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576B1 -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 Google Patents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576B1
KR101741576B1 KR1020160122931A KR20160122931A KR101741576B1 KR 101741576 B1 KR101741576 B1 KR 101741576B1 KR 1020160122931 A KR1020160122931 A KR 1020160122931A KR 20160122931 A KR20160122931 A KR 20160122931A KR 101741576 B1 KR101741576 B1 KR 101741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plate
cutter
coupled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균
이아영
Original Assignee
이동균
이아영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태강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균, 이아영,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태강디앤씨 filed Critical 이동균
Priority to KR102016012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7/00Repair of damaged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로 또는 맨홀 보수공사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상면에 돌기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는 자석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돌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제1조작핸들가 있는 제1회전봉과 양단이 플랜지가 있는 원형 관 부재로 상기 제1회전봉의 나사산과 내부 관통공의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상기 제1회전봉의 외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상기 제1회전봉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여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를 조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수평지지판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절개된 제1이동장공이 외주면에 형성된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제1수평지지판의 양단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수평지지관과 일면이 상기 수평지지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수평지지판과 원형 봉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관에 각각 삽입되는 신축부재와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 있는 판 형상의 부재로 양단이 상기 제1이동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신축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판과 타단에 제2조작핸들가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제2수평지지판과 가이드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수평지지판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회전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회전봉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제2회전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방법으로 상기 신축부재의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관의 일단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되는 신축지지부 및, 상기 신축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절단몸체부와 상기 절단몸체부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휠 커터로 이루어진 절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절단할 곳의 도로 포장면의 높이에 맞게 상기 제1회전봉이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가 조정되고, 절단할 곳의 도로 포장면의 크기에 맞게 상기 제2회전봉이 회전되어 상기 신축부재의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 A cutting machine for repair work of road or a manhole }
본 발명은 도로 또는 맨홀을 보수할 때 사용되는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인도의 지하에는 상수관, 하수관, 전력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의 각종 시설물이 수없이 많이 매설되어 있고, 이러한 각종 시설물 등은 필요에 따라 수시로 보수를 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하에 각종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맨홀이 시공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도로는 빈번한 자동차의 통행으로 인해 표면이 노화되어 고르지 못하게 되거나 지반에 균열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통상 4~5년의 주기로 덧씌우기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로의 덧씌우기 작업을 수행하면 도로의 표면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맨홀의 표면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도로면과 맨홀 사이에는 높이차이가 발생 되며, 이러한 높이차이는 차량의 주행을 방해함은 물론 사고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별도로 맨홀을 인상하여 덧씌워진 도로의 표면과 일치시켜야만 하는 맨홀의 보수작업을 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맨홀 보수공사는 절단기를 사용하여 맨홀 하우징의 주변 노면층을 수직절단한 후 수직절단된 노면층을 굴착 제거하고, 맨홀 하우징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맨홀 하우징이 놓여지는 바닥면에 높이조절 부재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다시 맨홀 하우징을 올려놓고 굴착 제거된 노면층의 공간부위에 아스팔트와 같은 도로 포장재를 충진 양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2069호
