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48U - 와이어 고정구의 조절대 - Google Patents

와이어 고정구의 조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948U
KR20140000948U KR2020120006914U KR20120006914U KR20140000948U KR 20140000948 U KR20140000948 U KR 20140000948U KR 2020120006914 U KR2020120006914 U KR 2020120006914U KR 20120006914 U KR20120006914 U KR 20120006914U KR 20140000948 U KR20140000948 U KR 201400009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ring
adjuster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8440Y1 (ko
Inventor
이성무
Original Assignee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44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4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조절대를 원터치방식으로 간단히 조작하여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겨주거나 느슨하게 풀어주어 와이어의 길이조절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와이어 조절대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와이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체결목부로서 상부고리와, 하부고리를 형성하고, 가운데는 조절부를 이루고, 턴버클 고리에 걸리도록 연결고리부를 형성한 와이어와; 조절대 본체 상부에는 제1조절공, 하부에는 제2조절공을 천공하며, 조절대 본체 중앙부에 상,하방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공의 걸림공을 형성하고, 판상의 조절대 본체 측면 중앙부분에서 상기 걸림공으로 연통되게 안내로를 형성한 조절대 본체; 및 상기 와이어 연결고리부에 걸리는 고리와 바닥부 앙카에 걸리는 고리를각각 형성하고, 내부 연장부에 나사맞춤 나사를 형성한 상,하고리와, 이 상하고리를 나사맞춤으로 연결하는 본체로 이루어져 상,하고리로서 나사맞춤이 이루어짐으로써 세부적 조임과 늦춤이 이루어지는 턴버클로 이루어진 거푸집 와이어 고정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조절대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와이어 고정구{Wire controller and wire fixing apparatus for use of concrete form assembly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와이어 조절대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와이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 조절대를 간단히 조작하여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겨주거나 느슨하게 풀어줄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길이조절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와이어 조절대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와이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알려진 거푸집의 고정수단으로는 등록실용신안 20-0235131호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푸집의 측면에서 바닥사이에 경사지게 와이어로서 당김이 이루어져 거푸집의 양생까지 지지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거푸집 고정수단은 등록특허 제10-0976767호의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로서 거푸집과 바닥사이에 당김이 이루어지도록 통상 시공현장에서 바닥 앙카에 턴버클을 연결하고, 거푸집에는 와이어 고리를 연결하되 그 사이에 와이어 조절대를 개재시켜 시공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와이어 고정구를 개선한 등록디자인 제30-0430811호의 와이어 고정구도 알려져 있다. 이 와이어 고정구는 거푸집과 바닥의 앙카사이를 지지하면서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와이어 조절대에 구멍이 3개를 형성하여 3개 구멍을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하여 이를 풀어주거나 당겨지게 하므로서 거푸집의 양측 길이에 맞게 적당하게 조절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와이어 고정구의 현장시공시에는 이들 부품들을 개별 구입하여 와이어고정구셋트로 다시 조립하여 현장에 이동하거나, 혹은 개별부품을 구입하여 거푸집 시공현장에서 와이어고정구 셋트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설치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와이어 고정구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상당한 굵기의 와이어로서 구부림이 원활하지 않았다.
특히, 상기한 등록디자인 제30-0430811호의 와이어 고정구에 사용된 조절대의 경우 구멍이 3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멍들을 따라 와이어를 통과시킨 뒤 상부 제1구멍을 통과한 와이어는 상부고리를 와이어 클립 혹은 납봉으로 체결하고, 반대쪽 와이어는 조절대의 중간 제2구멍을 관통시킨 뒤 제3구멍을 관통시키고 와이어 클립,납봉으로 고리를 형성하며, 이후 중간 제2구멍을 통과한 와이어부분을 연결고리로 하여 턴버클에 걸리도록 하여서 된다. 이러한 조절대 구멍들을 통과한 와이어고정구는 시공초기에 거푸집 상단과 턴버클사이에서 연결상태에서 1차적 적당한 조임이 이루어지며, 이어서 세밀한 조임이 턴버클의 고리를 형성한 나사봉으로서 팽팽하게 마무리된다.
따라서 이러한 강도가 큰 와이어를 조절대에 끼우기 위한 작업도 불편하지만 거푸집과 바닥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를 1차적 조임시 와이어 상부고리에서 가운데 제2조절공으로 연결된 와이어를 당김과 동시에 턴버클로 연결된 와이어 연결고리를 팽팽하게 당기기 위한 작업이 작업자들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당한 손가락 마찰로 인하여 상처가 자주 발생하고,때로는 작업중 와이어를 놓치거나 하여 부상을 당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와이어 고정구의 와이어는 180도 꺾임이 쉽지않아 절곡부분이 완전하게 꺾기가 어려웠다. 이를 개선한 와이어 고정구가 알려져 있고(특허 제10-0853866호로 등록), 등록디자인제 30-0430811호의 와이어 고정구를 개선하여 원 터치방식의 당김,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한 등록실용신안 20-0443617호의 와이어 고정구도 알려져 있으나, 와이어 당김길이가 한정되어 있어서 시공현자엥서의 사용이 거의 없을 정도이다. 이러한 와이어 고정구들은 복잡한 구조를 가져 시공단가의 상승원인이 되었으며, 실제로 와이어 고정구의 당김에 필요한 효과적인 구조의 개선으로 볼 수 없었다.
