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044B1 -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044B1
KR101741044B1 KR1020150002019A KR20150002019A KR101741044B1 KR 101741044 B1 KR101741044 B1 KR 101741044B1 KR 1020150002019 A KR1020150002019 A KR 1020150002019A KR 20150002019 A KR20150002019 A KR 20150002019A KR 101741044 B1 KR101741044 B1 KR 101741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lement amount
earth
settlement
amount adjusting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086A (ko
Inventor
이상화
박준범
여슬기
정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5000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0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하량 조절효과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여 정밀도 향상을 통한 도로의 평탄성 확보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유지보수시 추가로 부하 하중을 발생시키지 않아 역학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 뒷채움부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구축되는 침하량 조절 시스템으로서, 구조물과 토공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접속부에 성토되어 형성된 토공 지반에 구비되는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 내부에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상부 개방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수용 공간으로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타설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개방 상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수단의 상면에 구비되는 접속 슬래브 구조체;를 포함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SETTLEMENT ADJUSTING APPARATUS AND SETTLEMENT ADJUSTING MAINTENANCE METHOD FOR EARTHWORK CONNECTING PORTION}
본 발명은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하량 조절효과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여 정밀도 향상을 통한 도로의 평탄성 확보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유지보수시 추가로 부하 하중을 발생시키지 않아 역학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교대 뒷채움부는 비압축성인 교대 콘크리트 구조물과 압축성인 토공으로 구성된 부분으로 토공부 흙의 압축성으로 인해 공사완료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침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침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입상재료를 사용하고, 교대 구조물 기초부위부터 층따기, 층다짐, 우수 유입방지를 위한 배수시설 설치 및 적정 장비사용 등 사용하여 토공부를 시공하고, 교통하중 지지 및 침하방지를 위해서 접속슬래브를 설치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대 구조물와 토공 접속부(뒷채움재)에서 침하가 발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최적의 성토재료와 다양한 시공방법 적용 등 많은 노력과 비용을 투입함에도 불구하고, 흙의 다짐특성과 압축특성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부등침하가 발생하고, 그 침하는 교대 구조물과의 접속슬래브 사이에 단차를 발생시켜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성 악화로 인한 교통사고 유발과 단차로 인해 발생하는 시설물 유지보수를 위한 유지관리비 투입 등 인적·물적으로 손실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교량의 교대 뒷채움부 부등침하에 대한 보수가 이루어지는데, 종래 대표적인 보수기술은 아스팔트 덧씌우기, 콘크리트 덧씌우기, 다이아몬드 그라인딩과 슬래브 재킹이 있다.
아스팔트 덧씌우기는 단차가 발생할 경우 기존 포장면의 일부를 절삭하고 아스팔트로 침하부위를 덧씌우기를 하여 단차를 줄이는 방법으로, 도로 포장면 상부에서 시공함에 따라 교통통제가 필요하고, 기존 재료와 덧씌우기하는 아스팔트와의 재료특성의 차이로 인해 균열 등 결함이 발생하며, 시공 오차에 따른 단차 발생이 우려되고, 유지보수에 따른 추가 하중이 부하되며, 보수 직후 교통개방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바퀴에 의해 아스팔트 유제 등이 포장면에 얼룩을 형성하여 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콘크리트 덧씌우기는 침하부위를 콘크리트로 덧씌우는 방법으로 도로 포장면 상부에서 시공함에 따라 교통통제가 필요하고, 신·구 콘크리트간 부착성능의 확보가 불확실한 문제점이 있다.
