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158B1 -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158B1
KR101558158B1 KR1020150098994A KR20150098994A KR101558158B1 KR 101558158 B1 KR101558158 B1 KR 101558158B1 KR 1020150098994 A KR1020150098994 A KR 1020150098994A KR 20150098994 A KR20150098994 A KR 20150098994A KR 101558158 B1 KR101558158 B1 KR 10155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ole
inner diameter
hanger
horizont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영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98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벽체와 조적벽체를 타이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벽체(20)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채널(30); 클레비스연결부(42)(52)를 갖는 한 쌍의 슬라이더(40)(50); 슬라이더(40)(50)를 수평채널(3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44)(54); 각형구멍(61)이 형성된 허브(62)가 중심에 형성되고, 핀구멍(63h)(64h)(65h)을 갖는 클로지지부(63)(64)(65)가 허브(62)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된 행거(60); 벽돌구멍(22)의 상부 모서리에 얹히는 복수의 행거발(66)(67)(68); 일측단에는 벽돌구멍(2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캠가압부(70a)(72a)(74a)가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조임력을 가하기 위해 작용부(70b)(72b)(74b)가 형성된 내경고정클로(70)(72)(74); 각형구멍(61)으로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각형삽입부(82)를 갖고, 내경고정클로(70)(72)(74)의 작용부(70b)(72b)(74b)와 만나서 힘을 전달하는 원추부(84)가 각형삽입부(82) 상단에 형성되며, 중공홀(86)을 갖는 테이퍼핀(80); 허브(62)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걸림편(69); 각형삽입부(8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걸림편(69)에 걸리는 톱니부(88); 중공홀(86)로 삽입되는 바연결핀(90); 및 일측단은 바연결핀(90)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클레비스연결부(42)(52)에 각각 연결되는 인장바(92)(9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Coupling Device between Apartment Inner Wall and Masonry Wall}
본 발명은 내부벽체와 조적벽체 간을 서로 결속하는데 이용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적벽체를 시공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내부벽체와 조적벽체를 타이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을 일정한 패턴으로 쌓아서 만드는 조적벽체는 모르타르를 이용해서 접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작업현장으로의 운반이 편리하고 취급이 간편하기 때문에 골조 공사 후 내하중이 실리지 않는 내부벽체시공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조적벽체의 표면에 홈을 파내거나 천공하는 작업이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간단하여 각종 배관을 간단히 매설할 수 있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조적벽체는 내부벽체와의 사이에 단열재를 두고 설치하는 경우 조적벽돌과 내부벽체 사이를 모르타르로 접합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양측을 기구적으로 결속하는 연결장치를 이용해서 조적벽체와 내부벽체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조적벽체 연결장치의 일예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를 참조하면 홈(1a)(1b)(1c)과 돌기(2)를 갖는 요철(凹凸) 형태의 단면모양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끼움판(1)을 조적벽돌(3)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루프형태로 말린 강선고리(4)의 단부를 벌려서 내부벽체(5)에 고정된 브래킷(6)의 걸림판(7)에 끼워서 건 다음 강선고리(4)의 단부를 와이어끼움판(1)에 형성된 홈(1a)(1b)에 끼우고, 일직선으로 된 철사(8)를 와이어끼움판(1)에 형성된 다른 홈(1c)에 가로 방향으로 끼운 후 모르타르를 조적벽돌(3) 위에 균일한 두께로 덮어서 철사(8)와 와이어끼움판(1), 강선고리(4)의 일부를 매립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강선고리(4)와 철사(8)를 와이어끼움판(1)에 형성된 홈(1a)(1b)(1c)에 헐겁게 끼워 놓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적작업 중 강선고리(4)와 철사(8)가 홈(1a)(1b)(1c)으로부터 자주 이탈되는 문제가 있어 조심스럽게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조적벽돌(3) 위를 모르타르로 덮으면 와이어끼움판(1)의 홈(1a)(1b)(1c)에 끼워지는 강선고리(4)와 철사(8)의 결합부위가 모르타르에 매몰되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탈부위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탈된 상태로 시공될 경우 부실시공으로 이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강선고리(4)를 브래킷(6)에 걸 때 일일이 강선고리(4)의 단부를 크게 벌려서 걸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모르타르가 굳기 전 와이어끼움판(1)에 외력이 가해지면서 와이어끼움판(1)이 내부벽체(5)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우 강선고리(4)와 브래킷(6)의 연결부위가 헐겁게 되면서 지지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최종적으로 굳은 모르타르를 매개로 해서 결합력을 얻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모르타르가 굳기 전에는 아무런 결속력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412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반원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연결봉을 벽면고정브래킷에 형성된 봉삽입부에 삽입하고 고정핀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나 유격조절이 연속적이지 않고 단계적이기 때문에 내부벽체와 조적벽돌 간의 간격이 불규칙하게 되는 경우 타이트한 연결이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912호 (2008.03.1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9004호(2009.09.