그러나, 종래의 맨홀 보수공사용 절단기는 직선으로 노면층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어서, 절단선이 사각형으로 남아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노면층을 정확히 사각형으로 절단하지 못하고 모서리 부분에 불필요한 절단선을 남기게 되므로 미관이 불량함은 물론 불필요한 절단선 부분에도 도로 포장재를 충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단된 노면층을 파쇄하고 굴착함에 있어서 소음과 분진이 많이 발생되어 주변에 지나는 통행자나 자동차들에게 불편을 많이 주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0952069호를 제안하여 맨홀 보수공사를 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절단선을 남기지 않도록 맨홀의 크기에 맞게 원형으로 노면층을 절단할 수 있도록 맨홀 보수공사용 절단기를 제공한바 있습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기존 발명은 맨홀덮개의 상면에 자석을 이용하여 절단기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나 맨홀과 주변 도로 표면과의 단차가 불규칙할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사용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보수공사를 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절단선을 남기지 않도록 맨홀의 크기에 맞게 원형으로 노면층을 절단하되 맨홀덮개의 표면과 도로 표면 사이에 생긴 불규칙한 단차에 맞게 자석부 각각이 움직여 고정부와 도로 표면과의 수평을 손쉽게 맞출 수 있는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게 결합되고 타단에 제1조작핸들가 있는 제1회전봉과 양단이 플랜지가 있는 원형 관 부재로 상기 제1회전봉의 나사산과 내부 관통공의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상기 제1회전봉의 외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상기 제1회전봉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여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를 조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수평지지판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절개된 제1이동장공이 외주면에 형성된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제1수평지지판의 양단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수평지지관과 일면이 상기 수평지지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수평지지판과 원형 봉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관에 각각 삽입되는 신축부재와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 있는 판 형상의 부재로 양단이 상기 제1이동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신축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판과 타단에 제2조작핸들가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제2수평지지판과 가이드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수평지지판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회전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회전봉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제2회전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방법으로 상기 신축부재의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관의 일단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되는 신축지지부 및, 상기 신축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절단몸체부와 상기 절단몸체부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휠 커터로 이루어진 절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절단할 곳의 도로 포장면의 높이에 맞게 상기 제1회전봉이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가 조정되고, 절단할 곳의 도로 포장면의 크기에 맞게 상기 제2회전봉이 회전되어 상기 신축부재의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를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맨홀덮개의 표면과 도로 표면 사이에 생긴 불규칙한 단차에 맞게 자석부 각각이 움직여 고정부와 도로 표면과의 수평을 손쉽게 맞출 수 있다. 또한, 고정부의 자석부 다수개가 직접 맨홀덮개에 고정되어 노면층의 절단시 발생되는 진동 및 하중에 의해서 절단기가 쉽게 맨홀 하우징과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보수할 맨홀 주위의 노면을 절단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맨홀의 크기에 맞게 신축부재가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 맨홀의 크기에 상관없이 절단기를 설치하여 노면을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절단기로 다양한 크기의 맨홀을 보수할 수 있어 절단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도로 또는 맨홀 하우징의 주변 노면층을 불필요한 절단선을 남기지 않도록 맨홀의 크기에 맞게 원형으로 절단할 수 있어 도로 또는 맨홀 보수 공사의 시공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의 절단기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측면도이다.
도3은 절단기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고정판 하면에 결합된 자석의 상세도이다.
도5는 절단기의 높이와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제2회전봉에 의해서 가이드판이 제1이동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8은 절단한 곳의 크기에 따라 신축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원발명인 절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도9의 절단부 상세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도10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절단기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측면도이다.
도3은 절단기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고정판 하면에 결합된 자석의 상세도이다.
