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662B1 -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662B1
KR101740662B1 KR1020150171370A KR20150171370A KR101740662B1 KR 101740662 B1 KR101740662 B1 KR 101740662B1 KR 1020150171370 A KR1020150171370 A KR 1020150171370A KR 20150171370 A KR20150171370 A KR 20150171370A KR 101740662 B1 KR101740662 B1 KR 10174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ed
engaging portion
engaging
screw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진모
옥경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1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3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8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F21W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조립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차량용 램프는, 제1 조립 대상물, 및 상기 제1 조립 대상물과 조립되는 제2 조립 대상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립 대상물 및 상기 제2 조립 대상물 중 어느 하나는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 홈을 구비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결합부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후크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Lamp foe vehicle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조립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각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광원, 램프 하우징, 베젤 등과 같은 복수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각 구성 요소들을 서로 조립할 때에는 복수의 조립 대상물을 서로 후크 결합을 통해 가조립시켜 위치를 고정시킨 다음 나사 결합을 통해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제1 조립 대상물(10)에 나사 결합 홈(11) 및 걸림 돌기(12)를 형성하고, 제2 조립 대상물(20)에 나사 결합 홀(21) 및 걸림 홀(22)을 형성하고, 걸림 돌기(12)를 걸림 홀(22)에 후크 결합 시켜 제1 조립 대상물(10) 및 제2 조립 대상물(20)의 위치를 고정시킨 다음, 나사 결합 홀(21)을 통해 나사 결합 홈(11)에 나사(30)를 결합시켜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용 램프의 조립 공정에서는 가조립을 위한 후크 결합 구조와 더불어 나사 결합 구조가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전체적인 조립 공정이 증가하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시키면서도 전체적인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05238호(2014.06.10.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 대상물들을 서로 조립할 때 조립될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와 조립 구조를 일체화시켜 구조를 간소화시키면서도 용이한 조립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차량용 램프는, 제1 조립 대상물, 및 상기 제1 조립 대상물과 조립되는 제2 조립 대상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립 대상물 및 상기 제2 조립 대상물 중 어느 하나는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 홈을 구비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결합부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후크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조립 방법은, 제1 조립 대상물에 형성되며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 홈이 형성된 제1 결합부를 상기 제1 조립 대상물과 조립되는 제2 조립 대상물에 형성된 제2 결합부의 내측에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결합부와 후크 결합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형성된 나사 통과 홀을 통해 상기 나사를 상기 나사 결합 홈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복수의 조립 대상물들이 서로 조립될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조립 구조와 조립 대상물의 조립을 위한 조립 구조를 일체화시켜 구조를 간소화시키면서도 용이한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조립 공정이 도시된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조립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백업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램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조립 대상물(100)은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이고, 제2 조립 대상물(200)은 광원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베젤이나 램프 하우징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포함되는 각종 구성 요소들 중 서로 조립되는 대상물들일 수 있다.
이때, 광원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원, 리플렉터, 라이트 가이드, 쉴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따라 광원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조립 대상물(100)이 제2 조립 대상물(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때, 제1 조립 대상물(100)이 제2 조립 대상물(200)의 전방에 위치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가정하였을 때의 방향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설치 위치나 설치 방향 등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이 서로 조립될 때 서로 정확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이 조립될 위치를 고정시킨 다음 조립을 하게 되는데,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이 조립될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조립 구조와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을 조립시키기 위한 조립 구조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지고 전체적인 조립 공정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이 조립될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조립 구조와 조립 구조를 일체화시켜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300)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조립 대상물(100)에 제1 결합부(300)가 형성되고 제2 조립 대상물(200)에 제2 결합부(400)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제1 결합부(300) 및 제2 결합부(400)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부(300) 및 제2 결합부(400)가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때, 도 4 내지 도 7에서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은 전체 형상 중 일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의 전체 형상에 따라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의 일부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300)는 나사(500)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 홈(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결합부(400)는 제1 결합부(300)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 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00)는 제1 결합부(300)가 삽입 홈(410)에 삽입되었을 때 나사 결합 홈(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 통과 홀(4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500)는 나사 통과 홀(420)을 통과하여 나사 결합 홈(310)에 결합되어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이 서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이 나사(500)에 의해 서로 조립되기 이전에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의 조립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는 나사(500)에 의해 서로 조립되기 이전에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의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의 위치를 다시 정렬할 필요가 있고, 이 경우 전체적인 조립 공정이나 조립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부(300)에 걸림 돌기(320)가 형성되고, 제2 결합부(400)에 걸림 홈(430)이 형성되어 제1 결합부(300)가 제2 결합부(400)의 삽입 홈(410)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 돌기(320)가 걸림 홈(430)에 걸리게 되어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이 나사(500)에 의해 조립이 완료될때까지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걸림 돌기(320)는 나사 결합 홈(3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 홈(430)은 나사 통과 홀(42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걸림 돌기(320) 및 걸림 홈(430)이 단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 돌기(320) 및 걸림 홈(430)은 각각 나사 결합 홈(310)의 외주면 및 나사 통과 홀(42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300)가 제2 결합부(400)의 삽입 홈(410)에 삽입될 때 걸림 돌기(320)가 탄성 변형되었다가 걸림 홈(430)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걸림 홈(430)에 걸려 후크 결합됨으로써, 제1 결합부(300)가 제2 결합부(40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의 조립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사(500)가 나사 통과 홀(420)을 통과하여 나사 결합 홈(310)에 결합되어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이 조립이 완료될때까지 제1 결합부(300) 및 제2 결합부(400)의 후크 결합에 의해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의 조립 위치가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화되면서도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조립 공정이 도시된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조립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며, 도 8 및 도 9에서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1 결합부(300)를 제2 결합부(400)의 삽입 홈(410)에 삽입시켜 제1 결합부(300)의 걸림 돌기(320)가 제2 결합부(400)의 걸림 홈(430)에 걸리도록 하여 후크 결합시킴으로써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를 가조립시키게 된다(S110).
제1 결합부(300) 및 제2 결합부(400)가 후크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500)를 나사 통과 홀(420)을 통과시켜 나사 결합 홈(310)에 결합시켜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S12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조립 대상물(100) 및 제2 조립 대상물(200)를 서로 조립할 때 조립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조립구조와 조립을 위한 조립 구조를 일체화시켜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시키면서도 조립 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조립 대상물
200: 제2 조립 대상물
300: 제1 결합부
310: 나사 결합 홈
320: 걸림 돌기
400: 제2 결합부
410: 삽입 홈
420: 나사 통과 홀
430: 걸림 홈

