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636B1 -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636B1
KR101743636B1 KR1020170002313A KR20170002313A KR101743636B1 KR 101743636 B1 KR101743636 B1 KR 101743636B1 KR 1020170002313 A KR1020170002313 A KR 1020170002313A KR 20170002313 A KR20170002313 A KR 20170002313A KR 101743636 B1 KR101743636 B1 KR 101743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mp
light source
wall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창석
김민재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주)조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조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0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광채널의 좌상투광통로, 좌하투광통로, 우상투광통로 및 우하투광통로에 조사되는 불빛과 컬러판부재에 의하여 컬러에 의하여 표시되는 전진대피유도화살표와 후진대피유도화살표에 의하여 유도할 수 있으며, 전진방향 비상구와 후진방향 비상구 중 어느 하나가 차단된 경우 차단된 방향의 대피유도화살표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차단되지 않은 방향의 대피유도화살표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헛걸음을 하지 않고 차단되지 않은 비상구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시간지체를 방지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여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Apparatus for inducting to emergency exit in fire fighting using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소방 관련 기술 중에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불빛과 색상에 의하여 표시되는 전진대피유도화살표와 후진대피유도화살표에 의하여 유도할 수 있으며, 전진방향 비상구와 후진방향 비상구 중 어느 하나가 차단된 경우 차단된 방향의 대피유도화살표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차단되지 않은 방향의 대피유도화살표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헛걸음을 하지 않고 차단되지 않은 비상구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시간지체를 방지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여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비상유도등이 설치되는바, 비상구에 인접한 벽체 또는 비상계단의 벽체에 매립하는 벽체매립방식과 천장에 현수하여 설치하는 천장현수방식 비상유도등이 있다.
그러나 벽체매립방식 비상유도등은 설치 높이가 낮기 때문에 긴급 상황에서 시인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장현수방식 비상유도등은 높이가 2미터 이상으로 높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고 연기가 가득찬 상태에서 대피하는 사람들이 고개를 속이고 이동하는 점을 감안할 때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체매립방식 비상유도등과 천장현수방식 비상유도등은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과 연기가 가득찬 경우에는 비상유도등에서 나오는 불빛이 흐려지기 때문에 비상유도등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2177호(2003.07.23. 공개)(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는 비상등 케이스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레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부와, 비상등 케이스 외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발광체와, 비상등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레이저부와 발광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레이저부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변각시킬 수 있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단순히 한쪽 비상등에서 다른 쪽 비상등에 대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수광하는 비상등에는 반사경을 구비하여 레이저빔을 변각시키는 것이므로 연기가 가득찬 상황에서 레이저빔을 식별할 수는 있으나 그 방향성을 일견하여 인지할 수 없어 우왕좌왕하면서 시간을 허비하게 되어 인명피해가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빔이 대피통로 중의 장애물이나 대피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차단되기 때문에 한쪽 비상등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이 다른 쪽 비상등에 도달할 수 없게 되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9397호(2014.04.11. 공개) "비상구 유도 기능을 갖는 안내표지판"(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은 프레임 전면에 장착되는 발광시트와, 발광시트 상부 및 프레임 전면에 장착되어 비상대피도가 타공된 차광시트와, 차광시트 상부 및 프레임 전면에 장착되어 안내도가 인쇄된 안내도시트와, 축전지와, 주변조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발광시트, 축전지 및 감지부와 각각 연결되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축전지의 전력을 발광시트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인쇄된 안내도가 시인되고, 비상시에는 차광시트에 타공된 비상대피도가 시인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안내도에 의하여 비상구로 유도하는 것인바, 화재발생 등 긴급하고 당황스러운 상황에서 대피하는 사람들이 안내도를 자세히 확인하고 대피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대피시간이 지연되어 인명피해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2177호(2003.07.23. 