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795B1 -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 - Google Patents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795B1
KR101740795B1 KR1020150085583A KR20150085583A KR101740795B1 KR 101740795 B1 KR101740795 B1 KR 101740795B1 KR 1020150085583 A KR1020150085583 A KR 1020150085583A KR 20150085583 A KR20150085583 A KR 20150085583A KR 101740795 B1 KR101740795 B1 KR 10174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reinforced
grinding
lithium silicate
glos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855A (ko
Inventor
강영갑
Original Assignee
강영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갑 filed Critical 강영갑
Priority to KR102015008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79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5/00Means for displaying samp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4Silic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ftertreatme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t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에 (Sample of concret surface reifrced with Lithium Siilcate) 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폭과 두께의 직사각형 판상(板狀)으로 성형된 콘크리트 표면의 세로의 중앙선 한쪽 면은 콘크리트의 조성물의 모양이 나타나게 연삭된 연삭면(硏削面)으로, 다른 쪽 면은 연삭하지 않은 비연삭면으로 하고 콘크리트 표면에 리듐 규산염 강화제를 침투되게 도포 및 양생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한 다음 강화(强化) 콘크리트 표면의 상기 연삭면과 비연석면의 각 1/2면을 광택면으로, 나머지 1/2면은 비광택면으로 형성하고 4개의 창이 형성된 프레임 쉬이트(frame sheet)를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하여 프레임 시이트의 창으로 상기 4가지 다른 형태의 콘크리트 표면이 나타나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리듐 규산염 강화제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견본은 전시장, 또는 건자재 상점 등에 전시(展示)가 가능하여,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는 현장에 가지 않아도 상기 견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에 나타난 서로 다른 색상, 문양, 질감 조밀도 등을 시각적, 촉감적으로 인지(認知)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sample of Concrete surface reinforced with Lithium Silicate}
본 발명은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폭과 두께의 직사각형 판상(板狀)으로 성형된 콘크리트 표면의 세로 주앙선의 한쪽 면은 콘크리트의 조성물의 모양이 나타나게 연삭된 연삭면(硏削面)으로, 다른 쪽 면은 연삭하지 않은 비연삭면으로 하고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리듐 규산염 강화제를 침투되게 도포 및 양생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한 다음 강화(强化)된 콘크리트 표면의 상기 연삭면과 비연석면의 각 1/2면은 광택면으로, 나머지 1/2면은 비광택면으로 형성한 다음 4개의 창이 형성된 프레임 쉬이트(frame sheet)를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하여 프레임 시이트의 창으로 상기 4 가지 형태의 콘크리트 표면이 나타나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리듐 규산염 강화제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견본은 전시장, 또는 건자재 상점 등에 전시(展示)가 가능하여,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는 현장에 가지 않아도 상기 견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에 나타난 서로 다른 색상, 문양, 질감 조밀도 등을 시각적, 촉감적으로 인지(認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 예컨대, 벽돌, 블록, 타일, 판재, 파이프, 호스 각종 물품 등은 운반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자재 상점에 진열(陳列)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요자가 각 물품을 보고 선택하여 구입하게 된다.
또한 대리석 문양의 콘크리트 벽판의 견본을 전시하는 것도 있으나 콘크리트 시공된 벽면이나 바닥면이 아니고 타일처럼 벽에 부착할 수 있는 하나의 장식판재의 물품으로 거래되는 것이다.
또 각종 콘크리트 보강제에 의해 콘크리트 표면이 강화된 것이 있으나 보강된 콘크리트 표면의 사진만으로는 콘크리트 표면의 질감 등을 인지하기 어렵다.