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38913호 (2008.03.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412호 (2015.05.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적벽돌을 내부벽체에 보다 견고하고 타이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는 내부벽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채널; 수평채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고, 클레비스연결부를 갖는 한 쌍의 슬라이더; 슬라이더를 수평채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 각형구멍이 형성된 허브가 중심에 형성되고, 핀구멍을 갖는 클로지지부가 허브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된 행거; 허브를 중심으로 행거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벽돌구멍의 상부 모서리에 얹히는 복수의 행거발; 클로지지부에 수평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일측단에는 벽돌구멍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캠가압부가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조임력을 가하기 위해 작용부가 형성된 복수의 내경고정클로; 각형구멍으로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각형삽입부를 갖고, 내경고정클로의 작용부와 만나서 힘을 전달하는 원추부가 각형삽입부 상단에 형성되며, 중공홀을 갖는 테이퍼핀; 허브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걸림편; 각형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걸림편에 걸리는 톱니부; 중공홀로 삽입되는 바연결핀; 및 일측단은 바연결핀에 연결되어 내부벽체을 향해 "V"자 모양으로 펼쳐지고, 타측단은 클레비스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는 인장바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내경고정클로를 테이퍼핀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벌려서 벽돌구멍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벽돌구멍의 내경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내경고정클로를 벽돌구멍에 타이트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부벽체에 고정된 수평채널을 따라 인장바의 끝부분을 벌리거나 오므려서 슬라이더에 결합한 다음 고정볼트로 고정하면, 내부벽체와 조적벽돌 간의 거리오차에 관계없이 인장바를 타이트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각형삽입부를 각형구멍에 결합할 때 탄성걸림편과 톱니부가 서로 만나면서 일방향으로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퍼핀이 허브로부터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지막 걸림단계에서 테이퍼핀를 좀 더 힘을 주어 허브에 밀어넣게 되면, 내경고정클로와 벽돌구멍간에 강력한 조임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볼트 끝에 첨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를 조일 때 첨부가 수평채널의 표면을 파고들면서 강력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더가 수평채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경고정클로의 작용부에 원추부에 접촉되는 경사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추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면접촉에 의해 작용부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인장바의 중간에 하향단차절곡부와 상향단차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바의 한쪽 끝은 바연결핀에 겹쳐서 결합하고 다른 쪽 끝은 서로 벌려서 동일한 높이에 있는 슬라이더에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테이퍼핀을 허브에 결합할 때 행거발이 벽돌구멍 상단모서리에 걸려 있기 때문에 내경고정클로가 벽돌구멍 밑으로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테이퍼핀을 허브에 결합할 때 키와 키홈에 의해 각형삽입부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탄성걸림편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걸림편의 해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조적벽체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조적벽체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 연결장치에 의해 조적벽체가 벽에 연결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경고정클로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평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부 확대단면도
도 11은 도 9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 행거와 내경고정클로를 보인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내경고정클로가 행거에 결합되고 테이퍼핀은 분리해서 보인 분리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저면분리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내경고정클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핀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벽체(20)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채널(30); 수평채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고, 클레비스연결부(42)(52)를 갖는 한 쌍의 슬라이더(40)(50); 슬라이더(40)(50)를 수평채널(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44)(54)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채널(3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동합금, 스테인리스강 등을 원재료로 해서 단면모양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도록 압출성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현장에서 적당한 길이로 절단해서 사용하도록 한다. 또 수평채널(3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절곡해서 형성하거나 합성수지를 이용 사출성형할 수도 있다.
