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584B1 -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 - Google Patents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584B1
KR101744584B1 KR1020160156142A KR20160156142A KR101744584B1 KR 101744584 B1 KR101744584 B1 KR 101744584B1 KR 1020160156142 A KR1020160156142 A KR 1020160156142A KR 20160156142 A KR20160156142 A KR 20160156142A KR 101744584 B1 KR101744584 B1 KR 101744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roller
steel band
lock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원
Original Assignee
장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원 filed Critical 장진원
Priority to KR102016015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이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스트랩(31)의 일측단에는 잠금뭉치(40)가 결합되고, 상기 잠금뭉치(40)는 2개의 안치부(41)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치부(41)의 입구에는 걸림막(42)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41)의 내부에는 스트랩(31)과의 사이에서 선접촉부(LC)가 형성되는 2개의 롤러(50)가 각각 안착되며, 상기 안치부(41)의 외측 양쪽에는 걸림공(45)이 형성된 저면부(44)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44)는 안치부(41)의 직하방으로 절곡되되, 절곡된 저면부(44)는 잠금뭉치(4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일정한 각도(θ)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트랩(3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되는 일정한 각도(θ)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5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끼움공(51)이 형성되며, 이격된 2개의 안치부(41)에서 서로 대면하는 안치부(41)의 외벽에는 관통공(43)이 형성됨으로써, 안치부(41)의 내부에 안착된 롤러(50)의 끼움공(51)에 고리(52)의 끝단이 장착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The angle pressue type steel band using locking roller}
본 발명은 스틸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 결착시 압착력 증대를 위하여 2개로 분할된 안치부의 내부에 선접촉식 롤러를 각각 장착하고, 스트랩은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되도록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에는 고리를 장착하여 스틸 밴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한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결속 밴드는 환풍기, 덕트분야에서 주름관 등을 배관에 연결할 때 사용된다. 종래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였으나, 재질의 특성상 열이 발생되는 장소에서는 열변형에 의하여 결착력이 느슨해 지거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플라스틱이 삭아버림으로써, 조임이 느슨해지는 일이 발생되어 송풍되는 바람이 세어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나사식 스틸 밴드의 사시도로서, 앞서 설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 타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나사식밴드(10)의 재질은 스틸이다. 그러므로 열에 의하여 삭아버리거나, 인장력이 상실되어 결착력이 느슨해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 타이의 단점이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도 1에서 보듯이 종래 나사식밴드(10)의 경우 밴드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형성된 결합구(11)에 나사(12)를 조임하는 구성이며, 실제 작업이 천장에 매달린 기존의 환풍시설에 배관(20) 또는 주름관 등을 연결하는 작업을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작업자가 머리를 뒤로 제친 상태에서 천장을 보면서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것음을 고려할 때,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고단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나사식밴드(10)를 배관(20)에 최종적으로 결착하기 위해서는 통상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여 임의로 느슨하게 결합한 다음, 나사식밴드(10)를 최종적으로 장착하고, 이후 임의로 결합된 케이블 타이를 끊어버리는 작업방식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1개소의 연결 지점에 케이블 타이와 나사식밴드(10)가 2개 소모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타이와 나사식 스틸 밴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원터치 방식으로 배관 연결이 가능하도록 경사면을 갖는 2개의 안치부의 내부에 선접촉식 롤러를 각각 장착하고, 스트랩은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되도록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에는 고리를 장착하여 스틸 밴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한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의 구체적인 구성은, 스트랩(31)의 일측단에는 잠금뭉치(40)가 결합되고, 상기 잠금뭉치(40)는 2개의 안치부(41)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치부(41)의 입구에는 걸림막(42)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41)의 내부에는 