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461B1 -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461B1
KR101744461B1 KR1020160164339A KR20160164339A KR101744461B1 KR 101744461 B1 KR101744461 B1 KR 101744461B1 KR 1020160164339 A KR1020160164339 A KR 1020160164339A KR 20160164339 A KR20160164339 A KR 20160164339A KR 101744461 B1 KR101744461 B1 KR 10174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chemical liquid
chemical
controller
liquid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우
Original Assignee
김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우 filed Critical 김응우
Priority to KR1020160164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센서부가 냉각수의 다양한 조건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지하고, 관리부는 다양한 용도에 적용하기 위한 냉각수의 여러가지 처리용 약액을 공급하되, 제2 센서부는 실시간으로 관리부의 약액 탱크 내의 액위를 감지하고, 이러한 일련의 가동 및 제어를 컨트롤러가 수행함으로써, 살균 및 정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냉각수의 처리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PROCESSING AND MANAGING APPARATUS FOR CHILLING WATER}
본 발명은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 및 정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냉각수의 처리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저장 용기나 액체 수송시 사용되는 도관에는 종종 그 속에 함유된 광물질이 축적된다.
예를 들면, 칼슘이온들은 중탄산염이온들과 결합하여 탄산칼슘 입자들을 생성하게 된다.
이렇듯 광물질은 유체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축적되는 것이다.
어떤 광물 이온들은 유동하는 유체 내에서 결합하여 부드럽고 엉성한 형태의 입자로 결정화되어 고체 표면에 부착되며, 이를 통상 입자파울링이라 부른다.
다른 경우에는 액체 속에 함유된 이온들이 열전달 표면에 단단한 결정체로 부착되어 스케일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현상을 결정화 파울링 혹은 침전 파울링이라 부른다.
이와 같이 결정 형태로 고체 표면에 부착되어 축적된 물질을 일반적으로 스케일이라 칭하고, 발생된 스케일은 각종 열교환기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탄산칼슘과 같은 광물 성분의 용해도는 물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감소하며, 이를 역용해도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물이 열교환기 내에 들어가 온도가 증가할 때 광물 이온들은 물속에서 석출되며 온도가 가장 높은 부분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0716303호의 "수처리 방법 및 냉각수 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유동하는 유체에 직접 접촉하는 두 개의 전극을 설치하고, 두 개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발생시키는 전기장에 의하여 유체 내의 광물 이온들의 충돌을 촉진시켜 유체 내부에서 결정 입자가 형성되도록 한 다음, 이렇게 생성된 결정 입자들이 포함된 유체를 필터로 여과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용도가 스케일 제거용이라고 하는 극히 한정된 부분에 국한되는 것으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냉각수의 다양한 처리 공정, 예를 들면 미생물 제거와, 살균 처리와, pH조절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냉각수의 처리에 적용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7163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살균 및 정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냉각수의 처리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수의 pH, 전기전도도, 칼슘 농도, 스케일(scale) 또는 파울링(fouling) 형성 여부, 형광물질 혼입 여부, 유량을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pH조절제, 살균제, 스케일제거제, 파울링제거제를 포함하는 복수의 약액이 별개로 각각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복수의 약액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약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냉각수에 단일 또는 혼합하여 투입시키는 관리부;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관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의 액위를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관리부 및 상기 제2 센서부의 가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중 하나의 약액 탱크 내부의 잔량이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냉각수측으로 상기 복수의 약액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설정값 이하인 약액을 보충하는 가동신호를 상기 관리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수의 pH를 측정하는 pH측정 센서와,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 센서와,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수의 상기 칼슘 및 상기 형광물질의 함량을 측정하는 농도 센서와,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센서부의 실시간 측정에 따른 데이터값과 기설정값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상기 관리부에 의한 상기 