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573B1 - 절첩식 파레트 - Google Patents

절첩식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573B1
KR101743573B1 KR1020150040800A KR20150040800A KR101743573B1 KR 101743573 B1 KR101743573 B1 KR 101743573B1 KR 1020150040800 A KR1020150040800 A KR 1020150040800A KR 20150040800 A KR20150040800 A KR 20150040800A KR 101743573 B1 KR101743573 B1 KR 101743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edge
pin
pair
stat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779A (ko
Inventor
박봉기
장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to KR1020150040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5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14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 B65D19/16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첩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고, 절첩 및 펼침 상태에서 적층 가능한 절첩식 파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제1측연과 상기 제1측연에 직교하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제2측연을 가진 사각 판상의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하향연장되며 하단부에 물림발을 갖는 적어도 4개의 지지다리와, 상기 각 지지다리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본체의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기둥을 가지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2측연에서 상기 제1측연과 평행한 축선방향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기립상태와 절첩상태 간 전환가능하며 상기 기립상태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물리는 수용홈부를 갖는 절곡회동부와, 상기 절곡회동부에 지지되어 상기 기립상태에서 상기 제1측연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1측벽부를 갖는 한 쌍의 제1사이드부재와; 상기 제2측연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기립상태와 절첩상태 간을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제2사이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첩식 파레트{FOLDING PALLET}
본 발명은 절첩식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기계 부품 또는 기계 장치를 운반하기 위한 산업용 파레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용 파레트는 일반적으로 하부 바닥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본체와, 베이스본체의 네 측면으로부터 기립형성되는 측벽부로 구성된다. 몇몇 산업용 파레트는 측벽부가 베이스본체에 대해 절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산업용 파레트는 측벽부를 베이스부에 대해 절첩할 때, 측벽부를 베이스부로부터 분리하여 절첩하거나 베이스부로부터 소정 높이 들어 올린 후 절첩하였다. 그래서 대형 산업용 파레트의 경우, 측벽부가 지나치게 무거워 작업자가 측벽부를 절첩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첩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절첩식 파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제1측연과 상기 제1측연에 직교하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제2측연을 가진 사각 판상의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하향연장되며 하단부에 물림발을 갖는 적어도 4개의 지지다리와, 상기 각 지지다리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본체의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기둥을 가지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2측연에서 상기 제1측연과 평행한 축선방향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기립상태와 절첩상태 간 전환가능하며 상기 기립상태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물리는 수용홈부를 갖는 절곡회동부와, 상기 절곡회동부에 지지되어 상기 기립상태에서 상기 제1측연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1측벽부를 갖는 한 쌍의 제1사이드부재와; 상기 제2측연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기립상태와 절첩상태 간을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제2사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본체 하부에는 단면형상이 사각 관상 형태이며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보강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보강 프레임 사이 공간은 지게차의 한 쌍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포크삽입구를 형성하는 것이 중량의 물체들을 수용한 상태에서 지게차로 리프팅하더라도 파레트가 변형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포크삽입구의 상부에는 판상의 포크안내부가 설치되는 것이 지게차의 포크가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사이드부재는 상기 기립상태에서 상기 제2측연에 평행한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록킹슬라이드핀을 가지며, 상기 절곡회동부는 상기 록킹슬라이드핀을 수용하는 핀수용부를 갖는 것이 상기 기립상태의 상기 제2사이드부재가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록킹슬라이드핀은 상기 제2측연 방향을 따라 연장된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반달형상의 핀머리부를 가지며, 상기 핀수용부는 상기 핀머리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상기 록킹슬라이드핀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는 절첩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고, 절첩 및 펼침 상태에서 적층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A) 및 (B)는 록킹슬라이드핀과 핀수용부 간 삽입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가 접혀진 상태에서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절첩식 파레트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제1측연(51)과 제1측연(51)에 직교하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제2측연(52)을 갖는 사각 판상의 베이스본체(50)를 갖는다. 베이스본체(50)의 하부에는 단면형상이 사각 관상 형태이며,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보강프레임(56)이 설치된다. 복수의 보강프레임(56) 사이 공간은 지게차의 한 쌍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구(57)를 형성한다. 포크삽입구(57)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판상의 포크안내부가 설치되어 지게차 포크가 베이스본체(50) 하면에 걸리지 않고 매끄럽게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베이스본체(50)의 네 모서리 영역에는 각각 하향 연장되는 4개의 지지다리(54, 도 5 참조)가 결합되며, 지지다리(54)의 하단부에는 외향 확장된 물림발(53)이 형성된다. 지지다리(54)들의 상부에는 소정 높이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기둥(55)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다리(54)와 지지기둥(55)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호 분리될 수도 있다.