다이아몬드 그라인딩은 평탄성이 불량한 부위를 다이아몬드가 장착된 기구를 사용해서 얇게 절삭하고 일정한 형태의 표면조직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적절한 로직이 없고, 그라인딩을 시행한 부위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보수비용이 고가인 동시에 침하에 대한 보수공법이 별도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래브 재킹은 침하가 발생한 포장체 하부에 주입재를 주입하여 지반의 강도를 높이고 주입재와 주입압을 이용하여 슬래브를 인상하는 공법으로 교통통제가 필요하고, 균열이나 표면결함에 별도의 보수가 필요하며, 높은 시공 정밀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정리하자면, 첫째, 모두 유지보수 단계에서 적용하는 공법으로 예방 또는 방지 차원이 아닌 처리에 중점을 둔 공법으로 보수를 위해서 교통통제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보수공사를 하는 작업자가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둘째, 대부분 소규모 공사로 보수비용이 고가이고, 이질재료 또는 선·후시공한 재료간 부착강도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유지보수 효과가 짧다. 셋째, 유지보수를 위해서 추가로 보수재료가 투입됨으로 추가 하중이 부하되어 교대 구조물에 토압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기존의 교대 구조물와 토공 접속부(뒷채움재) 구조에서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는 한계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1625호(2014.10.10)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9881호(2014.12.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고, 침하량 조절효과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여 정밀도 향상을 통한 도로의 평탄성 확보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유지보수시 추가로 부하 하중을 발생시키지 않아 역학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교량 뒷채움부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구축되는 침하량 조절 시스템으로서, 구조물과 토공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접속부에 성토되어 형성된 토공 지반에 구비되는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 내부에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상부 개방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수용 공간으로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타설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개방 상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수단의 상면에 구비되는 접속 슬래브 구조체;를 포함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는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접속 슬래브 구조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침하량 조절 수단, 및 상기 침하량 조절 수단의 하면에 구비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침하량 조절 수단은 스크류 잭(screw jack) 또는 유압 잭(hydraulic jack)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수단은 상하면에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강관 파일로 이루어져 상기 침하량 조절 수단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가 사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바닥면과 사면에 소정 두께 형성되는 버림콘크리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은 우수 배수를 위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경사진 말단부에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우수 배출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가장자리에는 우수의 유입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수유입 방지턱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교량 뒷채움부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구축되는 침하량 조절 시스템의 시공 방법으로서,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소정 깊이를 갖는 토공 지반을 형성하도도록 성토하는 토공지반 성토 단계; 상기 성토된 지반 위에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를 소정 간격을 갖고 횡렬로 설치하는 침하량 조절 장치 설치 단계;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수단의 상면에 접속 슬래브 구조체를 설치하는 접속 슬래브 구조체 설치 단계; 내부에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수용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수용 공간으로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접속 슬래브가 노출되게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타설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 단계; 및 상기 접속 슬래브와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를 결속시키는 결속 단계;를 포함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의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침하량 조절장치 설치 단계는 성토지반 상면에 강관 파일을 설치한 다음,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접속 슬래브 구조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 잭 또는 유압 잭을 상기 지지 수단 상면에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슬래브 구조체 설치 단계는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의 스크류 잭 또는 유압 잭에 상부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개방 상부를 통해 접속 슬래브를 위치시켜 형성하며, 상기 결속 단계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침하량 조절 장치를 고정 부재를 통해 결속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 단계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접속슬래브가 구비될 수 있는 형태의 거푸집을 형성하고,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가 사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가 설치되기 이전, 콘크리트 구조체의 바닥면과 사면에 소정 두께 형성되는 버림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바닥면의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은 우수 침투시 배수를 위하여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경사진 말단부에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우수 배출관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바닥면의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가장자리에는 우수의 유입 방지를 위하여 우수유입 방지턱을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은, 침하량 조절효과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여 정밀도 향상을 통한 도로의 평탄성 확보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복잡한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유지보수 시 추가로 부하 하중을 발생시키지 않아 역학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대 구조물와 토공 접속부(뒷채움재)에서 침하가 발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들이 연계 구조물에 설비되는 예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들이 연계 구조물에 설비되는 예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뒷채움부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구축되는 침하량 조절 시스템으로서, 구조물과 토공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접속부에 성토되어 형성된 토공 지반에 구비되는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100); 내부에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100)가 구비되는 수용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수용 공간으로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210)가 형성되도록 타설 양생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100)의 상부는 개방되게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체(200);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00)의 개방 상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수단(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접속 슬래브 구조체(300)를 포함한다.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100)는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접속 슬래브 구조체(30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침하량 조절 수단(110), 및 상기 침하량 조절 수단(110)의 하면에 구비되는 지지 수단(120)을 포함한다.