복수의 약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과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을 연결하는 복수의 약액공급 배관과, 상기 약액공급 배관 상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체크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에 내장되고,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에 각각 내장되고,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내부의 잔량이 상기 컨트롤러의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의 상기 체크밸브 작동을 전부 중지시키는 공급 규제부와, 상기 공급 규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과 배관 연결되고, 상기 공급 규제부의 가동에 의하여 상기 체크밸브 작동이 전부 중지되면,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중 약액 보충이 필요한 개소에 해당 약액을 보충하는 약액 보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 규제부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의 내측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부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 또는 하중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체크밸브의 유로 개방 동작을 규제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에 내장되어 상기 약액의 액위에 따라 승강하며, 상기 제2 센서부가 장착되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약액의 잔량이 상기 컨트롤러의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되는 접촉체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체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서로 일정 시간 이상 접촉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약액 보충부에 가동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부유체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센서부가 장착된 링 형상의 부유 림(rim)을 포함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부유 림과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체는, 상기 부유체의 하부측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연장 바와, 상기 복수의 연장 바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상면에 형성된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접촉편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약액 보충부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과 연결되는 보충 배관과, 상기 보충 배관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어 해당 약액이 일시 수용되는 보충 탱크와, 상기 보충 배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공급 규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공급 규제부를 가동시킨 것을 감지하면,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중 하나의 약액 탱크를 향하는 상기 보충 배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보충 밸브와, 상기 보충 밸브와 상기 보충 탱크 사이의 상기 보충 배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보충 밸브측으로 상기 해당 약액을 공급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보충 약액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에 내장되는 액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에 각각 수용되는 약액은,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 내벽에 형성되는 상기 스케일 또는 상기 파울링 제거용의 스케일제거제 또는 파울링제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센서부가 냉각수의 다양한 조건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지하고, 관리부는 다양한 용도에 적용하기 위한 냉각수의 여러 가지 처리용 약액을 공급하되, 제2 센서부는 실시간으로 관리부의 약액 탱크 내의 액위를 감지하고, 이러한 일련의 가동 및 제어를 컨트롤러가 수행함으로써, 살균 및 정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냉각수의 처리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냉각수는 블로우다운, 즉 방류되고 있으며 이를 유량계가 체크함으로써 새로운 냉각수가 채워지도록 하는 응용 및 변형 설계도 가능하며, 이때 형광물질 센서와 스케일 센서 및 파울링 센서 등은 냉각수 내에 투입된 약액의 농도 저하를 보상하며, 전도도센서는 농도를 판단하며, pH센서는 방류수의 pH도에 따른 방류제한 여부를 판단하는 데 활용됨에 따라, 약액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주입하고 냉각수의 방류량을 정확하게 결정하고 제한함으로써, 불필요한 원료 낭비를 줄이는 등 원가 절감의 효과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부(100)가 냉각수의 다양한 조건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지하고, 관리부(300)는 다양한 용도에 적용하기 위한 냉각수의 여러가지 처리용 약액을 공급하되, 제2 센서부(200)는 실시간으로 관리부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내의 액위를 감지하고, 이러한 일련의 가동 및 제어를 컨트롤러(500)가 수행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00)는 냉각수의 pH, 전기전도도, 칼슘 농도, 스케일(scale) 또는 파울링(fouling) 형성 여부, 형광물질 혼입 여부, 유량을 실시간으로 검지하여, 용도에 맞는 조건과 상태의 냉각수를 준비할 수 있게 한다.