도5는 절단기의 높이와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제2회전봉에 의해서 가이드판이 제1이동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고정부의 단면도이고, 도8은 절단한 곳의 크기에 따라 신축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원발명인 절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0은 도9의 절단부 상세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도10의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은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로 또는 맨홀 보수공사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상면에 돌기(111)가 형성된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는 자석부(120)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돌기(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제1조작핸들(131)가 있는 제1회전봉(130)과 양단이 플랜지가 있는 원형 관 부재로 상기 제1회전봉(130)의 나사산과 내부 관통공의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상기 제1회전봉(130)의 외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140)와 상기 높이조절부재(14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부재(150)로 구성되되 상기 제1회전봉(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140)가 상기 제1회전봉(130)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여 상기 회전부재(150)의 높이를 조정하는 고정부(100)와, 상기 회전부재(15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수평지지판(210)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절개된 제1이동장공(221)이 외주면에 형성된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제1수평지지판(210)의 양단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수평지지관(220)과 일면이 상기 수평지지관(22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수평지지판(230)과 원형 봉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관(220)에 각각 삽입되는 신축부재(240)와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 있는 판 형상의 부재로 양단이 상기 제1이동장공(221)을 관통하여 상기 신축부재(240)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판(250)과 타단에 제2조작핸들(261)가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제2수평지지판(230)과 가이드판(25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수평지지판(210)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회전봉(26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회전봉(26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판(250)이 상기 제2회전봉(2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방법으로 상기 신축부재(240)의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관(220)의 일단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되는 신축지지부(200) 및, 상기 신축부재(24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절단몸체부(310)와 상기 절단몸체부(310)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휠 커터(320)로 이루어진 절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절단할 곳의 도로 포장면의 높이에 맞게 상기 제1회전봉(130)이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재(150)의 높이가 조정되고, 절단할 곳의 도로 포장면의 크기에 맞게 상기 제2회전봉(260)이 회전되어 상기 신축부재(240)의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고정부(100), 신축지지부(200) 및 절단부(300)로 구성되는 것으로 맨홀 보수 공사에 있어서 통행하는 통행자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맨홀 보수 공사의 시공성을 높이기 위한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1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인도의 지하에는 상수관, 하수관, 전력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의 각종 시설물이 수없이 많이 매설되어 있고, 이러한 각종 시설물 등은 필요에 따라 수시로 보수를 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하에 각종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맨홀이 시공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도로는 빈번한 자동차의 통행으로 인해 표면이 노화되어 고르지 못하게 되거나 지반에 균열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통상 4~5년의 주기로 덧씌우기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로의 덧씌우기 작업을 수행하면 도로의 표면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맨홀의 표면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도로면과 맨홀 사이에는 높이차이가 발생 되며, 이러한 높이차이는 차량의 주행을 방해함은 물론 사고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별도로 맨홀을 인상하여 덧씌워진 도로의 표면과 일치시켜야만 하는 맨홀의 보수작업을 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맨홀 보수공사는 절단기를 사용하여 맨홀 하우징의 주변 노면층을 수직절단한 후 수직절단된 노면층을 굴착 제거하고, 맨홀 하우징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맨홀 하우징이 놓여지는 바닥면에 높이조절 부재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다시 맨홀 하우징을 올려놓고 굴착 제거된 노면층의 공간부위에 아스팔트와 같은 도로 포장재를 충진 양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맨홀 보수공사용 절단기는 직선으로 노면층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어서, 절단선이 사각형으로 남아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노면층을 정확히 사각형으로 절단하지 못하고 모서리 부분에 불필요한 절단선을 남기게 되므로 미관이 불량함은 물론 불필요한 절단선 부분에도 도로 포장재를 충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단된 노면층을 파쇄하고 굴착함에 있어서 소음과 분진이 많이 발생되어 주변에 지나는 통행자나 자동차들에게 불편을 많이 주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0952069호를 제안하여 맨홀 보수공사를 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절단선을 남기지 않도록 맨홀의 크기에 맞게 원형으로 노면층을 절단할 수 있도록 맨홀 보수공사용 절단기를 제공한바 있습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기존 발명은 맨홀덮개의 상면에 자석을 이용하여 절단기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나 맨홀과 주변 도로 표면과의 단차가 불규칙할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사용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보수공사를 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절단선을 남기지 않도록 맨홀의 크기에 맞게 원형으로 노면층을 절단하되 맨홀덮개의 표면과 도로 표면 사이에 생긴 불규칙한 단차에 맞게 자석부 각각이 움직여 