상기 침하량 조절 수단(110)은 스크류 잭(screw jack) 또는 유압 잭(hydraulic ja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 잭이나 유압 잭에 대해서는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 수단(120)은 상하면에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강관 파일로 구성되며, 이 강관 파일은 별개로 구성되어 상기 침하량 조절 수단인 스크류 잭이나 유압 잭에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되거나, 상기 침하량 조절 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100)는 접속 슬래브(300)의 규모에 따라 그 개수를 증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구현 환경에 따른 설계적 사항에 따라 적절하게 반영되어 구비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00)는 내부에 침하량 조절 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접속슬래브가 구비될 수 있는 형태의 거푸집을 형성하고,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벽(날개벽)에 출입구(21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침하가 발생하였을 때 작업자가 이 출입구(210)를 통해 출입하여 침하량 조절 수단(11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침하에 따른 접속슬래브(300)의 침하 높이를 보상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00)가 사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체(200)의 바닥면과 사면에 소정 두께(대략 10cm) 형성되는 버림콘크리트층(410)을 더 포함한다. 이 버림콘크리트층(410)은 침하량 조절 장치(100)가 설치되기 이전에 성토 지반 상면에 소정 두께로 타설 양생되어 구성된다.
여기에서, 바닥면의 상기 버림콘크리트층(410)은 우수 침투시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경사진 말단부에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우수 배출관(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의 상기 버림콘크리트층(410)의 가장자리에는 우수의 유입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수유입 방지턱(420)이 더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시공 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뒷채움부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구축되는 침하량 조절 시스템의 시공 방법으로서,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소정 깊이를 갖는 토공 지반을 형성하도도록 성토하는 토공지반 성토 단계(S100); 상기 성토된 지반 위에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를 소정 간격을 갖고 횡렬로 설치하는 침하량 조절 장치 설치 단계(S200);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수단의 상면에 접속 슬래브 구조체를 설치하는 접속 슬래브 구조체 설치 단계(S300); 내부에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수용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수용 공간으로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접속 슬래브가 노출되게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타설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 단계(S400); 및 상기 접속 슬래브와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를 결속시키는 결속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토공지반 성토 단계(S100)는 유지 관리 및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접속 슬래브 하부로부터 대략 1.4m 정도까지 성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하량 조절장치 설치 단계(S200)는 성토지반 상면에 강관 파일과 같은 지지 수단을 설치한 다음,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접속 슬래브 구조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 잭 또는 유압 잭과 같은 침하량 조절 수단을 상기 지지 수단 상면에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는 접속 슬래브의 규모에 따라 그 개수를 증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구현 환경에 따른 설계적 사항에 따라 적절하게 반영되어 설치된다.
