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370B1 -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 Google Patents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370B1
KR101744370B1 KR1020137003818A KR20137003818A KR101744370B1 KR 101744370 B1 KR101744370 B1 KR 101744370B1 KR 1020137003818 A KR1020137003818 A KR 1020137003818A KR 20137003818 A KR20137003818 A KR 20137003818A KR 101744370 B1 KR101744370 B1 KR 101744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rance
piston
pocket
nu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917A (ko
Inventor
쇼고 다테야마
준지 오오하
Original Assignee
더 재팬 스틸 워크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재팬 스틸 워크스 엘티디 filed Critical 더 재팬 스틸 워크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3009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5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2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6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adjusting the capacity of dead spaces of working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로드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스프링 부재를 통해 맞물리는 2개의 구성체로 하고, 덜걱거림이 없는 나사 결합에 의해 안정된 동작과 원격 조작 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은, 클리어런스 피스톤(58)에 마련되고 수나사(59a)를 구비하는 한편 회전 방지 부재(84)에 의해 비회전 상태로 유지된 로드(59)와, 상기 수나사(59a)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74)와, 상기 너트(74)를 형성하고 스프링 부재(77)를 통해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되어 맞물리는 제1, 제2너트부(75, 76)를 구비하고, 나사의 맞물림에 덜걱거림이 없고, 로드(59)에 변동 하중이 작용해도 안정 동작을 얻을 수 있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CLEARANCE POCKET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로드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스프링 부재를 통해 맞물리는 2개의 구성체로 하고, 덜걱거림이 없는 나사 결합에 의해 안정된 동작과 원격 조작 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신규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용되던 왕복동식 압축기의 용량제어의 하나의 방법으로서, 클리어런스 포켓이 있다. 대표적인 구성으로서, 도 3과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을 들 수 있다.
즉, 도 3에 있어서, 클리어런스 포켓(3)과,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60)에 제2피스톤체(7)를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하여 밸런스실(61)이 구획되고, 연통로(62)에 의해 압력실(2a)과 밸런스실(61)이 연통되는 한편, 제2피스톤체(7)가 제1연결 로드(5)에 의해 제1피스톤체(4)에 연결되어, 압력실(2a) 내의 가스 압력이 조절실(31)과 대항하는 밸런스실(61)에 인도되는 밸런스 장치(6)와, 제1피스톤체(4)를 소정 위치에 이동시켜 조절실(31)의 용적을 증감시키는 작동 장치(클리어런스 포켓의 구동부)(8)를 구비하는 한편, 액추에이터로서는 유압수단(11)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압축기의 용량을 감소시키고자 할 때, 실린더(1) 내에 접속된 클리어런스 포켓(3)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1)의 간극 용적을 증가시킨다. 왕복동식 압축기에서는, 토출 행정이 끝나고 흡입 행정에 진입해도 실린더(1) 내의 간극 용적부에 남은 압축 가스가 팽창하기 때문에, 실린더(1) 내의 압력이 흡입 압력보다 낮아질 때까지 가스의 흡입은 진행되지 않는다. 간극 용적을 크게 하면, 흡입 행정에서 팽창 가스가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하고, 그만큼 흡입량이 감소한다. 이 용량제어 방식에서는, 피스톤(2)이 압축하는 가스량 자체가 감소하기 때문에 소비 동력도 절감을 할 수 있다.
또한, 클리어런스 포켓을 이용한 가변 용량형 왕복동식 압축기로서, 도 4와 같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성을 들 수 있다.
