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785A - 유도등 및 피난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도등 및 피난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785A
KR20040086785A KR1020040021677A KR20040021677A KR20040086785A KR 20040086785 A KR20040086785 A KR 20040086785A KR 1020040021677 A KR1020040021677 A KR 1020040021677A KR 20040021677 A KR20040021677 A KR 20040021677A KR 20040086785 A KR20040086785 A KR 20040086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
induction
light sourc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이치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마미야-오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961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3029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961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303602A/ja
Application filed by 마미야-오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미야-오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7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5/00Electric light sources using a 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light gen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유도등(1)은 플래쉬 램프(11)와 3개의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1∼23)를 광원램프(7)로서 구비한다. 플래쉬 램프(11)의 전면 커버(14)에는 500nm 이하의 가시광 성분을 커트하는 광학 필터(14a)가 배치되며,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램프렌즈(2lb∼23b)에도 동일한 광학 코팅이 실시되어 있다. 연기가 가득찬 상황에서는 담황색 등의 색을 띈 광이 시인성이 양호하며 다른 조명광과의 식별도 용이하다. 플래쉬 램프(11)는 고휘도의 스트로브 발광을 반복하며, 발광하지 않는 기간에는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1∼23)가 발광한다. 따라서, 연기가 가득찬 상황에서 시인성이 양호하며, 다른 조명광이나 광고등의 광들과 구별할 수 있는 유도등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등 및 피난 유도 시스템{GUIDE RAMP AND GUIDING SYSTEM FOR REFUGE}
본 발명은 도로의 터널 내, 지하도, 지하상가 등에서 화재 등의 비상시에 피난로를 따라 사람들을 피난구까지 안전하게 안내하기 위한 피난 유도 시스템 및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지하상가나 지하철 통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등은 화재 등이 발생하여연기가 가득차 시야가 나빠졌을 경우, 피난구 등의 안전한 장소로 사람들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유도등의 전원으로는 상용 교류 전원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된 비상시에 축전지로 전환하여 유도등을 점등하는 시스템도 알려져 있다. 예컨대, JP-A-2001-338784호 공보에는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재난방지용 조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지하상가나 지하철 통로 등에서 화재 등에 의해 연기가 발생했을 때에는 유도등과 함께 조명등이나 광고등들도 점등되어 있는 경우와,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유도등만 점등되어 있는 경우의 피난상황이 상정된다. 또한, 도로의 터널 등에서 재해가 발생했을 때에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가 점등된 상태에서 피난하는 상황도 상정된다.
조명등이나 광고등이 점등되어 있는 상황이나 자동차의 헤드라이트가 점등된 상황에서 피난할 경우에는, 유도등이 점등되어 유도등의 광과 그 밖의 광원에 의한 광을 구별할 수 없어, 유도등에 의해 적절히 유도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즉, 지하상가나 터널 등의 폐쇄공간 내에 연기가 가득차면, 조명등, 광고등, 헤드라이트 등의 광은 연기에 의해 산란되어 백색의 산란광으로서 피난자에게 인식된다. 마찬가지로 유도등도 백색의 산란광으로서 인식된다. 이로 인해, 어느 것이 유도등인지 구별할 수 없어 신속하게 피난구로 피난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유도등만 점등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유도등의 광이 가득찬 연기로 인해 산란되므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시인성(視認性)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도등 램프의 와트수를 올려 발광휘도를 높이면 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소비전력이 증가하므로, 가령 전지전원에 의해 유도등을 점등할 경우에는 부적당하다.
한편, 지하상가나 지하철 통로 등에서는 미리 정해진 영업시간대에만 지하상가나 지하철 도로의 출입구가 개방되어 이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하상가나 지하철 도로 등의 통로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등은 영업시간대에는 발광 가능한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꺼두는 것이 에너지 절약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연기가 가득찬 상황에서도 시인성이 높은 유도등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연기가 가득찬 상황에서 다른 광원이 점등된 상태에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도등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소비 전력이 적고 시인성이 높은 유도등을 제안하는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과제는 각 방향에서의 시인성이 높은 유도등을 제안하는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의 과제는 이용자의 통행이 일정한 시간대에 한정되어 있는 지하상가나 지하철 통로 등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피난 유도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유도등을 일부 절단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a)는 도 1의 유도등을 커버를 떼어낸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는 도 1의 유도등의 종단면도, (c)는 도 1의 유도등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유도등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도등의 광원램프의 발광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5는 도 1의 유도등을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상하방향의 시인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b)는 좌우방향의 시인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유도등의 광원램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도 1의 유도등을 벽면을 따라 복수 설치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유도등의 전력공급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유도등의 전력공급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유도등의 전력공급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피난 유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무선발신기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13은 도 11의 유도등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14는 도 11의 피난 유도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15는 도 11의 피난 유도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16은 도 11의 피난 유도 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17은 도 11의 피난 유도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도등 2: 부착판
3 : 커버 4 : 광원램프유닛
5 : 유닛 케이스 6 : 태양전지패널
7 : 광원램프 8 : 이차전지
11 : 플래쉬 램프 11a : 주 광축
12 : 전구 13 : 리플렉터
14 : 전면 커버 14a : 광학 필터
21, 22, 23, 24, 25 :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
21a~25a : 광축 21b~23b : 램프렌즈
41 : 조도검출부 42 : 스위칭회로
43 : 발광제어회로 100 : 피난 유도 시스템
102 : 통로 102a : 벽면
102b : 천장 102c : 바닥면
103 : 유도등 104 : 무선발신기
105 : 제어회로 111 : 조명배선반
113 : 조명등 114 : 전선 케이블(통신용 안테나선)
115 : 조명스위치 116 : 내장 조명스위치
136 : 태양전지패널 137 : 광원램프
138 : 이차전지 141 : 플래쉬 램프
151, 152, 153 :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
161 : 조도검출부 162 : 스위칭회로
163 : 발광제어회로 164 : 수신회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도등은 광원램프와, 상기 광원램프에 구동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전원과, 상기 광원램프로부터 사출되는 가시광 성분 중 파장이 짧은 쪽으로부터 소정 파장영역의 광성분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거수단으로는 상기 광원램프의 전면에 배치된 필터 또는 상기 광원램프의 발광관에 형성된 피막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수단은 500nm 이하의 광성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하면 무방하다.
