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376B1 - 원심 압축기 - Google Patents
원심 압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3376B1 KR101743376B1 KR1020157006939A KR20157006939A KR101743376B1 KR 101743376 B1 KR101743376 B1 KR 101743376B1 KR 1020157006939 A KR1020157006939 A KR 1020157006939A KR 20157006939 A KR20157006939 A KR 20157006939A KR 101743376 B1 KR101743376 B1 KR 1017433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ffuser
- communicating
- vane
- passage
- outer peripher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44—Bladed diffu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Discharge tongu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84—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fluid inj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서징의 발생을 억제하고, 그 작동 범위를 보다 더욱 넓히면서, 그 작동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퓨저부(30)에 있어서, 환형상 원판부(31)와 환형상 원판(32)과의 사이의 디퓨저 유로(35)에 대하여, 연통부(40A)를 통하여, 볼류트부(22)로부터 디퓨저 유로(35) 내에 고압 압축 유체를 이송함으로써, 환형상 원판(32)으로부터 발생된 박리에 의한 역류 영역(H)이 디퓨저부(30)의 후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뻗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를 승압하여 압축 유체로 하는 원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 유체의 토출측에 마련되는 디퓨저부를 구비한 원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원심 압축기는, 회전하는 허브 및 그 외주면에 장착된 다수의 원심날개를 가진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납함과 함께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케이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유체의 유로로서는, 날개차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날개차에 유도하는 흡입 유로와, 날개차의 외주측에서 대략 원환형상을 이루고, 날개차로부터 토출되는 기류를 감속시킴으로써 정압을 회복시키는 디퓨저부와, 디퓨저부의 외주측에 마련되어, 단면적이 둘레 방향을 따라 확대되도록 형성되며, 기류를 감속-승압하는 소용돌이 형상의 볼류트부 및 출구관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원심 압축기에 있어서는, 날개차가 회전하면, 날개차가 외부로부터 도입된 가스나 공기 등의 유체를 압축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유체의 흐름(기류)은, 날개차의 외주단으로부터 디퓨저부 및 볼류트부를 지나 출구관으로부터 외부로 송출된다.
그런데, 원심 압축기에서는, 특유의 주기로 압축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압력 및 유량이 변동하고, 일종의 자발 진동을 일으키는 서징(surging)이라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서징이 발생하는 압력 및 유량이 소유량측의 작동 한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한편, 유량이 증가하면 날개차 또는 디퓨저부에서 초킹(choking)이라 불리는 유체의 폐색이 발생하여, 대유량측의 유량 범위가 제한된다.
따라서, 원심 압축기에 있어서는, 안정된 작동을 실현하기 위하여, 소유량측에서는 서징이 발생하지 않고, 대유량측에서는 초킹이 발생하지 않는 작동 범위에서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디퓨저부에 있어서는, 소유량측에서는, 디퓨저 유로 내에 디퓨저 유로벽으로부터 박리가 발생하고, 그 박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역류 영역이 디퓨저부의 후측 가장자리에 도달했을 때에, 볼류트부로부터의 역류가 날개차에 도달하여 서징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디퓨저의 벽면의 이측에,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순환 통로를 마련하여, 이 순환 통로의 제1 개구를 디퓨저의 벽면의 임펠러(날개차)의 유체 출구측에 형성하고, 제2 개구를 디퓨저의 벽면의 토출구측에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역류가 발생하기 쉬운 디퓨저의 벽면 근방을 흐르는 유체는, 제2 개구로부터 순환 통로에 진입하여 제1 개구로부터 토출되는 순환류가 되어, 디퓨저에서의 겉보기의 유량이 증가한다. 이로써, 벽면의 근방의 흐름이 원활한 것이 되며, 유체의 역류의 생성을 억제하여 서징까지의 유량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그 결과, 디퓨저로서의 기능을 해치지 않고 저유량 시에 있어서의 유체의 역류에 의한 서징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디퓨저 유로에 흐르는 유체의 일부를 디퓨저 유로에 있어서의 하류측 영역으로부터 상류측 영역까지 순환 유체로서 되돌리는 순환 유로를 구비하고, 순환 유로에 흐르는 유체는, 냉각 수단에 의하여 냉각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순환 유로를 흐르는 유체는 냉각되어 디퓨저 유로의 상류측 영역에 되돌려진다. 이로써, 원심 압축기의 압축 성능이 향상된다.
