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997B1 -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997B1
KR101739997B1 KR1020160169157A KR20160169157A KR101739997B1 KR 101739997 B1 KR101739997 B1 KR 101739997B1 KR 1020160169157 A KR1020160169157 A KR 1020160169157A KR 20160169157 A KR20160169157 A KR 20160169157A KR 101739997 B1 KR101739997 B1 KR 101739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belt
spring
tongue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철
박재호
동은성
이종태
양희수
Original Assignee
(주)세이정보기술
최홍철
박재호
동은성
이종태
양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이정보기술, 최홍철, 박재호, 동은성, 이종태, 양희수 filed Critical (주)세이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60169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4Ch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의 제1수용부에 수용되며, 일단에 차량 안전벨트의 메인텅이 삽입되는 제2프레임;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의 제2수용부에 수용되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일단 측에는 상기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보조텅;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걸림텅; 및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 시에 스프링이 인장되어 안전벨트와 신체가 강하게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A SEAT BELT AUXILIARY BUKLE DEVICE}
본 발명은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 시에 스프링이 인장되어 안전벨트와 신체가 강하게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란 자동차 사고에 있어서 탑승자의 생명유지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장치이다.
즉, 안전벨트는 유사시 벨트를 고정시켜 탑승자를 좌석 등받이에 고정시킴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고정된 이후 최초 상태로 복귀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탑승자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고장력 섬유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착탈이 가능한 버클을 포함한다. 안전벨트를 감고 있는 스풀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자체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고, 자유롭게 안전벨트를 풀거나 감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충돌이나 급정거 등에 의한 자동차의 정지 시에 탑승자의 상체는 전방으로 쏠리게 되며, 안전벨트는 운전자를 좌석 등받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풀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게 되는데, 이때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에 의한 탑승자의 상체가 강한 반동을 가지고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 안전벨트의 본래 목적과 다르게 탑승자의 가슴과 부딪혀 탑승자가 가슴에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0187861 호에는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를 설명하자면, 차량의 충돌 등 충격 시에 시트벨트의 벨트웨빙과 직접 맞닿은 승차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므로 승차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게 되어 차량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자동차 시트벨트의 벨트웨빙(1)에 장착된 체결구(2)가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버클(3)과, 이에 연장된 몸체(4) 및 자체 소정부에 고정되는 브라켓(5)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에 연장된 몸체(4)와 연결되며 내부에 인장스프링의 일측이 고정된 내측튜브;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연에 감싸도록 끼워지며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측이 고정되고 상기 버클(3)의 하단과 연결된 외측튜브; 상기 외측튜브의 외주에 씌워지는 부트(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한 충격 발생 시에 부트(9)가 인장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벨트에 의한 승차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승자원의 체형에 따라 인장 범위가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인장 범위가 큰 상태에서 승차원의 체형이 작을 경우에는 승차원이 안전벨트에서 빠져나가게 될 수 있고, 인장 범위가 작은 상태에서 승차원의 체형이 클 경우에는 승차원이 안전벨트에 의해 상처를 입게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0187861 호(1999.01.08.) 공개특허공보 제 10-1997-0039743 호(1997.07.2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 시에 스프링이 인장되어 안전벨트와 신체가 강하게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이격 가능 거리를 한정하는 이격한정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스프링의 인장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 계수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안전벨트의 인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는,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의 제1수용부에 수용되며, 일단에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메인텅이 삽입되는 제2프레임;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의 제2수용부에 수용되고, 일단 측에는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보조텅;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텅;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에는 일단 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1프레임의 제1수용부의 외부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텅은, 타단 측에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의 격벽에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제1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제2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이격 가능 거리를 한정하는 이격한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한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한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타단에 다각형상의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회전구; 상기 보조텅과 걸림텅에 각각 형성되며, 내주연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고정돌기; 일단에는 상기 제2결합홈에 대응되는 다각형상의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홈(61a)에 삽입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홈의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연장봉; 및 상기 제1연장봉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한정뭉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걸림텅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걸림홈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는 회전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전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보조텅에는 상기 스프링이 걸림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이 분산되도록 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점차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걸림되는 방향 또는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걸림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이 분산됨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 계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의 제2수용부에는, 상기 제1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전면부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구; 일단이 상기 회전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연장봉; 및 상기 제2연장봉의 타단에 결합되는 계수조절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수조절판은 상기 제1프레임의 