① 등록특허공보 10-0526418 (2005.11.08공고) ② 등록특허공보 10-0644768 (2006.11.14공고) ③ 등록특허공보 10-0855625 (2008.09.01.공고) ④ 등록특허공보 10-1007193 (2011.01.12공고) ⑤등록특허공보 10-1333531 (2013.11.28 공고)
종래의 콘크리트 강화제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과 달리, 리듐 규산염의 강화제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은 규사, 자갈, 시멘트, 등의 본래의 조성물의 모양이 나타난 표면과, 강화제가 유리화되면서 형성된 유리층이 복합(複合)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의 연마가공에 따라 모양이 나타난 연삭면과, 강화제의 경과로 형성된 유리면의 비연삭면, 및 각각의 광택면과 비광택면의 4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의 표면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4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의 콘크리트 표면은 사진만으로는 실제의 질감을 알기 어려울 뿐 아니라 종류별로 견본을 각각 형성하여 전시해도 일반 수요자는 각각 다른 종류의 콘크리트 표면으로 인식할 뿐, 하나의 콘크리트 표면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사실을 현장에 가서 보지 않고는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듐 규산염 강화제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는 현장에 가지 않아도 상기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적어도 상기 4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와 색상과 조밀도와 질감 등을 시각적, 촉감(觸感)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견본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듐 규산염의 도포 및 양생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에 있어, 규사, 자갈, 시멘트, 등의 모양이 나타난 연삭면과, 강화제가 유리화되면서 형성된 유리층의 비연삭면, 그리고 이들의 광택면과 비광택면의 4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의 표면이 형성된 리듐 규산염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듐 규산염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을 현장에 가지 않고도 견본에 의해 콘크리트 표면의 색상 모양, 조밀도, 질감 등을 실제적으로 시각적, 촉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리듐 규산염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규사, 자갈, 시멘트 등의 콘크리트 조성물에 의해 견본으로 성형된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 판상(板狀)의 콘크리트 표면을 세로의 중심선 한쪽 면은 콘크리트 조성물의 규사, 자갈, 경화된 시멘트의 모양이 나타나게 연삭된 연삭면으로 하고 상기 중심선의 다른 쪽 면은 연삭되지 않은 비연삭면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리듐 규산염에 의해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하기 전에 먼저 콘크리트 표면을 절삭면과 비절삭면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는 이유는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된 리듐 규산염 강화제의 침투 범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표면을 먼저 리듐 규산염 강화제에 의해 강화시킨 다음 콘크리트 조성물의 모양이 나타나게 절삭하게 되면 강화제가 경화된 유리층의 대부분이 절삭으로 제거되어 절삭면의 강화효과가 저하(低下)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강화하기 전에 콘크리트 표면을 절삭면과 비절삭면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콘크리트의 연삭면과 비연삭면을 포함한 표면 전체에 20~25 함량의 리듐 규산염 액의 강화제를 수차례에 걸쳐 침투되도록 도포하고 2~3일 경과하여 건조되면 물을 가하여 약 2주 동안 양생시키어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시킨다.
콘크리트 공극을 통하여 침투된 리듐 규산염은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는 수화칼슘과의 수화작용에 의해 유리화 되면서 경화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된 강화제의 침투층은 유리층으로 경화되어 콘크리트 표면이 강화된다.
강화된 상기 콘크리트 표면의 연삭면과 비연석면은 모두 강화제가 충분히 침투되어 있기 때문에 연삭면과 비연삭면이 동일하게 강화되어 있다.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연삭면과 비연삭면을 80메시 정도의 연마기구에 의해 평활하게 연마한다. 이때 연삭면과 비연삭면은 거친 연마기구에 의해 연마되어 있기 때문이 비광택면을 이루며, 연삭면에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모양이 나타고 비절삭면은 회백색의 유리면으로 나타나게 된다.
비광택면으로 연마된 상기 절삭면과 비절삭면의 각각 1/2면을 다시 200~300메시의 고운 연마기구에 의해 연마하여 광택면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의 연삭면에는 규사, 자갈, 경화된 시멘트의 모양이 나타난 광택면과 비광택면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콘크리트의 비연삭면은 회백색 유리면의 광택면과 비광택면으로 형성되어 4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의 표면을 이루게 된다.
연마공정이 완료된 상기 견본 콘크리트의 표면의 크기와 대응되는 넓이와 4개의 창이 형성된 합성수지가 코팅된 후지(厚紙), 또는 합성수지제의 프레임 쉬이트(frame sheet)를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하여 프레임 쉬이트의 4개의 창에 상기 4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의 콘크리트 표면이 각각 노출되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듐 규산염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은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또는 벽면에 시공한 것과 동일하게 시공된 것으로 규사, 자갈, 경화된 시멘트의 아름다운 모양이 나타나는 연삭면의 광택면과 비광택면이 프레임 쉬이트에 형성된 2개의 창으로 각각 나타난다.