콘크리트못(25)을 이용해서 수평채널(30)을 내부벽체(2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32)를 상기 수평채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체결부(32)에는 콘크리트못(25)이 통과되는 구멍을 천공한다.
이와 같은 체결부(32)는 수평채널(30)을 압출성형하거나 절곡하는 경우 한번에 성형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압출성형 후 용접에 의해 체결부(32)를 수평채널(30)에 별도로 접합하도록 한다.
또, 사출성형에 의해 수평채널(30)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체결부(32)를 수평채널(30)과 함께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나 수평채널(30)의 길이가 일정한 길이로 제한되므로, 성형하는 길이가 서로 다른 여러 벌의 금형을 이용해서 각기 성형하면 다양한 길이의 수평채널(30)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각형구멍(61)이 형성된 허브(62)가 중심에 형성되고, 핀구멍(63h)(64h)(65h)을 갖는 클로지지부(63)(64)(65)가 허브(62)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된 행거(60); 허브(62)를 중심으로 행거(60)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벽돌구멍(22)의 상부 모서리에 얹히는 복수의 행거발(66)(67)(68)을 포함한다.
상기 클로지지부(63)(64)(65)와 행거발(66)(67)(68)은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각각 3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허브(62)와 클로지지부(63)(64)(65)를 연결하는 전체모양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고, 행거발(66)(67)(68)은 "ㄱ"자 모양을 이루며, 마치 두 장의 판재를 평행하게 배치하고 사이에 리브를 형성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허브(62)와 클로지지부(63)(64)(65), 행거발(66)(67)(68)은 합성수지를 이용해서 사출성형에 의해 모두 일체로 성형하거나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해서 다이캐스트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클로지지부(63)(64)(65)에 수평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일측단에는 벽돌구멍(2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캠가압부(70a)(72a)(74a)가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조임력을 가하기 위해 작용부(70b)(72b)(74b)가 형성된 복수의 내경고정클로(70)(72)(74)를 포함한다.
상기 내경고정클로(70)(72)(74)에 원형구멍(70h)(72h)(74h)을 형성하고, 상기 클로지지부(63)(64)(65)에 형성된 핀구멍(63h)(64h)(65h)과 원형구멍(70h)(72h)(74h)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원형구멍(70h)(72h)(74h)과 핀구멍(63h)(64h)(65h)으로 힌지핀(70p)(72p)(74p)을 삽입해서 내경고정클로(70)(72)(74)를 행거(60)에 수평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각형구멍(61)으로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각형삽입부(82)를 갖고, 상기 내경고정클로(70)(72)(74)의 작용부(70b)(72b)(74b)와 만나서 힘을 전달하는 원추부(84)가 각형삽입부(82) 상단에 형성되며, 중공홀(86)을 갖는 테이퍼핀(80)을 포함한다.
상기 내경고정클로(70)(72)(74)에 형성된 작용부(70b)(72b)(74b)에는 테이퍼핀(80)에 형성된 원추부(84)와 접촉되는 라운드 형태의 오목한 경사홈(70g)(72g)(74g)을 형성하여 작용부(70b)(72b)(74b)와 원추부(84) 간에 접촉면적을 늘려 힘의 전달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은 허브(62)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걸림편(69); 각형삽입부(8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걸림편(69)에 걸리는 톱니부(88)를 포함한다.
탄성걸림편(69)은 각형삽입부(82)가 아래쪽으로 향할 때에는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진행을 돕고, 각형삽입부(82)가 상승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에는 단계적으로 걸리는 일방향 걸림의 특성을 갖도록 하단 끝부분의 단면모양을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 탄성걸림편(69)과 맞물려 걸리는 톱니부(88)도 탄성걸림편(69)과 마찬가지로 일방향 걸림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복수개 형성한다.
상기 탄성걸림편(69)에는 엄지와 검지 같이 두 손가락으로 잡고 취급하기에 편리한 납작한 손잡이(69a)를 형성하여 탄성걸림편(69)을 손잡이(69a)를 이용해서 잡아당김으로써 각형삽입부(82)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각형구멍(61)의 일측에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키홈(61g)을 형성하고, 이 키홈(61g)에 결합되는 키(83)를 상기 각형삽입부(82)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하여 각형삽입부(82)를 각형구멍(61)에 삽입할 때 방향이 뒤바뀌는 오삽입을 방지함으로써 각형삽입부(82)에 형성된 톱니부(88)가 탄성걸림편(69)과 항상 만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중공홀(86)로 삽입되는 바연결핀(90); 일측단은 바연결핀(90)에 연결되어 내부벽체(20)을 향해 "V"자 모양으로 펼쳐지고, 타측단은 클레비스연결부(42)(52)에 각각 연결되는 인장바(92)(94)를 포함한다.