공개)"레이저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 장치"(이하, '선행기술2'라 함)는 장방형의 비상등 케이스와, 상기 비상등 케이스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레이저빔을 조사(照射)하는 레이저부와, 상기 비상등 케이스 외측 테두리면에 형성되어 발광하는 발광체와, 상기 비상등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부와 발광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레이저부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을 변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비상등 케이스와 이격된 상태로 천정에 설치되는 반사경을 포함하여, 화재시 연기에 의하여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비상구 표시등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으로 출구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는 단순히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피하는 사람들이 차단된 비상구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대피하는 사람들이 차단된 비상구에 도달한 후에야 비로소 비상구가 차단되었음을 알게 되어 발길을 돌려서 차단되지 않은 비상구를 찾아야 하므로 한시가 시급한 긴급하고 당황스러운 상황에서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인명피해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피가 가능한 비상구의 방향을 정확히 제시하여 사람들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게특허 제10-2016-0039397호(2014.04.11. 공개) "비상구 유도 기능을 갖는 안내표지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2177호(2003.07.23. 공개)"레이저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빛과 색상에 의하여 표시되는 전진대피유도화살표와 후진대피유도화살표에 의하여 유도할 수 있으며, 전진방향 비상구와 후진방향 비상구 중 어느 하나가 차단된 경우 차단된 방향의 대피유도화살표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차단되지 않은 방향의 대피유도화살표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헛걸음을 하지 않고 차단되지 않은 비상구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시간지체를 방지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여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좌벽, 우벽, 상벽 및 하벽과, 十자형 격벽에 의하여 좌상투광통로, 좌하투광통로, 우상투광통로 및 우하투광통로로 구획되는 도광채널과; 상기 도광채널의 좌벽 상반부와 우벽 하반부 및 상벽 좌반부와 하벽 우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되며 화살표머리가 전진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전진화살표형 투광공과; 상기 도광채널의 좌벽 하반부와 우벽 상반부 및 상벽 우반부와 하벽 좌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되며 화살표머리가 후진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후진화살표형 투광공과; 상기 좌벽, 우벽, 상벽 및 하벽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좌측 컬러판부재, 우측 컬러판부재, 상측 컬러판부재, 하측 컬러판부재와; 상기 도광채널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좌상투광통로, 좌하투광통로, 우상투광통로 및 우하투광통로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컬러판부재는 전진화살표형 투광공에 대응하는 부분과 후진화살표형 투광공에 대응하는 부분의 컬러를 달리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도광채널의 전후단에 결합되며, 十자형 격벽에 의하여 상기 좌상투광통로, 좌하투광통로, 우상투광통로 및 우하투광통로에 대응하는 좌상광원실, 좌하광원실, 우상광원실 및 우하광원실로 구획되는 광원부케이싱과; 상기 광원부케이싱의 좌상광원실과 우하광원실 내에 설치되는 전진조광램프와, 좌하광원실과 우상광원실 내에 설치되는 후진조광램프 및 전진조광램프와 후진조광램프가 실장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램프조립체와; 상기 회로기판이 수납되는 기판수납홈이 구비되며 상기 광원부케이싱의 양단에 결합되는 광원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광채널과 광원부를 천장면,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도광채널을 천장면,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구가 더 포함되고,