그러나, 원심 압축기의 작동 범위를 더욱 넓히는 것이 항상 요구되고 있어,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기술은, 모두, 디퓨저 유로 내를 흐르는 유체의 일부를 순환시켜 겉보기의 유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유체의 역류의 생성을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작동 효율이 저하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서징의 발생을 억제하여 작동 범위를 보다 더욱 넓히면서, 그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원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허브 및 그 외주면에 장착된 복수의 원심날개를 가지는 날개차와, 상기 날개차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날개차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상기 날개차를 향하여 유도하는 흡입 유로와, 상기 날개차의 외주측에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차의 회전에 의하여 외주측으로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감속시키는 디퓨저부와, 상기 디퓨저부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둘레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차 증대하는 소용돌이 형상의 볼류트부와, 상기 볼류트부의 단면적이 최대인 부분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뻗는 출구관과, 상기 디퓨저부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흐르는 디퓨저 유로의 측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류트부 내와 상기 디퓨저 유로 내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부의 디퓨저 유로측의 개구부가, 상기 디퓨저 유로의 하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원심 압축기는, 날개차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유체가, 흡입 유로를 거쳐, 날개차의 외주측의 디퓨저부에 토출되어 감속되고, 볼류트부로 흘러든다. 볼류트부에 있어서는, 단면적이 작은 쪽으로부터 큰 쪽으로 유체가 흘러, 출구관으로부터 외부로 고압 압축 유체로서 토출된다.
이 때, 디퓨저부에 있어서는, 연통부를 통하여, 볼류트부 내의 고압 압축 유체가, 디퓨저 유로 내에 토출된다. 이로써 디퓨저 벽면으로부터 발생한 박리에 따른 역류 영역이 디퓨저부 후측 가장자리에 도달하는 유량을 보다 작게 하여 서징까지의 유량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디퓨저부를 통과한 고압 압축 유체를 볼류트부로부터 순환시킴으로써, 디퓨저부에 있어서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이러한 연통부는, 상기 디퓨저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부는, 관통공으로 해도 되고, 디퓨저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슬릿으로 해도 된다.
그런데, 디퓨저 하류에는, 단면적이 둘레 방향을 따라 소용돌이 형상으로 확대되는 볼류트부 등, 비축대칭 구조물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 영향에 의하여, 디퓨저 하류에 있어서는, 둘레 방향으로 불균일한 정압 분포가 존재한다. 이 불균일한 정압 분포에 의하여, 상기의 역류 영역의 디퓨저 유로벽에 대한 반경 방향의 길이가 둘레 방향과 다르다. 그리고, 역류 영역이, 가장 빨리 후측 가장자리에 도달한 개소로부터 서징을 일으킨다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부는, 적어도, 상기 볼류트부의 단면적이 최대인 부분의 내주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통부는, 적어도, 상기 측벽면측의 단부를, 상기 디퓨저부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경사시켜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연통부로부터 디퓨저 유로 내로 토출되는 고압 압축 유체를, 디퓨저 벽면을 따르게 할 수 있어, 유체의 역류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연통부는, 적어도, 상기 측벽면측의 단부가, 상기 원심날개의 외주측 단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원심 압축기에 의하면, 서징의 발생을 억제하여, 그 작동 범위를 보다 더욱 넓히면서, 그 작동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원심 압축기의 부품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원심 압축기의 축선을 따른 반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원심 압축기의 디퓨저부에 있어서의 유체의 흐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원심 압축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원심 압축기의 축선을 따른 반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원심 압축기의 디퓨저부에 있어서의 유체의 흐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원심 압축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원심 압축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원심 압축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심 압축기(10)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 또는 터빈 등의 구동 장치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1)과, 회전축(11) 둘레로 회전하는 날개차(12)와, 회전축(11) 및 날개차(12)를 수용함과 함께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케이싱(20)을 구비하고 있다.
날개차(12)는, 회전축(11)과 일체로 마련된 허브(13)와, 허브(13)의 외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블레이드(원심날개)(14)가 구비되어 있다. 허브(13)는, 회전축(11)의 일단측의 단부(13a)로부터 타단측의 단부(13b)를 향하여, 그 외경이 점차 확대되는 만곡면(13c)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4)는, 허브(13)의 만곡면(13c)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14)는, 허브(13)의 내주측에 마련한 내주날개(14A)와, 허브(13)의 외주측에 마련한 외주날개(14B)로 이루어지는, 다중 구성으로 해도 된다.
