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965B1 -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 Google Patents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1965B1 KR101741965B1 KR1020160175432A KR20160175432A KR101741965B1 KR 101741965 B1 KR101741965 B1 KR 101741965B1 KR 1020160175432 A KR1020160175432 A KR 1020160175432A KR 20160175432 A KR20160175432 A KR 20160175432A KR 101741965 B1 KR101741965 B1 KR 101741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nd
- water
- housing
- shafts
- ra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사(molding sand) 제조를 위한 모래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물사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원료모래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거칠은 모래표면을 갈아서 부드럽게 만들어서 주물모래용 세척사를 만드는 장치 즉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는 원료모래이송기, 물 혼합기, 모래선별기, 이송파이프, 제1 마광기, 연결덕트, 제2 마광기, 배출덕트 및 모래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는 각각 하우징, 두 개의 회전축,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 네 개의 회전축베어링, 두 개의 풀리, 네 개의 임펠러, 모터, 동력전달수단, 복수의 장방형 충돌판, 물모래인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는 원료모래이송기, 물 혼합기, 모래선별기, 이송파이프, 제1 마광기, 연결덕트, 제2 마광기, 배출덕트 및 모래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는 각각 하우징, 두 개의 회전축,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 네 개의 회전축베어링, 두 개의 풀리, 네 개의 임펠러, 모터, 동력전달수단, 복수의 장방형 충돌판, 물모래인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물사(molding sand) 제조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물모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원료모래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거친 원료모래의 표면을 갈아서 부드럽게 만듦으로서 주물사로 사용될 수 있는 모래로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요약해서 표현하자면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조법은 금속을 용융점 온도까지 가열시켜 용융금속을 형성시킨 다음,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모양과 동일하게 형성된 주형 속에 용융금속을 부어 넣고, 주형의 내부에서 용융금속을 냉각 및 응고시킴으로서 주물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소성가공과 분말야금 및 용접 등과 함께 금속가공법의 중요한 분야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조법에서 성형용 틀의 역할을 하는 주형재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내화성이 우수한 규사 즉 모래를 그 주성분으로 하는 주물사로서, 약 20∼70 메시(Mesh) 안팎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모래에 점결제인 점토를 4∼8%, 수분을 2∼6% 가량 첨가하여 생형용 주물사를 제작한 다음, 이와 같이 제작된 생형용 주물사를 원형(原型; Pattern)이 놓인 주조용 틀의 내부로 넣어 단단하게 다져 굳힘으로서 하나의 분할된 주형을 완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주물사로는 종래부터 규사 즉 모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강이나 바다에서 채취한 원료모래는 형태가 거칠고 부정형이고 유동성이 부족하며 충진성이 나쁘다. 이 때문에 모래 표면에 묻은 이물질 제거와 부정형의 표면을 부드럽게 하는 마광과정을 충분히 거치지 않은 규사를 이용하여 주형을 만들게 되면 주형의 표면은 거칠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만든 주조품(주물) 또한 표면이 거칠게 나온다. 따라서 이런 주물사를 이용하여 생산된 주조품에 대하여는 후공정으로 연마공정을 보강해야 하므로 주조공정에 인력투입 부담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바다 또는 강에서 채취한 원료모래 그대로는 주물사로 사용할 수 없다.
원료모래를 주물사로 만들기 위해서는 모래의 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의 제거는 물론 부정형의 날카로운 모서리들을 제거해주어 부드러운 표면을 갖도록 만드는 공정 즉 마광과정을 거쳐서 세척사로 만들어 줘야만 한다. 마광과정을 거친 세척사는 이를 건조시켜 모래 표면을 수지로 코팅을 해주는 RCS사(Resin Coated Sand)로 만들어야 비로소 주물사로 쓰일 수 있다.