즉, 도 4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주요부분의 클리어런스 포켓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간극 조정 로드(43)가, 선단측의 테이퍼 로드부(43t)가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40)를 닫고 클리어런스 포켓(41a)을 구비하는 실린더 커버(41)의 격벽(41b)에 마련되고, 클리어런스 포켓(41a)과 실린더(40)의 헤드측 가스 압축실(40h)을 연통시키는 테이퍼 구멍 형상의 가스 통과 구멍(41c) 내에 위치하도록, 기단측의 나사 로드부(43s)의 수나사를 실린더 커버(41)를 닫는 외부 커버(42)에 고착되어 있는 금속제의 로드 지지 부재(44)의 암나사를 나사 결합하여 지지하고, 간극 조정 로드(43)의 금속제의 로드 지지 부재(44)로부터의 돌출단을 스테핑 모터(45)의 출력축에 연결하여, 이 간극 조정 로드(43)를 순방향/역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왕복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간극 용적을 원격 조작으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 압축기의 흡입량도 연속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프로세스에 필요한 가스량이 시시각각 변하는 경우에도 필요 가스량만 압축하는 것에 의해 큰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클리어런스 포켓의 용적을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토출 압력 등의 프로세스 조건에 따라 측정값을 이용하여 제어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필요량을 토출하도록 제어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11-8231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10-122138호 공보
상술한 도 3의 종래 구성의 경우, 유압 실린더가, 작은 액추에이터로 큰 힘을 낼 수 있는 것과, 작동 오일은 압축성이 매우 작기 때문에 변동 하중에 의한 진동을 일으키지 않아 이용되고 있다. 이 실린더의 가스 압축실에 직결되는 클리어런스 포켓의 용량조절 피스톤(클리어런스 피스톤)에는, 실린더 내로의 가스의 흡입/압축/토출 행정에 대응한 압력 변동이 작용하기 때문에, 큰 변동 하중이 작용한다.
또한, 예를 들면, 조연성이 강한 산소 가스용 압축기에서는, 고압산소에 의한 발화를 피하기 위해 유압을 사용하지 않는 구동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도 4의 종래 구성의 경우, 나사 로드부의 선단의 테이퍼 로드부를 테이퍼 구멍 형상의 가스 통과 구멍에 삽입하고, 그 삽입 상태에 따라 클리어런스 포켓에 연통하는 정도를 조정하고 있지만, 포켓으로의 가스 유입/유출 통로가 좁기 때문에, 압력손실이 커지는 결점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수동식의 클리어런스 포켓에서는, 스크류 액추에이터에 의한 구동도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변동 하중에 의해 나사면이 타격을 입어, 파손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수동식에서는, 피스톤의 이동을 종료한 시점에서, 별도의 로크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변동 하중에 의한 나사면의 타격에 의한 파손을 피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단, 원격 조작으로 2개의 너트를 개별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복잡한 기구가 필요하여, 설치 스페이스나 비용면에서 문제가 있고, 또한, 기계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곤란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로드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스프링 부재를 통해 맞물리는 2개의 구성체로 하고, 덜걱거림이 없는 나사 결합에 의해 안정된 동작과 원격 조작 등을 가능하게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은,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피스톤이 내부에 마련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상기 피스톤에 의해 분할된 상측 가스 압축실 및 하측 가스 압축실;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상측 가스 압축실과 연통되는 한편, 포켓실과 포켓 배압실을 구비하는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 상기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 내의 클리어런스 피스톤;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상측 가스 압축실과 연통하는 상기 포켓실의 용적을 가변으로 하도록 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에 마련되고 수나사를 구비하는 한편, 회전 방지 부재에 의해 비회전 상태로 유지된 로드;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상기 너트를 형성하고, 스프링 부재를 통해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되어 맞물리는 제1, 제2너트부를 구비하는 구성이고, 또한, 상기 너트의 외주에 마련된 제1기어와, 상기 구동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로드 및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이동을 수행하는 구성이고, 또한,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피스톤 배압으로서, 상기 실린더의 흡입압과 토출압의 중간의 중간압을 작용시키는 구성이고, 또한,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피스톤 배압으로서, 상기 실린더의 흡입압을 작용시키는 