본 발명의 유도등에서는 가시광영역에서 저파장영역 부분의 성분이 제거수단을 통해 제거된 후에 광성분이 사출된다. 따라서, 유도등의 광은 담황색, 황색 또는 오렌지색이 된다. 그 결과, 연기가 가득차 있는 경우의 시인성을 백색광일 경우에 비해 개선시킬 수 있다. 즉, 제거수단에 의해 발광휘도 자체는 저하되지만, 발광휘도가 높은 백색광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도등 이외의 조명등, 광고등도 점등되어 있을 경우, 이러한 광은 연기의 입자에 의해 난반사되어 백색광으로서 인식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유도등의 광은 옅은 색을 띈 광으로서 인식된다. 따라서, 유도등의 광과 그 이외의 광을 구별할 수 있으므로, 유도등을 따라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도등은 광원램프로서 플래쉬 램프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래쉬 램프는 다른 광원과는 달리 소정의 간격으로 스트로브 발광하기 때문에, 다른 광원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먼 거리에서도시인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의 광원램프는 플래쉬 램프와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플래쉬 램프는 소정의 간격으로 고휘도의 섬광을 발생시키며,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플래쉬 램프가 꺼져 있는 기간에 유도등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휘도가 높고 시인성이 우수한 유도등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플래쉬 램프에 의한 사출광의 소정 방향의 발산각도는 소정 각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사출광의 발산각도는 3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출광의 지향성을 높임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도등의 각 방향에서의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광원램프는 단일 플래쉬 램프와, 상기 플래쉬 램프의 양측에 배치된 적어도 1개씩의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플래쉬 램프의 사출광의 주 광축에 대하여, 좌우의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사출광의 광축 방향은 소정 각도만큼 좌우로 기울어지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플래쉬 램프와 상기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발광제어회로에 의해 교대로 발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항상 점등시키는 경우에 비해 유도등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동시에, 에너지절약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전지전원을 구비한 유도등으로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의 상기 전지전원은 태양전지, 일차전지, 이차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면 무방하다. 본 발명의 유도등은 상용 교류 전원이 부설(敷設)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장소에 제약이 없다. 또한, 지진, 화재 등으로 인해 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 즉 유도가 필요할 때에 확실히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도등에 있어서 비상시에만 광원램프를 온으로 전환하고, 평상시에는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절전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원램프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해 조도 및/또는 연기 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지며, 상기 센서에 의해 조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가 되었거나 및/또는 연기 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었음이 검출되면, 상기 광원램프를 온으로 전환하도록 하면 된다.
그 대신에, 상기 광원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회로를 배치하여 긴급시에만 온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또한, 광원램프가 온으로 전환되어 피난을 유도해야 하는 긴급한 사태임을 알릴 수 있도록, 상기 광원램프의 온·오프 전환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회로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도등에서는 상기 광원램프를 온·오프 전환하는 스위칭회로를 가지며, 상기 전지전원을 일차전지로 하여 그 일차전지로부터 상기 센서 및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대신에, 상기 전지전원을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이차전지를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차전지로부터 상기 센서 및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및 상기 스위칭회로에 전류를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가지며, 상기 전지전원을 일차전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및 상기 스위칭회로에 전류를 공급하는 이차전지와, 상기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태양전지를 가지며, 상기 전지전원을 일차전지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난 유도 시스템은 피난구와, 상기 피난구가 형성된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등을 가지며, 상기 유도등으로는 상기한 구성의 유도등을 채용하여, 그 유도등을 상기 벽면의 2m 이내의 높이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기가 가득찬 상황에서 피난할 때에는 앞으로 구부린 자세나 또는 바닥을 기는 자세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에 유도등의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피난자의 시야 내의 높이 위치에 유도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피난자의 신장보다 낮은 위치, 최대 2m 이하의 높이 위치에 유도등을 설치해 두면, 유도등의 시인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유도등을 상기 벽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등의 시인성이 양호한 범위마다 유도등을 설치함으로써 피난자를 피난구로 신속히 인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피난 유도 시스템은 재해시의 피난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유도등과, 상기 유도등을 오프상태 및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무선통신기와, 상기 무선통신기로부터의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무선통신용 안테나선을 가지며, 상기 유도등은 광원램프와, 상기 광원램프에 구동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전원과, 상기 무선통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상기 유도등 설치장소의 조도가 소정값 이하가 되었거나 및/또는 상기 유도등 설치장소의 연기 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었음을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수신회로에 의한 수신신호 및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램프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난 경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유도등이 무선통신에 의해 원격조작되어 오프상태 및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지하상가 등에서 통행자가 있는 시간대(영업시간대)에만, 각 유도등을 대기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지전원을 구비한 각 유도등의 에너지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유도등을 유선으로 원격조작하는 경우와 같이, 재해 등이 발생했을 때 단선으로 인해 원격조작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폐해도 일어나지 않는다. 더욱이, 유선식의 경우, 각 유도등에 제어용의 배선을 설비할 수 없는 장소에는 유도등을 설치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등의 설치장소에 제약이 없다.
여기서, 지하상가 등에는 조명설비나 배수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근방에 설비된 조명설비, 배수설비 등의 배전용의 전선 케이블을 상기 무선통신용 안테나선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무선통신용 안테나선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스템을 염가에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지하상가, 지하철 통로 등에서는 그 영업시간대 동안에는 조명등이 점등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소등상태가 된다. 따라서, 무선으로 원격조작함으로써, 상기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등의 점등시간대(다시 말하면, 피난 유도등이 필요한 동안)에만 각 유도등을 대기상태로 유지하면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조명등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조명스위치가 온으로 전환되면, 상기 무선통신기로부터 상기 유도등을 오프상태에서 대기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기동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조명스위치가 오프로 전환되면, 상기 무선통신기로부터 상기 유도등을 대기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정지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기는, 상기 조명스위치 및 상기 조명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전선 케이블의 사이에 접속된 제어회로와, 상기 전선 케이블에 삽입된 내장 조명스위치를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조명스위치가 온으로 전환되었음을 검출하면, 상기 내장 조명스위치를 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조명등에 대한 전력공급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기동신호를 발신시키도록 하면 된다.
한편, 상기 유도등에서는 상기 기동신호를 수신하여 오프상태로부터 대기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화재 등이 발생하여 조명이 꺼졌거나 연기가 가득찬 경우에 유도등을 발광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조도가 소정값 이하가 되었거나 및/또는 연기 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었음이 검출되면, 상기발광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광원램프를 발광상태로 전환하면 된다.