고정부와 도로 표면과의 수평을 손쉽게 맞출 수 있는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맨홀덮개의 표면과 도로 표면 사이에 생긴 불규칙한 단차에 맞게 자석부 각각이 움직여 고정부와 도로 표면과의 수평을 손쉽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자석부 다수개가 직접 맨홀덮개에 고정되어 노면층의 절단시 발생되는 진동 및 하중에 의해서 절단기가 쉽게 맨홀 하우징과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보수할 맨홀 주위의 노면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의 크기에 맞게 신축부재가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 맨홀의 크기에 상관없이 절단기를 설치하여 노면을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절단기로 다양한 크기의 맨홀을 보수할 수 있어 절단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또는 맨홀 하우징의 주변 노면층을 불필요한 절단선을 남기지 않도록 맨홀의 크기에 맞게 원형으로 절단할 수 있어 도로 또는 맨홀 보수 공사의 시공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고정부(100)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10)의 하부로 맨홀덮개(30)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고정부(100)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10)가 맨홀덮개(30)에 고정되어 도로면을 절단할 수 있으면 다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10), 자석부(120), 제1회전봉(130), 높이조절부재(140) 및 회전부재(150)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110)은 판 형상으로 상면에 돌기(111)가 형성된 부재이다. 고정판(110)은 맨홀덮개(30)의 상면에 올려지는 구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맨홀덮개(30)의 모양에 맞게 같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자석부(120)는 고정판(110)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절단기(10)가 맨홀덮개(30)에 설치될 때 맨홀덮개(30)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자석부(120)는 맨홀덮개(3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자석고정판(121), 자석회전봉(122) 및 자석(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석고정판(121)은 일면이 상기 고정판(110)의 하면 일측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자석고정판(121)은 설치되는 자석(123)의 수 만큼 고정판(110) 하면에 설치된다. 자석회전봉(122)은 외주면이 상기 자석고정판(121)의 타면에 결합되는 봉 형태의 부재이다. 즉, 자석회전봉(122)은 봉 형태로 일면이 자석고정판(12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면에 자석(123)이 맨홀덮개와 도로면과의 단차를 맞추기 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자석(123)은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홈(123a)이 있는 부재로 상기 회전홈(123a)에 상기 자석회전봉(122)의 외주면이 끼움결합되는 부재이다. 자석(123)은 맨홀덮개와 이웃하는 도로면과의 단차를 맞추기 위하여 자석회전봉(122)의 외주면을 따라 움직이는 부재이다. 즉, 자석(123)은 자석회전봉(122)의 외주면을 따라 움직여 상기 고정부(100)의 수평을 맞추는 부재이다. 자석(123)은 절단기(10)가 맨홀덮개에 고정되어 도로면을 절단하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자성이 있는 것으로 영구자석 또는 전류가 흐를 때 자성의 성질을 띠는 전자석일 수 있다. 자석(123)이 전자석인 경우 주변의 조작반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반의 조작으로 전자석으로 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회전봉(13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돌기(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제1조작핸들(131)가 있는 구성이다. 제1회전봉(130)의 일단으로 상기 돌기(111)가 끼움결합되어 있어 제1조작핸들(131)의 조작으로 제1회전봉(130)이 손쉽게 회전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40)는 양단이 플랜지가 있는 원형 관 부재로 상기 제1회전봉(130)의 나사산과 내부 관통공의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상기 제1회전봉(130)의 외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높이조절부재(14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봉(13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어 제1회전봉(130)의 회전 방향에 의해서 높이조절부재(140)가 상기 제1회전봉(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아래(제1회전봉(130)의 일단 또는 타단)로 움직여 회전부재(150)의 고정높이(도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즉, 절단할 곳의 도로 포장면의 높이에 맞게 상기 제1회전봉(130)이 회전되어 회전부재(150)의 높이가 조정된다.
회전부재(150)는 높이조절부재(14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부재이다. 회전부재(150)는 내부에 관통공이 있는 원형 통 형상의 부재로 내부 관통공에 높이조절부재(140)가 설치되어 높이조절부재(140)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움직이는 구성이다. 회전부재(150)는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신축지지부(200)가 맨홀덮개의 주위를 원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재(140)에 끼워져 회전되는 부재이다. 회전부재(150)의 내부 관통공의 양단에는 높이조절부재(140)의 양단 플랜지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100)는 상기 제1회전봉(130)의 타단에 설치되는 고정판(160) 및,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150)의 상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부재(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정판(160)은 판 형상의 부재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회전부재(150)의 단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부재(170)는 막대부재 형상으로 회전부재(150)가 제1회전봉(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아래(제1회전봉(130)의 일단 또는 타단)로 움직일 때 가이드 해주는 부재이다. 즉, 승강가이드부재(170)는 제1회전봉(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140)가 상기 제1회전봉(130)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때 회전부재(150)가 용이하게 움직이게 도와주는 부재이다.