상기 광원부의 램프조립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건축물의 대피통로의 전진방향과 후진방향에 위치한 전진방향비상구와 후진방향비상구가 모두 차단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대피가 가능한 경우 비상구전체개방모드가 입력되고, 전진방향비상구가 차단된 경우 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가 입력되며, 후진방향비상구가 차단된 경우 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모드 입력이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전진조광램프와 후진조광램프가 모두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전체램프소등 제어명령을, 상기 입력부의 입력모드에 따라 비상구전체개방모드시에는 전진조광램프와 후진조광램프가 모두 점등되도록 하는 전체램프점등 제어명령을, 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시에는 전진조광램프가 소등되고 후진조광램프가 점등되도록 하는 전진조광램프소등 및 후진조광램프점등 제어명령을, 그리고 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시에는 후진조광램프가 소등되고 전진조광램프가 점등되도록 하는 후진조광램프소등 및 전진조광램프점등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전진조광램프와 후진조광램프에 대하여 전제램프소등 구동신호와 전진조광램프소등 구동신호 및 후진조광램프소등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램프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에 의하면, 도광채널의 좌상투광통로, 좌하투광통로, 우상투광통로 및 우하투광통로에 조사되는 불빛과 컬러판부재에 의하여 컬러에 의하여 표시되는 전진대피유도화살표와 후진대피유도화살표에 의하여 유도할 수 있으며, 전진방향 비상구와 후진방향 비상구 중 어느 하나가 차단된 경우 차단된 방향의 대피유도화살표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차단되지 않은 방향의 대피유도화살표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헛걸음을 하지 않고 차단되지 않은 비상구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시간지체를 방지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여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의 (a)는 도광채널과 컬러판부재의 단면도,
도 2의 (b)는 광원부케이싱의 단면도,
도 3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광채널과 고정구의 결합 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제어수단의 기능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벽(111), 우벽(112), 상벽(113) 및 하벽(114)과, 十자형 격벽(120)에 의하여 좌상투광통로(131), 좌하투광통로(132), 우상투광통로(133) 및 우하투광통로(134)로 구획되는 도광채널(100)과; 상기 도광채널(100)의 좌벽(111) 상반부와 우벽(112) 하반부 및 상벽(113) 좌반부와 하벽(114) 우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되며 화살표머리가 전진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과; 상기 도광채널(100)의 좌벽(111) 하반부와 우벽(112) 상반부 및 상벽(113) 우반부와 하벽(114) 좌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되며 화살표머리가 후진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과; 상기 좌벽(111), 우벽(112), 상벽(113) 및 하벽(114)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좌측 컬러판부재(410), 우측 컬러판부재(420), 상측 컬러판부재(430), 하측 컬러판부재(440)과; 상기 도광채널(100)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좌상투광통로(131), 좌하투광통로(132), 우상투광통로(133) 및 우하투광통로(134)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광채널(100)은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동 등의 금속재를 압출하여 성형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광채널(100)의 모서리에는 후술하는 광원부(500)의 광원부케이싱(510)을 결합하기 위한 나사체결보스(140)가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나사체결보스(140)는 원형단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압출성형성을 감안하여 도시예와 같이 한 쪽이 오픈된 C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광채널(100)의 각 좌상투광통로(131), 좌하투광통로(132), 우상투광통로(133) 및 우하투광통로(134)의 내면은 경면코팅을 하여 도광되는 빛이 내부에서 반사되면서 빛이 투광통로 내에서 흡수되어 광손실되지 않고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을 통해 효과적으로 투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면코팅에는 예컨대, 크롬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과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은 50cm 이상으로 길게 형성할 경우 짧은 구간에서의 방향유도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과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이 50cm 이하로 짧게 형성되는 경우 화살표의 방향이 한눈에 들어올 수 있으므로 대피하는 사람이 급박한 상황에서도 유도하는 방향을 한눈에 인식할 수 있게 되는 반면, 그 이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와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의 화살표 방향이 한눈에 들어오지 않게 되므로 대피하는 사람이 방향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앞뒤로 시선을 옮기면서 확인해야 하므로 급박한 상황에서 유도하는 방향을 한눈에 인식할 수 없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컬러판부재(410, 420, 430, 440)는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에 대응하는 부분과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에 대응하는 부분의 컬러를 달리함으로써 전진방향과 후진방향으로 한눈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에 대응하는 좌측 컬러판부재(410)의 상반부와 우측 컬러판부재(420)의 