관리부(300)는 제1 센서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pH조절제, 살균제, 스케일제거제, 파울링제거제를 포함하는 복수의 약액이 별개로 각각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를 포함하며, 복수의 약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냉각수에 단일 또는 혼합하여 투입시킴으로써, 적극적으로 용도에 맞는 조건과 상태의 냉각수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센서부(200)는 제1 센서부(100) 및 관리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의 액위를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것으로, 관리부의 조작에 지장이 없도록, 약액의 실시간 잔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컨트롤러(500)는 제1 센서부(100)와 관리부(300) 및 제2 센서부(200)의 가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2 센서부(100, 200)가 읽어들이는 각종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 및 관리부(300)의 가동 등 일련의 제반 공정을 자동적이며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500)는,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중 하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내부의 잔량이 설정값 이하일 때, 냉각수측으로 복수의 약액 공급을 중단하고 설정값 이하인 약액을 보충하는 가동신호를 관리부(300)에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컨트롤러(50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어에 의하여 관리부(300)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컨트롤러(500)와 네트워크(800)로 연결되는 관리 서버(600)와 함께, 관리 서버(600)와 네트워크(800)로 연결되는 개인 단말(700)에 의하여 관리자가 원격으로 관리부(300)의 조작 및 가동 제어를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네트워크(800)는 Wi-Fi, WLAN, Ethernet, Bluetooth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한편, 제1 센서부(100)는,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900)에 장착되어 냉각수의 pH를 측정하는 pH측정 센서(110)를 포함하여, 냉각수의 용처에 따라 산도 및 염기도를 관리부(300)에 의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냉각수의 pH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센서부(100)는,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900)에 장착되어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 센서(120)를 포함하여, 냉각수의 용처에 따라 전기전도도를 관리부(300)에 의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센서부(100)는,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900)에 장착되어 냉각수의 칼슘 및 형광물질의 함량을 측정하는 농도 센서(130)를 포함하여, 냉각수에 포함된 칼슘 및 형광물질 등 열교환기와 같은 각종 열유체 기기의 가동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유해물질의 포함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또한, 제1 센서부(100)는,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900)에 장착되어 냉각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140)를 포함하여, 냉각수 배관(900)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에 따른 냉각수 배관(900)의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러(500)는 제1 센서부(100)의 실시간 측정에 따른 데이터값과 기설정값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관리부(300)에 의한 복수의 약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한편, 관리부(300)는,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과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900)을 연결하는 복수의 약액공급 배관(311, 312, …,31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에 각각 수용되는 약액들 중에서는 냉각수 배관(900) 내벽에 형성될 우려가 있는 스케일(scale) 슬라임(slime) 등의 파울링(fouling)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케일제거제 또는 파울링제거제가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관리부(300)는, 약액공급 배관(311, 312, …,31n) 상에 각각 장착되어 컨트롤러(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321, 322, …,32n)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300)는, 제2 센서부(200) 및 체크밸브(321, 322, …,32n)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에 내장되고,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에 각각 내장되고,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내부의 잔량이 컨트롤러(500)의 설정값 이하일 때,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의 체크밸브(321, 322, …,32n) 작동을 전부 중지시키는 공급 규제부(3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부(300)는, 공급 규제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과 배관 연결되고, 공급 규제부(330)의 가동에 의하여 체크밸브(321, 322, …,32n) 작동이 전부 중지되면,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중 약액 보충이 필요한 개소에 해당 약액을 보충하는 약액 보충부(3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급 규제부(330)는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중 살균 목적으로 몇 가지의 약액을 혼합 투입해야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예를 들어, 기존 살균력의 1.5배 성능을 보인다고 알려진 차아염소산과 브롬을 혼합 투입하고자 하는데, 둘 중 한 성분의 잔량이 모자랄 경우, 컨트롤러(500)의 가동 신호와 실제 투입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실제 목적한 조건의 냉각수 제조가 불가능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이때, 공급 규제부(330)는 해당 약액을 후술할 약액 보충부(340)에 의하여 보충하기 전까지는 일시적으로 모든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의 공급 유로를 차단하여 오작동 및 오제조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공급 규제부(33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의 내측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부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 또는 하중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을 감지하면, 체크밸브(321, 322, …,32n)의 유로 개방 동작을 규제하는 리미트 스위치(331)와, 부유체(332)와 접촉체(333)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부유체(332)는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에 내장되어 약액의 액위에 따라 승강하고 제2 센서부(200)가 장착된 것이며, 접촉체(333)는 부유체(332)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약액의 잔량이 컨트롤러(500)의 설정값 이하일 때 리미트 스위치(331)와 접촉되는 것이다.