고정부(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신축지지부(2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50)에 설치되어 회전부재(150)의 움직임에 따라 도로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맞게 움직이되, 보수할 곳의 크기에 따라 한쪽 부분이 움직이는 구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제1수평지지판(210), 수평지지관(220), 제2수평지지판(230), 신축부재(240), 가이드판(250) 및 제2회전봉(2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수평지지판(210)은 상기 회전부재(150)의 양측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제1수평지지판(210)은 신축지지부(200)가 회전부재(150)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움직이도록 하는 부재이다.
수평지지관(2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절개된 제1이동장공(221)이 외주면에 형성된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제1수평지지판(210)의 양단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재이다. 수평지지관(220)은 2개의 제1수평지지판(210)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뒤에서 설명하는 신축부재(240)가 움직이는 통로 역할을 하는 관이다. 제1이동장공(221)은 수평지지관(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긴 구멍으로 뒤에서 설명하는 가이드판(250)이 이동하는 구멍이다.
제2수평지지판(230)은 일면이 상기 수평지지관(220)의 타단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제2수평지지판(230)은 2개의 수평지지관(220) 타단 구멍을 막는 역할과 동시에 2개의 수평지지관(220)이 일체 거동하도록 하여 외부의 하중으로부터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도와주는 구성이다.
신축부재(240)는 원형 봉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관(220)에 각각 삽입되는 부재로 뒤에서 설명하는 가이드판(250)의 이동에 따라 같이 움직여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관(220)의 일단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되는 부재이다. 즉, 신축부재(240)는 보수할 곳의 크기(맨홀의 크기)에 맞게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관(22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되는 부재이다. 절단할 곳의 도로 포장면의 크기에 맞게 상기 제2회전봉(260)이 회전되어 상기 신축부재(240)의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된다. 따라서 하나의 절단기(10)로 보수할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판(250)은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 있는 판 형상의 부재로 양단이 상기 제1이동장공(221)을 관통하여 상기 신축부재(240)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는 부재이다. 가이드판(250)은 양단이 이웃하여 설치된 2개의 신축부재(240)에 결합되어 보수할 곳의 크기에 맞게 상기 신축부재(240)가 움직이도록 하는 부재이다. 가이드판(250)은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으로 제2회전봉(260)이 결합되어 있어 제2회전봉(26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회전봉(260)의 일단 또는 타단방향으로 움직여 신축부재(240)의 돌출길이를 조정하는 부재이다.
제2회전봉(260)은 타단에 제2조작핸들(261)가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제2수평지지판(230)과 가이드판(25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수평지지판(210)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재이다. 제2회전봉(260)은 가이드판(250)의 관통공에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있어 회전 방향에 따라 가이드판(250)이 제2회전봉(260)의 일단 또는 타단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부재이다. 제2회전봉(260)은 타단에 있는 제2조작핸들(261)로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신축지지부(2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절단부(300)는 절단할 곳의 도로 포장면을 고정부(1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절단하는 구성으로 절단몸체부(310)와 휠 커터(320)로 구성될 수 있다.