스트랩(31)과의 사이에서 선접촉부(LC)가 형성되는 2개의 롤러(50)가 각각 안착되며, 상기 안치부(41)의 외측 양쪽에는 걸림공(45)이 형성된 저면부(44)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44)는 안치부(41)의 직하방으로 절곡되되, 절곡된 저면부(44)는 잠금뭉치(4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일정한 각도(θ)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트랩(3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되는 일정한 각도(θ)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5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끼움공(51)이 형성되며, 이격된 2개의 안치부(41)에서 서로 대면하는 안치부(41)의 외벽에는 관통공(43)이 형성됨으로써, 안치부(41)의 내부에 안착된 롤러(50)의 끼움공(51)에 고리(52)의 끝단이 장착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를 사용하게 되면, 열이 발생되는 환풍기에 주름관을 비롯한 배관(20)을 연결하는 고소 작업시에 스틸 밴드의 결합이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이 편리하게 진행될 뿐 아니라, 스트랩(31)의 표면을 롤러(50)에 의한 선접촉부(LC) 방식으로 밀착함으로써, 종래의 구슬형 잠금볼을 이용한 점접촉부 방식보다 잠금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데다,
배관(20)과 면접촉되는 스트랩(31)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θ)를 형성하고, 잠금뭉치(40)의 저면부(44)를 일정한 각도(θ)로 형성함으로써, 경사각(θ)에서 비롯된 탄성력으로 인해 종래의 평평한 타입의 스트랩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압착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1개로 형성된 안치부를 본 발명에서는 2개로 분할하여 형성한 다음, 안치부(41)에 각각 롤러(50)를 장착한 상태에서 고리(52)를 롤러(50)에 끼움으로써, 잠금 해제시 고리(52)를 잡아당기면 롤러(50)가 이동되면서 잠금력이 용이하게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구슬형 잠금볼이 적용된 스틸 밴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해 구슬형 잠금볼과 잠금뭉치의 사이를 이격하기 위해 별도의 뾰족한 기구를 이용하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현저한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나사식 스틸 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중 잠금뭉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중 고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중 롤러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의 가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와 부합되지 않는 부연 설명에 지나지 않을 경우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밴드(30)는 배관(20)의 외주면으로 스트랩(31)이 감싸지면서 스트랩(31)의 선단부(32)가 잠금뭉치(40)를 통과한다. 이때 작업자가 스트랩(31)의 선단부(32)에 형성된 견인공(33)에 별도의 기구를 삽입하여 강력한 힘으로 스트랩(31)을 잡아 당기면, 매우 간단한 원터치 방식으로 스틸 밴드가 결착되는 것이다.
도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트랩(31)이 구비되고, 상기 스트랩(31)의 말단부(34)가 도 3에 ①번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잠금뭉치(40)에 관통된 다음,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스트랩(31)의 말단부(34)에 형성된 "ㄷ"자 형상의 걸림구(35)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뭉치(40)의 저면부(44)에 형성된 걸림공(45)에 끼워지면서, 결국 스트랩(31)의 일측단이 잠금뭉치(40)와 결합되고, 스트랩(31)의 선단부(32)는 도 3에 ②번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잠금뭉치(40)에 끼워짐으로써, 간단하고 편리하게 본 발명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중 잠금뭉치(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배관(20)을 감싸면서 장착된 스트랩(31)에 고정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잠금뭉치(40)이다. 상기 잠금뭉치(40)는 도 4의 (a)에서 보듯이 사전에 펀치와 프레스와 같은 종래 기술을 통해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 다음, 절곡을 하면서 도 4의 (b)에서와 같이 입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뭉치(40)의 구성은 2개의 롤러(50)가 각각 안착되도록 2개의 안치부(41)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41)의 입구에는 걸림막(42)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막(42)은 절곡되어 안치된 롤러(50)가 4의 (b)에서와 같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안치부(41)의 외측 양쪽에는 걸림공(45)이 형성된 저면부(44)가 마련되어, 상기 저면부(44)를 안치부(41)의 직하방으로 절곡하되, 도 4의 (b)에서와 같이 절곡된 저면부(44)는 잠금뭉치(4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일정한 각도(θ)로 하향 경사지게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중 고리(52)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에서 보듯이 고리(52)는 안치부(41)에 장착된 롤러(50)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롤러(50)에 의하여 스트랩(31)이 잠금 상태가 되면, 이를 용이하게 해제하고자 롤러(5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바, 이때 롤러(50)와 연결된 고리(52)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당기면 스트랩(31)의 잠금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는 것이다.