케이싱(20)은, 일단(20a)측에 형성된 흡입구(29)로부터 날개차(12)를 향하여,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흡입 유로(21)와, 날개차(12)의 외주측에 원환형상을 이루어 형성된 디퓨저부(30)와, 디퓨저부(30)의 외주(하류)측에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적이 둘레 방향을 따라 점차 확대되는 소용돌이 형상의 볼류트부(22)와, 볼류트부(22)의 최대 면적부(22b)에 접속되어 접선 방향으로 뻗는 출구관(23)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최대 면적부(22b)에 대해서는, 볼류트부(2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최소 면적부(22a)와 출구관(23)이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볼류트부(22)의 최소 면적부(22a)와 출구관(23)과의 사이에는, 설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디퓨저부(30)는, 날개차(12)의 외주부 전체 둘레에 걸쳐, 내주측(날개차(12)측)과 외주측(볼류트부(22)측)에 개구하고 있다. 이 디퓨저부(30)는, 케이싱(20)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된 환형상 원판부(31)와, 환형상 원판부(31)에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환형상 원판(32)과, 환형상 원판(32)에 일체로 형성되어, 환형상 원판(32)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된 디퓨저 베인(33)을 구비하고 있다. 디퓨저 베인(33)은, 환형상 원판(32)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환형상 원판(3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디퓨저 베인(33, 33)의 간격은,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점차 확대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디퓨저부(30)에 있어서는, 환형상 원판부(31)와 환형상 원판(32)과의 사이가, 디퓨저 유로(35)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환형상 원판(32) 및 디퓨저 베인(33)으로 이루어지는 디퓨저 부재(34)는, 케이싱(20)과는 별도가 되어, 케이싱(20)의 일부를 이루는 환형상 원판부(31)와, 환형상 원판부(31)에 대향하여 형성된 케이싱(20)의 지지부(24)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환형상 원판(32)의 내주측 단부(32a)는, 환형상 원판부(31)와의 간격이, 날개차(12)의 외주부(12a)로부터 외주로 감에 따라 점차 축소되는 만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환형상 원판(32)의 외주측 단부(32b)는, 지지부(24)의 외주측 단부(24a)보다 외주측으로 뻗어, 볼류트부(22) 내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 원판(32)에 있어서, 지지부(24)의 외주측 단부(24a)보다 외주측에, 디퓨저 유로(35)에 면하는 측벽면(32c)과, 그 반대측의 배면(32d)을 연통하는 연통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부(40A)는, 환형상 원판(3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복수가 형성된, 각각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슬릿(41)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슬릿(41)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통부(40A)는, 배면(32d)측의 개구단(40a)으로부터 측벽면(32c)측의 개구단(개구부)(40b)을 향하여, 디퓨저부(30)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통부(40A)에 있어서, 디퓨저 유로(35)측의 개구단(40b)은, 디퓨저 유로(35)의 하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개구단(40b)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퓨저부(30)의 외주부의 반경에 대하여, 디퓨저부(30)의 중심측으로부터 75%가 되는 위치보다 더욱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보다 내주측에서는 개구단(40a)과 개구단(40b)과의 정압차가 크기 때문에, 연통부(40A)로부터 디퓨저부(30)에 도입되는 흐름의 속도가 커져, 디퓨저 내부의 유동을 악화시켜 버린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심 압축기(10)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원심 압축기(10)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 혹은 터빈 등의 구동 장치에 의하여, 날개차(12)를 회전축(11) 둘레로 회전 구동시킨다. 날개차(12)가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흡입구(29)를 통하여 케이싱(20) 내에 도입된 유체가, 흡입 유로(21)를 날개차(12)를 향하여 흐른다.
케이싱(20) 내에 도입된 유체는, 허브(13)와 일체로 회전하는 블레이드(14)의 회전에 의하여 원심력이 부여되어 압축된다. 압축된 유체의 흐름은, 날개차(12)의 외주단으로부터 외주측의 디퓨저부(30)에 흘러든다. 디퓨저부(30)에 있어서는, 날개차(12)로부터 외주측으로 토출되는 기류를,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디퓨저 베인(33, 33)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기류를 감속시켜, 정압을 회복시킨다. 그리고, 디퓨저부(30)로부터 외주의 볼류트부(22)에 흘러든 유체는, 최소 면적부(22a)로부터 최대 면적부(22b)를 향하여 흘러, 출구관(23)으로부터 고압 압축 유체로서 토출된다.