구성이고,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접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피스톤이 내부에 마련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상기 피스톤에 의해 분할된 상측 가스 압축실 및 하측 가스 압축실;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상측 가스 압축실과 연통되는 한편, 포켓실과 포켓 배압실을 구비하는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 상기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 내의 클리어런스 피스톤;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상측 가스 압축실과 연통하는 상기 포켓실의 용적을 가변으로 하도록 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에 마련되고 수나사를 구비하는 한편, 회전 방지 부재에 의해 비회전 상태로 유지된 로드;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상기 너트를 형성하고, 스프링 부재를 통해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되어 맞물리는 제1, 제2너트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2개의 너트부 사이에 스프링 부재를 끼우고, 암나사에 미리 하중이 걸려있기 때문에, 나사의 맞물림부에 덜걱거림이 없어지고, 로드에 변동 하중이 작용해도, 나사면의 타격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전진과 후퇴는, 실린더측의 암나사를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한다. 또한, 클리어런스 피스톤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나사면에는 스프링 부재의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변동 하중이 작용해도 나사면이 항상 한방향으로 가압되어 마찰력이 작용하고 있어, 클리어런스 피스톤이 멋대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너트의 외주에 마련된 제1기어와, 상기 구동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로드 및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이동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구동체를 이용하여 기어를 회전시켜 클리어런스 피스톤을 전진/후퇴시키는 것으로, 원격 조작에 의해 간극 용적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스측의 입력 신호를 받고, 필요한 가스량이 되도록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전진/후퇴를 수행하도록 제어장치를 구성하면, 자동으로 압축기의 용량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클리어런스 피스톤에 작용하는 변동 하중은, 압축기의 흡입/토출 압력, 부품 질량 이외에,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포켓 배압실에 작용시키는 배압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포켓 배압실에 실린더 내의 평균 압력을 작용시키는 경우에는, 실린더 내와 포켓 배압실을 오리피스 등의 리스트릭터를 통해 접속하게 된다. 단, 이는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전면에서 포켓 배압실에 연통하는 가는 구멍을 마련하는 것으로도 동일한 작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진다. 한편, 클리어런스 피스톤에 작용하는 하중의 진폭은, 상하 방향에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너트 사이에 작용시키는 스프링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클리어런스 피스톤을 이동시키기 위해 너트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도 커지는 결점이 있다.
포켓 배압실에 흡입 압력을 작용시킨 경우에도 하중의 진폭으로서는 상기와 동등하지만, 질량에 의한 하중은 압력 하중에 대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주로 상향 하중이고 하향 하중은 미세하다. 이 때문에 스프링 부재로 작용시키는 스프링력은 작은 것으로 충분하고, 너트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도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리어런스 포켓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왕복동식 압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왕복동식 압축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3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압축기 프레임(1A) 상에 실린더(1)가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2c)를 통해 구동되는 피스톤(2)은 실린더(1) 내에서 왕복 운동한다. 