격벽과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의하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 시에 스프링이 인장되어 안전벨트와 신체가 강하게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이격 가능 거리를 한정하는 이격한정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스프링의 인장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 계수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안전벨트의 인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인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이격한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이격한정부재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d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 계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d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 계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 시에 스프링이 인장되어 안전벨트와 신체가 강하게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인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격벽(11)이 형성되어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3)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1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수용부(12)에 수용되며, 일단에 차량 안전벨트의 메인텅이 삽입되는 제2프레임(2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 수용되고, 일단 측에는 상기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결합홈(32)이 형성되는 보조텅(30), 상기 제2프레임(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텅(40) 및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서로 당겨주도록 탄성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50)의 구성은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 형태 등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보조텅(30)과 걸림텅(40)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텅(40)의 구성을 삭제하고,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보조텅(30)과 제2프레임(20)에 연결되거나,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메인텅(110)이 상기 제2프레임(20)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고 있고, 상기 보조텅(30)이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메인텅(110)이 상기 제2프레임(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과 상기 보조텅(30)이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는 것은 일반적인 차량 안전벨트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도면 및 설명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는 차량의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 시에 스프링이 인장되어 안전벨트와 신체의 강한 접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20)에는 일단 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수용부(12)의 외부에 걸림되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림돌기(21)는 상기 제2프레임(20)이 상기 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 양측에만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수용부(12)의 외부에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텅(30)은, 타단 측에 제1결합돌기(33)가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텅(30)은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인데, 상기 보조텅(30)이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결합돌기(33)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는 상기 보조텅(30)의 제1결합돌기(33)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텅(3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텅(30)의 제1결합돌기(33)의 형상은 상기 보조텅(30)이 상기 제1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프레임(10)의 격벽(11)에는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보조텅(30)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31)과 상기 걸림텅(40)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41)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1관통홈(1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프레임(20)에는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보조텅(30)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31)과 상기 걸림텅(40)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41)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2관통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관통홈(11a) 및 제2관통홈(22)은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탄성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관통홈(11a) 및 제2관통홈(22)은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보조텅(30)과 걸림텅(4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관통홈(11a) 및 제2관통홈(22)은 상기 스프링(5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이격한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이격한정부재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6d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는, 일단은 제1프레임(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프레임(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이격 가능 거리를 한정하는 이격한정부재(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한정부재(60)는,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이 이격됨으로써, 상기 스프링(50)이 탄성한계를 넘어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이격 가능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한정부재(60)는,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10)의 전면부(1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이격한정부재(6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이격 가능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이격한정부재(60)는,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10)의 전면부(10a)에 결합되며 타단에 다각형상의 제2결합홈(61a)이 형성되는 회전구(61), 상기 보조텅(30)과 걸림텅(40)에 각각 형성되며, 내주연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홈(71)이 형성되는 고정돌기(70), 일단에는 상기 제2결합홈(61a)에 대응되는 다각형상의 제2결합돌기(62a)가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홈(71)의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나사산(62b)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71)에 삽입되는 제1연장봉(62) 및 상기 제1연장봉(62)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프레임(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한정뭉치(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구(61)를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구(61)의 제2결합홈(61a)에 삽입된 제1연장봉(62)이 상기 회전구(6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돌기(70)의 가이드홈(71)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0) 방향 또는 제2프레임(20)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며, 상기 제1연장봉(6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연장봉(62)의 타단에 결합된 한정뭉치(63)가 이동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이격 가능 거리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구(61)에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 일자 또는 십자 