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724B1 - 책장의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 - Google Patents

책장의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724B1
KR101740724B1 KR1020160004855A KR20160004855A KR101740724B1 KR 101740724 B1 KR101740724 B1 KR 101740724B1 KR 1020160004855 A KR1020160004855 A KR 1020160004855A KR 20160004855 A KR20160004855 A KR 20160004855A KR 101740724 B1 KR101740724 B1 KR 10174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mark
face
main body
bookcase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이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엽 filed Critical 이상엽
Priority to KR102016000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8Devices for indicating a spot on a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2Automatic bookmarker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장 사이에 삽입하여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 후 책을 본 책장을 정확히 구별해 주고, 줄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며, 책장의 방향과 줄의 위치에 따라 앞면과 뒷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책의 위치 표식이 가능하며, 책장과 책장 사이에 맞닿은 끝면에 일치되어 흔들림을 방지함과 더불어 볼펜과 같은 필기구를 구비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책장 사이에 삽입하여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책갈피에 있어서, 읽은 라인이 위치한 책장의 사이에 배치되어 북마크 기능을 갖는 책갈피 본체, 상기 책갈피 본체 앞면인 제1면과 뒷면인 제2면에 위치한 위치지시부, 상기 책갈피 본체 일측측부에 돌출되어 상기 책갈피 본체의 위치를 알려주는 돌출부, 상기 책갈피 본체 타측측부에 형성되어 책장사이의 끝면에 일치하도록 끼워져 상기 책갈피 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책장의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multifunctional bookmark that inform us where we read}
본 발명은 책장 사이에 삽입하여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을 본 해당 책장과 줄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며, 책장의 방향과 줄의 위치에 따라 앞면과 뒷면을 모두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볼펜꽂이로 활용 가능하며, 홍보물이나 판촉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읽은 라인이 위치한 책장의 사이에 배치되어 북마크 기능을 갖는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은 여러 가지 내용을 가지는 다수의 책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책을 읽는 경우에, 분량이 많거나 시간이 없어서 한 번에 전체를 다 읽지 못하게 되면 여러 번에 걸쳐 나누어 읽게 되고, 완독한 책이라 할지라도 사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책장은 필요에 따라 수시로 확인을 해야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사용자는 책을 읽는 중이나 읽은 후, 이전에 읽었던 내용을 다시 확인하기 위해 해당 페이지를 찾기 위한 방법으로 해당 페이지의 일부분을 접어두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경우 쉽게 찾기 힘들고, 책을 손상시키게 되므로 책의 손상은 방지하면서 특정 책장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책갈피를 이용하게 된다. 즉, 책갈피는 책의 책장 사이에 끼워 두었다가 책을 다시 이용할 때 책에 끼워져 있는 책갈피를 이용하여 이전에 선택해둔 책장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책갈피는 대부분 책장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만 형성되어 있어 읽었던 책장 중 좌측 혹은 우측을 지시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해당책장의 읽은 줄을 정확하게 지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읽은 라인이 위치한 책장의 사이에 배치되어, 읽었던 책의 페이지와 줄의 위치를 정확히 알려주기 위해 발명된 것이다.