하반부 및 상측 컬러판부재(430)의 좌반부와 하측 컬러판부재(440)의 우반부를 제1 컬러로 하고,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에 대응하는 좌측 컬러판부재(410)의 하반부와 우측 컬러판부재(420)의 상반부 및 상측 컬러판부재(430)의 우반부와 하측 컬러판부재(440)의 좌반부를 제2 컬러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발생 시 탈출하는 대피통로에는 연기가 자욱하여 어두운 상황이므로 상기 좌측 컬러판부재(410), 우측 컬러판부재(420), 상측 컬러판부재(430), 하측 컬러판부재(440)의 색상은 어둠 속에서 잘 보이는 색상인 빨강, 주황, 노랑, 녹색, 흰색을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에 대응하는 제1 컬러와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에 대응하는 제2 컬러를 빨강-주황, 빨강-녹색, 빨강-노랑 등으로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컬러판부재(410), 우측 컬러판부재(420), 상측 컬러판부재(430) 및 하측 컬러판부재(440)는 투명도가 높고 내열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작고, 전기절연성이 높고, 고온에도 안정된 불연성을 가지는 테트라 플로우르 에틸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ETFE;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에 염료를 혼합하여 판재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컬러부재(410, 420, 430, 440)는 스크루(450)를 관통시켜 도관채널(100)의 각 벽(111, 112, 113, 114)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도광채널(100)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500)는 상기 도광채널(100)의 전후단에 결합되며, 十자형 격벽(511)에 의하여 상기 좌상투광통로(131), 좌하투광통로(132), 우상투광통로(133) 및 우하투광통로(134)에 대응하는 좌상광원실(521), 좌하광원실(522), 우상광원실(523) 및 우하광원실(524)로 구획되는 광원부케이싱(510)과; 상기 광원부케이싱(510)의 좌상광원실(521)과 우하광원실(524) 내에 설치되는 전진조광램프(531)와, 좌하광원실(522)과 우상광원실(523) 내에 설치되는 후진조광램프(532) 및 전진조광램프(531)와 후진조광램프(532)가 실장되는 회로기판(533)을 포함하는 램프조립체(530)와; 상기 회로기판(533)이 수납되는 기판수납홈(541)이 구비되며 상기 광원부케이싱(5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광원부커버(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광채널(100)과 광원부(500)를 포함하는 전장은 건축물의 대피통로의 한 구간 직선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광채널(100)과 광원부(500)를 천장면,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도광채널(100)을 천장면,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구(5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550)는 상기 도광채널(100)의 나사체결보스(140)에 삽입되는 삽입부(551)와, 상기 삽입부(551)에서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연결부(552) 및 상기 연결부(552)에 일체로 형성되어 천장면,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수평고정부(553)와 수직고정부(5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550)는 천장면과 바닥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수평고정부(553)을 관통하는 볼트(555)를 천장면과 바닥면에 매설된 앵커너트(미도시)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벽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수직고정부(554)를 관통하는 볼트(556)를 벽면에 매설된 앵커너트(미도시)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550)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를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광채널(100)과 좌측 컬러판부재(410), 우측 컬러판부재(420), 상측 컬러판부재(430), 하측 컬러판부재(440)를 결합하고, 광원부(500)는 분리한 상태에서 고정구(550)를 상술한 방법으로 천장면,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한 다음, 고정구(550)의 삽입부(551)를 도광채널(100)의 네 모서리에 형성된 나사체결보스(140)에 일치시킨 다음 도광채널(100)을 밀어서 삽입부(551)가 나사체결보스(140)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고정구(550)을 통해 천장면, 벽면 또는 바닥면에 좌측 컬러판부재(410), 우측 컬러판부재(420), 상측 컬러판부재(430), 하측 컬러판부재(440)이 결합된 도광채널(100)을 고정하고, 도광채널(100)의 양단에 광원부(500)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케이싱(510)의 양단에는 각각 도광채널(100)에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511)와 광원부커버(540)를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512)가 형성된다.
도광채널(100)과 광원부(50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광원부케이싱(510)의 일측 플랜지부(511)에 스크루(513)를 관통시켜 도광채널(100)의 나사체결보스(140)에 체결하고, 광원부케이싱(510) 내에 램프조립체(530)를 삽입한 다음, 광원부커버(540)에 스크루(514)를 관통시켜 램프조립체(530)의 타측 플랜지(512)에 체결한다.
이때, 램프조립체(530)는 회로기판(533)을 광원부커버(540)의 기판수납홈(541)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크루(미도시)로 미리 고정해둘 수 있다.