그러나, 마광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세척사는 표면이 거칠고 이물질이 많기 때문에 주조품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RCS사로 만드는 과정에서 세척사의 표면이 거친 것을 사용하게 되면 이를 코팅하기 위해서 코팅용 RCS 수지를 과다하게 많이 사용하여야 되므로 주물용 모래의 생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물용 원료모래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모래의 표면을 부드럽게 해주는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품질이 우수한 주물모래 제조용 세척사를 적은 에너지로 단시간 내에 빠르게 생산하도록 함은 물론 고장이 적고 보수가 용이한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는, 주물모래 생산을 위한 원료모래를 일정높이 이상의 위치까지 이송한 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원료모래이송기; 상기 원료모래이송기가 낙하시키는 상기 원료모래에 물을 공급하여 물과 모래가 섞인 물모래로 만들어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물 혼합기; 상기 물 혼합기가 낙하시키는 상기 물모래에 섞인 불순물들을 분리해 낸 후 상기 물모래만을 선별하여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모래선별기; 상기 물모래를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파이프; 상기 이송파이프에 하부가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이송파이프가 이송시키는 상기 물모래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진행하는 회전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물모래를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키며 상기 원료모래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1차배출구를 통하여 상부로 배출시키는 제1 마광기; 상기 1차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마광기가 배출시킨 상기 물모래를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에 하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가 이송시키는 상기 물모래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진행하는 회전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물모래를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키며 상기 원료모래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재차 제거한 후 2차배출구를 통해 상부로 배출시키는 제2 마광기; 상기 2차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마광기가 배출시킨 상기 물모래를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덕트에서 이송시킨 물모래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모래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는, 상기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를, 상면과 하면을 갖춘 정삼각기둥 형태로서 세 모서리부분은 각각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면의 세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원호형 반경의 세 중심점 중 두 중심점을 관통하여 각각 설치되되,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 상면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 하면과 일정간격을 갖는 두 개의 회전축; 상기 하우징 상면에, 상기 하우징 상면위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두 개의 회전축을 일정높이 까지 감싸며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원호형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상면이 막힌 원통형으로 된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 상기 두 중심점과 상기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 상면의 중심점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두 개의 회전축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네 개의 회전축베어링; 상기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 상면 위 일정높이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 각각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두 개의 회전축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두 개의 풀리; 상기 하우징 상면의 아래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 각각의 상부 및 하단부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과 일체가 되어 회전되도록 각각 고정 설치되며 각각 두 개의 대칭형 날개를 갖는 네 개의 임펠러; 상기 하우징의 세 모서리 부분 중 상기 두 개의 회전축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 한 모서리부분의 일 측면 바깥쪽에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정높이 위까지 연장되는 지지대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가 발생시키는 회전력을 상기 두 개의 풀리에 동시에 전달하되 상기 두 개의 풀리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된 원호형 코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는 수직을 이루고 상기 두 개의 회전축 중심방향과는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게 부착되는 복수의 장방형 충돌판; 상기 하우징 하면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 중 제1 회전축에 부착된 임펠러 날개의 회전반경내에 한 변이 포함되는 위치에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물모래인입구; 및 상기 하우징의 세 모서리 측면 상단 중 상기 제1 회전축이 위치한 모서리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1차배출구 또는 2차배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장방형 돌출판 각각은 3등분되어 있고, 상기 3등분된 상기 복수의 장방형 돌출판 중 하단 및 상단의 높이가 중앙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는, 물과 모래가 섞인 물모래를 중력을 이용하여 이송시키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모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부드럽게 해주기 때문에 코팅용 수지를 절약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 내에서 임펠러에 의하여 상향의 와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와류에 의하여 원료모래들이 하우징 내 다수의 충돌판들에 부딪히도록 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으로 모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부드럽게 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원료모래에 물을 섞은 물모래를 마광기 내에서 이동시킬 때, 중력에 의하여 내려오는 힘이 다시 물모래를 밀어 올리게 되며, 여기에 더하여 임펠러에 의하여 형성된 상향와류와 모래펌프에 의하여 흡입하는 힘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물모래가 두 개의 마광기 내에서 이동경로를 따라 무리 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방형으로 된 물모래 