이를 위해 읽었던 책장 중 좌측 혹은 우측을 정확히 지시할 뿐아니라 읽었던 줄의 위치도 정확히 지시할 수 책갈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볼펜꽂이로 사용함과 더불어 상기 책갈피 본체 제1면 및 제2면의 공백 부분에 광고문구, 캐릭터이미지, 사진이미지, 글귀 등을 게재함으로써 기업이나 개인의 홍보물이나 판촉물로 사용 가능한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책장 사이에 삽입하여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책갈피에 있어서, 읽은 라인이 위치한 책장의 사이에 배치되어 북마크 기능을 갖는 책갈피 본체, 상기 책갈피 본체 앞면인 제1면과 뒷면인 제2면에 위치한 위치지시부, 상기 책갈피 본체 일측측부에 돌출되어 상기 책갈피 본체의 위치를 알려주는 돌출부, 상기 책갈피 본체 타측측부에 형성되어 책장사이의 끝면에 일치하도록 끼워져 상기 책갈피 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에 읽었던 책장을 정확히 구별해 주고, 줄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며, 책장의 방향과 줄의 위치에 따라 앞면과 뒷면을 모두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책갈피와 책장의 위치 표식이 가능하며, 책장과 책장 사이에 맞닿은 끝면에 고정하여 흔들림을 방지함과 더불어 볼펜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책갈피 본체 제1면 및 제2면의 공백 부분에 광고문구, 캐릭터이미지, 사진이미지, 글귀 등을 게재함으로써 기업이나 개인의 홍보물, 판촉물등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판되는 책의 크기에 딱 맞는 맞춤형 책갈피를 제공할 수 있어 관련 책 홍보 및 책 내용에 맞는 기업들에 지원을 받아 광고 또한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책갈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책갈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읽은 줄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가 책에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읽은 줄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가 책에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읽은 줄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읽은 줄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우선, 본 발명은 책장 사이에 삽입하여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책갈피에 있어서, 읽은 라인이 위치한 책장의 사이에 배치되어 북마크 기능을 갖는 책갈피 본체, 상기 책갈피 본체 앞면인 제1면과 뒷면인 제2면에 위치한 위치지시부, 상기 책갈피 본체 일측측부에 돌출되어 상기 책갈피 본체의 위치를 알려주는 돌출부, 상기 책갈피 본체 타측측부에 형성되어 책장 사이의 끝 면에 일치하도록 끼워져 상기 책갈피 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들 각 구성에 대해 도 1과,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위치지시부에 대해 설명하며, 상기 위치지시부는 책갈피 본체(10)는 책을 구성하는 다수의 책장 중에 사용자가 읽었던 책장의 어느 한쪽에 놓을 수 있게 형성된 것으로, 책갈피 본체(10)의 앞면(또는 제1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책장에 놓여있을때, 상기 제1면의 중앙라인 위쪽에 배치된 제1면 상측위치지시부(20)와, 상기 책갈피 본체(10)의 뒷면(또는 제2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책장에 놓여있을때, 상기 제2면의 중앙라인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2면 하측위치지시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의 중앙라인이란, 책갈피 본체높이(h1)의 중간지점인 1/2지점을 지나는 라인을 의미하며, 상기 중앙라인의 위쪽에 위치하면 상측위치지시부(20), 아래쪽에 위치하면 하측위치지시부(30)라 칭한다.
또한 상기 위치지시부(120,130)는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책갈피 본체(110)의 앞면인 제1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책장에 놓여있을때, 상기 제1면의 중앙라인 위쪽으로 배치된 제1면 상측위치지시부(120)와 더불어 중앙라인 아래쪽으로 제 1면 하측위치지시부(13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책갈피 본체(110) 뒷면인 제 2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책장에 놓여있을때, 상기 제2면의 중앙라인 아래쪽으로 배치된 제2면 하측위치지시부(130)와 더불어 중앙라인 위쪽으로 제2면 상측위치지시부(12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위치지시부(120,130)에는 책장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지시마크(170,180)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지시마크(170,180)는 화살표나, 부등호, 삼각형 등과 같이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모든 기호로 지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면 상측위치지시부(120)의 지시마크(170)는 오른쪽(혹은 왼쪽)책장을 지시하는 지시마크(170)를 사용하고, 제1면 하측위치지시부(130)의 지시마크(180)는 왼쪽(혹은 오른쪽)책장을 지시하는 지시마크(18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면 상측위치지시부(120)의 지시마크(170)는 왼쪽(혹은 오른쪽)책장을 지시하는 지시마크(170)를 사용하고, 제2면 하측위치지시부(130)의 지시마크(180)는 오른쪽(혹은 왼쪽)책장을 지시하는 지시마크(180)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부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책갈피 본체(10)의 일측측부에 돌출되어 책갈피 본체(10)의 위치를 알려주는 돌출부(40)가 1개 배치되며, 제1면의 중앙라인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 제1면의 중앙라인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배치된 상기 제1돌출부(140)에 추가하여, 아래쪽에 제 2돌출부(15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위 구성을 통해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읽은 위치에 따라 상기 책갈피 본체(10)의 제 1면을 사용자를 향하도록 놓여있을때, 상기 책갈피 본체의 제1단부 끝면(도 1, 3의 'A' 참조)을 읽은 줄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키며, 이때 상기 제1단부 끝면의 아래부분에는 위치지시부가 위치된다. 상기 위치지시부에는 '여기까지 읽었습니다' 등과 같은 다양한 안내문구가 삽입될 수 있다.