이렇듯 고리(52)의 장착을 위해 롤러(5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롤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끼움공(51)이 형성되고, 이격된 2개의 안치부(41)에서 서로 대면하는 안치부(41)의 외벽에는 고리(52)의 끝단을 끼우기 위한 관통공(43)이 형성되어, 도 5의 (b)에서와 같이 안치부(41)의 내부에 안착된 롤러(50)의 끼움공(51)에 고리(52)의 끝단이 장착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중 롤러(5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표시한 A-A의 대표 단면도로서, 안치부(41)의 내부에서 롤러(50)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 단면도이다.
즉, 도 6의 (a)에서와 같이 배관(20)을 감싸고 있는 스트랩(31)의 선단부(32)를 작업자가 ①번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롤러(50)의 움직임은 도 6의 (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안치부(41)의 내부에서 ②번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트랩(31)이 배관(20)을 압박하면서 조일 수 있게 된다.
스트랩(31)을 통한 배관(20)의 결착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잡고 있던 스트랩(31)의 선단부(32)를 놓게 된다. 이때 롤러(50)의 움직임은 스트랩(31)과 배관(20) 사이에 존재하는 반발력으로 인해, 도 6의 (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안치부(41)의 내부에서 ③번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롤러(50)의 상면은 안치부(41)에서 높이가 좁아지도록 형성된 후방의 경사면과 맞닿는 지지점(SP)에서 잠금에 대한 버팀력이 발생될 뿐 아니라, 롤러(50)의 하면은 스트랩(31)과 맞닿되, 롤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접촉부(LC, 도 7의 (c) 참조)를 형성하면서 맞닿음으로써, 스트랩(31)에 대한 롤러(50)의 압착력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경사면을 갖는 안치부(41)가 형성된 잠금뭉치(40)의 구성을 이용하되, 안치부(41)의 내부에 구슬형 잠금볼을 내장하는 방식으로 잠금 기능을 수행하였으나, 구슬형 잠금볼의 경우 스트랩과 맞닿는 부분이 점접촉임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롤러(50)에 의한 선접촉부(LC) 방식은 종래의 점접촉부 방식보다 잠금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의 가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표시한 B-B의 대표 단면도로서 배관(20)을 감싸고 있는 스트랩(31)을 잡아당기면 도 7의 (a)와 같이, 잠금뭉치(40)에서 일정한 각도(θ)로 경사진 저면부(44)의 양측단과 배관(20)이 맞닿는 작용점(AP)이 생성된다.
이때, 잠금에 대한 압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스트랩(31)을 계속 잡아당기면, 도 7의 (a), (b)에서 순차적으로 보여 주듯이 잠금뭉치(40)는 작용점(AP)을 기준으로 ①,②번 화살표 방향처럼 배관(20)의 외주면을 향해 하방으로 움직이면서 압착력이 점점 증대되는바, 최종적으로 도 7의 (c)와 같이 배관(20)과 잠금뭉치(40)의 저면부(44)가 수평하게 맞닿으면서 압착력이 최고점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배관(20)을 감싸는 스트랩(31)의 압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잠금뭉치(40)의 저면부(44)를 일정한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할 뿐 아니라, 도 3의 원내확대도에 도시한 스트랩(31)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스트랩(31)에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되는 일정한 각도(θ)를 형성함으로써, 경사각(θ)에서 비롯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종래의 평평한 타입의 스트랩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압착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를 사용하게 되면, 열이 발생되는 환풍기에 주름관을 비롯한 배관(20)을 연결하는 고소 작업시에 스틸 밴드의 결합이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이 편리하게 진행될 뿐 아니라, 스트랩(31)의 표면을 롤러(50)에 의한 선접촉부(LC) 방식으로 밀착함으로써, 종래의 구슬형 잠금볼을 이용한 점접촉부 방식보다 잠금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데다,
배관(20)과 면접촉되는 스트랩(31)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θ)를 형성하고, 잠금뭉치(40)의 저면부(44)를 일정한 각도(θ)로 형성함으로써, 경사각(θ)에서 비롯된 탄성력으로 인해 종래의 평평한 타입의 스트랩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압착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1개로 형성된 안치부를 본 발명에서는 2개로 분할하여 형성한 다음, 안치부(41)에 각각 롤러(50)를 장착한 상태에서 고리(52)를 롤러(50)에 끼움으로써, 잠금 해제시 고리(52)를 잡아당기면 롤러(50)가 이동되면서 잠금력이 용이하게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구슬형 잠금볼이 적용된 스틸 밴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해 구슬형 잠금볼과 잠금뭉치의 사이를 이격하기 위해 별도의 뾰족한 기구를 이용하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현저한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10 : 나사식밴드