복수의 유도등을 점등시킬 경우에는, 상기 광원램프가 발광상태로 전환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기로 송신하는 송신회로를 상기 유도등에 설치하고, 상기 무선통신기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각 유도등이 피난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발광 동작하도록 각 유도등을 원격제어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유도등에 의해 피난 방향이 표시되므로, 피난자는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피난할 수 있다.
다음에, 각 유도등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유도등에 상기 광원램프로부터 사출되는 가시광 성분 중, 파장이 짧은 쪽부터 소정 파장영역의 광성분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설치하여 담황색, 황색 또는 오렌지색 등의 광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도등의 상기 광원램프는 플래쉬 램프와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구비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유도등의 상기 발광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플래쉬 램프와 상기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교대로 발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래쉬 램프는 휘도가 높아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고, 플래쉬 램프가 발광하지 않는 기간에 보조적으로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키면 유도등의 위치를 항상 피난자에게 표시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도등의 상기 전지전원은 태양전지, 일차전지, 이차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유도등은 상용 교류 전원이 부설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장소에 제약이 없다. 또한, 지진, 화재 등에 의해 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 즉 유도가 필요할 때에 확실히 점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지전원을 일차전지로 하고 상기 일차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광원램프와 함께 상기 센서 및 상기 발광제어수단을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대신에, 상기 전지전원을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이차전지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상기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광원램프와 함께 상기 센서 및 상기 발광제어수단을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전지전원을 일차전지로 하고, 상기 센서 및 상기 발광제어수단을 구동하기 위해 별개의 전지전원, 예를 들어 태양전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들 센서 및 발광제어수단의 전원으로서, 태양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이차전지를 구비한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유도등 및 피난 유도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유도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유도등을 일부 절단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유도등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정면도, 유도등의 종단면도 및 유도등의 개략 횡단면도이다. 유도등(1)은 지하상가, 터널 등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부착판(2)과, 상기 부착판(2)의 표면(2a)에 부착된 플라스틱제의 커버(3)와, 부착판 표면(2a)에 부착되어 커버(3)에 의해 덮여 있는광원램프유닛(4)을 구비한다.
광원램프유닛(4)은 강판과 같은 판재로 조립되어 있는 유닛 케이스(5)를 구비하며, 상기 유닛 케이스(5)의 상단부분에는 3장의 태양전지패널(6)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유닛 케이스(5) 전면의 하측부분에는 광원램프(7)가 부착되어 있으며, 유닛 케이스(5)의 내부에는 이차전지(8)와 제어기판(9)이 배치되어 있다.
본 예의 커버(3)는 가시광에 대해 투명하며, 지하상가나 터널 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광이나 광고등의 광이 커버(3)를 투과하여 내부의 태양전지패널(6) 수광면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광원램프유닛(4)으로부터의 광이 커버(3)를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커버(3)는 수평한 바닥판 부분(31)과, 상기 바닥판 부분(31)의 전방 에지 및 좌우 에지로부터 상측으로 수직으로 뻗어있는 수직 전판(前板) 부분(32) 및 좌우의 수직 측판 부분(33, 34)과, 수직 전판 부분(32)의 상단으로부터 45도 보다 급한 경사 각도로 후퇴되어 있는 경사 전판 부분(35)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 부분(31), 좌우의 수직 측판 부분(33, 34) 및 경사 전판 부분(35)의 후방 에지는 O링 등의 시일재(10)를 통해 부착판 표면(2a)에 밀봉(liquid-tight)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커버(3)를 부착판 표면(2a)에 고정하기 위해, 커버(3) 좌우의 수직 측판 부분(33, 34)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플랜지(36, 37)가 형성되며, 이들에 고정 나사(도시생략)를 삽입하기 위한 탭구멍(36a, 37a)이 형성되어 있다.
광원램프유닛(4)의 상단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3장의 태양전지패널(6)은 약간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이며, 앞쪽이 밑이 되도록 대략 45도의 경사 각도로 설치되어 있다. 태양전지패널(6)은 커버(3)를 통해 천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이나 광고등들의 광을 받아 전력을 발생시킨다. 태양전지패널(6)에서 발생된 전력은 이차전지(8)에 축적된다.
다음으로, 본 예의 광원램프(7)는 플래쉬 램프(11)와 3개의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1, 22, 23) 및 이들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회로(도 3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의 (b) 및 (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래쉬 램프(11)는 유도등(1)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플래쉬 램프(11)의 우측에 1개의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1)가 배치되어 있으며, 플래쉬 램프(11)의 좌측에 2개의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2, 2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플래쉬 램프(11)는 기체 방전 전구(12)와 리플렉터(13) 및 전구(12)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전면 커버(14)를 구비하고 있다(도 2의 (b) 참조). 본 예에서는 리플렉터(13)의 반사면 형상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사출광의 상하 방향의 발산각도를 소정 각도 이하가 되도록 하여 사출광의 상하 방향의 지향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전면 커버(14)에는 500nm 이하의 가시광 성분을 커트하는 필터(14a)가 부착되어 있다. 그 대신에, 동일한 광학특성을 구비한 필터층을 전면 커버(14)의 표면 또는 이면에 코팅해도 무방하다. 그 결과, 플래쉬 램프(11)로부터의 사출광은 백색광이 아닌 담황색, 황색 또는 옅은 오렌지색이 된다.
다음에,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쉬 램프(11)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1)는 유도등 전방으로 뻗어있는 플래쉬램프(11)의 주 광축(11a)에 대하여 우측으로 30도 기울어진 방향이 사출광의 광축(21a)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1)에는 발산각도가 일반적인 각도보다 좁은 30도 이하, 예컨대 20도의 협각(狹角) 발광다이오드가 이용된다. 또한,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1)의 램프렌즈(2lb)에는 500nm 이하의 가시광 성분을 커트하는 광학특성을 구비한 코팅이 형성되어 있다.
플래쉬 램프(11)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2)는 유도등 전방을 향하는 방향이 사출광의 광축(22a)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램프(22)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3)는, 램프(22)의 광축(22a)에 대해 좌측으로 30도 기울어진 방향이 사출광의 광축(23a)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2, 23)도 협각 발광다이오드이다.