인입구의 한 변을 제1 회전축의 회전반경 이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모래들이 마광기내로 쉽게 인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물모래 인입구는 마광기의 하우징 내 임펠러가 없는 부분과는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일단 인입된 물모래는 인입구로 밀려 내려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두 개의 회전축에 각각 2개씩 부착된 임펠러들에 의하여 와류가 발생되고 하우징 내 회전축이 없는 부분까지 와류의 회전반경이 되고, 그 부분에 있는 충돌판에도 모래들이 충돌하기 때문에 모래표면의 이물질 제거 및 마광 등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회전축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와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으로 인한 물모래 인입이 방해를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률이 낮아지고, 임펠러 날개의 주기적인 교체 등을 위한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펠러를 두 코너에만 배치하고, 각각의 임펠러의 날개를 대칭형으로 두 개로만 했기 때문에 고속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시간당 생산량이 높다는 장점도 있으며,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충돌판들을 3등분하고 임펠러의 회전반경에 가까운 곳은 충돌판의 높이를 낮게 하고 임펠러의 회전반경에서 먼 곳은 높게 함으로써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과부하를 예방하고, 충돌판들 사이로 물모래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중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중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를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중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를 옆에서 바라다본 수직단면도로서 도 3의 Y-Y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중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를 위에서 바라다본 수평단면도로서 도 4의 A-A부분 수평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중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를 위에서 바라다본 수평단면도로서 도 4의 B-B부분 수평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중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중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를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중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를 옆에서 바라다본 수직단면도로서 도 3의 Y-Y부분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중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를 위에서 바라다본 수평단면도로서 도 4의 A-A부분 수평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중 제1 마광기 및 제2 마광기를 위에서 바라다본 수평단면도로서 도 4의 B-B부분 수평단면도이다.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여러 가지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로서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 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의 주요구성을 도 1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10)는 원료모래이송기(100), 물 혼합기(200), 모래선별기(300), 이송파이프(400), 제1 마광기(500), 연결덕트(600), 제2 마광기(800), 배출덕트(800) 및 모래펌프(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 중 상기 원료모래이송기(100)는 주물모래 생산을 위한 원료모래를 일정높이 이상에 위치한 상기 물 혼합기(200) 위까지 이송시킨 후 상기 원료모래를 낙하시키는 수단으로서 통상 모래이송용 컨베이어 벨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모래이송을 위한 수단으로서는 컨베이어벨트 외의 다양한 대체수단이 있기 때문에 특별히 컨베이어벨트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일정 높이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가 설치될 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르겠지만 상기 제1 마광기(500) 및 상기 제2 마광기(700)의 설치높이 등을 고려할 때 통상 4~5미터 이상이면 충분하다 할 것이다.
상기 원료모래 이송기가 이송하여 하방으로 낙하시킨 원료모래는 물 공급장치(210)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함께 상기 물 혼합기(200)에서 혼합되어 물모래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물과 모래의 혼합비율은 모래의 상태나 현장여건에 따라 달라지긴 하나 물이 50~70% 모래가 30~50%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물과 모래를 혼합하여 물모래로 만드는 이유는 원활한 이송효과와 더불어 불순물제거, 세척 및 마광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물과 모래의 비중을 상기 비율로 하는 이유는 이송, 세척 및 마광의 효율성을 고려한 비율인데, 상기 비율보다 물이 적을 경우 이송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고 마광기 내의 임펠러에 부하가 많이 걸려 에너지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임펠러 고장의 원인이 되어 잦은 보수를 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물이 상기 비율보다 많을 경우 이송은 원활해지지만 마광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물 혼합기(200)가 이송한 상기 물모래는 상기 모래선별기(300)위로 낙하하게 되며, 상기 모래선별기(300)는 상기 물모래에 섞여있는 자갈, 나뭇가지, 조개껍질 등의 불순물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진동형 또는 원통형 등 다양한 방식의 모래선별장치 중에서 현장여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모래선별기(300)을 통과하여 불순물들이 걸러진 상기 물모래는 물모래 선별기의 하방에 위치한 물모래호퍼(310)을 거쳐 중력에 의하여 상기 이송파이프(400)를 통하여 상기 제1 마광기(50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상기 제1 마광기(500)는 상기 이송파이프(400)에 하부가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이송파이프(400)가 이송시키는 상기 물모래를 하부로부터 받아들여서 상방향으로 진행하는 회전와류 즉 상향와류(580)를 형성시키고 그 힘으로 상기 물모래를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키며 상기 원료모래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1차배출구를 통하여 상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물모래는 상기 이송파이프(400)을 통하여 낙하하는 중력과 상기 제1 마광기(500)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상향와류(580) 그리고 상기 모래펌프(900)의 흡입력 등에 의하여 상기 물모래의 이동경로(화살표 참조)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모래는 상기 제1 마광기 내에서 상향와류(580)에 따른 이동과정에서 내부에 부착되어있는 다수의 장방형 충돌판(후술 예정)과 충돌하면서 이물질이 떨어져 나가고 부정형의 모서리들이 깎여나가면서 마광이 되게 된다. 