절단몸체부(310)는 신축부재(240)의 타단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절단몸체부(310)는 휠 커터(32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판 또는 절단되는 파편이 튀지 않도록 상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휠 커터(320)는 상기 절단몸체부(310)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장치로 도로면을 절단하는 일반적인 휠 커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절단부(300)는,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몸체부(310), 휠 커터(320), 절단부이동판(330) 및 제3회전봉(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절단몸체부(310)는 상기 신축부재(240)의 타단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제1절단몸체(311)와 일측면과 하면이 오픈된 상자 형상으로 타측면이 상기 제1절단몸체(311)에 결합되는 제2절단몸체(3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절단몸체(311)는 신축부재(240)의 타단이 결합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 2개의 신축부재(240)가 일체 거동하도록 하여 신축부재(240)의 움직임이 절단부(300)로 바로 전달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제2절단몸체(312)는 일측면(휠 커터가 설치된 방향)과 하면(도로면)이 오픈된 육면체의 상자 형상이다. 제2절단몸체(312)는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뚫려 있는 제2이동장공(312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3회전봉(340)은 타단에 제4조작핸들(341)가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2절단몸체(312)의 상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재이다. 제3회전봉(340)은 절단부이동판(330)의 관통공에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있어 회전 방향에 따라 절단부이동판(330)이 제3회전봉(340)의 일단 또는 타단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휠 커터(320)에 의해서 절단되는 도로면의 깊이를 조정하는 부재이다. 제3회전봉(340)은 타단에 있는 제4조작핸들(341)로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절단부이동판(330)는 단면이 'ㄱ'자 형상의 부재로 상면의 관통공에 상기 제3회전봉(340)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제3회전봉(3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3회전봉(340)의 일단 또는 타단 방향으로 움직이는 부재이다. 절단부이동판(330)의 관통공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제3회전봉(340)의 회전에 따라 절단부이동판(330)이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절단부이동판(330)이 움직임에 따라 측면에 결합된 휠 커터(320)도 같이 움직여 절단되는 도로면의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일단이 상기 제2이동장공(312a)을 관통하여 상기 절단부이동판(330)에 맞닿아 상기 절단부이동판(33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50)는 제3회전봉(340)에 의해서 휠 커터(320)의 도로 면 절단 깊이가 조정된 후 상기 휠 커터(3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재이다. 즉, 휠 커터(320)의 위치가 조정된 후 고정부재(350)의 일단이 상기 제2이동장공(312a)을 관통하여 상기 절단부이동판(330)에 맞닿아 누르면서 절단부이동판(330)이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휠 커터(3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은 2개의 상기 수평지지관(220) 위에 설치되는 물통(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통(400)은 도로 포장면을 절단시 먼지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휠 커터(320)에 물을 공급하는 부재이다. 물통(400)은 일측에 호스가 밖으로 돌출되어 휠 커터(320)로 용이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수평지지관(22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3수평지지판(270) 및, 막대부재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3수평지지판(27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510)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510)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회전축(520))과 상기 제1회전축(520) 일측에 설치되는 제1회전기어(530)와, 상기 제1회전축(5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축(520)을 회전시키는 제3조작핸들(540)과,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51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회전축(550)과, 상기 제2회전축(55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회전기어(560)와, 상기 제2회전축(55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축(55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바퀴(570)와, 상기 제1회전기어(530)와 상기 제2회전기어(560)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기어(530)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2회전기어(560)에 절단하는 벨트(580)로 구성되는 운전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수평지지판(270)은 수평지지관(220)의 일단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제3수평지지판(270)은 2개의 수평지지관(220)이 일체 거동하도록 하여 외부의 하중으로부터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도와주는 구성이다.