도 3은 본 예의 유도등(1)의 제어기판(9)에 조립된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어회로(40)는 조도검출부(41)와 스위칭회로(42) 및 발광제어회로(43)를 구비하고 있다. 조도검출부(41)는 유도등(1)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광센서(44) 및 검출회로(45)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회로(45)에서는, 수광센서(44)로부터 얻어지는 수광량을 미리 정한 기준 수광량과 비교하여, 기준 수광량보다 검출된 수광량이 밑돌 경우, 바꿔 말하면 조도가 소정의 조도 수준을 밑돌 경우에 스위칭 신호를 스위칭회로(42)에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면, 평상시에는 오프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스위칭회로(42)가 온으로 전환된다. 가령, 40룩스 이하가 되면 스위칭회로(42)가 온으로 전환된다.수광센서(44)로는 수광센서 기능을 하는 「수광센서」 및 「솔라(solar)소자의 전압 강하를 이용한 솔라 축전 플러스 발광센서」가 있다.
본 예에서는 전지전원으로서 태양전지패널(태양전지;6)과, 상기 태양전지패널(6)에 의해 충전되는 이차전지(8)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패널(6)은 조명등이나 광고등들의 광을 수광하며 발생된 기전력은 이차전지(8)에 축적된다. 상기 이차전지(8)로부터 조도검출부(41), 스위칭회로(42) 및 광원램프(7;플래쉬 램프(11), 백색 발광다이오드(21, 22, 23))에 전력이 공급된다.
스위칭회로(43)가 오프 상태일 때는 전력공급회로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광원램프(7)는 발광하지 않는다. 유도등이 설치된 장소의 조도가 40룩스 이하로 저하되면, 스위칭회로(42)가 온으로 전환되고, 전력공급회로가 형성되어 발광제어회로(43)의 제어하에 광원램프(7)가 발광한다.
도 4는 플래쉬 램프(11) 및 3개의 백색 발광다이오드(21, 22, 23)의 발광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쉬 램프(11)는 일정한 간격(T0)으로 0.1∼0.2ms의 짧은 섬광 L(11)을 발생시킨다(스트로브 발광한다). 이에 대하여,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1, 22, 23)는 플래쉬 램프(11)와 교대로 발광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본 예의 백색 발광다이오드(21∼23)는 온·오프의 듀티비가 50%로서, 스트로브 발광과 동일한 주기(T0)로 온·오프 제어된다. 이러한 플래쉬 램프(11),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21, 22, 23)의 발광이 발광제어회로(43)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으로, 도 5는 유도등(1)을 이용한 피난 유도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피난 유도 시스템은 지하상가, 지하도, 터널과 같은 폐쇄 공간의 벽면에 유도등(1)을 부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예의 피난 유도 시스템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등(1)은 벽면(W)에서 사람의 신장 이하의 높이 위치(H)에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2m 이하, 예컨대 1.5m 정도의 높이 위치에 설치하면 무방하다. 또한, 유도등(1)의 플래쉬 램프(11)의 리플렉터(12) 형상을 적절히 설정하여 상기 주 광축(11a)의 방향이 수평보다 약간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발산각도가 일반적인 플래쉬 램프에 비해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상하방향의 지향성이 높아진 것이다. 이에 대해,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발산각도는 일반적인 플래쉬 램프와 동일한 정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도등(1)이 설치되어 있는 피난 유도 시스템에서, 평상시에 유도등(1)은 오프상태이며, 조명등이나 광고등들에 광이 조사되어 있는 태양전지패널(6)의 기전력이 이차전지(8)에 축적된다. 또한, 커버(3)의 상면은 45도 이상의 급한 경사 각도를 갖는 경사 전판 부분(35)에 의해 규정되어 있으므로, 커버 상면에 먼지 등이 퇴적되기 어렵다. 따라서, 퇴적된 이물로 인해 내부의 태양전지패널(6)에 광이 도달하지 않아 발전작용이 저해될 우려도 적다.
다음으로, 화재 등으로 인해 연기가 가득차 조도가 떨어지면, 이것이 유도등(1)의 조도검출부(41)에 의해 검출되어 스위칭회로(42)가 온으로 전환되고, 이차전지(8)로부터 발광제어회로(43) 및 발광 램프(7)에 대한 전력공급이 개시된다. 발광제어회로(43)에 의해, 발광 램프(7)의 플래쉬 램프(11)가 일정한 간격, 예컨대 2초 간격으로 스트로브 발광한다. 이에 대해, 3개의 백색 발광다이오드(21∼23)는 스트로브 발광 사이의 기간에 온이 되도록 온·오프 제어된다(도 4 참조).
플래쉬 램프(11)는 고휘도의 스트로브 발광을 반복하므로 시인성이 양호하다. 또한, 플래쉬 램프(11)가 꺼져 있는 기간에는 보조 광원으로서 3개의 발광다이오드 램프(21∼23)가 발광한다. 따라서, 연기가 가득찬 경우 등에도 유도등(1)의 시인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이와 같이 교대로 발광시킴으로써, 항상 발광시키는 경우에 비해 에너지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와 같이 전지전원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는 매우 유리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쉬 램프(11)의 전면 커버(14)에는 필터(14a)가 부착되어 있으며, 500nm 이하의 가시광 성분이 커트되어 담황색, 황색 또는 오렌지색의 광이 사출된다. 보조 광원이 되는 3개의 다이오드는 백색 발광다이오드이기 때문에 연기 속에서의 투과성이 향상된다. 플래쉬 램프와 조합하여 교대로 발광시킴으로써, 휘도가 낮고 색은 띄지 않아도 시인성이 우수하여 피난자는 유도등을 즉시 인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시인성이 우수한 저휘도의 유도등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화재 등으로 인해 연기가 가득찬 상황에서 유도등 이외의 조명등이나 광고등들이 점등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러한 광도 연기에 난반사되어 백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어느 것이 유도등인지 구별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가시광 성분 중 파장이 짧은 쪽의 대역성분이 커트된 광을 유도등(1)으로부터 발광시키므로, 옅은 색을 띈 광을 사출할 수 있어 다른 광원과 쉽게 구별된다. 따라서, 피난구와 같은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피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P)의 신장보다 낮은 높이 위치에 유도등(1)이 설치되며, 더욱이 플래쉬 램프(11)로부터의 사출광(스트로브 발광;L(11))이 약간 하측을 향하도록 지향성(指向性)을 구비한다. 따라서, 유도등(1)의 광이 피난하는 사람(P)의 시야에 들어오기 쉽다. 또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발광다이오드 램프(21, 23)는 좌우 30도 방향을 향하고 있어, 좌우 방향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는 각도 범위가 넓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유도등(1)이 상하 및 좌우에서 인식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신속히 피난할 수 있다.