제1 마광기(5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원리는 후술하게 되는, 도 2 내지 도6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 마광기(500)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물모래는 상기 제1 마광기(500)의 상부와 상기 제2 마광기(700)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덕트(600)를 따라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며, 상기 제2 마광기(700)는 상기 연결덕트(6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물모래를 하부로부터 받아들여서 상방향으로 진행하는 회전와류 즉 상향와류(780)를 형성시키고 상기 상향와류(780)의 힘으로 상기 물모래를 아래에서 위로 회전이동시키며 상기 원료모래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재차 제거한 후 2차배출구를 통하여 상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물모래는 상기 연결덕트(600)을 통하여 낙하하는 중력과 상기 제2 마광기(700)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상향와류(780) 그리고 상기 모래펌프(900)의 흡입력 등에 의하여 상기 물모래의 이동경로(화살표 참조)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 마광기(7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원리도 후술하게 되는, 도 2 내지 도6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2차배출구에는 상기 배출덕트(800)가 연결되어 상기 물모래를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배출덕트(800)의 하방으로 이동되어온 상기 물모래는 상기 모래펌프(900)가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10)중 상기 제1 마광기(500) 및 상기 제2 마광기(700)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중 상기 제1 마광기(500) 및 상기 제2 마광기(700)를 위에서 바라다 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중 상기 제1 마광기(500) 및 상기 제2 마광기(700)를 옆에서 바라다본 수직단면도로서 도 3의 Y-Y부분 수직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중 상기 제1 마광기(500) 및 상기 제2 마광기(700)를 위에서 바라다본 수평단면도 로서 도 4의 A-A부분 수평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중 상기 제1 마광기(500) 및 상기 제2 마광기(700)를 위에서 바라다본 수평단면도 로서 도 4의 B-B부분 수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마광기(500) 및 제2 마광기(700)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10)에 구성되는 상기 제1 마광기(500)의 하우징(501)은 상면과 하면을 갖춘 정삼각기둥 형태로서 세 모서리부분은 각각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호형으로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01) 상면의 세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원호형 반경의 세 중심점 중, 두 중심점을 관통하여(도 3 참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이 각각 설치되도록 하되,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 상면 위로 일정높이(60~70cm) 까지 돌출되도록 하고,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 하면과 일정간격을 갖는 위치까지의 길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은 각각 절반가량은 상기 하우징(501) 상면의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나머지 절반가량은 상기 하우징(501)의 내부에 있게 되는 반면,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 각각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501) 하면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501) 하단으로부터 일정 간격이상 떨어져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01) 상면에는,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503a, 503b)가 상기 하우징(501)의 상면위로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503a, 503b)는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을 일정높이 까지 감싸며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세모서리에 형성된 원호형의 반경보다는 작은 반경을 갖고 상면이 막힌 원통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베어링지지대의 상면과 하우징의 상면에 각각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게 되고, 회전축의 하단이 하우징의 하면에 베어링으로 고정되지 않더라도 회전축의 중심부와 상층부에 각각 베어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회전축 및 임펠러가 안정적으로 회전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결국 네 개의 회전축베어링(504a1, 504a2, 504b1, 504b2)은 상기 하우징(501) 상면 위 상기 세모서리에 형성된 원호형의 중심점 중 두 중심점과 상기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503a, 503b) 상면의 각각의 중심점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축(502a, 502b)의 하단을 상기 하우징(501)의 하면에 베어링으로 고정부착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501)의 하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놓는 이유는, 임펠러들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물모래의 와류흐름 및 물모래의 인입이동시 회전축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 및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과 더불어, 모래의 침착이나 수분의 침투 등에 따른 하부베어링의 손상, 부식 및 고장을 예방하고, 주기적인 임펠러 날개의 교체 등 정비 및 유지보수의 원활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503a, 503b) 상면 위까지 돌출된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의 상단부에는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 각각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두 개의 풀리(505a, 505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두 개의 풀리(505a, 505b)는 모터(507)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01) 상면의 아래에는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 각각의 상부 및 하단부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과 일체가 되어 회전되도록 두 개의 대칭형 날개를 갖는 네 개의 임펠러(506a1, 506a2, 506b1, 506b2)가 각각 고정 설치되게 된다. 이렇게 임펠러의 날개를 두 개의 대칭형 날개로 하는 이유는 이동시켜야 하는 물질이 물과 모래가 섞인 반유체 상태이기 때문에 임펠러의 날개가 많게 되면 저항을 많이 받고, 고장요인이 많아지기 때문에 날개의 수가 적을수록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두 개의 대칭날개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임펠러의 회전수를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거둘 수 있게 된다.