또한 램프조립체(530)의 전방조사램프(531)는 광원부케이싱(510)의 좌상광원실(521), 우하광원실(524)에는 전진조광램프(531)가 삽입되고, 좌하광원실(522), 우상광원실(523)에는 후진조광램프(532)가 삽입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를 천장면, 벽면 및 바닥면에 설치한 예를 예시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대피통로의 천장면의 중앙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대피통로의 벽면 중단부에 설치할 수 있고, 바닥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대피통로의 중앙부에 설치하거나 구석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가 설치되는 면쪽과 대피하는 사람들이 볼 수 없는 면에는 차광판(미도시)을 부착하여 불빛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차광판이 부착되는 면은 천장면에 설치한 경우에는 상면, 벽면 중단부에 설치한 경우에는 벽면측 면, 벽면 하단부에 설치한 경우에는 벽면측 면과 하면, 바닥면에 설치한 경우에는 하면, 바닥면과 벽면 사이의 구석부분에 설치한 경우에는 하면과 벽면측 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는 도광채널(100)과 광원부(400)를 포함하는 길이를 2~3미터 길이로 제작하여 복수개를 연이어서 설치하거나 통로 전체 길이로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는 상기 광원부(500)의 램프조립체(5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수단(600)은 건축물의 대피통로의 전진방향과 후진방향에 위치한 전진방향비상구와 후진방향비상구(미도시)가 모두 차단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대피가 가능한 경우 비상구전체개방모드가 입력되고, 전진방향비상구가 차단된 경우 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가 입력되며, 후진방향비상구가 차단된 경우 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610)와; 상기 입력부(610)에 모드 입력이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전진조광램프(531)과 후진조광램프(532)가 모두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전체램프소등 제어명령을, 상기 입력부(610)의 입력모드에 따라 비상구전체개방모드시에는 전진조광램프(531)와 후진조광램프(532)가 모두 점등되도록 하는 전체램프점등 제어명령을, 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시에는 전진조광램프(531)가 소등되고 후진조광램프(532)가 점등되도록 하는 전진조광램프소등 및 후진조광램프점등 제어명령을, 그리고 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시에는 후진조광램프(532)가 소등되고 전진조광램프(531)가 점등되도록 하는 후진조광램프소등 및 전진조광램프점등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620)와; 상기 제어부(6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전진조광램프(531)와 후진조광램프(532)에 대하여 전제램프소등 구동신호와 전진조광램프소등 구동신호 및 후진조광램프소등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램프구동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610)와 제어부(620) 및 램프구동부(630) 및 전진조광램프(531)와 후진조광램프(532)에 소요되는 전원은 상용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는 충전배터리(6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610)와 제어부(620)와 램프구동부(630) 및 충전배터리(640)는 건축물의 소방관리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620)와 램프구동부(630)는 상기 회로기판(533)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20)와 램프구동부(630)과 램프조립체(530)는 통상적인 데이터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충전배터리(640)와 램프조립체(530)는 통상적인 전원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는 제어부(600)에 의하여 광원부(500)가 제어되어 평상시에는 제어부(620)가 전체램프소등 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램프구동부(630)가 전진조광램프(531)과 후진조광램프(532)에 대하여 전체램프소등 구동신호를 송출하여 전진조광램프(531)과 후진조광램프(532)가 모두 소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전진조광램프(531)과 후진조광램프(532)가 모두 소등되면,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과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을 통해 투광되는 빛이 없고,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과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이 좌측 컬러판부재(410), 우측 컬러판부재(420), 상측 컬러판부재(430), 하측 컬러판부재(440)에 의하여 가리워져 있으므로 유도표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화재 등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전진방향비상구와 후진방향비상구가 모두 차단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대피가 가능한 경우, 입력부(610)에 비상구전체개방모드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제어부(620)가 전진조광램프(531)와 후진조광램프(532)에 대하여 전체램프점등 제어명령을 출력하며, 램프구동부(630)가 전진조광램프(531)와 후진조광램프(532)에 대하여 전체램프점등 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진조광램프(531)와 후진조광램프(532)가 모두 점등되고, 전진조광램프(531)와 후진조광램프(532)에서 조사된 빛이 좌상광원실(521), 좌하광원실(522), 우상광원실(523) 및 우하광원실(524)에서 좌상투광통로(131), 좌하투광통로(132), 우상투광통로(133) 및 우하투광통로(134) 내로 조광되며, 좌상투광통로(131), 좌하투광통로(132), 우상투광통로(133) 및 우하투광통로(134) 내로 조광된 빛이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과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을 통하여 투광되고, 이 빛이 좌벽(111), 우벽(112), 상벽(113) 및 하벽(114)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좌측 컬러판부재(410), 우측 컬러판부재(420), 상측 컬러판부재(430), 하측 컬러판부재(440)을 투과하게 되어 전진대피유도화살표와 후진대피유도화살표가 불빛으로 표시된다.