또한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비연삭면은 리듐 규산염의 강화제에 의해 형성된 유리층의 평활한 유리면의 광택면과 비광택면이 프레임 쉬이트에 형성된 나머지 2개의 창에 각각 나타난다.
따라서 리듐 규산염으로 강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는 현장에 가지 않아도 본 발명의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에 의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적어도 4가지의 서로 다른 색상과 모양과 조밀도와 질감 등을 시각적으로 한 눈에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직접 촉감을 통하여 인지(認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정한 두께와 크기의 판상의 견본으로 성형된 콘크리트 표면의 일부 면을 연삭한 연삭면과, 연삭하지 않은 비연삭면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리듐 규산염의 강화제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은 규사, 자갈, 시멘트, 등의 조성물의 모양이 나타난 절삭면과 회백색의 유리면으로 형성되고 이들 각 면의 1/2면은 연마에 의해 광택면과 비광택면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적어도 4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의 표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강화된 콘크리트의 연마된 표면에 4개의 창이 형성된 프레임 쉬이트를 부착하여 프레임 쉬이트의 4개의 창에 적어도 각각 다른 형태의 콘크리트 표면이 나타나게 되어, 외관이 단정하고 미려(美麗)하며, 리듐 규산염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는 현장에 가지 않고도 본 발명의 견본에 의하여 적어도 4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의 콘크리트 표면을 한 눈에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촉감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표면의 색상 모양, 조밀도, 질감, 등을 실제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표면의 구획도
도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표면의 연삭면을 연삭하는 단면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표면을 보강제에 의해 강화하는 예시도
도4는 동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비광택 연마하는 단면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완성된 콘크리트 표면의 평면 예시도
도6는 동 사시도
도7은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에 프레임 쉬이트를 접착한 예시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보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견본 콘크리트 표면의 구획도로서 작사각형의 콘크리트(1)의 표면(1s)을 4등분으로 구획(區劃)하되, 규사, 자갈, 시멘트 등의 콘크리트 조성물에 의해 견본으로 성형된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 판상(板狀)의 콘크리트 표면(1s)의 세로 중심선(y-y)의 한쪽 면은 콘크리트 조성물의 규사, 자갈, 경화된 시멘트의 모양이 나타나도록 연삭된 연삭면(1A)으로 하고 상기 세로 중심선(y-y)의 다른 쪽 면은 연삭되지 않은 본래의 콘크리트 표면인 비연삭면(1B)으로 한다.
또 콘크리트 표면(1s)의 가로 중심선(x-x)의 앞쪽 면은 광택면(1Aa)(1Ba)으로 하고 상기 가로 중신선(x-x)의 뒤쪽면은 비광택면(1Ab)(1Bb)으로 구획한다.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의 표면(1s)의 연삭면(1A)은 연삭기구(T)에 의해 콘크리트 조성물인 규사, 자갈, 경화된 시멘트 등의 모양이 나타날 절도로 연삭된 표면이다. 따라서 연삭면(1A)과 비연삭면(1B)은 연삭된 만큼의 상하 높이의 차이가 있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1)의 표면(1s)에 구획된 연삭면(1A)과 비연삭면(1B)을 포함한 전면에 20~25 함량의 리듐 규산염 액의 강화제(2)를 수차례에 걸쳐 콘크리트 공극으로 침투되도록 도포하고 2~3일 경과하여 건조되면 수화작용을 위하여 충분히 물을 가하여 약 2주 동안 양생시키어 콘크리트(1)의 표면(1S)을 강화시킨다.
콘크리트(1)의 공극을 통하여 침투된 상기 리듐 규산염의 강화제(2)는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는 수화칼슘과의 수화작용에 의해 유리화 되면서 경화(硬化)된다.