하우징(501)의 바깥쪽 세 모서리 부분 중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 한 모서리부분의 일 측면 바깥쪽에는 상기 하우징(501)으로부터 일정높이 위까지 연장되는 지지대(530)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530)에 상기 모터(507)가 부착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507)는 상기 두 개의 풀리(505a, 505b)를 통하여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이다. 상기 모터(507)가 발생시키는 회전력은 동력전달수단(508)을 통하여 상기 두 개의 풀리(505a, 505b)에 동시에 전달되는데, 상기 두 개의 풀리(505a, 505b)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달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508)은 벨트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501)의 내벽에는 상기 하우징(501)의 내벽에 형성된 원호형 코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하우징(501)의 내벽과는 수직을 이루고,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 중심방향과는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501)의 내벽에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게 부착되는 복수의 장방형 충돌판(509)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복수의 장방형 돌출판(509) 각각은 3등분하여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3등분된 상기 복수의 장방형 돌출판(509) 중 하단 및 상단의 높이를 중앙부의 높이보다 낮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5는 상단부 부분의 단면도(도 4의 A-A부분 단면)이기 때문에 상기 장방형 돌출판(509)의 돌출높이가 낮으며, 도6은 중앙부의 단면도(도 4의 B-B부분 단면)이기 때문에 상기 장방형 돌출판(509)의 돌출높이가 높게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장방형 돌출판(509)의 돌출높이에 차이를 두는 이유는 임펠러의 회전반경에 가까운 곳 즉, 상단과 하단은 낮게 형성하여야 임펠러의 회전에 영향을 덜 끼치게 되며, 중앙부분은 임펠러의 회전에 영향을 덜 주는 부분이기 때문에 모래와의 충돌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돌출높이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방형 충돌판(509)를 이러한 구조로 하게 되면, 임펠러의 회전부하에 영향을 덜 주면서 모래와의 충돌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01)의 하면에는 정방형의 물모래인입구(510)가 형성되는데,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물모래인입구(510)는 상기 하우징(501) 하면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하우징(501)의 하면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502a, 502b) 중 제1 회전축(502a)에 부착된 임펠러(506a1,506a2)의 날개 회전반경(550) 아래에 상기 날개 회전반경(550) 안에 상기 물모래인입구(510)의 한 변이 포함되도록 위치를 잡아 형성하되, 상기 물모래인입구(510)의 각 변은 상기 날개 회전반경(550)과 같거나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상기 제1 회전축(502a)이 1차배출구 쪽 회전축이기 때문인데, 이렇게 상기 물모래인입구(510)의 한 변이 제1 회전축(502a)에 부착된 임펠러(506a1,506a2) 날개의 회전반경(550) 아래 위치에 형성되게 되면 상기 물모래인입구(510)와 1차배출구(511)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평면도상 일직선에 위치하기 때문에, 비록 상향와류(580)는 상기 제1 회전축(502a)의 임펠러(506a1, 506a2)와 상기 제2 회전축(502b)의 임펠러(506b1, 506b2)의 동시작용에 의하여 형성되지만 상향와류(580)의 중심축이 자연스럽게 상기 제1 회전축(502a)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물모래의 와류가 상기 1차배출구(511)쪽으로 자연스럽게 상향이동 흐름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물모래의 배출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 혼합기(300)로부터 발생된 중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모래펌프(900)의 부하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501)의 세 모서리 측면 상단 중 상기 제1 회전축(502a)이 위치한 모서리에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덕트(600)와 연결되는 상기 1차배출구(511)가 있어 결과적으로 하단의 상기 물모래인입구(510)로 인입된 상기 물모래들은 상향와류(580)를 타고 충돌판에 부딪혀가며 이물질 등이 제거되고 마광과정을 거치면서 상단으로 이동하고 상단까지 이동한 물모래들은 자연스럽게 상기 1차배출구(511) 및 상기 연결덕트(600)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하단 외부에는 상기 물모래인입구(510)와 상기 이송파이프(400)를 플렌징(550)을 통하여 연결시키도록 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수 및 정비용 맨홀(540a, 540b)을 상기 하우징(501)에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10)에 구성되는 상기 제2 마광기(700)의 하우징(701)도 상면과 하면을 갖춘 정삼각기둥 형태로서 세 모서리부분은 각각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호형으로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01) 상면의 세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원호형 반경의 세 중심점 중, 두 중심점을 관통하여(도 3 참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이 각각 설치되도록 하되,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 상면 위로 일정높이(60~70cm) 까지 돌출되도록 하고,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 하면과 일정간격을 갖는 위치까지의 길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은 각각 절반가량은 상기 하우징(701) 상면의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나머지 절반가량은 상기 하우징(701)의 내부에 있게 되는 반면,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 