상기 바연결핀(90)은 상단에 투툼하고 납작한 원반형의 머리부(부호생략)를 형성하여 바연결핀(90)이 아래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인장바(92)(94)는 서로 "V"자를 이루며, 인장바(92)(94)의 한쪽 단부는 상하로 겹친 상태로 바연결핀(90)에 끼워서 걸게 되며, 서로 벌어진 부분인 인장바(92)(94)의 다른 쪽 단부는 슬라이더(40)(50)를 이용해서 수평채널(30)에 고정한다.
또한, 인장바(92)(94)를 바연결핀(90)에 끼워서 겹칠 때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인장바(92)(94) 중에 한쪽 인장바(92)에는 아래쪽을 향해 높이를 낮추기 위한 하향단차절곡부(92a)를 형성하고, 나머지 다른 쪽 인장바(94)에는 상측을 향해 높이를 높이기 위한 상향단차절곡부(94a)를 형성함으로써, 인장바(92)(94)의 다른 쪽 단부가 하향단차절곡부(92a)와 상향단차절곡부(94a)에 모두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 인장바(92)(94)의 양단에는 바연결핀(90)과 고정핀(41)(51)을 삽입하기 위해 상하로 관통된 연결구멍(92b)(92c)(94b)(94c)을 각각 형성하며, 클레비스연결부(42)(52)에는 고정핀(41)(51)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45)(55)을 상하로 관통되게 천공한다.
즉, 슬라이더(40)(50)에 결합되는 인장바(92)(94)의 다른 쪽 단부를 클레비스연결부(42)(52)에 끼운 다음 인장바(92)(94)에 형성된 연결구멍(92c)(94c)의 중심과 클레비스연결부(42)(52)에 형성된 관통구멍(45)(55)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핀(41)(51)를 삽입하면, 인장바(92)(94)가 클레비스연결부(42)(52)를 통해 슬라이더(40)(50)에 연결된다.
또, 슬라이더(40)(50)에는 고정볼트(44)(54)를 결합하기 위한 탭구멍(43)(53)을 형성하고, 고정볼트(44)(54)의 끝부분에는 원추형의 첨부(44a)(54a)를 형성하여 슬라이더(40)(50)를 수평채널(30)에 고정할 때 고정볼트(44)(54)를 조이면 고정볼트(44)(54) 끝에 형성된 첨부(44a)(54a)가 수평채널(30)의 표면 일부를 파고들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4는 조적벽돌을 나타낸 것이고, 26은 단열재를 나타낸 것이며, 28은 조적벽돌(24)의 접합부에 매립되는 강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5, 도 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채널(30)을 조적벽돌(24)의 상면과 대략 일치되는 위치에서 내부벽체(20)에 수평하게 밀착시킨 다음 수평채널(3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32)를 콘크리트못(25)을 이용해서 내부벽체(20)에 고정하게 되면, 수평채널(30)이 내부벽체(20)에 설치된다.
이후 행거(60)에 형성된 클로지지부(63)(64)(65) 위에 내경고정클로(70)(72)(74)를 모두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올려놓으면서 내경고정클로(70)(72)(74)에 형성된 원형구멍(70h)(72h)(74h)의 중심과 클로지지부(63)(64)(65)에 형성된 핀구멍(63h)(64h)(65h)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힌지핀(70p)(72p)(74p)을 원형구멍(70h)(72h)(74h)과 핀구멍(63h)(64h)(65h)으로 삽입하게 되면, 내경고정클로(70)(72)(74)가 행거(60)에 수평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된다.