여기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상 원판부(31)와 환형상 원판(32)과의 사이의 디퓨저 유로(35)에 대하여, 연통부(40A)를 통하여, 디퓨저부(30)를 거쳐 볼류트부(22) 내에 흘러든 고압 압축 유체가 끌려들어간다. 디퓨저부(30)에 있어서는, 유량의 저감에 따라, 디퓨저 유로(35) 내에 환형상 원판(32)으로부터 박리가 발생하고, 그 박리에 의한 역류 영역(H)이 디퓨저부(30)의 후측 가장자리(외주측의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뻗어 간다. 이 때, 볼류트부(22)로부터 연통부(40A)를 거쳐 디퓨저 유로(35) 내에 흘러든 고압 압축 유체의 흐름(R)에 의하여, 환형상 원판(32)을 따른 부분에 있어서의 유체의 유량을 늘릴 수 있다. 이로써, 환형상 원판(32)으로부터 발생한 대규모 박리에 의한 역류 영역(H)이 디퓨저부(30)의 후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뻗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로써, 디퓨저부(30)에 있어서의 서징의 발생을 막는 것이 가능해져, 원심 압축기(10)의 작동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연통부(40A)가 형성된 환형상 원판(32) 및 디퓨저 베인(33)으로 이루어지는 디퓨저 부재(34)는, 케이싱(20)과는 별도로 해도 된다. 이로써, 연통부(40A)의 가공을, 디퓨저 부재(34)의 단일체의 상태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기 연통부(40A)를 구성하는 복수의 슬릿(41)은, 디퓨저부(3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해도 되지만, 둘레 방향의 일부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디퓨저부(30)의 하류측에 있어서는, 단면적이 둘레 방향을 따라 확대되는 볼류트부(22)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불균일한 정압 분포가 설부(28)의 근방에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부(40A)를 구성하는 슬릿(41)을, 설부(28)를 기준으로 하여, 설부부터 상류측 30도까지의 범위에만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연통부(40A)를 구성하는 슬릿(41)을, 압력 분포가 있는, 설부(28)를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 30도부터 하류측 30도의 영역에만 형성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통부(40B)가, 슬릿(41)이 아니라 관통공(42)에 의하여 형성됨과 함께, 이 관통공(42)으로 이루어지는 연통부(40B)가, 환형상 원판(32)의 배면(32d)측의 개구단(40a)으로부터 측벽면(32c)측의 개구단(40b)을 향하여, 환형상 원판(32)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디퓨저 베인(33)의 외주측 단부(33b)와 평행하게, 동일한 정도의 각도만큼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연통부(40B)를 통하여 개구단(40b)으로부터 디퓨저 유로(35) 내에 흘러드는 고압 압축 유체는,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디퓨저 베인(33, 33) 사이의 흐름을 어지럽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디퓨저부(30)에 있어서의 서징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원심 압축기(10)의 작동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연통부(40B)를, 설부(28)에 대하여 상류측 30도까지의 범위에만 형성해도 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통부(40A, 40B)는, 그 단면 형상, 크기, 배치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연통부(40A, 40B)를, 내주측과 외주측에 복수 열(복수 겹)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디퓨저 베인(33)은 없어도 되고, 케이싱(20)과 지지부(24)는 일체 구조로 해도 된다.