11 : 결합구
12 : 나사
20 : 배관
30 : 원터치밴드
31 : 스트랩
32 : 선단부
33 : 견인공
34 : 말단부
35 : 걸림구
40 : 잠금뭉치
41 : 안치부
42 : 걸림막
43 : 관통공
44 : 저면부
45 : 걸림공
50 : 롤러
51 : 끼움공
52 : 고리
AP : 작용점
LC : 선접촉부
SP : 지지점
θ : 각도

Claims (3)

  1. 스트랩(31)의 일측단에는 잠금뭉치(40)가 결합되고, 상기 잠금뭉치(40)는 2개의 안치부(41)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치부(41)의 입구에는 걸림막(42)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41)의 내부에는 스트랩(31)과의 사이에서 선접촉부(LC)가 형성되는 2개의 롤러(50)가 각각 안착되며, 상기 안치부(41)의 외측 양쪽에는 걸림공(45)이 형성된 저면부(44)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44)는 안치부(41)의 직하방으로 절곡되되, 절곡된 저면부(44)는 잠금뭉치(4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일정한 각도(θ)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3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되는 일정한 각도(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5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끼움공(51)이 형성되고, 이격된 2개의 안치부(41)에서 서로 대면하는 안치부(41)의 외벽에는 관통공(43)이 형성됨으로써, 안치부(41)의 내부에 안착된 롤러(50)의 끼움공(51)에 고리(52)의 끝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
KR1020160156142A 2016-11-23 2016-11-23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 KR101744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142A KR101744584B1 (ko) 2016-11-23 2016-11-23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142A KR101744584B1 (ko) 2016-11-23 2016-11-23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584B1 true KR101744584B1 (ko) 2017-06-08

Family

ID=5922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142A KR101744584B1 (ko) 2016-11-23 2016-11-23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5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671B1 (ko) 2005-03-10 2005-12-23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이탈방지혀가 형성된 볼타입 케이블타이
KR200458257Y1 (ko) 2009-10-27 2012-01-31 박윤 호스 고정 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671B1 (ko) 2005-03-10 2005-12-23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이탈방지혀가 형성된 볼타입 케이블타이
KR200458257Y1 (ko) 2009-10-27 2012-01-31 박윤 호스 고정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0930B2 (en) Quick-connect/quick-disconnect conduit connectors
US4191334A (en) Cable tie
US20110167594A1 (en) Plastic clamp
US10316991B2 (en) Wide range edge mounting clamp
JP2020056501A (ja) 複数の設置オプションを有する調整可能なpクランプ
US20200072392A1 (en) Clamp and work apparatus having said clamp
US20050184524A1 (en) Quick-connect/quick-disconnect conduit connectors
KR100222066B1 (ko) 재사용 가능한 개방식 클램프 구조물
US20140284432A1 (en) Releasable securing mechanism
US11098493B2 (en) Compression post with retainer clip
USRE31689E (en) Cable tie
JPH07198078A (ja) 鋸歯状鎖錠装置を備えたクランプ構造体
KR101744584B1 (ko) 롤러 잠금형 경사 가압식 스틸 밴드
JP2005030528A (ja) 2重渦巻き型クランプ金具
JP6637080B2 (ja) ホースクランプ
CN107035748A (zh) 夹紧装置
CN115916354A (zh) 消防管道固定装置
US9644773B2 (en) Hose clamp
KR101558158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JP6317441B2 (ja) 結束バンド
JP6037227B2 (ja) 結束バンド
JP6097161B2 (ja) 結束バンドおよび結束具
CA2481469A1 (en) Hose clamp with internal clamping surfaces devoid of gaps, steps or discontinuities
KR101845055B1 (ko) 케이블 타이 조임장치
CN109790950B (zh) 用于对管道中的泄露部进行密封的密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