첨부도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고정클로(70)(72)(74)에 형성된 작용부(70b)(72b)(74b)를 모두 가운데로 모아서 캠가압부(70a)(72a)(74a)의 최외곽부를 잇는 외경을 벽돌구멍(22)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좁힌 다음 행거(60)에 형성된 허브(62)의 중심과 벽돌구멍(22)의 중심을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행거(60)에 형성된 행거발(66)(67)(68)을 조적벽돌(24)에 형성된 벽돌구멍(22)의 상단모서리에 올려놓게 되면, 내경고정클로(70)(72)(74)가 벽돌구멍(22)의 안쪽으로 진입된다.
이때 테이퍼핀(80)의 각형삽입부(82)에 형성된 키(83)를 허브(62)의 각형구멍(61)에 형성된 키홈(61g)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각형삽입부(82)를 각형구멍(61)으로 삽입하게 되면, 각형삽입부(82)에 형성된 톱니부(88)가 허브(62) 하측에 형성된 탄성걸림편(69)에 단계적으로 걸리게 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83)와 키홈(61g)은 각형삽입부(82)를 각형구멍(61)으로 삽입할 때 항상 정해진 위치로만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은 키(83)와 키홈(61g)에 의해 톱니부(88)와 탄성걸림편(69)이 항상 만나게 된다.
이와 같이 각형삽입부(82)가 각형구멍(61)으로 삽입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핀(80)에 형성된 원추부(84)가 내경고정클로(70)(72)(74)에 형성된 작용부(70b)(72b)(74b)의 경사홈(70g)(72g)(74g)에 접촉되는데, 이때 테이퍼핀(80)이 아래쪽으로 하강될수록 원추부(84)에 의해 작용부(70b)(72b)(74b)가 중심에서 멀어지는 반경방향으로 밀리면서 내경고정클로(70)(72)(74)가 힌지핀(70p)(72p)(74p)을 중심으로 선회되며, 동시에 내경고정클로(70)(72)(74)의 끝부분에 형성된 캠가압부(70a)(72a)(74a)가 벽돌구멍(22)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된다.
이때 각형삽입부(82)에 형성된 톱니부(88)가 탄성걸림편(69)에 걸려 있기 때문에 테이퍼핀(80)이 행거(6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되며, 내경고정클로(70)(72)(74)도 테이퍼핀(80)의 원추부(84)에 걸려서 행거(6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첨부도면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바(92)(94)의 한쪽 끝부분에 형성된 연결구멍(92b)(94b)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인장바(92)(94)의 한쪽 끝부분을 상하로 겹친 상태에서 인장바(92)(94)를 "V"자 모양으로 펼치고, 바연결핀(90)을 연결구멍(92b)(94b)으로 관통시킨 다음 테이퍼핀(80)에 형성된 중공홀(86)로 바연결핀(90)을 삽입하게 되면, 인장바(92)(94)의 한쪽 끝부분이 바연결핀(90)과 테이퍼핀(80)에 의해 행거(60)에 연결된다.
이후 두 개의 인장바(92)(94)의 다른 쪽 끝부분을 수평채널(30)에 연결하기 위해 도 3, 도 4, 도 6,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수평채널(30)의 끝부분으로 슬라이더(40)(50)를 삽입한 다음 슬라이더(40)(50)를 인장바(92)(94)가 위치된 곳으로 이동시켜서 인장바(92)(94)의 끝부분이 클레비스연결부(42)(52)에 삽입되도록 한 후 슬라이더(40)(50)와 인장바(92)(94)를 함께 손으로 잡고 슬라이더(40)(50)를 수평채널(3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인장바(92)(94)가 바연결핀(90)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된다.
이때 인장바(92)(94)에 형성된 연결구멍(92c)(94c)의 중심과 클레비스연결부(42)(52)에 형성된 관통구멍(45)(55)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는 지점에서 슬라이더(40)(50)의 움직임을 멈춘 다음 고정핀(41)(51)을 관통구멍(45)(55)과 연결구멍(92c)(94c)으로 삽입하게 되면, 인장바(92)(94)가 클레비스연결부(42)(52)와 고정핀(41)(51)에 의해 슬라이더(40)(50)에 연결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양쪽 슬라이더(40)(50)를 수평채널(30)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약간 움직이게 되면, 유격을 더욱 줄어들게 되며, 이때 슬라이더(40)(50)에 형성된 탭구멍(43)(53)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볼트(44)(54)를 수평채널(30)을 향해 조이게 되면, 고정볼트(44)(54)가 슬라이더(40)(50)를 향해 돌출되면서 수평채널(30)의 안쪽에 접촉되며, 고정볼트(44)(54)로 인한 반력에 의해 슬라이더(40)(50)는 고정볼트(44)(54)의 전진방향과 반대방향인 전방으로 점점 밀리면서 수평채널(30)의 안쪽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고정볼트(44)(54)의 끝에 형성된 첨부(44a)(54a)가 도 6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채널(30)의 표면에 일부 박히면서 슬라이더(40)(50)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작용을 하게 된다.