각각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701) 하면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701) 하단으로부터 일정 간격이상 떨어져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701) 상면에는,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703a, 703b)가 상기 하우징(701)의 상면위로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703a, 703b)는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을 일정높이 까지 감싸며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세모서리에 형성된 원호형의 반경보다는 작은 반경을 갖고 상면이 막힌 원통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베어링지지대의 상면과 하우징의 상면에 각각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게 되고, 회전축의 하단이 하우징의 하면에 베어링으로 고정되지 않더라도 회전축의 중심부와 상층부에 각각 베어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회전축 및 임펠러가 안정적으로 회전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결국 네 개의 회전축베어링(704a1, 704a2, 704b1, 704b2)은 상기 하우징(701) 상면 위 상기 세모서리에 형성된 원호형의 중심점 중 두 중심점과 상기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703) 상면의 각각의 중심점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축(702a, 702b)의 하단을 상기 하우징(701)의 하면에 베어링으로 고정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701)의 하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놓는 이유는, 임펠러들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물모래의 와류흐름 및 물모래의 인입이동을 회전축이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하기 위함이며, 모래의 침착이나 수분의 침투 등에 따른 하부베어링의 손상, 부식 및 고장을 예방하고, 주기적인 임펠러 날개의 교체 등 정비 및 유지보수의 원활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703a, 703b) 상면 위까지 돌출된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의 상단부에는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 각각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두 개의 풀리(705a, 705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두 개의 풀리(705a, 705b)는 모터(707)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701) 상면의 아래에는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 각각의 상부 및 하단부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과 일체가 되어 회전되도록 두 개의 대칭형 날개를 갖는 네 개의 임펠러(706a1, 706a2, 706b1, 706b2)가 각각 고정 설치되게 된다. 이렇게 임펠러의 날개를 두 개의 대칭형 날개로 하는 이유는 이동시켜야 하는 물질이 물과 모래가 섞인 반유체 상태이기 때문에 임펠러의 날개가 많게 되면 저항을 많이 받고, 고장요인이 많아지기 때문에 날개의 수가 적을수록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두 개의 대칭날개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임펠러의 회전수를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거둘 수 있게 된다.
하우징(501)의 바깥쪽 세 모서리 부분 중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 한 모서리부분의 일 측면 바깥쪽에는 상기 하우징(701)으로부터 일정높이 위까지 연장되는 지지대(730)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730)에 상기 모터(707)가 부착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707)는 상기 두 개의 풀리(705a, 705b)를 통하여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이다. 상기 모터(707)가 발생시키는 회전력은 동력전달수단(708)을 통하여 상기 두 개의 풀리(705a, 705b)에 동시에 전달되는데, 상기 두 개의 풀리(705a, 705b)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달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708)은 벨트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701)의 내벽에는 상기 하우징(701)의 내벽에 형성된 원호형 코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하우징(701)의 내벽과는 수직을 이루고,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 중심방향과는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701)의 내벽에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게 부착되는 복수의 장방형 충돌판(709)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복수의 장방형 돌출판(709) 각각은 3등분하여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3등분된 상기 복수의 장방형 돌출판(709) 중 하단 및 상단의 높이를 중앙부의 높이보다 낮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5는 상단부 부분의 단면도(도 4의 A-A부분 단면)이기 때문에 상기 장방형 돌출판(709)의 돌출높이가 낮으며, 도6은 중앙부의 단면도(도 4의 B-B부분 단면)이기 때문에 상기 장방형 돌출판(709)의 돌출높이가 높게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장방형 돌출판(709)의 돌출높이에 차이를 두는 이유는 임펠러의 회전반경에 가까운 곳 즉, 상단과 하단은 낮게 형성하여야 임펠러의 회전에 영향을 덜 끼치게 되며, 중앙부분은 임펠러의 회전에 영향을 덜 주는 부분이기 때문에 모래와의 충돌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돌출높이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방형 충돌판(709)를 이러한 구조로 하게 되면, 임펠러의 회전부하에 영향을 덜 주면서 모래와의 충돌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01)의 하면에는 정방형의 