이후에 책을 읽기위해 다시 책을 펼쳤을 때, 상기 책갈피본체의 제1단부 끝면(도 1, 3의 'A' 참조)이 읽을 줄의 바로 밑에 정확히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읽은 줄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또한, 책갈피 본체(10)의 제 2면을 사용자를 향하도록 놓여있을때, 상기 책갈피 본체의 제2단부 끝면(도 1, 4의 'B' 참조)을 읽은 줄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단부 끝면의 아래부분에는 위치지시부가 위치된다.
이후에 책을 읽기 위해 다시 책을 펼쳤을 때, 상기 책갈피본체(10)의 제2단부 끝면(도 1, 4의 'B' 참조)의 위치를 통해 읽은 줄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위에서는 책갈피 본체(10)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위치지시부(20,30)가 하나만 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 경우 상기 위치지시부(20,30)가 책장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어느면을 가르키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책갈피 본체(110)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위치지시부(120,130)가 2개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위치지시부(120,130)가 책갈피 본체(110)의 각 면에 2개 있는 경우는 각 위치지시부(120,130)에는 책장의 위치를 지시하는 지시마크(170,180)가 포함되면서 돌출부(140,150)도 2개이며, 상기 돌출부(140,150)에는 어느 위치지시부(120,130)를 적용할지 알려주는 표식부(19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표식부(190)를 통해 적용할 위치지시부(120,130)가 정해지며, 상기 적용될 위치지시부(120,130)에 형성된 지시마크(170,180)가 가리키는 방향에 따라 책장의 좌측면 혹은 우측면이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 표식부의 표식에 의해 위치지시부(120,130)가 정해지면, 상기 위치지시부(120,130)에 해당하는 끝면(도 2, 5 의 'A' 또는 'B')을 통해 읽은 라인(혹은 읽은 줄)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만약 위치지시부(120,130)의 지시마크(170,180)가 책갈피 본체(110)가 놓여있는 책장의 반대쪽을 가르키는 경우(즉 책갈피 본체는 좌측 책장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적용할 위치지시부의 지시마크가 우측 책장을 지시할 경우)는 읽은 라인의 위치는 상기 지시마크가 기재된 위치지시부에 해당하는 끝면('A' 또는 'B')을 직선으로 연장한 가상라인의 위치에 해당하는 라인을 읽을 라인으로 인식함으로써 책장의 좌측이나 우측의 읽은 라인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책장의 위치 뿐만 아니라 해당 책장의 읽은 라인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히 읽은 위치를 알 수 있는 책갈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140,150)가 2개 있을 경우 책을 펼쳤을 때 어느 돌출부(140,150)를 사용하여 책장을 찾을 것인지를 알려주는 표식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식부(190)의 표식을 통해 어느 위치지시부(120,130)를 적용하여 읽은 라인을 확인할지를 결정한다.
상기 표식부(190)의 표식 방법의 예로, 제 1돌출부(140), 제 2돌출부(150) 중앙에 접이식 삼각형 형상을 만들어(삼각형의 두변만 절개하고 나머지 변은 절개하지 않음) 표시할 책장의 방향에 해당되는 표식부(190)의 삼각형을 접어서 표시함으로써, 어느 돌출부(140,150)를 통해 위치지시부(120,130)를 적용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책갈피 본체(110)의 제1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놓여 있을때 위쪽의 돌출부(140)의 표식부(190)의 삼각형이 접혀있다면, 제1면의 위쪽에 위치한 위치지시부(120)의 지시마크(170)를 통해 책장의 위치를 결정한다.