즉, 조적벽돌(24)에 형성된 벽돌구멍(22)의 내경오차, 구멍중심위치의 오차, 내부벽체(20)와 조적벽돌(24) 간의 거리오차 등이 있는 경우 슬라이더(40)(50)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얼마든지 클레비스연결부(42)(52)에 형성된 관통구멍(45)(55)의 중심과 인장바(92)(94)에 형성된 연결구멍(92c)(94c)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오차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인장바(92)(94)를 수평채널(30)에 타이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행거(60)와 내경고정클로(70)(72)(74)를 벽돌구멍(22)으로부터 인출해서 분리하려는 경우에는 먼저 바연결핀(90)을 상측으로 잡아당겨서 연결구멍(92b)(94b)과 중공홀(86)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인장바(92)(94)와 테이퍼핀(80)이 서로 분리된다.
이후 탄성걸림편(69)에 형성된 손잡이(69a)를 손가락으로 잡고 톱니부(8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톱니부(88)의 걸림이 해제되는데, 이때 테이퍼핀(80)을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각형삽입부(82)가 각형구멍(61)으로부터 인출되면서 분리되고, 내경고정클로(70)(72)(74)의 작용부(70b)(72b)(74b)를 가운데로 모으게 되면, 행거(60)와 내경고정클로(70)(72)(74)를 벽돌구멍(22)으로부터 인출해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분리된 행거(60)와 내경고정클로(70)(72)(74) 및 테이퍼핀(80)은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20 : 내부벽체 22 : 벽돌구멍
24 : 조적벽돌 25 : 콘크리트못
26 : 단열재 28 : 강선
30 : 수평채널 32 : 체결부
40,50 : 슬라이더 41,51 : 고정핀
42,52 : 클레비스연결부 43,53 : 탭구멍
44,54 : 고정볼트 44a,54a : 첨부
45,55 : 관통구멍 60 : 행거
61 : 각형구멍 61g : 키홈
62 : 허브 63,64,65 : 클로지지부
63h,64h,65h : 핀구멍 66,67,68 : 행거발
69 : 탄성걸림편 69a : 손잡이
70,72,74 : 내경고정클로 70a,72a,74a : 캠가압부
70b,72b,74b : 작용부 70g,72g,74g : 경사홈
70h,72h,74h : 원형구멍 70p,72p,74p : 힌지핀
80 : 테이퍼핀 82 : 각형삽입부
83 : 키 84 : 원추부
86 : 중공홀 88 : 톱니부
90 : 바연결핀 92,94 : 인장바
92a : 하향단차절곡부 94a : 상향단차절곡부
92b,92c,94b,94c : 연결구멍

Claims (1)

  1. 내부벽체(20)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채널(30);
    상기 수평채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고, 클레비스연결부(42)(52)를 갖는 한 쌍의 슬라이더(40)(50);
    상기 슬라이더(40)(50)를 수평채널(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44)(54);
    각형구멍(61)이 형성된 허브(62)가 중심에 형성되고, 핀구멍(63h)(64h)(65h)을 갖는 클로지지부(63)(64)(65)가 허브(62)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된 행거(60);
    상기 허브(62)를 중심으로 행거(60)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벽돌구멍(22)의 상부 모서리에 얹히는 복수의 행거발(66)(67)(68);
    상기 클로지지부(63)(64)(65)에 수평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일측단에는 벽돌구멍(2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캠가압부(70a)(72a)(74a)가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조임력을 가하기 위해 작용부(70b)(72b)(74b)가 형성된 복수의 내경고정클로(70)(72)(74);
    상기 각형구멍(61)으로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각형삽입부(82)를 갖고, 상기 내경고정클로(70)(72)(74)의 작용부(70b)(72b)(74b)와 만나서 힘을 전달하는 원추부(84)가 각형삽입부(82) 상단에 형성되며, 중공홀(86)을 갖는 테이퍼핀(80);
    상기 허브(62)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걸림편(69);
    상기 각형삽입부(8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걸림편(69)에 걸리는 톱니부(88);
    상기 중공홀(86)로 삽입되는 바연결핀(90); 및
    일측단은 상기 바연결핀(90)에 연결되어 내부벽체(20)을 향해 "V"자 모양으로 펼쳐지고, 타측단은 상기 클레비스연결부(42)(52)에 각각 연결되는 인장바(92)(94)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KR1020150098994A 2015-07-13 2015-07-13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KR101558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994A KR101558158B1 (ko) 2015-07-13 2015-07-13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994A KR101558158B1 (ko) 2015-07-13 2015-07-13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158B1 true KR101558158B1 (ko) 2015-10-12