제1측연(51)에는 제1사이드부재(100)가 기립상태와 절첩상태 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사이드부재(100)는 제2측연(52)에서 제1측연(51)과 평행한 축선방향을 따른 회동축핀(1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절곡회동부(110)를 갖는다. 절곡회동부(110)의 회동축핀(111)의 회동축선은 제1사이드부재(100)가 기립상태에서 제1측벽(130)의 판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편위되어 형성된다. 절곡회동부(110)는 L자 형상이며, 기립상태에서 지지기둥(55)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홈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절곡회동부(110)는 수용홈부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연장부(117)를 가지며, 길이연장부(117)의 상단부에는 물림발(53)에 삽입 가능한 삽입단부(119)가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홈부의 길이는 지지기둥(55)의 길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절곡회동부(110) 사이에는 제1측연(51)을 따라 연장되는 제1측벽(130)이 결합된다. 제1측벽(130)은 철재 프레임으로써, 트러스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측연(52)에는 제2사이드부재(200)가 기립상태와 절첩상태 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사이드부재(200)는 상부측벽부(210)와 하부측벽부(230)로 이루어진다. 하부측벽부(230)는 베이스본체(50)와 바닥 회동힌지(270)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하부측벽부(230)는 바닥 회동힌지(270)에 의해 베이스본체(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다. 하부측벽부(230)의 상부에는 상부측벽부(210)가 상하연결 회동힌지(250)를 매개로 결합된다. 상부측벽부(210)는 상하연결 회동힌지(250)에 의해 하부측벽부(2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다. 상부측벽부(210)와 하부측벽부(230)는 철재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트러스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측벽부(210)의 양단부에는 기립상태에서 제2측연(52)에 평행한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록킹슬라이드핀(215)이 설치된다. 도 3 (A) 및 (B)는 록킹슬라이드핀(215)과 핀수용부(113) 간 삽입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A) 및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록킹슬라이드핀(215)은 제2측연(5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막대부(216)와, 막대부(216)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반달형상의 핀머리부(217)와, 막대부(216)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218)를 갖는다. 핀머리부(217)는 버섯 머리 형상에서 양쪽을 평행하게 잘라낸 형상과 같다. 핀머리부(217)는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이며, 도 3 (A)에서와 같이 손잡이(218)가 상향 회동되었을 때 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도 3 (B)에서와 같이 손잡이(218)가 하향 회동되었을 때 가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록킹슬라이드핀(215)은 상부측벽부(210)에 마련되는 슬라이딩지지부(219)에 지지된 상태로 제2측연(5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한편, 길이연장부(117)에는 핀머리부(217)를 수용하기 위한 핀수용부(113)가 형성된다. 핀수용부(113)는 록킹슬라이드핀(215)이 도 3 (A)에서와 같이 상향 회동되었을 때의 핀머리부(217)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입구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록킹슬라이드핀(215)은 핀수용부(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상향 회동하지 않는 이상 임의로 핀수용부(113)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록킹슬라이드핀(215)과 핀수용부(113)는 하부측벽부(230)에도 같은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절첩된다.
먼저, 작업자는 상부 록킹슬라이드핀(215)과 하부 록킹슬라이드핀(235)을 상향 회동한 후 핀수용부(113)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리고 상부측벽부(210)를 하부측벽부(230)에 대해 절첩하는 동시에 하부측벽부(230)를 베이스본체(50)에 대해 절첩한다. 다음으로, 제1사이드부재(100)들을 베이스본체(50) 내측 방향으로 밀어 제1사이드부재(100)가 회동축핀(111)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여 절첩한다. 즉, 본 절첩식 파레트는 제1사이드부재(100)를 베이스본체(50)로부터 분리하거나 들어올린 후 절첩하지 아니하고 회동축핀(111)을 중심으로 회동만 시키면 되기 때문에 절첩 시 많은 힘이 필요치 아니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를 펼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제1사이드부재(100)를 회동축핀(111)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베이스본체(50) 외측 방향으로 들어올린다. 절곡회동부(110)는 기립되면서 지지기둥(55)을 수용홈부에 수용시킨다. 이에 따라, 절곡회동부(110)는 회동 방향을 따라 회동되다가 기립된 상태에서 지지기둥(55)에 지지되어 베이스본체(50) 외측 방향까지 회동되지 아니한다. 이 경우 지지기둥(55)의 상단부와 길이연장부(117)의 하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사이드부재(200)를 바닥 회동힌지(27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들어올린다. 그리고 상부측벽부(210)를 하부측벽부(230)에 대해 회동시키면서 펼친다. 상부측벽부(210)와 하부측벽부(230) 모두가 기립된 상태에서 상부 록킹슬라이드핀(215)의 손잡이를 잡고 상향 회동한 후 핀수용부(113)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상부 록킹슬라이드핀(215)이 핀수용부(113)에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슬라이드핀(235)도 마찬가지로 핀수용부(113)에 체결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절첩식 파레트는 제1사이드부재(100) 및 제2사이드부재(200)가 베이스본체(50)에 대해 기립한 상태에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물림발(53)의 하부에는 삽입단부(119)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파레트가 접혀진 상태에서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절첩식 파레트는 제1사이드부재(100) 및 제2사이드부재(200)가 베이스본체(50)에 대해 절첩된 상태에서도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물림발(53)의 하부에는 지지기둥(55)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50: 베이스본체 51: 제1측연
52: 제2측연 53: 물림발
54: 지지다리 55: 지지기둥
56: 보강프레임 57: 포크삽입구
100: 제1사이드부재 110: 절곡회동부
111: 회동축핀 117: 길이연장부
119: 삽입단부 130: 측벽부
200: 제2사이드부재 210: 상부측벽부
215: 상부 록킹슬라이드핀 230: 하부측벽부
235: 하부 록킹슬라이드핀 250: 상하연결 회동힌지
270: 바닥 회동힌지