형상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 계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a 내지 도 7d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프링(50)의 일단은 상기 걸림텅(4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걸림홈(41)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50)의 타단에는 회전구(51)가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10)의 전면부(10a)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보조텅(30)에는 상기 스프링(50)이 걸림되어 상기 스프링(50)의 탄성이 분산되도록 하는 고정돌기(70)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의 타단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스프링(50)이 점차 상기 고정돌기(70)에 의해 걸림되는 방향 또는 상기 고정돌기(70)에 의해 걸림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50)의 탄성이 분산됨으로써 상기 스프링(50)의 탄성 계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50)의 일부가 상기 고정돌기(70)에 의해 걸림되는 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에 따른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70)에 의해 걸림되는 방향에 위치된 스프링(50)의 일부는 상기 걸림돌기(70)에 의해 걸림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70)에 의해 걸림되지 않는 방향에 위치된 스프링(50)의 다른 일부만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이격에 대응되도록 탄성을 가지고 인장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버클장치는 상기 걸림돌기(70)에 의해 상기 스프링(50)을 얼마나 걸림되게 할지에 따라 상기 스프링(50)의 탄성 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인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 탄성 계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a 내지 도 8d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는, 상기 제1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10)의 전면부(10a)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구(13d), 일단이 상기 회전구(13d)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 수용되는 제2연장봉(13b) 및 상기 제2연장봉(13b)의 타단에 결합되는 계수조절판(13c)이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구(13d)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구(13d)에 연결된 제2연장봉(13b)이 회전되며, 상기 제2연장봉(13b)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연장봉(13b)의 타단에 결합되는 계수조절판(13c)이 상기 스프링(50)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프링(50)의 일부를 잡아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장봉(13b)은 상기 계수조절판(13c)의 중심이 아닌 위치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계수조절판(13c)은 최초 상기 스프링(50)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킨 뒤에 상기 회전구(13d)를 회전시키면, 상기 계수조절판(13c)이 상기 제2연장봉(13b)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스프링(50)의 일부를 잡아주게 된다. 상기 스프링(50)의 일부가 상기 계수조절판(13c)에 잡힌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에 따른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계수조절판(13c)에 잡혀진 스프링(50)의 일부는 상기 계수조절판(13c)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계수조절판(13c)에 잡히지 않은 스프링(50)의 다른 일부만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이격에 대응되도록 탄성을 가지고 인장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버클장치는 상기 계수조절판(13c)이 상기 스프링(50)을 얼마나 잡아주도록 할지에 따라 상기 스프링(50)의 탄성 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인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수조절판(13c)은 상기 제1프레임(10)의 격벽(11)과 근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계수조절판(13c)은 상기 회전구(5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스프링(50)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것인데,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이 이격되는 힘이 강할 경우, 파손 등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50)의 일부를 고정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1프레임(10)의 격벽(11)과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계수조절판(13c)은 상기 스프링(50)의 일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이 이격되는 힘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50)의 인장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0)의 격벽(11) 방향으로 밀리게 되더라도, 상기 계수조절판(13c)이 상기 제1프레임(10)의 격벽(1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스프링(50)의 인장되는 힘을 지지하면서 상기 스프링(50)의 일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 시에 스프링이 인장되어 안전벨트와 신체가 강하게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제1프레임 10a : 전면부
11 : 격벽 11a : 제1관통홈
12 : 제1수용부 13 : 제2수용부
13a : 칸막이 13b : 제2연장봉
13c : 계수조절판
20 : 제2프레임 21 : 걸림돌기
22 : 제2관통홈
30 : 보조텅 31 : 제1걸림홈
32 : 제1결합홈 33 : 제1결합돌기
40 : 걸림텅 41 : 제2걸림홈
50 : 스프링
60 : 이격한정부재 61 : 회전구
62 : 제1연장봉 63 : 한정뭉치
70 : 고정돌기 71 : 가이드홈
110 : 메인텅

Claims (10)

  1.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격벽(11)이 형성되어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3)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1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수용부(12)에 수용되며, 일단에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메인텅이 삽입되는 제2프레임(2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 수용되고, 일단 측에는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결합홈(32)이 형성되는 보조텅(30);
    상기 제2프레임(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텅(40); 및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10)의 격벽(11)에는,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탄성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제1관통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20)에는,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탄성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제2관통홈(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20)에는,
    일단 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수용부(12)의 외부에 걸림되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텅(30)은,
    타단 측에 제1결합돌기(33)가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4. 삭제
  5.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격벽(11)이 형성되어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3)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1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수용부(12)에 수용되며, 일단에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메인텅이 삽입되는 제2프레임(2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 수용되고, 일단 측에는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결합홈(32)이 형성되는 보조텅(30);
    상기 제2프레임(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텅(40); 및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0);
    을 포함하되,
    일단은 상기 제1프레임(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이격 가능 거리를 한정하는 이격한정부재(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격한정부재(60)는,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10)의 전면부(1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격한정부재(60)는,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10)의 전면부(10a)에 결합되며 타단에 다각형상의 제2결합홈(61a)이 형성되는 회전구(61);