경우에 따라 표식부(190)의 정보는 해당 돌출부(140,150)에 볼펜 등을 꽂아 표시할 수도 있다.
만약 볼펜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위쪽에 볼펜을 꽂으면 상기 책갈피 본체(110)의 상측위치지시부(120)의 지시마크가 가리키는 방향의 책장이, 아래쪽으로 꽂으면 하측위치지시부(130)의 지시마크가 가리키는 방향의 책장으로 구별할 수 있다.
상기 표식의 방법은 삼각형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과 방법을 사용해 표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책갈피 본체(10,110)의 크기는 책장의 높이(H)의 1/2보다 작은 높이(h1)를 가진다. 이때, 책갈피 본체(10,110)의 크기는 책장의 높이(H)의 1/4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나 제한하지는 않는다.
책갈피 본체의 폭(w1)은 책장의 폭(W)과 거의 차이가 없게 형성되며, 책갈피 본체의 폭(w1)과 돌출부의 폭(w2)을 합하였을 때는 책장의 폭(W)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책갈피 본체의 높이(h1)가 1/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은 읽은 라인을 가리킬때 책 바깥으로 튀어 나옴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책갈피 본체의 폭(w1)과 돌출부(w2)의 폭을 합하였을 때 책장의 폭(W)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은 책이 덮여 있을때 책갈피를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위 내용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상기 책갈피 본체의 높이를 h1, 책장의 높이를 H 로 했을 때 h1과 H의 관계는 h1 < 0.5 x H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책갈피 본체의 폭을 w1, 돌출부의 폭을 w2, 책장의 폭을 W 로 했을 때, w1과 W의 관계는 0.9 x W < w1 < W 로 표현되며, w1, w2, W의 관계는 W < w1 + w2 < W x 2 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도5, 도6은 우측 책장의 하단부까지 책을 읽었을 때, 제 1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책장에 놓으면 책갈피 본체(110)가 책의 바깥으로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때 책갈피 본체(110)를 뒤집어 제 2면을 사용자를 향하도록 책장에 놓으면 제2면하측위치지시부(130)의 지시마크(180)가 우측 책장을 지시하며 상기 책갈피본체의 하단부 끝면(B)을 통해 바로 아래줄의 위치를 가리키는 기능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책갈피 본체 제1면 및 제2면의 공백 부분에는 광고문구, 캐릭터이미지, 사진이미지, 글귀 등을 게재함으로써 기업이나 개인의 홍보물, 판촉물 등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방법을 설명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책갈피 본체 20 : 상측 위치지시부
30 : 하측 위치지시부 40 : 제 1돌출부
60 : 고정부 110 : 책갈피 본체
120 : 상측 위치지시부 130 : 하측 위치지시부
140 : 제 1돌출부 150 : 제 2돌출부
160 : 고정부 170 : 제 1지시마크
180 : 제 2지시마크 190 : 표식부
H : 책장의 높이 h1 : 책갈피 본체의 높이
W : 책장의 폭 w1 : 책갈피 본체의 폭
w2 : 돌출부의 폭 A : 책갈피 본체 1단부 끝면
B : 책갈피 본체 2단부 끝면

Claims (5)

  1. 책장 사이에 삽입하여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책갈피에 있어서,
    읽은 라인이 위치한 책장의 사이에 배치되어 북마크 기능을 갖는 책갈피 본체; 상기 책갈피 본체 앞면인 제1면과 뒷면인 제2면에 위치한 위치지시부; 상기 책갈피 본체 일측측부에 돌출되어 상기 책갈피 본체의 위치를 알려주는 돌출부; 상기 책갈피 본체 타측측부에 형성되어 책장사이의 끝면에 일치하도록 끼워져 상기 책갈피 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된 고정부; 로 구성되되,
    상기 위치지시부는
    상기 책갈피 본체의 앞면인 제1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책장에 놓여있을때, 상기 제1면의 중앙라인의 위쪽에 배치된 제1면 상측위치지시부;와
    상기 책갈피 본체의 뒷면인 제2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책장에 놓여있을때, 상기 제2면의 중앙라인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2면 하측위치지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1개 혹은 2개가 배치되되,
    1개가 배치되는 경우는 상기 책갈피 본체 제1면의 중앙라인을 기준으로 위쪽에 배치된 제1돌출부;이고,