운전부(500)는 맨홀 주위의 도로면 절단시 절단부(300)가 손쉽게 맨홀 주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성이다. 즉, 운전부(500)는 사용자가 휠 커터(320)로 도로면을 절단하면서 고정부(10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움직이도록 하여 맨홀 주위를 맨홀 모양으로 절단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운전부(500)는 제3조작핸들(563)의 동작에 따라 상기 바퀴(570)가 회전되어 상기 절단부(500)가 상기 고정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도로면을 절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절단기 30 : 맨홀덮개
100 : 고정부 110 : 고정판
120 : 자석부 121 : 자석고정판
122 : 자석회전봉 123 : 자석
130 : 제1회전봉 140 : 높이조절부재
150 : 회전부재 160 : 고정판
170 : 승강가이드부재
200 : 신축지지부
210 : 제1수평지지판 220 : 수평지지관
230 : 제2수평지지판 240 : 신축부재
250 : 가이드판 260 : 제2회전봉
270 : 제3수평지지판
300 : 절단부 310 : 절단몸체부
320 : 휠 커터 330 : 절단부이동판
340 : 제3회전봉 350 : 고정부재
400 : 물통
500 : 운전부
510 : 지지부재 520 : 제1회전축
530 : 제1회전기어 540 : 제3조작핸들
550 : 제2회전축 560 : 제2회전기어
570 : 바퀴 580 : 벨트

Claims (7)

  1. 도로 또는 맨홀 보수공사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상면에 돌기(111)가 형성된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는 자석부(120)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돌기(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제1조작핸들(131)가 있는 제1회전봉(130)과 양단이 플랜지가 있는 원형 관 부재로 상기 제1회전봉(130)의 나사산과 내부 관통공의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상기 제1회전봉(130)의 외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140)와 상기 높이조절부재(14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부재(150)로 구성되되 상기 제1회전봉(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140)가 상기 제1회전봉(130)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여 상기 회전부재(150)의 높이를 조정하는 고정부(100);
    상기 회전부재(15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수평지지판(210)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절개된 제1이동장공(221)이 외주면에 형성된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제1수평지지판(210)의 양단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수평지지관(220)과 일면이 상기 수평지지관(22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수평지지판(230)과 원형 봉 형상으로 상기 수평지지관(220)에 각각 삽입되는 신축부재(240)와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 있는 판 형상의 부재로 양단이 상기 제1이동장공(221)을 관통하여 상기 신축부재(240)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판(250)과 타단에 제2조작핸들(261)가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제2수평지지판(230)과 가이드판(25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수평지지판(210)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회전봉(26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회전봉(26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판(250)이 상기 제2회전봉(2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방법으로 상기 신축부재(240)의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관(220)의 일단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되는 신축지지부(200); 및,
    상기 신축부재(24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절단몸체부(310)와 상기 절단몸체부(310)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포장면을 절단하는 휠 커터(320)로 이루어진 절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절단할 곳의 도로 포장면의 높이에 맞게 상기 제1회전봉(130)이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재(150)의 높이가 조정되고, 절단할 곳의 도로 포장면의 크기에 맞게 상기 제2회전봉(260)이 회전되어 상기 신축부재(240)의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되고,
    상기 자석부(120)는
    일면이 상기 고정판(110)의 하면 일측에 결합되는 자석고정판(121);
    외주면이 상기 자석고정판의 타면에 결합되는 봉 형태의 자석회전봉(122); 및,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홈(123a)이 있는 부재로 상기 회전홈(123a)에 상기 자석회전봉(122)의 외주면이 끼움결합되는 자석(123)으로 구성되되,
    맨홀덮개의 상면에 상기 고정부(100) 설치시 맨홀덮개와 도로의 표면과의 단차에 맞게 상기 자석(123)이 상기 자석회전봉(122)의 외주면을 따라 움직여 상기 고정부(100)의 수평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수평지지관(220) 위에 설치되는 물통(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물통(400)은 도로 포장면을 절단시 상기 휠 커터(320)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관(22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3수평지지판(270); 및,
    막대부재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3수평지지판(27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510)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510)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회전축(520))과 상기 제1회전축(520) 일측에 설치되는 제1회전기어(530)와, 상기 제1회전축(5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축(520)을 회전시키는 제3조작핸들(540)과,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51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회전축(550)과, 상기 제2회전축(55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회전기어(560)와, 상기 제2회전축(55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축(55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바퀴(570)와, 상기 제1회전기어(530)와 상기 