이 실린더(1)는 피스톤(2)의 상면과 하면 양측으로 가스를 압축하는 복동식(double-acting type)이고, 상측 가스 압축실(2a) 및 하측 가스 압축실(2b)에는 각각 흡입 밸브(12a, 12b) 및 토출 밸브(14a, 14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실린더 밸브(흡입 밸브(12a, 12b)와 토출 밸브(14a, 14b))는 전후의 차압에 의해 수동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로 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의 상부에는 클리어런스 포켓(6)이 마련되어 있어, 클리어런스 포켓(6)의 용적은 클리어런스 포켓의 구동부(8)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의 상기 각 흡입 밸브(12a, 12b)측에는 흡입 가스(A)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3a)가 형성되고, 각 토출 밸브(14a, 14b)측에는 토출 가스(B)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리어런스 포켓(6)의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60)의 양측에는 한쌍의 장착 플랜지부(50)가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1)의 상측 가스 압축실(2a)과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60)의 포켓 배압실(51) 사이는, 제1리스트릭터(52)를 구비하는 제1도압배관(55)에 의해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 가스(A)의 흡입구(13a)와 상기 포켓 배압실(51) 사이는, 제2리스트릭터(54)를 구비하는 제2도압배관(55A)에 의해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클리어런스 포켓(6)의 상세 확대도이고, 상기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60) 내에는, 슬립링(56) 및 라이더링(57)으로 이루어지는 클리어런스 피스톤(58)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58)에 마련된 로드(59)는, 상기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60)의 상면에 마련된 커버(70)의 실(72a)과 실 고정커버(72)를 통해 상방으로 연장되고, 이 포켓 배압실(51) 내의 가스가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60)와 커버(70) 밖으로는 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59)의 상부에는 수나사(59a)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59a)의 외주에는 수나사(59a)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73)를 구비하는 너트(7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너트(74)는, 암나사(73)를 구비하는 상측 나사로서의 제1너트부(75)와 암나사(73)를 구비하는 하측 나사로서의 제2너트부(76)로 이루어지고, 각 너트부(75, 76)는 예를 들면, 접시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77)를 통해 역방향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약간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너트부(75, 76)는, 스프링 부재(77)에 의한 스프링력이 최적이 되고, 수나사(59a)와 암나사(73) 사이에 백래쉬(backlash)가 없는 상태가 된 시점에서, 고정 나사(78)가, 제2너트부(76)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각 너트부(75, 76)의 위치 관계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70) 상에는, 복수의 봉상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서포트부(79)가 수직으로 매립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드(59)에 마련된 회전 방지 부재(84)의 단부(84a)는, 상기 서포트부(79)에 대해 상하 움직임 자유롭게 안내되고, 상기 로드(59)가 정(positive)의 하중 방향(C) 및 부(negative)의 하중 방향(D)을 따라 상하 움직임만 하고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부(79)의 상부에는, 테이블 형태의 기계대(90)가 고정되어 있고, 이 기계대(90)에는 한쌍의 베어링(91)을 통해 상기 너트(74)가 회전 자유롭게 유지되고 있고, 이 너트(74)의 한쪽의 상기 제2너트부(76)의 외주에는 키(92)를 통해 제1기어(9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계대(90)의 상부에는 에어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체(94)가 마련되고, 이 구동체(94)의 회전축(95)에 마련된 제2기어(96)는 상기 제1기어(93)와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체(94)의 구동에 의해, 각 기어(93, 96)를 통해 너트(74)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클리어런스 피스톤(58)이 상하 움직임 하는 한편, 구동체(94)의 에어 공급 포트(미도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너트(74)의 순방향/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의 클리어런스 포켓의 구동부(8)는, 상술한 수나사(59a), 너트(74), 각 기어(93, 96), 기계대(90), 서포트부(79) 및 구동체(9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체(94)를 구동하여, 각 기어(93, 96)를 통해 너트(74)를 회전시키는 경우, 너트(74)를 구성하기 위한 각 너트부(75, 76)가 스프링 부재(77)를 통해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암나사(73)에 미리 하중(예압(preload))이 걸리고,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58)에 걸리는 가스 압력과 상기 예압 때문에, 너트(74)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토크가 필요하지만, 제1기어(93)의 지름이 제2기어(96)의 지름보다 n배 크게 해놓은 것에 의해, 큰 감속비에 의한 큰 토크에 의해 용이하게 너트(74)가 회전되고, 백래쉬가 없는 수나사(59a)와 암나사(73)의 치합 회전에 의해 고정밀도로 클리어런스 피스톤(58)을 상하로 움직여서, 가스압 조정용 포켓실(31)의 용적을 가변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피스톤(58)을 이동시켰을 때, 포켓 배압실(51)의 용적이 변하여 가스가 압축/팽창된다. 