41)의 적어도 일단에서 베어링(47)을 부시(48)와 브라켓(49)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진판(50)은 고정편(51)에서 검출롤러(3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편(53), 수직편(53) 상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연장되는 경사편(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KR1020150057390A 2015-04-23 2015-04-23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KR101744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390A KR101744626B1 (ko) 2015-04-23 2015-04-23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390A KR101744626B1 (ko) 2015-04-23 2015-04-23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390A KR20160126390A (ko) 2016-11-02
KR101744626B1 true KR101744626B1 (ko) 2017-06-20

Family

ID=5751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390A KR101744626B1 (ko) 2015-04-23 2015-04-23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1751B (zh) * 2016-11-21 2019-04-12 杭州科凡电子有限公司 一种金融机具设备单路测币机构
CN107481397B (zh) * 2017-08-02 2023-09-0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传输通道装置及自助金融设备及纸币传输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124A (ja) 1999-04-19 2000-11-02 Oki Joho Systems:Kk 券発行装置
JP2010128688A (ja) 2008-11-26 2010-06-1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紙幣識別装置
JP2014169164A (ja) * 2013-03-05 2014-09-18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紙幣判定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124A (ja) 1999-04-19 2000-11-02 Oki Joho Systems:Kk 券発行装置
JP2010128688A (ja) 2008-11-26 2010-06-1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紙幣識別装置
JP2014169164A (ja) * 2013-03-05 2014-09-18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紙幣判定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390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2981B2 (en) Thickness measurement device for sheet-type medium
RU25681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магнит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для листов бумаги
US8201453B2 (en) Medium fatigue detection apparatus and medium fatigue detection method
JP5879287B2 (ja)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紙幣判定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US10247535B2 (en) Hall detection device for thickness of sheet medium
CN102968847B (zh) 纸页类的厚度检测装置以及纸币处理装置
US9897443B2 (en) Thickness detection device for sheet medium
KR101744626B1 (ko) 테이프권 지폐 검출장치
WO2014114056A1 (zh) 一种磁浮式薄片类介质厚度检测装置
US6903358B2 (en) Paper thickness detecting device
KR100547431B1 (ko) 매체의 두께검지장치
CN103136841B (zh) 便于清除卡堵的厚度检测装置
JP2002321849A (ja) 紙葉類厚さ検知装置及び現金自動取扱装置
CN204508299U (zh) 薄片类介质厚度检测机构及薄片类介质处理装置
JP2002090103A (ja) 紙葉類の厚さ検知装置
CN201081688Y (zh) 一种模块化纸币测厚装置
KR101983301B1 (ko) 지폐 두께 검지 장치
TWI645374B (zh) 檢測平面狀物體厚度和厚度變化之設備
KR20130075913A (ko) 반송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매검지장치
JP2023026361A (ja) 磁気識別センサおよび紙媒体識別装置
KR20100081632A (ko) 전자기 유도식 종이류 두께 측정장치
JP2018032228A (ja) 厚さ検出装置、媒体鑑別装置、及び、媒体取扱装置
KR100533280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 두께검지장치
JP4296813B2 (ja) 媒体厚さ検出構造
JP2019172413A (ja) 厚み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