따라서, 접촉체(333)와 리미트 스위치(331)가 서로 일정 시간 이상 접촉되면, 컨트롤러(500)는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중 해당 약액 탱크 내부의 약액 잔량이 부족함을 파악하게 되고, 약액 보충부(340)에 가동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유체(332)는,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형성하고, 제2 센서부(200)가 장착된 링 형상의 부유 림(rim)(332r)을 포함하며, 리미트 스위치(331)는 부유 림(332r)과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접촉체(333)는, 부유체(332)의 하부측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연장 바(333b)와, 복수의 연장 바(333b)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마그넷(333m)을 포함하며, 마그넷(333m)은 리미트 스위치(331)의 상면에 형성된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접촉편(331c)과 접촉되는 것이다.
여기서, 마그넷(333m)의 자력은 후술할 약액 보충부(340)에 의하여 해당 약액이 다시 채워질 때 발생하는 약액의 부력으로 인하여 부유 림(332r)이 부상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의 힘이면 좋을 것이다.
이때, 접촉체(333)에는, 복수의 연장 바(333b) 각각의 하단부에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의 내주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는 요동방지 후크(333h)를 더 포함하며, 마그넷(333m)은 요동방지 후크(333h)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요동방지 후크(333h)는 되도록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의 내주면측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채워진 약액의 배출 및 보충에 따른 액위의 변동에 따라 승강할 때 부유 림(332r)이 흔들리면서 접촉체(333)가 리미트 스위치(331)의 상면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약액 보충부(340)는,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과 연결되는 보충 배관(341)과, 보충 배관(341)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어 해당 약액이 일시 수용되는 보충 탱크(3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약액 보충부(340)는, 보충 배관(341)상에 장착되어 공급 규제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컨트롤러(500)가 공급 규제부(330)를 가동시킨 것을 감지하면,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중 하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를 향하는 보충 배관(341)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보충 밸브(3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액 보충부(340)는, 보충 밸브(343)와 보충 탱크(342) 사이의 보충 배관(341)상에 장착되어 컨트롤러(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컨트롤러(500)에 의해 가동되어 보충 밸브(343)측으로 해당 약액을 공급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보충 약액 펌프(344)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센서부(200)는, 복수의 약액 탱크(301, 302, …, 30n) 각각에 내장되는 액위센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살균 및 정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냉각수의 처리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센서부
110...pH측정 센서
120...전도도 센서
130...농도 센서
140...유량 센서
200...제2 센서부, 액위센서
300...관리부
301, 302, …,30n...약액 탱크
311, 312, …,31n...약액공급 배관
321, 322, …,32n...체크밸브
330...공급 규제부
331...리미트 스위치
331c...접촉편
332...부유체
332r...부유 림
333...접촉체
333b...연장 바
333m...마그넷
340...약액 보충부
341...보충 배관
342...보충 탱크
343...보충 밸브
344...보충 약액 펌프
500...컨트롤러
600...관리 서버
700...개인 단말
800...네트워크
900...냉각수 배관
910...메인 밸브
920...연수기

Claims (9)

  1. 냉각수의 pH, 전기전도도, 칼슘 농도, 스케일(scale) 또는 파울링(fouling) 형성 여부, 형광물질 혼입 여부, 유량을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pH조절제, 살균제, 스케일제거제, 파울링제거제를 포함하는 복수의 약액이 별개로 각각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복수의 약액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약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냉각수에 단일 또는 혼합하여 투입시키는 관리부;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관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의 액위를 실시간으로 검지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관리부 및 상기 제2 센서부의 가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중 하나의 약액 탱크 내부의 잔량이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냉각수측으로 상기 복수의 약액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설정값 이하인 약액을 보충하는 가동신호를 상기 관리부에 전달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과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을 연결하는 복수의 약액공급 배관과,
    상기 약액공급 배관 상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체크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에 내장되고,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에 각각 내장되고,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내부의 잔량이 상기 컨트롤러의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의 상기 체크밸브 작동을 전부 중지시키는 공급 규제부와,