10 원심 압축기
11 회전축
12 날개차
12a 외주부
13 허브
13a 단부
13b 단부
13c 만곡면
14 블레이드(원심날개)
14A 내주날개
14B 외주날개
20 케이싱
20a 일단
21 흡입 유로
22 볼류트부
22a 최소 면적부
22b 최대 면적부
23 출구관
24 지지부
24a 외주측 단부
28 설부
29 흡입구
30 디퓨저부
31 환형상 원판부
32 환형상 원판
32a 내주측 단부
32b 외주측 단부
32c 측벽면
32d 배면
33 디퓨저 베인
33b 외주측 단부
34 디퓨저 부재
35 디퓨저 유로
40A, 40B 연통부
40a 개구단
40b 개구단(개구부)
41 슬릿
42 관통공
11 회전축
12 날개차
12a 외주부
13 허브
13a 단부
13b 단부
13c 만곡면
14 블레이드(원심날개)
14A 내주날개
14B 외주날개
20 케이싱
20a 일단
21 흡입 유로
22 볼류트부
22a 최소 면적부
22b 최대 면적부
23 출구관
24 지지부
24a 외주측 단부
28 설부
29 흡입구
30 디퓨저부
31 환형상 원판부
32 환형상 원판
32a 내주측 단부
32b 외주측 단부
32c 측벽면
32d 배면
33 디퓨저 베인
33b 외주측 단부
34 디퓨저 부재
35 디퓨저 유로
40A, 40B 연통부
40a 개구단
40b 개구단(개구부)
41 슬릿
42 관통공
Claims (6)
- 허브 및 그 외주면에 장착된 복수의 원심날개를 가지는 날개차와,
상기 날개차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날개차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상기 날개차를 향하여 유도하는 흡입 유로와,
상기 날개차의 외주측에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차의 회전에 의하여 외주측으로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감속시키는 디퓨저부와,
상기 디퓨저부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둘레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차 증대하는 소용돌이 형상의 볼류트부와,
상기 볼류트부의 단면적이 최대인 부분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뻗는 출구관과,
상기 디퓨저부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흐르는 디퓨저 유로의 측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류트부 내와 상기 디퓨저 유로 내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부의 디퓨저 유로측의 개구부가, 상기 디퓨저 유로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볼류트부의 최소 면적부와 상기 출구관과의 사이에 형성된 설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디퓨저부의 상류측 30도부터 하류측 30도까지의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 허브 및 그 외주면에 장착된 복수의 원심날개를 가지는 날개차와,
상기 날개차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날개차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상기 날개차를 향하여 유도하는 흡입 유로와,
상기 날개차의 외주측에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차의 회전에 의하여 외주측으로 토출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감속시키는 디퓨저부와,
상기 디퓨저부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둘레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차 증대하는 소용돌이 형상의 볼류트부와,
상기 볼류트부의 단면적이 최대인 부분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뻗는 출구관과,
상기 디퓨저부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흐르는 디퓨저 유로의 측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류트부 내와 상기 디퓨저 유로 내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부의 디퓨저 유로측의 개구부가, 상기 디퓨저 유로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볼류트부의 최소 면적부와 상기 출구관과의 사이에 형성된 설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설부부터 상기 디퓨저부의 상류측 30도까지의 범위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디퓨저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적어도, 상기 볼류트부의 단면적이 최대인 부분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적어도, 상기 측벽면측의 단부가, 상기 디퓨저부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부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된 디퓨저 베인을 갖고,
상기 날개차의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본 경우에, 상기 연통부의 상기 측벽면측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부의 상기 볼류트부 내측의 단부와 상기 디퓨저 유로 내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이, 상기 디퓨저 베인의 날개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주측 단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268402 | 2012-12-07 | ||
JP2012268402A JP6138470B2 (ja) | 2012-12-07 | 2012-12-07 | 遠心圧縮機 |
PCT/JP2013/067359 WO2014087690A1 (ja) | 2012-12-07 | 2013-06-25 | 遠心圧縮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6181A KR20150046181A (ko) | 2015-04-29 |
KR101743376B1 true KR101743376B1 (ko) | 2017-06-02 |
Family
ID=5088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06939A KR101743376B1 (ko) | 2012-12-07 | 2013-06-25 | 원심 압축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886875B1 (ko) |
JP (1) | JP6138470B2 (ko) |
KR (1) | KR101743376B1 (ko) |
CN (1) | CN104838149B (ko) |
WO (1) | WO201408769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05563B2 (ja) * | 2014-12-23 | 2022-07-25 | エービービー スウィッツァーランド リミテッド | 遠心圧縮機用のディフューザ |