상기 접속슬래브 구조체 설치 단계(S300)는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의 스크류 잭 또는 유압 잭에 상부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개방 상부를 통해 접속 슬래브를 위치시켜 형성하고, 상기 결속 단계(S5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침하량 조절 장치를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결속시킨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 단계(S400)는 내부에 침하량 조절장치가 구비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접속슬래브가 구비될 수 있는 형태의 거푸집을 형성하고,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에는 일측벽(날개벽)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침하가 발생하였을 때 작업자가 이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여 침하량 조절 장치의 스크류 잭이나 유압 잭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침하에 따른 접속슬래브의 침하 높이를 보상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가 사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침하량 조절 장치가 설치되기 이전, 콘크리트 구조체의 바닥면과 사면에 소정 두께(대략 10cm) 형성되는 버림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의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은 우수 침투시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경사진 말단부에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우수 배출관이 구비되도록 하여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면의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가장자리에는 우수의 유입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수유입 방지턱을 더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은, 침하량 조절효과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여 정밀도 향상을 통한 도로의 평탄성 확보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복잡한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유지보수 시 추가로 부하 하중을 발생시키지 않아 역학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종래의 보수방법과 비교시 공용중인 도로 위에서 작업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침하량 조절을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고 다점·동시에 잭업(Jack Up)이 가능하여 정밀도 향상을 통한 도로의 평탄성 확보가 용이하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본선 포장수명과 동일한 수준으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고, 유지보수시 추가로 하중이 부하되지 않아서 역학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침하량 조절 장치
110: 침하량 조절 수단(스크류잭 또는 유압잭)
120: 지지 수단
200: 콘크리트 구조체
210: 출입구
300: 접속 슬래브 구조체
410: 버림콘크리트층
420: 우수유입 방지턱
S100: 토공지반 성토 단계
S200: 침하량 조절 장치 설치 단계
S300: 접속 슬래브 구조체 설치 단계
S400: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 단계
S500: 결속 단계

Claims (9)

  1. 교량 뒷채움부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구축되는 침하량 조절 시스템으로서,
    구조물과 토공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접속부에 성토되어 형성된 토공 지반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도록 소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
    내부에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상부 개방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상기 수용 공간으로 작업자가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타설 양생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개방 상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수단의 상면에 구비되는 접속 슬래브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물과 상기 토공접속부 또는 상기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소정 깊이를 갖는 상기 토공 지반을 형성하도록 성토하는 토공지반 성토 단계;
    상기 성토된 지반 위에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를 소정 간격을 갖고 횡렬로 설치하는 침하량 조절 장치 설치 단계;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수단의 상면에 상기 접속 슬래브 구조체를 설치하는 접속 슬래브 구조체 설치 단계;
    내부에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수용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상기 수용 공간으로 상기 작업자가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접속 슬래브가 노출되게 구성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를 타설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 단계; 및
    상기 접속 슬래브와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를 결속시키는 결속 단계;를 포함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 각각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접속 슬래브 구조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침하량 조절 수단, 및
    상기 침하량 조절 수단의 하면에 구비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량 조절 수단은 스크류 잭(screw jack) 또는 유압 잭(hydraulic jack)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수단은 상하면에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강관 파일로 이루어져 상기 침하량 조절 수단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가 사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바닥면과 사면에 소정 두께 형성되는 버림콘크리트층을 더 포함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은 우수 배수를 위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경사진 말단부에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우수 배출관이 구비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가장자리에는 우수의 유입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수유입 방지턱이 더 형성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7. 교량 뒷채움부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구축되는 침하량 조절 시스템의 시공 방법으로서,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소정 깊이를 갖는 토공 지반을 형성하도록 성토하는 토공지반 성토 단계;
    상기 성토된 지반 위에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를 소정 간격을 갖고 횡렬로 설치하는 침하량 조절 장치 설치 단계;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수단의 상면에 접속 슬래브 구조체를 설치하는 접속 슬래브 구조체 설치 단계;
    내부에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수용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상기 수용 공간으로 작업자가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접속 슬래브가 노출되게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타설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 단계; 및
    상기 접속 슬래브와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를 결속시키는 결속 단계;를 포함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의 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량 조절장치 설치 단계는 성토지반 상면에 강관 파일을 설치한 다음,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접속 슬래브 구조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 잭 또는 유압 잭을 지지 수단 상면에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슬래브 구조체 설치 단계는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의 스크류 잭 또는 유압 잭에 상부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개방 상부를 통해 접속 슬래브를 위치시켜 형성하며,
    상기 결속 단계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를 고정 부재를 통해 결속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의 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 형성 단계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접속슬래브가 구비될 수 있는 형태의 거푸집을 형성하고,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가 사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침하량 조절 장치가 설치되기 이전, 콘크리트 구조체의 바닥면과 사면에 소정 두께 형성되는 버림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바닥면의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은 우수 침투시 배수를 위하여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경사진 말단부에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우수 배출관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바닥면의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가장자리에는 우수의 유입 방지를 위하여 우수유입 방지턱을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의 시공 방법.