한편, 공개번호 제20-1986-0009160호의 와이어 고정구는 휨이 좋은 가는 와이어들의 걸림을 위하여 걸이가 수개 형성된 와이어 고정구이다.
전술한 와이어 고정구들중 거푸집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구의 경우 턴버클을 사용하여 긴밀한 당김작용은 가능하지만 통상 와이어가 갖는 절곡강도로 인하여 조절대를 통과시켜 와이어를 당겨 조절공에 걸림이 작업자의 수작업만으로 하기에는 많은 불편이 있었다. 물론 상기 특허제 특허 제10-0853866호, 등록실용신안 20-0443617호등은 젖힘이 가능한 수단으로 와이어의 당김과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지만, 와이어의 1차적 길이 조정용 조임을 수행하기 위한 잠금과 해제(특허제10-0853866호)구조는 아니어서 결국 전체적으로 초기 1차적인 와이어 길이를 당겨주기 위한 조임작용이 매우 어려워 시간이 많이 걸리고 여러명의 작업자가 동원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 와이어 고정구의 꺾임부분을 보완한 와이어고정구의 경우에도 단지 절곡부분을 보완하였을 뿐 초기 단계의 당김을 위한 간단한 구조의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종래 거푸집용 와이어 고정구에 사용된 조절대의 경우 2,3개의 구멍이 완전하게 통과된 와이어 조립구조이므로 거푸집의 시공후 팽팽함(긴장상태)을 주기 위한 당김작용을 하려면 조절공에 와이어가 꺾여 있는 상태를 풀면서 당기거나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거푸집 해제시에도 와이어 상,하부고리의 체결목부의 와이어클립을 풀거나 납봉을 파손하여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거푸집 시공을 위한 와이어의 절곡강도가 큰 와이어의 1차적인 당김이 수작업으로 가능하도록 하되, 거푸집 시공후 느슨한 와이어를 당겨 팽팽하게 하기 위한 조절대의 구조가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거푸집의 측면을 받치는 거푸집 시공시에 와이어 고정구의 1차적 와이어 당김이 간단하고, 설치상태에서 중간에 해제도 간단하며, 느슨함을 당겨주기 위한 당김 역시 간단하도록 한 와이어 조절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조절대를 적용하므로서 와이어 고정구의 조립시공시에 신속하게 와이어 고정구의 조립과 당김 및 해제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와이어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와이어 고정구의 조절대는,
판상의 조절대 본체 상부에는 제1조절공을 판체 상부 중앙에 천공하고, 판상의 조절대 본체 하부에는 제2조절공을 판체 하부 중앙에 천공하며, 판상의 조절대 본체 중앙부에 상,하방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공의 걸림공을 형성하고, 판상의 조절대 본체 측면 중앙부분에서 상기 걸림공으로 연통되게 안내로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조절대는 상기 안내로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안내로가 직선방향으로 형성된 것, 상기 걸림공이 원형구멍인 것, 상기 걸림공이 사각형 구멍인 것, 상기 걸림공이 타원형 구멍인 것, 상기 걸림공이 땅콩형 구멍인 것등 다양하게 실시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와이어 고정구는,
상부고리와, 하부고리와, 조절부와, 연결고리부를 형성한 와이어와; 조절대 본체 상부에는 제1조절공을 판체 상부 중앙에 천공하고, 판상의 조절대 본체 하부에는 제2조절공을 판체 하부 중앙에 천공하며, 판상의 조절대 본체 중앙부에 상,하방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공의 걸림공을 형성하고, 판상의 조절대 본체 측면 중앙부분에서 상기 걸림공으로 연통되게 안내로를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의 하부고리는 제2조절공에 끼워지고, 상기 와이어의 상부고리는 제1조절공을 통과시키고,상기 조절부는 안내홈을 따라 집어넣어지거나 벗겨져 걸림공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는 판상의 조절대 본체; 및 상기 와이어 연결고리부에 걸리는 고리를 형성하여, 세부적 조임이 이루어지는 턴버클로 이루어진 거푸집 와이어 고정구로서 달성된다.