따라서 콘크리트(1) 내부로 침투된 강화제(2)의 침투층이 곧 유리화에 의한 유리층(2G)으로 경화되어 콘크리트 표면이 보다 강화된다.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강화된 콘크리트(1)의 표면(1s)에 구획된 연삭면(1A)과 비연삭면(1B)의 유리층(2G)을 약 80메시 정도의 연마기구(T)에 의해 연마하여 평활한 유리면(2g)으로 연마된 연삭면(1A)에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모양이 나타나고 비연삭면(1B)은 회백색의 유리면(2g)으로 된다. 상기 연마는 거친 연마이기 때문에 절삭면(1A)은 비광태면(1Ab)이 되고 비절삭면(1B)도 비광택면(1Bb)으로 된다.
상기 절삭면(1A)과 비절삭면(1B)의 가로의 중심선(x-x) 앞쪽 면, 즉, 1/2면을 도시되지 않은 약 200~300메시의 고운 연마기구에 의해 연마하여 광택면(1Aa)(1Ba)으로 형성한다. 나머지 1/2면은 비광택면 그대로이다.
도5에는 상기 리듐 규산염 강화제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1)의 표면(1s)에 규사, 자갈, 경화된 시멘트의 모양이 나타나는 연삭면(1A)과 비연삭면(1b)으로 구확되어 있고 구확된 상기 연삭면(1A)과 비연삭면(1B)은 각각 광택면(1Aa)(1Ba)과 비광택면(1Ab)(1Bb)의 4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의 표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1)의 표면(1s)은 연삭면(1A)과 비연삭(1B)이 모두 강화제의 유리층(2G)의 연마에 의해 평활한 유리면(2g)으로 되어 있고 다만 연삭면(1A)에는 콘크리트 조성재의 모양이 나타나 있으나 비연삭면(1B)에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모양이 나타나 있지 않고 회백색의 유리면 그대로 이다.
도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연마 가공이 종료된 상기 콘크리트(1) 표면(1s)에 도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1)의 표면(1s)의 크기와 대응되는 넓이와, 4개의 창(3a)(3b)(3c)(3d)이 형성된 합성수지가 코팅된 후지(厚紙), 또는 합성수지제의 프레임 쉬이트(3)를 접착제에 의해 부착하여 프레임 쉬이트(3)의 4개의 창(3a)(3b)(3c)(3d)에 상기 절삭면(1A)의 광택면(1Aa)과 비광택면(1Ab), 비절삭면(1B)의 광택면(1ba)과 비광택년(1Bb)의 적어도 4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의 콘크리트 표면이 각각 노출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듐 규산염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은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또는 벽면에 시공한 것과 동일하게 시공된 것으로 도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의 표면(1s)에는 규사, 자갈, 경화된 시멘트의 아름다운 모양이 나타나는 연삭면(1A)의 광택면(1Aa)과 비광택면(1Ab)이 프레임 쉬이트(2)에 형성된 2개의 창(3a)(3b)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콘크리트(1)의 표면(1s)에 침투된 리듐 규산염의 강화제(2)에 의해 형성된 유리층(2G)이 연마에 의해 평활한 회백색의 유리면(2g)으로 된 비절삭면(1B)의 광택면(1Ba)과 비광택면(1Bb)이 프레임 쉬이트(3)에 형성된 나머지 2개의 창(3c)(3d)에 각각 나타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견본은 운반이 가능하여 전시장이나 건자재 상점에 진열 및 전시할 수 있고 또한 리듐 규산염의 강화제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현장에 가지 않아도 본 발명의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에 의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적어도 적어도 4가지의 서로 다른 색상과 모양과 조밀도와 질감 등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직접 촉감을 통하여 인지(認知)할 수 있다.