물모래인입구(710)가 형성되는데,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물모래인입구(710)는 상기 하우징(701) 하면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하우징(701)의 하면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702a, 702b) 중 제1 회전축(702a)에 부착된 임펠러(706a1, 706a2)의 날개 회전반경(750) 아래에 상기 날개 회전반경(750) 안에 상기 물모래인입구(710)의 한 변이 포함되도록 위치를 잡아 형성하되, 상기 물모래인입구(710)의 각 변은 상기 날개 회전반경(750)과 같거나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상기 제1 회전축(702a)이 2차배출구(711) 쪽 회전축이기 때문인데, 이렇게 상기 물모래인입구(710)의 한 변이 제1 회전축(702a)에 부착된 임펠러(706a1, 706a2) 날개의 회전반경(750) 아래 위치에 형성되게 되면 상기 물모래인입구(710)와 2차배출구(711)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평면도상 일직선에 위치하기 때문에, 비록 상향와류(780)는 상기 제1 회전축(702a)의 임펠러(706a1, 706a2)와 상기 제2 회전축(702b)의 임펠러(706b1, 706b2)의 동시작용에 의하여 형성되지만 상향와류(780)의 중심축이 자연스럽게 상기 제1 회전축(702a)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물모래의 와류가 상기 2차배출구(711)쪽으로 자연스럽게 상향이동 흐름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물모래의 배출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마광기(500)의 1차배출구(511)로부터 배출된 물모래가 상기 연결덕트(600)를 통해 낙하하면서 발생된 중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모래펌프(900)의 부하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701)의 세 모서리 측면 상단 중 상기 제1 회전축(702a)이 위치한 모서리에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배출덕트(800)와 연결되는 상기 2차배출구(711)가 있어 결과적으로 하단의 상기 물모래인입구(710)로 인입된 상기 물모래들은 상향와류(780)를 타고 충돌판에 부딪혀가며 이물질 등이 제거되고 마광과정을 거치면서 상단으로 이동하고 상단까지 이동한 물모래들은 자연스럽게 상기 2차배출구(711) 및 상기 배출덕트(800)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수 및 정비용 맨홀(740a,740b)을 상기 하우징(701)에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 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원료모래이송기 200 물 혼합기
300 모래선별기 400 이송파이프
500 제1 마광기
501 하우징 502 회전축 503 베어링지지대
504 회전축베어링 505 풀리 506 임펠러
507 모터 508 동력전달수단 509 장방형 충돌판
510 물모래인입구 511 1차배출구
600 연결덕트
700 제2 마광기
701 하우징 702 회전축 703 베어링지지대
704 회전축베어링 705 풀리 706 임펠러
707 모터 708 동력전달수단 709 장방형 충돌판
710 물모래인입구 711 2차배출구
800 배출덕트 900 모래펌프
300 모래선별기 400 이송파이프
500 제1 마광기
501 하우징 502 회전축 503 베어링지지대
504 회전축베어링 505 풀리 506 임펠러
507 모터 508 동력전달수단 509 장방형 충돌판
510 물모래인입구 511 1차배출구
600 연결덕트
700 제2 마광기
701 하우징 702 회전축 703 베어링지지대
704 회전축베어링 705 풀리 706 임펠러
707 모터 708 동력전달수단 709 장방형 충돌판
710 물모래인입구 711 2차배출구
800 배출덕트 900 모래펌프
Claims (3)
- 주물모래 생산을 위한 원료모래를 일정높이 이상의 위치까지 이송한 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원료모래이송기;
상기 원료모래이송기가 낙하시키는 상기 원료모래에 물을 공급하여 물과 모래가 섞인 물모래로 만들어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물 혼합기;
상기 물 혼합기가 낙하시키는 상기 물모래에 섞인 불순물들을 분리해 낸 후 상기 물모래만을 선별하여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모래선별기;
상기 물모래를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파이프;
상기 이송파이프에 하부가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이송파이프가 이송시키는 상기 물모래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진행하는 회전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물모래를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키며 상기 원료모래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1차배출구를 통하여 상부로 배출시키는 제1 마광기;
상기 1차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마광기가 배출시킨 상기 물모래를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에 하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가 이송시키는 상기 물모래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진행하는 회전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물모래를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키며 상기 원료모래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재차 제거한 후 2차배출구를 통해 상부로 배출시키는 제2 마광기;
상기 2차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마광기가 배출시킨 상기 물모래를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덕트에서 이송시킨 물모래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모래펌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마광기 및 상기 제2 마광기는,
- 상면과 하면을 갖춘 정삼각기둥 형태로서 세 모서리부분은 각각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 상기 하우징 상면의 세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원호형 반경의 세 중심점 중 두 중심점을 관통하여 각각 설치되되,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 상면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 하면과 일정간격을 갖는 두 개의 회전축;