Claims (9)

  1. 제1 조립 대상물; 및
    상기 제1 조립 대상물과 조립되는 제2 조립 대상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립 대상물 및 상기 제2 조립 대상물 중 어느 하나는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 홈을 구비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 홈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할 때 상기 나사 결합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나사가 통과하는 나사 통과 홀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 결합 홈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할 때 상기 나사 통과 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홈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에 의해 상기 제1 조립 대상물 및 상기 제2 조립 대상물의 조립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1 조립 대상물 및 상기 제2 조립 대상물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 대상물은,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이고,
    상기 제2 조립 대상물은,
    상기 광원 어셈블리가 전방에 위치하는 베젤 또는 램프 하우징인 차량용 램프.
  7. 제1 조립 대상물에 형성되며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 홈이 형성된 제1 결합부를 상기 제1 조립 대상물과 조립되는 제2 조립 대상물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가 통과하는 나사 통과 홀이 형성되는 제2 결합부의 내측에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부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할 때 상기 나사 통과 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홈에 상기 나사 결합 홈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가 후크 결합되어 상기 제1 조립 대상물 및 상기 제2 조립 대상물의 위치가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나사 통과 홀을 통해 상기 나사를 상기 나사 결합 홈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조립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결합부에 형성된 삽입 홈에 상기 제1 결합부를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조립 방법.
  9. 삭제
KR1020150171370A 2015-12-03 2015-12-03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KR10174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370A KR101740662B1 (ko) 2015-12-03 2015-12-03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370A KR101740662B1 (ko) 2015-12-03 2015-12-03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662B1 true KR101740662B1 (ko) 2017-05-29

Family

ID=5905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370A KR101740662B1 (ko) 2015-12-03 2015-12-03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225A (ko) * 2018-12-11 2021-07-15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225A (ko) * 2018-12-11 2021-07-15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CN113167449A (zh) * 2018-12-11 2021-07-23 Zkw集团有限责任公司 用于机动车大灯的照明设备
KR102578470B1 (ko) * 2018-12-11 2023-09-14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CN113167449B (zh) * 2018-12-11 2024-02-09 Zkw集团有限责任公司 用于机动车大灯的照明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059B1 (ko) 차량용 리어 램프
US20140078764A1 (en) Vehicular Lamp
KR101853614B1 (ko) 차량용 램프
KR102150340B1 (ko) 차량용 퍼들 램프
WO2009104140A1 (en) Lighting system and cap for such lighting system
KR101740662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CN211853879U (zh) 车辆用灯具
US9464774B1 (en) Vehicles lamp
CN210179516U (zh) 车灯
KR20140107950A (ko) 차량용 램프
KR101997062B1 (ko) 엘이디 램프 어셈블리
KR102132870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53573A (ko) 차량용 램프
WO2016092682A1 (ja) 自動二輪車用テールライト装置
KR200470451Y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472965B1 (ko) 차량용 램프
KR101707988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60003871U (ko) 차량용 램프
KR10083970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0480824Y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0483557Y1 (ko) 차량용 램프
CN217273942U (zh) 一种汽车前组合灯透镜组件
JP6821878B2 (ja) 車両用灯具の取付け構造
KR200487032Y1 (ko) 차량용 램프
CN108375036B (zh) 一种用于前照灯的非球面透镜模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