이때, 좌측 컬러판부재(410), 우측 컬러판부재(420), 상측 컬러판부재(430), 하측 컬러판부재(440)는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에 대응하는 제1 컬러와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에 대응하는 제2 컬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진대피유도화살표와 후진대피유도화살표가 서로 다른 컬러로 표시되며, 따라서 건축물의 대피통로를 통해 대피하는 사람들이 컬러를 달리하는 전진대피유도화살표와 후진대피유도화살표의 안내를 받아 전진방향비상구와 후진방향비상구를 향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진방향비상구가 차단되어 정상적인 대피가 불가능하고 후진방향비상구가 차단되지 않아 대피가 가능한 경우, 입력부(610)에 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제어부(620)가 전진조광램프소등 및 후진조광램프점등 제어명령을 출력하며, 램프구동부(630)가 전진조광램프(531)에 대한 전진조광램프소등 구동신호를, 후진조광램프(532)에 대한 후진조광램프점등 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진조광램프(531)가 소등되고, 후진조광램프(532)가 점등되며, 후진조광램프(532)에서 조사된 빛에 의하여 상술한 과정을 거쳐서 후진대피유도화살표가 표시되며, 대피통로를 통해 대피하는 사람들이 후진대피유도화살표의 안내를 받아 후진방향비상구를 향하여 안전하게 대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후진방향비상구가 차단되어 정상적인 대피가 불가능하고, 전진방향비상구가 차단되지 않아 대피가 가능한 경우, 입력부(610)에 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제어부(620)가 후진조광램프소등 및 전진조광램프점등 제어명령을 출력하며, 램프구동부(630)가 후진조광램프(532)에 대한 후진조광램프소등 구동신호를, 전진조광램프(531)에 대한 전진조광램프점등 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후진조광램프(532)가 소등되고, 전진조광램프(531)가 점등되며, 전진조광램프(531)에서 조사된 빛에 의하여 상술한 과정을 거쳐서 전진대피유도화살표가 표시되며, 대피통로를 통해 대피하는 사람들이 전진대피유도화살표의 안내를 받아 전진방향비상구를 향하여 안전하게 대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구의 방향을 정확하게 제시하여 대피하는 사람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전진방향 비상구와 후진방향 비상구 중 어느 하나가 차단된 경우 차단된 방향의 대피유도화살표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차단되지 않은 방향의 대피유도화살표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헛걸음을 하지 않고 차단되지 않은 비상구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시간지체를 방지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여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도광채널 131: 좌상투광통로
132: 좌하투광통로 133: 우상투광통로
134: 우하투광통로 140: 나사체결보스
200: 전진화살표형 투광공 300: 후진화살표형 투광공
410, 420, 430, 440: 컬러판부재 500: 광원부
510: 광원부케이싱 521, 522, 523, 524: 광원실
530: 램프조립체 531: 전진조광램프
532: 후진조광램프 533: 회로기판
540: 광원부커버 550: 고정구
600: 제어수단 610: 입력부
620: 제어부 630: 램프구동부

Claims (1)

  1. 좌벽(111), 우벽(112), 상벽(113) 및 하벽(114)과, 十자형 격벽(120)에 의하여 좌상투광통로(131), 좌하투광통로(132), 우상투광통로(133) 및 우하투광통로(134)로 구획되는 도광채널(100)과; 상기 도광채널(100)의 좌벽(111) 상반부와 우벽(112) 하반부 및 상벽(113) 좌반부와 하벽(114) 우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되며 화살표머리가 전진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과; 상기 도광채널(100)의 좌벽(111) 하반부와 우벽(112) 상반부 및 상벽(113) 우반부와 하벽(114) 좌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되며 화살표머리가 후진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과; 상기 좌벽(111), 우벽(112), 상벽(113) 및 하벽(114)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좌측 컬러판부재(410), 우측 컬러판부재(420), 상측 컬러판부재(430), 하측 컬러판부재(440)과; 상기 도광채널(100)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좌상투광통로(131), 좌하투광통로(132), 우상투광통로(133) 및 우하투광통로(134)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컬러판부재(410, 420, 430, 440)는 전진화살표형 투광공(200)에 대응하는 부분과 후진화살표형 투광공(300)에 대응하는 부분의 컬러를 달리하고,
    상기 광원부(500)는 상기 도광채널(100)의 전후단에 결합되며, 十자형 격벽(511)에 의하여 상기 좌상투광통로(131), 좌하투광통로(132), 우상투광통로(133) 및 우하투광통로(134)에 대응하는 좌상광원실(521), 좌하광원실(522), 우상광원실(523) 및 우하광원실(524)로 구획되는 광원부케이싱(510)과; 상기 광원부케이싱(510)의 좌상광원실(521)과 우하광원실(524) 내에 설치되는 전진조광램프(531)와, 좌하광원실(522)과 우상광원실(523) 내에 설치되는 후진조광램프(532) 및 전진조광램프(531)와 후진조광램프(532)가 실장되는 회로기판(533)을 포함하는 램프조립체(530)와; 상기 회로기판(533)이 수납되는 기판수납홈(541)이 구비되며 상기 광원부케이싱(5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광원부커버(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광채널(100)과 광원부(500)를 천장면,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도광채널(100)을 천장면,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구(550)가 더 포함되고,