1 : 콘크리트 1s : 표면 1A : 절삭면 1B : 비절삭면
1Aa : 절삭면의 광택면 1Ab : 절삭면의 비광택면
1 Ba :비절삭면의 광택면, 1Bb : 비절삭면의 비광택면
2 : 보강제 2G : 유리층 2g : 유리면 T : 연마기구
3 : 프레임 쉬이트 3a,3b,3c,3d : 프레임 쉬이트의 창

Claims (3)

  1. 일정한 두께와 넓이를 가진 직사각형의 견본으로 성형된 판상의 콘크리트의 표면을 세로의 중심선에 의해 콘크리트 조성물의 모양이 표면으로 나타나도록 연삭된 연삭면과 연삭하지 않은 비연삭면으로 구획하고
    상기 연삭면과 비연삭면을 포함한 콘크리트 표면에 리듐 실리케이트의 강화제를 침투되게 도포 양생하여 강화된 상기 콘크리트 표면의 연삭면과 비연삭면의 가로의 중심선에 의해 구획된 앞쪽면은 고운 연마에 의한 광택면으로 형성하고 뒷쪽면은 거친 연마에 의해 비광택면으로 형성하며,
    4개의 창이 형성된 통상의 프레임 쉬이트를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하여 프레임 쉬이트의 각 창으로 상기 콘크리트의 연삭면과 비연삭면과 광택면 및 비광택면이 나타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
  2.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표면의 연삭면은 광택면과 비광택면으로 구획된 유리면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표면의 비연삭면은 광택면과 비광택면으로 구획된 회백색의 평활한 유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
  3. 삭제
KR1020150085583A 2015-06-17 2015-06-17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 KR10174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583A KR101740795B1 (ko) 2015-06-17 2015-06-17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583A KR101740795B1 (ko) 2015-06-17 2015-06-17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855A KR20160148855A (ko) 2016-12-27
KR101740795B1 true KR101740795B1 (ko) 2017-06-08

Family

ID=5773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583A KR101740795B1 (ko) 2015-06-17 2015-06-17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7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678B2 (ja) * 1994-08-08 2000-10-16 酒井医療株式会社 昇降式浴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418B1 (ko) 2002-03-14 2005-11-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무기보수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처리 방법
KR100855625B1 (ko) 2003-02-25 2008-09-01 (주)콘테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침투 강화형 방수제 조성물, 그의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0644768B1 (ko) 2004-12-24 2006-11-14 (주)디피아이 홀딩스 콘크리트 표면 강화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표면처리방법
KR101007193B1 (ko) 2008-11-11 2011-01-12 김용석 콘크리트 표면강화 시공방법
KR101333531B1 (ko) 2012-02-06 2013-11-28 (주) 모든콘크리트 콘크리트 표층 강화 및 보호용 폴리머 혼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의 제조 방법 및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678B2 (ja) * 1994-08-08 2000-10-16 酒井医療株式会社 昇降式浴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855A (ko)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8118B2 (en) Simulated rock panels
US20100005743A1 (en) Flexible Cement Veneer
US8936411B1 (en) Architectural concrete
US20070248411A1 (en) Concrete template and method of use
US10519291B2 (en) Material and method for an artificial rock
US20170037636A1 (en) Flexible cladding wrap, system and methods
CN108558321B (zh) 一种高光泽度透光混凝土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100005733A1 (en) Fractionable Cement Veneer
KR101181433B1 (ko) Frp 인조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frp 인조석
KR101740795B1 (ko) 리듐 실리케이트에 의해 강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견본
CN208776593U (zh) 一种抛光混凝土装饰地坪
US8920067B2 (en) Concrete decorative inlay process
US20110008594A1 (en) Concrete template and method of use
KR100581701B1 (ko) 건축물의 마감재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건축물 마감재
EP1785537A2 (en) Decorative load bearing blocks
KR100914630B1 (ko) 나무 무늬 노출콘크리트 표면 연출공법
CN110978288A (zh) 大理石板加工工艺
RU2145928C1 (ru) Способ мозаичной или декоративной облицовки поверхности плиточным материалом из природного камня
TWM283017U (en) Pre-cast stone board
RU278618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митирующей натуральный камень декоратив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и декоративная поверхность, изготовленная таким способом
US20240166568A1 (en) Concrete formulations, structures, and inlays and methods therefore
KR101052085B1 (ko) 폐자재를 이용한 보도판석 및 그 제작방법
KR20160105690A (ko) 콘크리트 바닥의 무늬형성방법
BR102017003184A2 (pt) ?granito/mármore sintético ou artificial para placas/chapas cimentícias ou concreto arquitetônico?
RU237306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рхитектурно-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гипсопенопластового издел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