제2회전기어(560)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기어(530)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2회전기어(560)에 절단하는 벨트(580)로 구성되는 운전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3조작핸들(563)의 동작에 따라 상기 바퀴(570)가 회전되어 상기 절단부(500)가 상기 고정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봉(130)의 타단에 설치되는 고정판(160); 및,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150)의 상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부재(1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봉(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140)가 상기 제1회전봉(130)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때 상기 회전부재(150)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170)를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신축부재(240)의 타단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제1절단몸체(311)와 일측면과 하면이 오픈된 상자 형상으로 타측면이 상기 제1절단몸체(311)에 결합되는 제2절단몸체(312)로 구성되는 절단몸체부(310);
    타단에 제4조작핸들(341)가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2절단몸체(312)의 상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3회전봉(340);
    단면이 'ㄱ'자 형상의 부재로 상면의 관통공에 상기 제3회전봉(340)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제3회전봉(3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3회전봉(340)의 일단 또는 타단 방향으로 움직이는 절단부이동판(330); 및,
    상기 절단부이동판(330)의 측면에 결합되어 도로면을 절단하는 휠 커터(320)로 구성되되,
    상기 휠 커터(320)는 상기 제3회전봉(340)의 회전에 따라 절단되는 도로 면의 깊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단몸체(312)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뚫려 있는 제2이동장공(312a); 및,
    일단이 상기 제2이동장공(312a)을 관통하여 상기 절단부이동판(330)에 맞닿아 상기 절단부이동판(33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50)를 더 포함하되,
    도로 면의 절단 깊이를 조절한 후 상기 고정부재(350)에 의해서 상기 휠 커터(3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KR1020160122931A 2016-09-26 2016-09-26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KR101741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931A KR101741576B1 (ko) 2016-09-26 2016-09-26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931A KR101741576B1 (ko) 2016-09-26 2016-09-26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576B1 true KR101741576B1 (ko) 2017-05-30

Family

ID=5905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931A KR101741576B1 (ko) 2016-09-26 2016-09-26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56237A (zh) * 2023-09-04 2023-10-10 河南珏峻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沥青路面铸铁井盖下沉区域修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531B1 (ko) * 2015-09-11 2015-12-10 주식회사 태강디앤씨 엔드밀을 이용한 맨홀 보수용 절삭기
KR101583337B1 (ko) * 2015-08-17 2016-01-07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337B1 (ko) * 2015-08-17 2016-01-07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KR101576531B1 (ko) * 2015-09-11 2015-12-10 주식회사 태강디앤씨 엔드밀을 이용한 맨홀 보수용 절삭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56237A (zh) * 2023-09-04 2023-10-10 河南珏峻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沥青路面铸铁井盖下沉区域修复装置
CN116856237B (zh) * 2023-09-04 2023-11-28 河南珏峻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沥青路面铸铁井盖下沉区域修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087B1 (ko) 가변 지지형 절단기와 인상기를 구비하는 맨홀 보수 장치
KR101254657B1 (ko) 맨홀하우징지지장치를 사용한 맨홀보수방법
KR101145696B1 (ko) 자성체를 이용한 맨홀 수평조절장치 및 맨홀 리프팅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시공방법
KR101630346B1 (ko) 맨홀 보수공법
KR101671684B1 (ko) 맨홀보수를 위한 노면의 원형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KR102016042B1 (ko) 맨홀틀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방법
KR100952069B1 (ko) 맨홀 보수공사용 원형절단기
KR100965935B1 (ko) 맨홀보수용 노면 절단장치
KR101741576B1 (ko)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KR101974783B1 (ko) 맨홀보수장치 및 공법
KR101067003B1 (ko) 맨홀의 보수장치
KR101583337B1 (ko)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KR101417834B1 (ko) 맨홀 보수공법
KR101586808B1 (ko) 원형커팅이 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한 엔진커팅장치
KR101077127B1 (ko) 맨홀하우징 설치를 위한 맨홀하우징지지장치
KR101576531B1 (ko) 엔드밀을 이용한 맨홀 보수용 절삭기
KR102257274B1 (ko) 맨홀보수용 맨홀틀 인상장치
JP2010007348A (ja) マンホール補修時のマンホール凹陥処仮設施工法
KR102168933B1 (ko) 맨홀 보수용 노면 절단 및 파쇄 장치
KR101557334B1 (ko) 원형 또는 사각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 및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와 튜브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102155593B1 (ko) 노면 절단 및 파쇄 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
KR20160046396A (ko) 맨홀 보수용 노면 원형 파쇄 절단기
KR20170111850A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302454B1 (ko) 리프팅 마그네트를 이용한 맨홀 인상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인상 보수공법
KR101309212B1 (ko) 맨홀 수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