본 고안은 거푸집의 측면을 받치는 거푸집 시공시에 와이어의 1차적 당김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와이어 조절대를 제공하며, 이러한 조절대를 적용하므로서 와이어 고정구의 조립시공이 보다 신속하며, 작업자들의 손바닥이나 신체의 부상을 방지한 개선된 와이어 고정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알려진 와이어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와이어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와이어 고정구의 거푸집 시공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 와이어 고정구에 적용된 조절대의 발췌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s는 본 고안 와이어 고정구에 적용된 조절대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와이어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와이어 고정구의 거푸집 시공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 와이어 고정구에 적용된 조절대의 발췌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의한 본 고안 와이어 고정구는 크게 조절대 본체(10)와, 턴버클(20)과, 와이어(30)로서 이루어진다.
와이어(30)는 상부고리(31)와, 하부고리(32)와, 조절부(33)와, 연결고리부(34)로 이루어진다.
전체적으로 와이어(30)는 한 줄로 이루어진 와이어의 상부고리(31)를 형성하여 거푸집 상단에 걸리도록 한다. 이 와이어의 다른 부분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절대(10)의 제1구멍(11)을 통과한 뒤 제2구멍(12)을 통과하면서 하부고리(32)를 형성한다(종래 도 1의 와이어 고정구의 조절대(10)는 반드시 중심부 조절공을 통과하여야 하는 구조임).
조절대 본체(10)는 상부에 제1조절공(11)을 판체 상부 중앙에 천공하고, 판상의 조절대 본체(10) 하부에는 제2조절공(12)을 판체 하부 중앙에 천공하며, 판상의 조절대 본체(10) 중앙부에는 상,하방으로 장공으로 형성된 걸림공(13)을 형성하고, 판상의 조절대 본체(10) 측면 중앙부분에서 상기 걸림공(13)으로 연통되게 안내로(14)를 형성한다.
이러한 조절대 본체(10)에는 와이어(30)의 하부고리(32)가 제2조절공(12)에 끼워지기만 하면 이후 이 하부고리(32)에 턴버클(20)의 상단이 걸리도록 하기만 하면 조립이 끝난다.
이후 상기 와이어(30)의 조절부(33)는 안내홈(14)으로 밀어 넣어져 걸림공(13)에 걸리게 한다. 이후 작업자가 와이어를 당겨 팽팽하게 함과 동시에 이 걸림공(13)에 걸리게 하므로서 와이어(30)는 1차적으로 대략 거푸집과 바닥 앙카에 후단이 걸린 터버클(20)의 고리사이에 경사진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턴버클(20)의 나사봉(부호생략)을 조여 세밀한 당김을 가함으로써 거푸집이 견고하게 바닥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턴버클(20)은 상기 와이어 연결고리부에 걸리는 고리와 바닥부 앙카에 걸리는 고리를 각각 형성하고, 내부 연장부에 나사맞춤 나사를 형성한 상,하고리와, 이 상하고리를 나사맞춤으로 연결하는 본체로 이루어져 상,하고리로서 나사맞춤이 이루어짐으로써 세부적 조임과 늦춤이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많이 통용되는 물품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조와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 도면중 도 5a 내지 도 5s는 본 고안 와이어 고정구에 적용된 조절대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5a는 조절대(10)의 걸림공(13)이 원형이고, 안내로(14)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도 5b는 조절대(10)의 걸림공(13)이 원형이고, 안내로(14)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안내로(14)는 반대방향인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5c는 조절대(10)의 걸림공(13)이 사각형(직사각형)이고,안내로(14)가 직선방향으로 형성된 것이고, 도 5d는 조절대(10)의 걸림공(13)이 사각형(직사각형)이고,안내로(14)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으로 반대방향인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5e와, 도 5f는 각각 조절대(10)의 걸림공(13)이 사각형(직사각형)을 이루되 양단부에 반원향 홈을 형성한 것으로 안내로(14)가 직선으로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도 5g,5h는 조절대(10)의 걸림공(13)이 타원형이고, 안내로(14)가 직선 혹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도 5i,5j는 조절대(10)의 걸림공(13)이 땅콩모양을 나타내고, 안내로(14)가 직선 혹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도 5k,도 5l,도 5m은 조절대의 걸림공이 타원형으로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5n,도 5o는 사각형의 걸림공의 일부 변형예를 나타내고,도 5p는 사각형 걸림공의 상,하,후면측을 변형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5q는 마름모형의 걸림공을 나타내고, 도 5r은 걸림공이 육각형의 모습을 나타내고,도 5s는 삼각형의 걸림공을 나타낸다.