한편, 좌우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더욱 넓히기 위해서는, 플래쉬 램프(11)의 양측에 2개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배치하여 이들의 광축 방향을 좌우로 흔들면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개의 발광다이오드 램프(21∼25)를 배치한다. 이들 중, 우측의 발광다이오드 램프(21)의 광축(21a) 방향을 플래쉬 램프(11)의 주 광축(11a)에 대해, 예컨대 30도 기울어지도록 하고, 우측단의 발광다이오드 램프(24)의 광축(24a)의 방향을 더욱 우측으로, 예컨대 30도 기울어지도록 한다. 반대로, 좌측의 발광다이오드 램프(23)의 광축(23a)의 방향을 주 광축(11a)에 대해 30도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좌측단의 발광다이오드 램프(25)의 광축(25a)의 방향을 더욱 좌측으로 30도 기울어지도록 한다.
피난구까지의 거리가 길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난구(50)로 통하는 벽면(W)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유도등(1)을 설치하면 무방하다.
도 8, 9, 10에는 유도등(1)의 전지전원의 각종 형태를 나타낸다. 도 8에서는 전지전원으로서 일차전지(61)만 구비하고 있다. 일차전지(61)로부터 조도검출부(41)에 대해서는 항상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광원램프(7)에 대해서는 스위칭회로(42)가 온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만 일차전지(8)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전지전원은 램프구동용의 일차전지(62)와, 조도검출부(41) 및 스위칭회로(42)를 구동하기 위한 태양전지(63)를 구비하고 있다. 일차전지(62)는 램프구동에만 소비되므로, 상기 일차전지의 교환 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전지전원은 램프구동용의 일차전지(64)를 구비하는 동시에, 조도검출부(41) 및 스위칭회로(42)를 구동하기 위한 태양전지(65)와 이차전지(66)를 구비하고 있다. 태양전지(65)의 태양광 수광면은 태양광 또는 조명등이나 광고등들의 광을 수광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며, 여기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이 이차전지(66)에 축적되어 상기 이차전지(66)로부터 조도검출부(41) 및 스위칭회로(42)에 전력이 공급된다.
(피난 유도 시스템)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피난 유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피난 유도 시스템(100)은 예를 들면 지하상가에 설치되어 있으며, 재해시 피난 경로를 따라 통로(102)의 벽면(102a)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유도등(103)과, 무선원격조작에 의해 각 유도등(103)을 오프상태 및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무선발신기(104)를 갖는다. 각 유도등(103)은 통로(102)의 바닥면 (102b)으로부터 사람의 평균 신장 이하의 높이 위치(H), 예컨대 1.5m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유도등(103)로부터의 사출광(L)의 중심 광축(La)은 수평방향보다 하측으로 약간 기울어지도록 지향성이 설정되어 있다.
통로(102)에는 조명설비가 배치되어 있으며, 조명설비는 조명용 배전반(111)과 통로(102)의 천장(102c) 등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조명등(113)과, 조명용 배전반(111)으로부터 각 조명등(113)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천장(102c)의 이면측에 설비되어 있는 전선 케이블(114)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난 유도 시스템(100)의 무선발신기(104)가 조명용 배전반(111)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피난 유도 시스템(100)의 무선발신기(104)의 무선통신용 안테나선으로서 전선 케이블(114)이 이용되고 있다.
도 12는 조명용 배전반(111)에 탑재되어 있는 무선발신기(104)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무선발신기(104)는 조명용 배전반(111)에 배열되어 있는 조명스위치(115)와 유전용의 전선 케이블(1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무선발신기(104)는 제어회로(105)와 내장 조명스위치(106)를 구비하고 있다. 이미 설치된 조명배전반(111)의 경우에는 내장 조명스위치(106)가 본래의 조명스위치이다. 제어회로(105)의 입력 포트(105a, 105b)에는 조명스위치(115)의 각 단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어회로(105)의 출력 포트(105c, 105d)에는 각각 전선 케이블(114)의 한쌍의 라인(114a 및 114b)이 접속되어 있다. 한쪽의 라인(114a)에내장 조명스위치(106)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105)의 출력 포트(105e)에서는 소정의 발신 주파수의 제어신호(기동신호 및 정지신호)가 전선 케이블(114)을 통해 발신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예의 유도등(103)은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유도등(3)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며, 도 3에 나타내는 구동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발광한다. 따라서,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예의 유도등(103)의 제어회로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어회로부(160)는 조도검출부(161)와, 발광제어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스위칭회로(162) 및 발광제어회로(163)와, 수신회로(164)를 구비하고 있다. 조도검출부(161)는 유도등(103)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광 센서(165) 및 검출 회로(166)를 구비한다. 검출 회로(166)에서는 수광 센서(165)로부터 얻어지는 수광량을 미리 정한 기준 수광량과 비교하여 기준 수광량보다 검출된 수광량이 밑돌 경우, 다시 말해 조도가 소정의 조도 수준을 밑돌 경우에 스위칭 신호를 스위칭회로(162)에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면, 평상시 오프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스위칭회로(162)가 온으로 전환된다. 가령, 40룩스 이하가 되면 스위칭회로(162)가 온으로 전환된다.
본 예의 유도등(103)에서도 전지전원으로서 태양전지패널(태양전지;136)과, 상기 태양전지패널(136)에 의해 충전되는 이차전지(138)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패널(136)은 조명등(113) 등의 광을 수광하며 발생된 기전력이 이차전지 (138)에 축적된다. 상기 이차전지(138)로부터 스위칭회로(162)를 경유하여, 조도검출부(161), 스위칭회로(162) 및 광원램프(137;플래쉬 램프(141), 백색 발광다이오드(151∼153))에 전력이 공급된다.
스위칭회로(162)가 오프상태일 때는 전력공급회로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조도검출부(161)에 의한 검출 동작은 실시되지 않고, 또한 광원램프(137)는 발광하지 않는다. 수신회로(164)만 온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수신회로(164)가 무선발신기(104)로부터 발신된 기동신호를 수신하면, 스위칭회로(162)가 전환되어 조도검출부(161)에 대한 전력 공급이 개시된다. 그 결과, 유도등(103)이 오프상태에서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대기상태에서 유도등 설치장소의 조도가 40룩스 이하로 저하되면, 스위칭회로(162)가 전환되며, 광원램프(137)에 대한 전력공급회로가 형성되어, 발광제어회로(163)의 제어하에 광원램프(137)가 발광한다.