    상기 보조텅(30)과 걸림텅(40)에 각각 형성되며, 내주연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홈(71)이 형성되는 고정돌기(70);
    일단에는 상기 제2결합홈(61a)에 대응되는 다각형상의 제2결합돌기(62a)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홈(61a)에 삽입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홈(71)의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나사산(62b)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71)에 삽입되는 제1연장봉(62); 및
    상기 제1연장봉(62)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프레임(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한정뭉치(6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8.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격벽(11)이 형성되어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3)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1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수용부(12)에 수용되며, 일단에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메인텅이 삽입되는 제2프레임(2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 수용되고, 일단 측에는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결합홈(32)이 형성되는 보조텅(30);
    상기 제2프레임(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텅(40); 및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0);
    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50)의 일단은 상기 걸림텅(4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걸림홈(41)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50)의 타단에는 회전구(51)가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10)의 전면부(10a)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보조텅(30)에는 상기 스프링(50)이 걸림되어 상기 스프링(50)의 탄성이 분산되도록 하는 고정돌기(70)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0)의 타단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스프링(50)이 점차 상기 고정돌기(70)에 의해 걸림되는 방향 또는 상기 고정돌기(70)에 의해 걸림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50)의 탄성이 분산됨으로써 상기 스프링(50)의 탄성 계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9.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격벽(11)이 형성되어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3)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1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수용부(12)에 수용되며, 일단에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메인텅이 삽입되는 제2프레임(2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 수용되고, 일단 측에는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결합홈(32)이 형성되는 보조텅(30);
    상기 제2프레임(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텅(40); 및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는,
    상기 제1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10)의 전면부(10a)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구(13d);
    일단이 상기 회전구(13d)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 수용되는 제2연장봉(13b); 및
    상기 제2연장봉(13b)의 타단에 결합되는 계수조절판(13c);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10.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격벽(11)이 형성되어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3)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1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1수용부(12)에 수용되며, 일단에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메인텅이 삽입되는 제2프레임(20);
    일부가 상기 제1프레임(10)의 제2수용부(13)에 수용되고, 일단 측에는 상기 차량 안전벨트의 버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결합홈(32)이 형성되는 보조텅(30);
    상기 제2프레임(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텅(40); 및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0);
    을 포함하되,
    상기 계수조절판(13c)은,
    상기 제1프레임(10)의 격벽(11)과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KR1020160169157A 2016-12-13 2016-12-13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KR101739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57A KR101739997B1 (ko) 2016-12-13 2016-12-13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57A KR101739997B1 (ko) 2016-12-13 2016-12-13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997B1 true KR101739997B1 (ko) 2017-05-25

Family

ID=5905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157A KR101739997B1 (ko) 2016-12-13 2016-12-13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4860A1 (de) * 2019-09-27 2021-04-01 Zf Friedrichshafen Ag Zwischenadapter für ein Rückhaltesystem eines Fahrzeugsitz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3947B2 (en) 2001-03-16 2002-11-05 Sang S. Yun Safety belt restraining device
US20130263411A1 (en) * 2012-04-05 2013-10-10 Christian Jagodzinski Seat belt adap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3947B2 (en) 2001-03-16 2002-11-05 Sang S. Yun Safety belt restraining device
US20130263411A1 (en) * 2012-04-05 2013-10-10 Christian Jagodzinski Seat belt adap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4860A1 (de) * 2019-09-27 2021-04-01 Zf Friedrichshafen Ag Zwischenadapter für ein Rückhaltesystem eines Fahrzeugsitz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275B2 (en) Vehicle child seat
US6969022B2 (en) Seat belt retractor
KR101398172B1 (ko) 차량용 안전벨트
US20110133439A1 (en) Restraint system load limiter
JP2006504570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739997B1 (ko) 안전벨트 보조 버클장치
AU2013200996B2 (en) Compensator
US5476286A (en) Extension bracket for attaching a seat-belt guide
US6409217B1 (en) Safety-belt arrangement
KR20050061510A (ko) 좌석 벨트 리트랙터
EP1748708A1 (en) A safety-belt tongue and a safety-belt arrangement
GB1601104A (en) Safety restraint apparatus
JP2010208466A (ja) シートベルト位置調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5731017B2 (ja) 自己解除式安全ベルト
JP2006205821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200244479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KR101491482B1 (ko) 프리텐셔너의 벨트 웨빙 장착 구조
KR102024049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좌석벨트 시스템
KR20190030865A (ko) 시트 벨트 리트랙터
KR0136711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012081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20050052711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버클용 로드리미터장치
KR100326372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어셈블리
KR10019616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체결부 연장구조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