이를 피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도 1과 같이 실린더(1)와 포켓 배압실(51)을, 제1리스트릭터(52)를 구비하는 제1도압배관(55)을 통해 접속한다. 또한, 실린더(1) 내의 압력은 피스톤(2)의 상하 움직임에 따른 흡입과 토출압 사이에서 변동하지만, 제1리스트릭터(52)가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발생하는 포켓 배압실(51)로의 가스의 출입은 적고, 결과적으로 포켓 배압실(51)은 흡입 압력과 토출 압력의 평균 압력으로 유지된다. 이 경우, 클리어런스 피스톤(58)에는, 1사이클마다 흡입/토출 압력차의 1/2의 압력이 정부 방향(C, D)으로 번갈아 작용한다(실제로 걸리는 하중 상태는, 로드(59)의 단면적분의 수압 면적의 차이 및 클리어런스 피스톤(58)이나 로드(59)의 질량에 의해 다소 변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도 1과 같이 실린더(1)의 흡입 가스(A)의 흡입구(13a) 또는 흡입 밸브실(12A)과 포켓 배압실(51)을, 제2리스트릭터(54)를 구비하는 제2도압배관(55A)을 통해 접속한다. 상기 흡입구(13a)나 흡입 밸브실(12A)도 실린더(1) 내로의 간헐적인 흡입 동작에 의해 압력 변동이 있기 때문에, 제2도압배관(55A)의 도중에 제2리스트릭터(54)를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클리어런스 피스톤(58)에는 개략적으로 흡입/토출 압력차분의 하중이 정방향(C)으로만 간헐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그밖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재질, 형상, 사이즈, 수치, 형태, 수량, 배치 장소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이고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10년 8월 17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2010-182245)을 기초로 하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도입된다.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은, 예를 들면, 화학 플랜트와 같은 가스 압축 등의 용량 가변 동작을 원격 조작으로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1: 실린더
1A: 프레임
2: 피스톤
2a: 상측 가스 압축실
2b: 하측 가스 압축실
2c: 피스톤 로드
A: 흡입 가스
B: 토출 가스
C: 정의 하중 방향
D: 부의 하중 방향
6: 클리어런스 포켓(Clearance pocket)
8: 클리어런스 포켓의 구동부
12a, 12b: 흡입 밸브
12A: 흡입 밸브실
13a: 흡입구
13b: 토출구
14a, 14b: 토출 밸브
31: 포켓실
50: 장착 플랜지부
51: 포켓 배압실
52: 제1리스트릭터
54: 제2리스트릭터
55: 제1도압배관
55A: 제2도압배관
56: 슬립링(Slipper ring)
57: 라이더링(Rider ring)
58: 클리어런스 피스톤
59: 로드
59a: 수나사
60: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
70: 커버
71: 오링
72: 실 고정커버
72a: 실(seal)
73: 암나사
74: 너트
75: 제1너트부(상측 나사)
76: 제2너트부(하측 나사)
77: 스프링 부재(접시 스프링)
78: 고정 나사
79: 서포트부
84: 회전 방지 부재
90: 기계대
91: 베어링
92: 키
94: 구동체
93: 제1기어
96: 제2기어

Claims (7)

  1.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피스톤이 내부에 마련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피스톤에 의해 분할된 상측 가스 압축실 및 하측 가스 압축실;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상측 가스 압축실과 연통되는 한편, 포켓실과 포켓 배압실을 포함하는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
    상기 클리어런스 포켓 본체 내의 클리어런스 피스톤; 및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상측 가스 압축실과 연통하는 상기 포켓실의 용적을 가변으로 하도록 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에 마련되고 수나사를 구비하는 한편, 회전 방지 부재에 의해 비회전 상태로 유지된 로드;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를 구성하고, 스프링 부재를 통해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되어 맞물리는 제1너트부 및 제2너트부를 포함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외주에 마련된 제1기어와, 상기 구동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로드 및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이동을 수행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피스톤 배압으로서, 상기 실린더의 흡입압과 토출압의 중간의 중간압을 작용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 피스톤의 피스톤 배압으로서, 상기 실린더의 흡입압을 작용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접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접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접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KR1020137003818A 2010-08-17 2011-08-09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KR101744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2245A JP5210363B2 (ja) 2010-08-17 2010-08-17 往復動圧縮機のクリアランスポケット
JPJP-P-2010-182245 2010-08-17