대기상태에서 수신회로(164)가 무선발신기(104)로부터 발신된 정지신호를 수신하면, 스위칭회로(162)가 전환되며, 각 부분에 대한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유도등(103)은 오프상태로 전환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유도등(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래쉬 램프(141)는 일정한 간격으로 0.1∼0.2ms의 짧은 섬광을 발생시킨다(스트로브 발광한다). 이에 대하여, 3개의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151∼153)는 플래쉬 램프(141)와 교대로 발광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본 예의 백색 발광다이오드(151∼153)는 온·오프의 듀티비가 50%로서, 스트로브 발광과 동일한 주기로 온·오프 제어된다. 이러한 플래쉬 램프(141),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151∼153)의 발광이 발광제어회로(163)에 의해제어된다.
다음으로, 도 14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피난 유도 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피난 유도 시스템(100)이 설치되어 있는 지하상가와 같은 통로(2)의 통행 가능 시간(지하상가의 영업시간)을 시점 T1에서 시점 T6까지로 한다. 다시 말해, 조명설비의 조명등(113)의 점등시간대가 시점 T1에서 T6까지이며, 그 밖의 시점은 소등시간대인 것으로 한다.
통로(102)의 통행 가능 시간(시점 T1)이 되면, 조명배전반(111)의 조명스위치(115)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된다. 조명스위치(115)는 타이머 구동에 의해 자동식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감시원이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조명스위치(115)가 온되면, 무선발신기(104)의 제어회로(105)에 의해 조명스위치(115)가 온으로 전환되었음이 검출되며, 상기 제어회로(105)는 내장 조명스위치(106)를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한다. 그 결과, 조명등(113)이 점등된다. 또한, 제어회로(105)는 유도등(103)의 제어신호로서 기동신호(A)를 발생한다(시점 T2). 상기 기동신호(A)는 전선 케이블(114)로부터 발신되어 각 유도등(103)의 수신회로(164)에 의해 수신된다.
조명등(113)이 점등됨에 따라, 각 유도등(103)에서는 태양전지패널(136)에 의한 발전이 개시되며, 이차전지(138)에 대한 충전 동작도 개시된다. 각 유도등(103)은 기동신호(A)를 수신하면(시점 T3), 상기 스위칭회로(162)에 의해 오프상태에서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그 결과, 조도검출부(161)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개시되어 수광센서(165)에 의한 조도 검출 동작이 개시된다.
화재발생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한, 각 유도등(103)은 대기상태로 유지된다. 소등 시간이 되면(시점 T6), 조명배전반(111)의 조명스위치(15)가 오프로 전환된다. 무선발신기(104)는 이러한 전환을 검출하면, 내장 조명스위치(106)를 오프로 전환한다. 그 결과, 조명등(113)이 꺼진다. 또한, 무선발신기(104)는 유도등 제어신호로서 정지신호(B)를 발생한다. 정지신호(B)는 전선 케이블(114)로부터 발신되어 각 유도등(103)의 수신회로(164)에 의해 수신된다. 각 유도등(103)의 수신회로(164)가 정지신호(B)를 수신하면, 스위칭회로(162)가 전환되고 유도등(103)은 대기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되어, 수신회로(164)만 온상태이고 그 밖의 회로 부분은 오프상태가 된다(시점 T7).
그러나, 유도등(103)이 대기상태일 때 화재 등이 발생하여 조도가 소정 수준 이하가 되면, 유도등(103)의 조도검출부(161)로부터 스위칭회로(162)로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가령, 도 14의 (f),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케이블(114)이 절단되거나 하여 조명등(113)이 꺼졌을 경우(시점 T4)에는, 스위칭회로(162)가 전환되어 발광제어회로(163)에 의해 광원램프(137)가 발광상태로 전환된다. 또는, 도 14의 (h),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로(102)에 연기가 가득차 광이 차단된 상태가 되면 광원램프(137)가 발광상태로 전환된다(시점 T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피난 유도 시스템(100)에 따르면, 통로(102)의 통행 가능시간대(영업시간대, 조명등의 점등시간대)에 유도등(103)을 대기상태로 전환하여 화재 등의 비상시에 사람을 유도할 수 있다. 즉, 피난을 유도해야 하는 시간대에만 동작한다. 따라서, 피난 유도 시스템(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유도등(103)을 무선에 의해 원격조작 하므로, 배선의 설비가 불가능한 장소 등에도 유도등(103)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장소에 제약이 없다. 또한, 기존의 조명설비의 송전용 전선 케이블(114)을 통신용의 안테나선으로서 이용하므로 안테나선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특히 전선 케이블(114)은 설치장소를 따라 조명등에 배선되어 있으므로, 각 유도등(103)의 근방에 전선 케이블(114)이 배선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무선으로 확실히 원격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유도등(103)은 조명등들의 광을 받아서 발전하는 태양전지패널(136)을 구비하며, 태양전지패널(136)에 의해 이차전지(138)가 충전된다. 따라서,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도등(103)의 설치장소에 제약이 없다. 또한, 단선으로 인해 비상시에 동작하지 않거나 하는 폐해도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광원램프(137)는 플래쉬 램프(141)와 백색 발광다이오드(151∼153)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플래쉬 램프(141)는 일정한 간격, 예컨대 2초 간격으로 스트로브 발광한다. 이에 대하여, 3개의 백색 발광다이오드(151∼153)는 스트로브 발광하는 사이의 기간에 온이 되도록 온·오프 제어된다(유도등(3)의 발광 동작을 나타내는 도 4 참조). 플래쉬 램프(141)는 고휘도의 스트로브 발광을 반복하므로 시인성이 양호하다. 또한, 플래쉬 램프(141)가 꺼져 있는 기간은 보조 광원으로서 3개의 발광다이오드 램프(151∼153)가 발광한다. 따라서, 연기가 가득찬 경우 등에도 유도등(103)의 시인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이와 같이 교대로 발광시킴으로써, 항상 발광시키는 경우에 비해 에너지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유도등(3)과 마찬가지로, 플래쉬 램프(141)의 전면 커버에는 필터가 부착되어 있어, 500nm 이하의 가시광 성분이 절단되어 담황색, 황색 또는 오렌지색의 광이 사출된다. 보조 광원으로서 3개의 다이오드는 백색 발광다이오드이므로 연기 속에서의 투과성이 향상된다. 플래쉬 램프와 조합하여 교대로 발광시킴으로써, 휘도가 낮고 색을 띄지 않아도 시인성이 우수하여 유도등을 즉시 피난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인성이 우수한 저휘도의 유도등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화재 등으로 인해 연기가 가득찬 상황에서 유도등 이외의 조명등이나 광고등들이 점등되어 있을 경우, 이러한 광도 연기에 난반사되어 백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어느 것이 유도등인지 구별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가시광 성분 중 파장이 짧은 쪽의 대역성분이 커트된 광을 유도등(3)으로부터 발광시키므로, 옅게 착색된 광을 사출할 수 있어 다른 광원과 쉽게 구별된다. 따라서, 피난구와 같은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피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P)의 신장보다 낮은 높이 위치에 유도등(103)을 설치하며, 게다가, 그 사출광(L)은 약간 하측을 향하도록 지향성을 구비한다. 따라서, 유도등(103)의 광이 피난하는 사람(P)의 시야에 들어오기 쉽다. 이와 같이, 본 예는 유도등(103)을 인식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의 유도등(103)은 수광센서(165)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연기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연기 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면, 스위칭회로(162)가 전환되어 광원램프(137)가 발광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피난 유도 시스템(100)에서는 무선발신기(104)의 통신용 안테나선으로서, 이미 설치된 조명등에 대한 송전용 전선 케이블(114)을 이용하고 있다. 지하상가나 지하철 통로에는 배수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용의 동력 펌프(17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펌프용 전원(173)으로부터 인출되어 펌프용의 전선 케이블(172)을 통신용 안테나선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전선 케이블(114, 172)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용 통신용 안테나선(174)을 천장면 등을 따라 배선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예에서는 무선발신기(104)를 구비하며, 각 유도등(103)에는 수신회로(164)가 탑재되어 있다. 무선발신기(104) 대신에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기를 배치하고, 각 유도등(103)에는 송수신회로를 탑재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상구(191)를 따라 복수의 유도등(103-1, 103-2, 103-3···)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하나의 유도등, 예를 들면 유도등(103-2)이 발광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이를 유도등(103-2)에 탑재된 송수신회로(192)로부터 조명배전반(111)에 설치된 무선통신기(193)로 송신할 수가 있다. 