- 상기 하우징 상면에, 상기 하우징 상면위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두 개의 회전축을 일정높이 까지 감싸며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원호형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상면이 막힌 원통형으로 된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
- 상기 두 중심점과 상기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 상면의 중심점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두 개의 회전축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네 개의 회전축베어링;
- 상기 두 개의 베어링지지대 상면 위 일정높이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 각각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두 개의 회전축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두 개의 풀리;
- 상기 하우징 상면의 아래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 각각의 상부 및 하단부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과 일체가 되어 회전되도록 각각 고정 설치되며 각각 두 개의 대칭형 날개를 갖는 네 개의 임펠러;
- 상기 하우징의 세 모서리 부분 중 상기 두 개의 회전축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 한 모서리부분의 일 측면 바깥쪽에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정높이 위까지 연장되는 지지대에 설치되는 모터;
- 상기 모터가 발생시키는 회전력을 상기 두 개의 풀리에 동시에 전달하되 상기 두 개의 풀리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된 원호형 코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는 수직을 이루고 상기 두 개의 회전축 중심방향과는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게 부착되는 복수의 장방형 충돌판;
- 상기 하우징 하면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 중 제1 회전축에 부착된 임펠러 날개의 회전반경내에 한 변이 포함되는 위치에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물모래인입구; 및
- 상기 하우징의 세 모서리 측면 상단 중 상기 제1 회전축이 위치한 모서리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1차배출구 또는 2차배출구; 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방형 돌출판 각각은 3등분되어 있으며, 상기 3등분된 상기 복수의 장방형 돌출판 중 하단 및 상단의 높이가 중앙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5432A KR101741965B1 (ko) | 2016-12-21 | 2016-12-21 |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5432A KR101741965B1 (ko) | 2016-12-21 | 2016-12-21 |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1965B1 true KR101741965B1 (ko) | 2017-05-31 |
Family
ID=5905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5432A KR101741965B1 (ko) | 2016-12-21 | 2016-12-21 |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196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44808A (zh) * | 2020-12-31 | 2021-05-28 | 襄阳雅虎机电有限公司 | 一种新型洗砂机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6502B1 (ko) | 2004-12-22 | 2006-08-28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골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KR101179883B1 (ko) | 2010-07-30 | 2012-09-05 | 주식회사 티에스씨 | 주물사 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주물사 |
-
2016
- 2016-12-21 KR KR1020160175432A patent/KR1017419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6502B1 (ko) | 2004-12-22 | 2006-08-28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골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KR101179883B1 (ko) | 2010-07-30 | 2012-09-05 | 주식회사 티에스씨 | 주물사 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주물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44808A (zh) * | 2020-12-31 | 2021-05-28 | 襄阳雅虎机电有限公司 | 一种新型洗砂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4451B1 (ko) | 건식 모래 분급장치 | |
CN209968516U (zh) | 一种用于石英砂的粉碎分选装置 | |
JP4685195B2 (ja) | コンクリート廃材の再生利用装置 | |
CN106975543B (zh) | 一种高频自筛湿式反击制砂机 | |
CN102950055A (zh) | 碳酸钙浆料湿法研磨制造方法及设备 | |
KR101741965B1 (ko) | 주물모래 생산용 마광장치 | |
JP6470139B2 (ja) | 微粒子除去装置 | |
CN205057826U (zh) | 级配钢丸抛丸设备 | |
KR101364135B1 (ko) | 순환골재용 시멘트 모르타르 박리장치 | |
KR100985359B1 (ko) | 편심진동장치가 구비된 주물사 재생설비 | |
JP2006326416A (ja) | 土粉砕装置 | |
CN206794089U (zh) | 一种新型磨球分选机 | |
CN216098383U (zh) | 一种除锈用的抛丸机 | |
JP2012213750A (ja) | すりもみ装置 | |
CN104550693A (zh) | 无地坑树脂砂再生处理装置 | |
CN206560915U (zh) | 一种混凝土骨料尾料回收再利用装置 | |
CN210586988U (zh) | 一种铸造回用砂造型前处理系统 | |
JP5000744B2 (ja) | 鋳物砂再生装置 | |
CN212943477U (zh) | 一种建筑土砂除铁设备 | |
CN104084080A (zh) | 利于物料搅拌的搅拌装置 | |
CN108296437A (zh) | 一种铸造废砂回收再利用装置 | |
CN110202692B (zh) | 一种连续化浆洗砂装置 | |
KR101750252B1 (ko) | 다단 골재 박리기 | |
CN202942955U (zh) | 低扬尘化砂石生产线 | |
CN206793901U (zh) | 一种金属过滤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