PCT/JP2011/068206 WO2012023463A1 (ja) 2010-08-17 2011-08-09 往復動圧縮機のクリアランスポ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917A KR20130099917A (ko) 2013-09-06
KR101744370B1 true KR101744370B1 (ko) 2017-06-07

Family

ID=4560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818A KR101744370B1 (ko) 2010-08-17 2011-08-09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210363B2 (ko)
KR (1) KR101744370B1 (ko)
CN (1) CN103069164A (ko)
CH (1) CH705559B1 (ko)
TW (1) TWI460351B (ko)
WO (1) WO2012023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7298B2 (ja) * 2011-03-09 2014-03-12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往復動圧縮機のクリアランスポケット
DE102013002811A1 (de) * 2013-02-19 2014-08-21 Wabco Gmbh Kolbenkompressor
AT514199B1 (de) * 2013-10-18 2014-11-15 Hoerbiger Kompressortech Hold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Verstellkolben eines variablen Zuschaltraumes eines Kolbenkompressors
CN108999772A (zh) * 2018-08-28 2018-12-14 沈阳远大压缩机自控系统有限公司 往复式压缩机自动电驱全流量余隙无级调节系统及方法
CN109882395B (zh) * 2019-04-22 2024-03-22 山东易阳石化节能装备有限公司 一种压力控制气囊式余隙无级调节执行机构及方法
CN112012917A (zh) * 2020-08-05 2020-12-01 加西贝拉压缩机有限公司 一种带引流槽的压缩机变容结构
CN112012916B (zh) * 2020-08-05 2022-05-24 加西贝拉压缩机有限公司 一种活塞式变频变容制冷压缩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1343A (ja) 2008-06-19 2008-10-30 Hitachi Ltd 可変動弁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5892A (en) * 1959-09-23 1962-07-24 Ingersoll Rand Co Hydraulic variable volume clearance pocket device
JPS58178894A (ja) * 1982-04-14 1983-10-1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往復動圧縮機の自動容量調整装置
US4694732A (en) * 1986-03-31 1987-09-22 Ingersoll-Rand Company Clearance pocket assembly
JP3561366B2 (ja) * 1996-03-29 2004-09-02 サンデン株式会社 強制リデュース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圧縮機
JPH10122138A (ja) * 1996-10-14 1998-05-12 Kobe Steel Ltd 可変容量型の往復動圧縮機
JPH1182314A (ja) * 1997-09-01 1999-03-26 Japan Steel Works Ltd:The 容積型往復動圧縮機の容量調節装置
DE102007051940A1 (de) * 2007-10-29 2009-04-3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ufgeladener Kompresso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fgeladenen Kompressors
CN201339568Y (zh) * 2009-01-22 2009-11-04 四川石油管理局成都天然气压缩机厂 余隙调节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1343A (ja) 2008-06-19 2008-10-30 Hitachi Ltd 可変動弁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3463A1 (ja) 2012-02-23
KR20130099917A (ko) 2013-09-06
CN103069164A (zh) 2013-04-24
TW201211392A (en) 2012-03-16
JP5210363B2 (ja) 2013-06-12
CH705559B1 (fr) 2016-10-14
JP2012041837A (ja) 2012-03-01
TWI460351B (zh) 201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37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클리어런스 포켓
CN100373052C (zh) 活塞式压缩机和无级调整其输送量的方法
US9038659B2 (en) Relief valve device
US9726160B2 (en) Double acting fluid pump with spring biased piston
US9395108B2 (en) Cryogenic refrigerator
JP4148425B1 (ja) 高圧発生装置
TW201537026A (zh) 隔膜泵
JPWO2017141342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CN107642478A (zh) 一种缸体导向微型增压式电动气泵
JP2013036403A (ja) スクリュー圧縮機
JP2022517576A (ja) 水素ガス圧縮装置
CN201215153Y (zh) 输出力可调的气弹簧
CN108533482B (zh) 变量变压柱塞泵
CN114029201B (zh) 一种出胶量可调的紧凑型喷射点胶阀及其喷胶方法
US8496449B2 (en) Air driven hydraulic pump
CN208734637U (zh) 一种小型双层气缸
CN209604211U (zh) 一种空气压缩机最小压力阀
CN204262713U (zh) 一种椅用弹簧部件压缩机
CN201496223U (zh) 高压自变量柱塞电动油泵
CN216518468U (zh) 一种气体压缩装置
JP2011194466A (ja) プレス機
CN214660690U (zh) 高压泵
CN102734369B (zh) 液压型阻尼器
CN210660551U (zh) 一种s1型液压柱塞变量泵阀体
KR100738712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