무선통신기(193)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유도등(103-1, 103-2, 103-3···)이 비상구(191)를 향해 차례로 발광하도록, 각 유도등을 무선으로 원격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피난하는 사람은 피난 방향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방향을 향해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하상가나 지하도의 조명설비가 복수로 블록화되어 있을 경우에는, 각 블록(201, 202, 203···)마다, 예컨대, 도 11에 나타내는 피난 유도 시스템(100)을 설치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서 유도등(103)의 전지전원으로서, 유도등(3)에 대해 설명한 도 8, 9, 10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전원으로서 일차전지만 구비하고 있을 경우, 유도등(103)이 대기상태에서는 일차전지로부터 조도검출부(161)에 대해 항상 전력이 공급된다. 그러나, 광원램프(137)에 대해서는 스위칭회로(162)가 온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만 일차전지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램프 구동용의 일차전지와, 조도검출부(161) 및 스위칭회로(162)를 구동하기 위한 태양전지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는, 일차전지는 램프구동에만 소비되므로 상기 일차전지의 교환 주기를 길게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램프구동용의 일차전지와, 조도검출부(161) 및 스위칭회로(162)를 구동하기 위한 태양전지와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는, 태양전지의 태양광 수광면이 조명등이나 광고등들의 광을 수광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거기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이 이차전지에 축적된다. 이차전지로부터 조도검출부(161) 및 스위칭회로(162)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도등은 광원램프의 사출광으로부터 단파장쪽의 가시광 성분을 제거한 나머지 가시광 성분을 방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연기가 가득차 있을 경우에 시인성이 양호하며, 다른 조명광나 광고등의 광과 구별되는 유도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도등은 광원램프로서 플래쉬 램프를 이용하고 있다. 플래쉬 램프는 다른 광원과는 달리 소정의 간격으로 스트로브 발광하므로, 다른 광원으로부터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먼 거리에서의 시인성도 높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도등의 광원램프는 플래쉬 램프와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플래쉬 램프는 소정 간격으로 고휘도의 섬광을 발생하며,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플래쉬 램프가 꺼져 있는 동안의 기간에 유도등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시인성이 우수한 고휘도의 유도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광원램프를 항상 발광시키는 경우에 비해, 에너지절약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전지전원을 구비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에서 플래쉬 램프의 사출광의 소정 방향의 발산각도가 소정 각도 이하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사출광의 발산각도는 30도 이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출광의 지향성을 높임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유도등은 벽면에서 사람의 신장 이하의 높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연기가 가득찬 상황에서 피난할 때 유도등의 시인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도등을 벽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해 둠으로써, 피난자를 신속하게 피난구로 인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피난 유도 시스템은 무선의 원격조작에 의해, 피난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전지구동식의 각 유도등을 제어한다. 따라서, 유선으로 원격제어하는 경우와 같이 유도등의 설치장소에 제약이 있거나, 화재발생시에 배선이 절단되어 유도등이 동작하지 않는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용의 안테나선으로서, 이미 설치된 조명설비의 송전용 전선 케이블이나 배수설비 등의 배수 펌프에 대한 송전용 전선 케이블을 이용한다. 따라서, 피난 유도 시스템의 설치가 용이하며 또한 저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하상가 등의 영업시간대, 다시 말해, 피난을 유도해야 하는 시간대에만 유도등을 대기상태로 하고, 그 밖의 시간대에는 유도등을 오프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한 시간대에만 동작하는 수명이 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37)

  1. 광원램프;
    상기 광원램프에 구동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전원;
    상기 광원램프로부터 사출되는 가시광 성분 중, 파장이 짧은 쪽부터 소정 파장영역의 광성분을 제거하는 제거수단
    을 포함하는 유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은 상기 광원램프의 전면에 배치된 필터 또는 상기 광원램프의 발광관에 형성된 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은 500nm 이하의 광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을 통해 사출되는 광은 담황색, 황색 또는 오렌지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램프는 플래쉬 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램프는 플래쉬 램프 및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램프의 사출광에서 소정 방향의 발산각도가 소정 각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사출광의 발산각도는 3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램프는 단일 플래쉬 램프와, 상기 플래쉬 램프의 양측에 배치된 적어도 1개씩의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램프의 사출광의 주 광축에 대해, 좌우의 상기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사출광의 주 광축이 좌측 및 우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램프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수단을 갖고,
    상기 광원램프는 플래쉬 램프 및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제어수단은 상기 플래쉬 램프 및 상기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교대로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전원은 태양전지, 일차전지, 이차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13. 제 1 항에 있어서,
    조도 및/또는 연기 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지며,
    상기 광원램프는 상기 센서에 의해 조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가 되고, 및/또는 상기 연기 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었음이 검출되면 온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회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램프의 온·오프 전환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회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유도등.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램프를 온·오프로 전환하는 스위칭회로를 가지며,
    상기 전지전원은 일차전지이고,
    상기 일차전지로부터 상기 센서 및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램프를 온·오프로 전환하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전지전원은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이차전지로부터 상기 센서 및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18.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램프를 온·오프로 전환하는 스위칭회로와,
    상기 센서 및 상기 스위칭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가지며,
    상기 전지전원은 일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19.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램프를 온·오프로 전환하는 스위칭회로,
    상기 센서 및 상기 스위칭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이차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태양전지를 가지며,
    상기 전지전원은 일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