Family

ID=5434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994A KR101558158B1 (ko) 2015-07-13 2015-07-13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1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996B1 (ko) * 2016-02-29 2016-07-18 에이앤유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1975755B1 (ko) * 2018-11-28 2019-05-07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의 티형 접합부위 보강장치
CN115434448A (zh) * 2022-08-24 2022-12-06 咸阳 一种绿色建筑预制装配式墙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2437A1 (en) 2001-02-21 2002-08-22 Queen Frankie A. R. Concrete masonry unit (CMU) vertical reinforcement and anchor bolt positioning device
KR200308693Y1 (ko) 2002-02-27 2003-03-26 이창남 치장벽돌벽 보강구조
WO2003087487A1 (en) 2002-04-05 2003-10-23 Joseph Bronner Masonry connectors and twist-on hook and method
KR101508933B1 (ko) 2015-01-28 2015-04-08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공동주택용 벽돌 조적벽체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2437A1 (en) 2001-02-21 2002-08-22 Queen Frankie A. R. Concrete masonry unit (CMU) vertical reinforcement and anchor bolt positioning device
KR200308693Y1 (ko) 2002-02-27 2003-03-26 이창남 치장벽돌벽 보강구조
WO2003087487A1 (en) 2002-04-05 2003-10-23 Joseph Bronner Masonry connectors and twist-on hook and method
KR101508933B1 (ko) 2015-01-28 2015-04-08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공동주택용 벽돌 조적벽체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996B1 (ko) * 2016-02-29 2016-07-18 에이앤유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1975755B1 (ko) * 2018-11-28 2019-05-07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의 티형 접합부위 보강장치
CN115434448A (zh) * 2022-08-24 2022-12-06 咸阳 一种绿色建筑预制装配式墙板
CN115434448B (zh) * 2022-08-24 2023-11-14 义乌市双江湖开发集团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预制装配式墙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158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US2764438A (en) Tube clamps
EP3256765B1 (en) Pipe clamp
KR101508933B1 (ko) 공동주택용 벽돌 조적벽체 연결장치
KR101558161B1 (ko) 공동주택용 벽돌 조적벽체 보강장치
KR101614414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보강장치
EP1059856A1 (en) Clip fastener for radiant tubing and other thin objects
KR101669151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결속장치
KR101638598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벽 고정장치
JP2005510680A (ja) 伸長部品のためのクランプおよび同クランプの用途
AU598591B2 (en) A method for fastening an attachment or suspension device
KR101026419B1 (ko) 튜브 클램프
KR200454303Y1 (ko) 원터치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EP1008793A2 (fr) Attache ressort pour la fixation des tubes ou câbles électriques dans le fond d'une rainure réalisée dans le mur, sol ou plafond
JP3489029B2 (ja) 結束バンド
JPS6114734Y2 (ko)
JP7325746B2 (ja) 配管固定具用支持材
KR101213357B1 (ko) 와이어 로프 체결구
KR200187951Y1 (ko) 농작물용 결속밴드
KR20090078498A (ko) 원터치 작동식 튜브 클램프
KR20180112651A (ko) 철근 결속용 클립
KR20140000948U (ko) 와이어 고정구의 조절대
KR20080004956U (ko) 파이프 행거의 원터치 체결 구조
JP5198303B2 (ja) さや管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