CN106438487A (zh) * | 2016-11-21 | 2017-02-22 | 南京磁谷科技有限公司 | 一种可调节型蜗壳 |
JP6704843B2 (ja) * | 2016-12-07 | 2020-06-03 | 三菱重工エンジン&ターボチャージャ株式会社 | 遠心圧縮機及びターボチャージャ |
DE102017101590A1 (de) * | 2017-01-27 | 2018-08-02 | Man Diesel & Turbo Se | Radialverdichter und Turbolader |
KR102545555B1 (ko) * | 2018-06-12 | 2023-06-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원심 압축기 |
KR102545557B1 (ko) * | 2018-06-12 | 2023-06-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원심 압축기 |
CN108930665B (zh) * | 2018-07-17 | 2020-04-03 | 杭州贵能森节能技术有限公司 | 一种用于压缩机或鼓风机的叶轮结构 |
JP7299182B2 (ja) * | 2020-02-28 | 2023-06-27 |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送風機および洗濯機 |
JP7468203B2 (ja) | 2020-07-07 | 2024-04-16 |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空調システムの点検器具 |
CN113217415A (zh) * | 2021-06-01 | 2021-08-06 | 宁波锚点驱动技术有限公司 | 一种高效低噪音的离心风机及呼吸机 |
KR102420181B1 (ko) * | 2022-02-18 | 2022-07-11 | 정성래 | 무냉매 냉방장치용 냉각터빈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11717A (ja) * | 2006-02-10 | 2007-08-23 | Toyota Motor Corp | 遠心圧縮機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99072A (en) * | 1944-10-18 | 1946-04-23 | Gen Electric | Centrifugal compressor |
DE1428102B2 (de) * | 1962-09-12 | 1971-06-03 | Geratebau Eberspacher KG, 7300 Ess hngen | Vorrichtung zum anfachen der grenzschicht bei einem radial verdichter |
JPS60132099A (ja) * | 1983-12-19 | 1985-07-13 | Hitachi Ltd | 遠心圧縮機 |
DE4125487C1 (en) * | 1991-08-01 | 1992-06-17 | Mtu Friedrichshafen Gmbh | Flow casing for radial-flow compressor - has side duct in restricted peripheral section in narrow region of spiral cross=section |
JPH05263796A (ja) * | 1992-03-18 | 1993-10-12 | Daikin Ind Ltd | ターボ圧縮機 |
JP2003013895A (ja) * | 2001-06-27 | 2003-01-15 | Mitsubishi Heavy Ind Ltd | 遠心圧縮機 |
JP2005240680A (ja) | 2004-02-26 | 2005-09-08 | Mitsubishi Heavy Ind Ltd | 遠心圧縮機 |
JP2010151034A (ja) | 2008-12-25 | 2010-07-08 | Ihi Corp | 遠心圧縮機 |
-
2012
- 2012-12-07 JP JP2012268402A patent/JP6138470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6-25 CN CN201380050088.1A patent/CN104838149B/zh active Active
- 2013-06-25 WO PCT/JP2013/067359 patent/WO201408769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6-25 EP EP13859857.8A patent/EP2886875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3-06-25 KR KR1020157006939A patent/KR1017433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11717A (ja) * | 2006-02-10 | 2007-08-23 | Toyota Motor Corp | 遠心圧縮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886875A1 (en) | 2015-06-24 |
KR20150046181A (ko) | 2015-04-29 |
WO2014087690A1 (ja) | 2014-06-12 |
EP2886875A4 (en) | 2015-10-07 |
JP6138470B2 (ja) | 2017-05-31 |
CN104838149A (zh) | 2015-08-12 |
EP2886875B1 (en) | 2016-08-03 |
CN104838149B (zh) | 2017-04-19 |
JP2014114727A (ja) | 2014-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3376B1 (ko) | 원심 압축기 | |
WO2011007467A1 (ja) | インペラおよび回転機械 | |
RU2591750C2 (ru) | Сверхзвуковая компресс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е сборки | |
JP5029024B2 (ja) | 遠心圧縮機 | |
US10443606B2 (en) | Side-channel blow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11585347B2 (en) | Mixed-flow compressor configuration for a refrigeration system | |
JP2008151022A (ja) | 軸流圧縮機の翼列 | |
JP2013204550A (ja) | 遠心圧縮機 | |
US20150354588A1 (en) | Centrifugal compressor | |
JP2019007425A (ja) | 遠心圧縮機、ターボチャージャ | |
WO2018155546A1 (ja) | 遠心圧縮機 | |
CN105518307A (zh) | 离心转子 | |
JP6065509B2 (ja) | 遠心圧縮機 | |
JP2015212551A (ja) | 遠心式流体機械 | |
JP6078303B2 (ja) | 遠心式流体機械 | |
JP5980671B2 (ja) | 回転機械 | |
JP7018932B2 (ja) | コンプレッサのスクロール形状及び過給機 | |
JP4146371B2 (ja) | 遠心圧縮機 | |
JP2017044164A (ja) | 遠心圧縮機、ターボチャージャ | |
JP2016528438A (ja) | 前方掃引接線流圧縮機用拡散器 | |
JP2015190391A (ja) | 遠心圧縮機 | |
JP6700893B2 (ja) | 羽根車、回転機械 | |
JP2021095882A (ja) | 遠心圧縮機 | |
KR20200113593A (ko) | 배관 직결형 터보압축기 | |
JP2017186914A (ja) | 遠心羽根車、およびこれを備える遠心式流体機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