Claims (5)

  1. 절첩식 파레트에 있어서,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제1측연과 상기 제1측연에 직교하는 상호 대향한 한 쌍의 제2측연을 가진 사각 판상의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하향연장되며 하단부에 물림발을 갖는 적어도 4개의 지지다리와, 상기 각 지지다리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본체의 상방으로 연장된 사각봉 형상의 지지기둥을 가지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2측연에서 상기 제1측연과 평행한 축선방향을 따른 회동축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여 상기 베이스본체에 대해 기립상태와 절첩상태 간 전환가능하며 상기 기립상태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물리는 수용홈부를 갖는 L자 형상의 절곡회동부와, 상기 L자 형상의 절곡회동부에 지지되는 사각봉 형상의 길이연장부에 의하여 양측에서 지지되어 상기 기립상태에서 상기 제1측연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1측벽부를 갖는 한 쌍의 제1사이드부재와;
    상기 제2측연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기립상태와 절첩상태 간을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제2사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회동부의 상기 회동축핀은 상기 기립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부의 판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편위되며, 상기 기립상태에서 상기 사각봉 형상의 지지기둥과 상기 사각봉 형상의 길이연장부는 수직방향으로 동축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파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본체 하부에는 단면형상이 사각 관상 형태이며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보강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보강 프레임 사이 공간은 지게차의 한 쌍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포크삽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파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삽입구의 상부에는 판상의 포크안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파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드부재는 상기 기립상태에서 상기 제2측연에 평행한 회동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록킹슬라이드핀을 가지며,
    상기 길이연장부는 상기 록킹슬라이드핀을 수용하는 핀수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파레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슬라이드핀은 상기 제2측연 방향을 따라 연장된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반달형상의 핀머리부를 가지며,
    상기 핀수용부는 상기 핀머리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파레트.
KR1020150040800A 2015-03-24 2015-03-24 절첩식 파레트 KR101743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00A KR101743573B1 (ko) 2015-03-24 2015-03-24 절첩식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00A KR101743573B1 (ko) 2015-03-24 2015-03-24 절첩식 파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779A KR20160114779A (ko) 2016-10-06
KR101743573B1 true KR101743573B1 (ko) 2017-06-07

Family

ID=5716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800A KR101743573B1 (ko) 2015-03-24 2015-03-24 절첩식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35Y1 (ko) * 2019-04-10 2020-06-12 (주)헬파티엘에스 접철식 도어가 구비된 파레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6693A (ja) * 2008-02-25 2009-09-03 Minato Seiki Kogyo Kk ボックスパレット
JP2009286424A (ja) * 2008-05-28 2009-12-10 Sefuto Green Engineering Kk ボックスパレット
KR100987869B1 (ko) * 2010-03-11 2010-10-13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6693A (ja) * 2008-02-25 2009-09-03 Minato Seiki Kogyo Kk ボックスパレット
JP2009286424A (ja) * 2008-05-28 2009-12-10 Sefuto Green Engineering Kk ボックスパレット
KR100987869B1 (ko) * 2010-03-11 2010-10-13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779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1580B2 (en) Multiple pallet assembly
CA2636519C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KR20180097589A (ko) 접이식 침대 베이스
US20180290289A1 (en) Extended sawhorse with folding supports
KR101743573B1 (ko) 절첩식 파레트
KR200431994Y1 (ko) 부품 운반용 카트
KR100829160B1 (ko) 부품 운반용 카트
US10926915B2 (en) Collapsible container
JP6753172B2 (ja) 折り畳み式ラック
KR20180001637U (ko) 접이식 테이블
KR200463926Y1 (ko) 조립식 사다리
US20090139942A1 (en) Support for washing and storage of casks
JP6192950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KR101097100B1 (ko) 의자 일체형 조립식 테이블
JP5188919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5156954B2 (ja) 遊技台積載用パレット
KR20150051611A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JP3239345U (ja) プレート状レール付きラック
DE102009021644B4 (de) Zusammenlegbarer Behälter
JP6161366B2 (ja) 折り畳み式パレット
KR200433342Y1 (ko)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KR100449212B1 (ko) 금속제 적재 파렛트
KR102015379B1 (ko)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KR200281020Y1 (ko) 접철식 팔레트
KR101855072B1 (ko) 박스 겸용 조립식 파레트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