KR1020150002019A 2015-01-07 2015-01-07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 KR101741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019A KR101741044B1 (ko) 2015-01-07 2015-01-07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019A KR101741044B1 (ko) 2015-01-07 2015-01-07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086A KR20160085086A (ko) 2016-07-15
KR101741044B1 true KR101741044B1 (ko) 2017-05-29

Family

ID=5650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019A KR101741044B1 (ko) 2015-01-07 2015-01-07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1115B (zh) * 2016-11-25 2018-02-09 福州大学 用以吸纳无缝桥搭板端部位移的u型封套结构及施工方法
CN106869038B (zh) * 2017-03-21 2019-06-14 广州大学 防止高架桥沉降的辅助装置及其施工方法
CN107142839B (zh) * 2017-07-05 2019-08-23 安徽省交通规划设计研究总院股份有限公司 一种桩板结构桥面板与路基的连接装置
CN107460820B (zh) * 2017-09-12 2019-01-15 山西大学 一种控制桥台搭板缓降的支撑装置
CN108221646B (zh) * 2018-01-03 2019-04-23 魏志峰 公路桥梁施工中能纠偏和加固的桥墩
CN109024269B (zh) * 2018-09-21 2023-06-20 河南理工大学 适用于采空区场地的沉降补偿箱型桥梁及其沉降补偿方法
CN111236043A (zh) * 2020-01-10 2020-06-05 山西大学 一种自适应调高新型路桥搭板连接结构
CN112709153B (zh) * 2020-12-30 2022-04-26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高铁大跨上承式拱桥运营期桥面线形的调整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615Y1 (ko) * 2001-02-22 2001-09-28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교정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881B1 (ko) 2012-08-10 2014-12-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토공 접속부의 보강 및 수직-수평 변위의 억제를 위한 일체화 시공 구조물 및 그 방법
KR101451625B1 (ko) 2014-03-31 2014-10-22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충격완화층을 이용한 콘크리트궤도 노반침하 복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615Y1 (ko) * 2001-02-22 2001-09-28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교정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086A (ko) 201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044B1 (ko)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
CN107059667B (zh) 门形装配式钢筋混凝土箱型涵洞及其施工方法
CN111501497B (zh) 旧水泥混凝土路面绿色升级改造施工方法
CN113005908B (zh) 一种跨线天桥的安装方法
JP5958907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床版の部分的修復工法
US20100272509A1 (en) Traffic barrier section
KR20110022253A (ko) 도로용 블록의 시공구조 및 도로용 블록의 시공방법
KR101593998B1 (ko) 신축이음장치 보수시설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CN110700116A (zh) 一种适用于黄土地区的天桥逆作施工方法
CN114808553B (zh) 一种轨道交通排水沟病害整治方法
JP6901654B2 (ja) 片持ちばり式擁壁の敷設方法
JP6263334B2 (ja) 床版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舗装構造と舗装方法
KR101756965B1 (ko)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CN112921799B (zh) 城市桥梁交叉纵横伸缩缝施工方法
KR102549772B1 (ko) 임시보호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공법
KR102319784B1 (ko) 지반 침하로 인한 노면의 교통 통제 저감형 급속 포장 방법
JP2003147712A (ja) 路面覆工施工法
CN215164313U (zh) 一种道路快速排水系统
KR101252656B1 (ko) 높이조절용 맨홀뚜껑 조립체 및 그의 시공방법
JP2019049138A (ja) 自由勾配側溝の敷設方法
JP4726260B2 (ja) 張出歩道構造
CA2944824C (en) Floating precast manhole and catch basin cover systems
KR100593195B1 (ko) 사면 조경 구간 슬라이딩 방지를 위한 구조물 및 그시공방법
Biana A semi-integral composite bridge of high skew
CN117895379A (zh) 应急工程的室外电缆敷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