    2개가 배치된 경우는 상기 제 1돌출부에 추가하여, 상기 책갈피 본체 제1면의 중앙라인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배치된 제2돌출부;가 추가되어 배치되며,
    상기 위치지시부는
    상기 책갈피 본체의 앞면인 제1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책장에 놓여있을때, 상기 제1면의 중앙라인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1면 하측위치지시부;와
    상기 책갈피 본체의 뒷면인 제2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책장에 놓여있을때, 상기 제2면의 중앙라인의 위쪽에 배치된 제2면 상측위치지시부; 를 추가로 포함하고,
    지시마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면 상측위치지시부의 지시마크는 오른쪽(혹은 왼쪽) 페이지를 지시하는 지시마크이고, 제1면 하측위치지시부의 지시마크는 왼쪽(혹은 오른쪽) 페이지를 지시하는 지시마크이며,
    상기 제2면 상측위치지시부의 지시마크는 왼쪽(혹은 오른쪽) 페이지를 지시하는 지시마크이고, 제2면 하측위치지시부의 지시마크는 오른쪽(혹은 왼쪽) 페이지를 지시하는 지시마크로서, 각 위치지시부가 지시하는 페이지를 알려주고,
    상기 돌출부에는 어느 위치지시부를 적용할지 알려주는 표식부가 포함되고, 볼펜을 구비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04855A 2016-01-14 2016-01-14 책장의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 KR10174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855A KR101740724B1 (ko) 2016-01-14 2016-01-14 책장의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855A KR101740724B1 (ko) 2016-01-14 2016-01-14 책장의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724B1 true KR101740724B1 (ko) 2017-05-26

Family

ID=5905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855A KR101740724B1 (ko) 2016-01-14 2016-01-14 책장의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22B1 (ko) 2019-03-20 2020-09-17 장석천 책갈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83Y1 (ko) * 2013-02-28 2014-04-10 최원식 책줄갈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83Y1 (ko) * 2013-02-28 2014-04-10 최원식 책줄갈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22B1 (ko) 2019-03-20 2020-09-17 장석천 책갈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8538B2 (en) Electronic device for enhancing an interactive experience with a tangible medium of expression
US20170023980A1 (en) Laptop cover
US7240443B2 (en) Information organization product and method
KR101740724B1 (ko) 책장의 읽은 위치를 알려주는 다기능 책갈피
Evergreen et al. Data visualization checklist
US20190029445A1 (en) Holder optimized for viewing and browsing display content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id holder
JP2006248192A (ja) しおり
KR20100111220A (ko) 자석을 이용한 책갈피
KR101788125B1 (ko) 액자 겸용 책자
JPH0742789Y2 (ja) 組合せ見出し紙
KR20130005150U (ko) 페이지 및 행 위치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도록 고안된 책갈피
US20050166832A1 (en) Page indicator
KR101772379B1 (ko) 책갈피
KR101428987B1 (ko) 도서용 책갈피
KR20140103199A (ko) 파일 홀더
US20160125767A1 (en) Folding thick board poster
KR20140071632A (ko) 공책
Frizelle Bailey & Love's Short Practice of Surgery (; RCG Russell, Norman Williams, Christopher Bulstrode, eds).
JP2016052746A (ja) 定規
KR20150012330A (ko) 절취선이 구비된 노트
KR20160140529A (ko) 네임텍 책갈피
Wicker Principles of Surgery-Everything you need to know but were frightened to ask!
KR200252177Y1 (ko) 부적 그리기용 교본
JP2007062016A (ja) しおり
JP2013103365A (ja) 書籍カバー、該カバーを装着した書籍、および該カバーによる情報伝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