  20. 피난구; 및
    상기 피난구가 형성된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도등 - 상기 유도등은 상기 벽면의 2m 이내의 높이 위치에 설치됨 -
    을 포함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유도등이 상기 벽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22. 재해시의 피난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유도등
    - 상기 유도등은,
    광원램프,
    상기 광원램프에 구동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전원,
    상기 무선통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회로,
    상기 유도등의 설치 장소의 조도가 소정값 이하가 되었거나 및/또는 상기 유도등의 설치장소의 연기 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었음을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수신회로에 의한 수신신호 및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램프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수단을 구비함 -;
    상기 유도등을 오프상태 및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무선통신기;
    상기 무선통신기로부터의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무선통신용 안테나선
    을 포함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용 안테나는 상기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근방에 부설되는 조명설비, 배수설비 등의 배전용 전선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등의 점등시간대 동안에만 상기 유도등이 대기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기는, 상기 조명등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조명스위치가 온으로 전환되면, 상기 유도등을 오프상태에서 대기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기동신호를 발신하며, 상기 조명스위치가 오프로 전환되면, 상기 유도등을 대기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정지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기는, 상기 조명스위치 및 상기 조명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전선 케이블의 사이에 접속된 제어회로와, 상기 전선 케이블에 삽입된 내장 조명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조명스위치가 온으로 전환되었음을 검출하면, 상기 내장 조명스위치를 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조명등에 대한 전력공급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기동신호를 발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은 상기 기동신호를 수신하여 오프상태에서 대기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조도가 소정값 이하가 되었거나 및/또는 연기 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었음이 검출되면, 상기 발광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광원램프가 발광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은 상기 광원램프가 발광상태로 전환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기에 송신하는 송신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기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각 유도등이 피난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발광 동작하도록, 각 유도등을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30. 제 22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은 상기 광원램프로부터 사출되는 가시광 성분 중, 파장이 짧은 쪽부터 소정 파장영역의 광성분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31. 제 22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의 상기 광원램프는 플래쉬 램프 및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의 상기 발광제어수단은 상기 플래쉬 램프와 상기 백색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교대로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33. 제 22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전원은 태양전지, 일차전지, 이차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전원은 일차전지이며, 상기 일차전지로부터 상기 센서 및 상기 발광제어수단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전원은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이차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이차전지로부터 상기 센서 및 상기 발광제어수단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전원은 일차전지이며, 상기 센서 및 상기 발광제어수단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전원은 일차전지이며, 상기 센서 및 상기 발광제어수단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이차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태양전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시스템.
KR1020040021677A 2003-03-31 2004-03-30 유도등 및 피난 유도 시스템 KR20040086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96106 2003-03-31
JP2003096107A JP2004302974A (ja) 2003-03-31 2003-03-31 避難誘導灯システム
JPJP-P-2003-00096107 2003-03-31
JP2003096106A JP2004303602A (ja) 2003-03-31 2003-03-31 誘導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785A true KR20040086785A (ko) 2004-10-12

Family

ID=3736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677A KR20040086785A (ko) 2003-03-31 2004-03-30 유도등 및 피난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67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27B1 (ko) * 2004-12-24 2006-11-30 강성화 배터리 전원으로만 동작되는 배터리 내장형 다기능 무선유도등
WO2007018414A1 (en) * 2005-08-11 2007-02-15 Fawoo Light Panel Inc. System for emergency pilot lamp
KR101587963B1 (ko) * 2015-07-09 2016-01-27 김훤 도로용 시선 유도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27B1 (ko) * 2004-12-24 2006-11-30 강성화 배터리 전원으로만 동작되는 배터리 내장형 다기능 무선유도등
WO2007018414A1 (en) * 2005-08-11 2007-02-15 Fawoo Light Panel Inc. System for emergency pilot lamp
KR101587963B1 (ko) * 2015-07-09 2016-01-27 김훤 도로용 시선 유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034B1 (ko) 조명광통신장치
KR101812293B1 (ko) 형광등형 led 조명 장치 및 그 점소등 모드 전환 방법
ES2436302T3 (es) Sistema de iluminación que comprende una pluralidad de dispositivos de iluminación
US9754466B2 (en) Guidance indicator and system for providing egress assistance
US20160247369A1 (en) Guidance indicator and system for providing egress assistance
KR101889875B1 (ko) 저고도 설치형 저전력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KR101437541B1 (ko) 연동제어를 통한 지하 주차장의 지능형 엘이디 조명등 제어시스템
KR20200098853A (ko) 스마트폰 사용자의 횡단보도 보행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신호등 경보장치
CN106662316A (zh) 发光体和用于借助这种发光体进行存在性探测的方法
JP2008158830A (ja) 点灯制御システム
JP2004302974A (ja) 避難誘導灯システム
KR20040086785A (ko) 유도등 및 피난 유도 시스템
JP6624567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3181944U (ja) 避難誘導照明装置
KR101030282B1 (ko) 컬러변경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등 제어장치
KR100897471B1 (ko) 조도 조절 기능을 구비한 발광장치
KR101009048B1 (ko) 터널 조명시스템과 그 시공방법
KR20170010346A (ko) 대피안내 겸용 조명장치
JP2004303602A (ja) 誘導灯
JP2015001919A (ja) 誘導機能付き道路視認装置
JP2016212635A (ja) 誘導灯及びそれを用いた避難誘導システム
KR200482744Y1 (ko) 실내 주차장 조명장치
EP1033696A1 (en) Display
JP2004302975A (ja) 誘導灯
KR101661649B1 (ko) 가로등, 가로등 원격 제어 방법 및 가로등 원격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