    상기 공급 규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과 배관 연결되고, 상기 공급 규제부의 가동에 의하여 상기 체크밸브 작동이 전부 중지되면,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중 약액 보충이 필요한 개소에 해당 약액을 보충하는 약액 보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 규제부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의 내측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부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 또는 하중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체크밸브의 유로 개방 동작을 규제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에 내장되어 상기 약액의 액위에 따라 승강하며, 상기 제2 센서부가 장착되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약액의 잔량이 상기 컨트롤러의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되는 접촉체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체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서로 일정 시간 이상 접촉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약액 보충부에 가동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수의 pH를 측정하는 pH측정 센서와,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 센서와,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수의 상기 칼슘 및 상기 형광물질의 함량을 측정하는 농도 센서와,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센서부의 실시간 측정에 따른 데이터값과 기설정값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상기 관리부에 의한 상기 복수의 약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센서부가 장착된 링 형상의 부유 림(rim)을 포함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부유 림과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는,
    상기 부유체의 하부측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연장 바와,
    상기 복수의 연장 바 하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상면에 형성된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접촉편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액 보충부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과 연결되는 보충 배관과,
    상기 보충 배관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어 해당 약액이 일시 수용되는 보충 탱크와,
    상기 보충 배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공급 규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공급 규제부를 가동시킨 것을 감지하면,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중 하나의 약액 탱크를 향하는 상기 보충 배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보충 밸브와,
    상기 보충 밸브와 상기 보충 탱크 사이의 상기 보충 배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보충 밸브측으로 상기 해당 약액을 공급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보충 약액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 각각에 내장되는 액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액 탱크에 각각 수용되는 약액은,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 내벽에 형성되는 상기 스케일 또는 상기 파울링 제거용의 스케일제거제 또는 파울링제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KR1020160164339A 2016-12-05 2016-12-05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KR10174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339A KR101744461B1 (ko) 2016-12-05 2016-12-05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339A KR101744461B1 (ko) 2016-12-05 2016-12-05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461B1 true KR101744461B1 (ko) 2017-06-07

Family

ID=5922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339A KR101744461B1 (ko) 2016-12-05 2016-12-05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816B1 (ko) 2018-05-15 2019-03-14 주식회사 댄 냉각수 관리 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816B1 (ko) 2018-05-15 2019-03-14 주식회사 댄 냉각수 관리 시스템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6810B2 (ja) 加工液集中管理システム
EP1074515B1 (en)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an aqueous solution
US9834458B2 (en) Performance enhancement of electrochemical deionization devices by pre-treatment with cation exchange resins
US20070051640A1 (en)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an aqueous solution
WO2008026462A1 (fr) Procédé de purification de l'eau et système associé
US20100051519A1 (en)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treatment method for a passenger aircraft
JP5295753B2 (ja) オゾン水生成装置
EP1878704A1 (en)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an aqueous solution
KR101744461B1 (ko) 냉각수 처리 및 관리 장치
JP5190674B2 (ja) ボイラ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2018153790A (ja) 逆浸透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KR101774454B1 (ko) 수영장용 수질 정화장치 및 수질 정화방법
JP2006297314A (ja) 二酸化塩素発生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二酸化塩素発生装置
JP2006198547A (ja) 水系の電解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6198583A (ja) 水系の電解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8153789A (ja) 水処理システム
JP5286940B2 (ja) スラリー供給装置
JP2006218353A (ja) 電解処理方法
US20180215640A1 (en) System for Treating the Water for a Cooling Tower
KR20030077328A (ko) 간이 상수도에서의 약액 자동 투입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7275735A (ja) 浄化装置
KR101008339B1 (ko) 약액 공급 장치
JP6663961B2 (ja) レーザ加工ヘッドに対する冷却水の供給方法及び装置
JP7019340B2 (ja) 薬注装置および冷却塔設備
US10894725B1 (en) Control process f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