    상기 광원부(500)의 램프조립체(5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6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수단(600)은 건축물의 대피통로의 전진방향과 후진방향에 위치한 전진방향비상구와 후진방향비상구가 모두 차단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대피가 가능한 경우 비상구전체개방모드가 입력되고, 전진방향비상구가 차단된 경우 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가 입력되며, 후진방향비상구가 차단된 경우 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610)와; 상기 입력부(610)에 모드 입력이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전진조광램프(531)과 후진조광램프(532)가 모두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전체램프소등 제어명령을, 상기 입력부(610)의 입력모드에 따라 비상구전체개방모드시에는 전진조광램프(531)와 후진조광램프(532)가 모두 점등되도록 하는 전체램프점등 제어명령을, 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시에는 전진조광램프(531)가 소등되고 후진조광램프(532)가 점등되도록 하는 전진조광램프소등 및 후진조광램프점등 제어명령을, 그리고 후진방향비상구차단모드시에는 후진조광램프(532)가 소등되고 전진조광램프(531)가 점등되도록 하는 후진조광램프소등 및 전진조광램프점등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620)와; 상기 제어부(6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전진조광램프(531)와 후진조광램프(532)에 대하여 전제램프소등 구동신호와 전진조광램프소등 구동신호 및 후진조광램프소등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램프구동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1020170002313A 2017-01-06 2017-01-06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101743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313A KR101743636B1 (ko) 2017-01-06 2017-01-06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313A KR101743636B1 (ko) 2017-01-06 2017-01-06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636B1 true KR101743636B1 (ko) 2017-06-07

Family

ID=5922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313A KR101743636B1 (ko) 2017-01-06 2017-01-06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6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7267A (zh) * 2018-12-21 2019-04-05 青岛海信智慧家居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位置调整方法及智能设备
KR102143555B1 (ko) * 2019-12-19 2020-08-12 (주)한양이엔씨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안전 유도 장치
KR102618966B1 (ko) 2023-05-04 2023-12-28 주식회사 조이테크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코너겸용 소방 비상구 유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7267A (zh) * 2018-12-21 2019-04-05 青岛海信智慧家居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位置调整方法及智能设备
CN109587267B (zh) * 2018-12-21 2021-07-06 青岛海信智慧生活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位置调整方法及智能设备
KR102143555B1 (ko) * 2019-12-19 2020-08-12 (주)한양이엔씨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안전 유도 장치
KR102618966B1 (ko) 2023-05-04 2023-12-28 주식회사 조이테크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코너겸용 소방 비상구 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0511B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US20120092183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Projected Directional Indication
NL2002295C2 (en)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a variety of illumination devices.
KR10174363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US20090059602A1 (en) Directional evacuation lights
US10670259B2 (en) Baseboard luminaire for ambient lighting
CN102317677A (zh) 紧急出口路线照明系统和方法
KR10212120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JP4961763B2 (ja) 発光部を有する建物の避難誘導構造
KR20150002983U (ko) 비상유도 등
KR102485464B1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JP3259375B2 (ja) 避難誘導経路設置用誘導灯装置および誘導用照明システム
KR20160004745A (ko)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CN210667648U (zh) 一种投射逃生路线的应急灯组件
CN212365454U (zh) 一种消防应急照明装置
JP7263137B2 (ja) 照明手摺
WO2011029998A1 (en) Illuminated sign and illuminated sign system
KR101061204B1 (ko) 대피 방향 선택 표시기능을 갖는 피난 유도선 발광장치 및 피난 유도선
CN108847165B (zh) 一种动态投射方向指示组件及其应用方法
KR101886700B1 (ko) 비상상황대처 기능을 갖는 led비상유도등기구
KR10261896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코너겸용 소방 비상구 유도장치
JP2005307621A (ja) 照明装置及びその照明装置を使用した床パネル
AU5444899A (en) Display
KR20040086785A (ko) 유도등 및 피난 유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