이 밖에도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는 많은 모양들의 걸림공이 가능하며,이것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10:와이어 조절대 본체, 11:제1조절공, 12:제2조절공, 13:걸림공,
14:안내로, 20:턴버클, 30:와이어, 31:상부고리,32:하부고리,
33:조절부, 34:연결고리부,41,42:체결목부,

Claims (7)

  1. 와이어 조절대에 있어서,
    판상의 조절대 본체 상부에는 제1조절공을 판체 상부 중앙에 천공하고, 판상의 조절대 본체 하부에는 제2조절공을 판체 하부 중앙에 천공하며, 판상의 조절대 본체 중앙부에 상,하방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공의 걸림공을 형성하고, 판상의 조절대 본체 측면 중앙부분에서 상기 걸림공으로 연통되게 안내로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절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절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이 원형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절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이 사각형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절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이 타원형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절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이 땅콩형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절대.
  7. 와이어 고정구에 있어서,
    체결목부로서 상부고리와, 하부고리를 형성하고, 가운데는 조절부를 이루고, 턴버클 고리에 걸리도록 연결고리부를 형성한 와이어;
    조절대 본체 상부에는 제1조절공을 판체 상부 중앙에 천공하고, 판상의 조절대 본체 하부에는 제2조절공을 판체 하부 중앙에 천공하며, 판상의 조절대 본체 중앙부에 상,하방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공의 걸림공을 형성하고, 판상의 조절대 본체 측면 중앙부분에서 상기 걸림공으로 연통되게 안내로를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의 하부고리는 제2조절공에 끼워지고, 상기 와이어의 상부고리는 제1조절공을 통과시키고,상기 조절부는 안내홈을 따라 집어넣어지거나 벗겨져 걸림공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는 판상의 조절대 본체; 및
    상기 와이어 연결고리부에 걸리는 고리와 바닥부 앙카에 걸리는 고리를각각 형성하고, 내부 연장부에 나사맞춤 나사를 형성한 상,하고리와, 이 상하고리를 나사맞춤으로 연결하는 본체로 이루어져 상,하고리로서 나사맞춤이 이루어짐으로써 세부적 조임과 늦춤이 이루어지는 턴버클로 이루어진 거푸집 와이어 고정구.
KR2020120006914U 2012-08-01 2012-08-01 와이어 고정구의 조절대 KR200478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14U KR200478440Y1 (ko) 2012-08-01 2012-08-01 와이어 고정구의 조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14U KR200478440Y1 (ko) 2012-08-01 2012-08-01 와이어 고정구의 조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48U true KR20140000948U (ko) 2014-02-11
KR200478440Y1 KR200478440Y1 (ko) 2015-10-06

Family

ID=5244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914U KR200478440Y1 (ko) 2012-08-01 2012-08-01 와이어 고정구의 조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4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984A (ko) 2016-01-21 2016-02-15 (주) 두합 고무장갑
KR101712011B1 (ko) 2016-08-05 2017-03-09 주식회사 우성섬유 코팅장갑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357B2 (ja) * 1992-10-13 2000-11-27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ジタル交換機
KR200443617Y1 (ko) * 2008-10-27 2009-03-02 주식회사 빌드썬 와이어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984A (ko) 2016-01-21 2016-02-15 (주) 두합 고무장갑
KR101712011B1 (ko) 2016-08-05 2017-03-09 주식회사 우성섬유 코팅장갑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440Y1 (ko)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75540A1 (en) Multiple position pipe hanger clamp
US9370247B1 (en) Web-strapped furniture, web-strapping for furniture, and methods for web-strapping furniture
KR20070110083A (ko) 체결구
KR20140000948U (ko) 와이어 고정구의 조절대
JP6561391B2 (ja) フェイルセーフ天井構造
KR101558158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US20080011995A1 (en) Tensioning device for a fence
US20140007440A1 (en) String line positioning and securing device
JP5697292B1 (ja) ロープ装着具
KR20140057099A (ko) 거푸집 수직 고정 및 해체 장치
DE102013105047B4 (de)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JP5828315B2 (ja) 斜面安定化工法におけるワイヤロープ張設方法
JP2013055857A (ja) 落下防止ネット
US20150327695A1 (en) Frame hanging wire post with locking connector
DE841472C (de) Befestigung des inneren bzw. aeusseren Kabelendes am Flansch von Kabeltrommeln
CN109930822A (zh) 一种房屋梁侧模板加固结构
CN209332149U (zh) 一种手动闭合皮肤固定器
US1890829A (en) Rope tightener
EP3693522B1 (de) System zur erhoehung der abreissfestigkeit von verankerungsvorrichtungen und ein verfahren zur erhoehung der abreissfestigkeit von verankerungsvorrichtungen
KR101293847B1 (ko) 보강토 옹벽에 사용하는 너트 및 이를 사용하여 너트와 블록을 고정하는 방법
DE202008005517U1 (de) Spannelement zum Verspannen von Schlingen
JP2534601Y2 (ja) シート緊結具
KR20110058255A (ko) 철근 자동 결속장치
GB2548570A (en) Support for an edge protection barrier
JP6012677B2 (ja) 足場養生シートの開閉・緊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529

Effective date: 201508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