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418B1 - 우수한 점착력과 배면 이형력을 갖는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우수한 점착력과 배면 이형력을 갖는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418B1
KR101739418B1 KR1020160027801A KR20160027801A KR101739418B1 KR 101739418 B1 KR101739418 B1 KR 101739418B1 KR 1020160027801 A KR1020160027801 A KR 1020160027801A KR 20160027801 A KR20160027801 A KR 20160027801A KR 101739418 B1 KR101739418 B1 KR 101739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ethylene
protective film
weigh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일
김정하
국윤봉
김은진
허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Priority to KR102016002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09J7/027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동시에 우수한 배면 이형성을 갖는 자기점착성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층, 중층 및 내층으로 이루어진 자기점착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내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 단독,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 및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점착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수한 점착력과 배면 이형력을 갖는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SELFADHISIVE PROTECTION FILM WITH HIGH ADHESION AND RELEASE PROPERTY OF REAR SIDE}
본 발명은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동시에 우수한 배면 이형력을 갖는 자기점착성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모듈, 편광판, TV,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관련 기기는 운송, 보관 또는 제조시, 대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이 발생하거나 표면이 손상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기능성 보호필름을 부착한 상태로 취급한다. 최신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제품을 생산하고 포장하는 단계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할 때까지 깨끗한 화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청정도 관리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표면의 청정도 및 동작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호 필름을 사용한다.
종래에는 보호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에 점착코팅을 형성한 보호필름을 사용하였다. 상기 보호필름은 투명도는 우수하지만, 피쉬아이가 열악하고 전사특성이 불량하고, 필름끼리 서로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형태로 기재층의 일면에 러버층이나 아크릴 점착층을 중첩하여 보호필름을 형성하거나,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층 위에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를 점착층으로 하여 보호필름을 형성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호필름은 그라비아코팅이나 롤 코팅과 같은 추가 공정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낮고, 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극성 분자 그룹으로 인해 필름의 외면에 먼지와 이물질이 부착되어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 보호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고점착력을 갖는 보호필름을 개발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316707호에서는 내층에 메탈로센 초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메탈로센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고, 외층에 폴리프로필렌과 블로킹방지제를 포함하여 3층 구조의 자기점착성 보호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32315호에서는 내층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와 같은 점착부여제를 포함하고, 외층에 폴리프로필렌, 이형제, 필름돌기부여제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특허들은 내층에 우수한 점착성능을 부여하면서, 필름 권취시 원활한 롤 풀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층에 블로킹 방지제나 이형제를 포함시키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고점착 성분인 스티렌계열의 점착 수지의 경우 저분자량의 오일 성분으로 인해 백점현상(이물), 스탑라인 및 얼룩 발생, 전이 및 전사의 발생, 경시적인 점착성 변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이형제와 같은 첨가제들은 필름의 투명성을 저하시키거나 가공 중 녹지 않는 수지의 덩어리(gel) 등이 필름 외관에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보호필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우수한 점착성을 갖는 동시에 외층에 이형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우수한 배면 이형력을 갖고 롤 풀림성이 우수하며, 점착제의 백점 현상이나 점착제의 전이나 전사가 발생하지 않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는, 외층, 중층 및 내층으로 이루어진 자기점착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내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 단독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 및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점착 보호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층은 내층 총 중량 대비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 10~90중량% 및 폴리에틸렌 10~9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층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와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제는 에틸렌 아크릴산,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층은 중층 총 중량 대비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 50~90중량% 및 커플링제 10~5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층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층의 점착력이 5 내지 300 gf/25mm 이고, 내층과 외층의 배면 이형성이 2 내지 80 gf/25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보호필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우수한 점착성을 갖는 동시에 외층에 이형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우수한 배면 이형력을 갖고 롤 풀림성이 우수하며, 점착제의 백점 현상이나 점착제의 전이나 전사가 발생하지 않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1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외층(11), 중층(12) 및 내층(13)으로 이루어진 자기점착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 단독,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 및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층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폴리에틸렌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5 내지 300 gf/25mm의 점착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gf/25mm의 점착력,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gf/25mm의 고점착성을 갖게 되고, 우수한 자기점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층 총 중량 대비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 10~90중량% 및 폴리에틸렌 10~9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층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와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우수한 롤 풀림성을 갖고 점착제의 전이 및 전사가 발생하지 않고 이물개수가 현저히 낮다. 또한, 점착력의 경시 변화가 없고 우수한 내후성을 갖게 된다. 내층의 두께는 전체 보호필름 두께와 대비하여 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메탈로센은 밀도가 낮을수록 필름 유연성(softness)가 좋아지고 점착력 구현이 용이하고 밀도가 높을수록 필름의 표면 경도가 높아져서 필름의 점착력 구현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메틸로센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860 내지 0.910 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0.860 내지 0.900g/cm3 인 메탈로센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층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중층은 중층 총 중량 대비 폴리프로필렌 50 내지 90중량%와 커플링제 10 내지 5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중층은 중층 총 중량 대비 폴리프로필렌 10 내지 80중량%, 폴리에틸렌 10 내지 80중량%을 갖는다.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을 상기 비율로 혼합하여 중층을 형성하는 경우 외층의 폴리 프로필렌 층과 내층의 폴리에틸렌 층과의 층간 접착강도를 우수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또한 커플링제를 중층 총 중량 대비 10 내지 5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제가 10중량% 미만인 경우 층간 접착강도가 약해 층간 박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량의 커플링제로 인하여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한 혼합비로 중층을 구성함으로써, 필름 압출시 우수한 가공성을 갖게 되고, 보호필름으로서 적합한 유연성과 신율을 갖게 된다. 중층의 두께는 전체 보호필름 두께와 대비하여 3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커플링제는 내층에 사용된 점착수지가 중층이나 외층으로 전이 및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점착수지의 점착력 경시 변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제는 에틸렌 아크릴산,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외층은 폴리프로필렌 단독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을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역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층은 이형제나 블로킹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내층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를 포함함으로써, 외층에 별도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내층과의 풀림성, 즉 배면이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의 배면이형성은 2 내지 80 gf/25m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0 gf/25mm일 수 있다.
외층의 두께는 전체 보호필름 두께와 대비하여 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층, 중층 및 내층의 두께비는 1~5: 4~10 :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외층, 중층 및 내층의 두께비 1:3:1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1일 수 있다. 내층에 사용되는 수지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의 높은 가격 때문에 외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경제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은 3-레이어 T-다이 캐스트 캐스트 공압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압출이란 이종 또는 동종의 물질을 다수의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드블럭(feedbloc) 방식이나, 멀티 매니폴드(multi-manifold) 방식 등을 통하여 다층의 용융된 상태로 도출시킨 후, 연신공정, 블로잉(blowing) 공정 또는 캐스트(cast) 공정 등을 거쳐 다층의 필름을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공압출 장치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수지 등을 용융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압출기부와, 상기 압출기부로부터 용융된 상태의 수지를 공급할 수 있는 공압출 다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당업계에 알려진 공압출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레이어 T-다이 캐스트 캐스트 공압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미세 필터가 부착된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미세 필터는 디스크타입, 잎 모양의 디스크 타입, 와이어넷(wirenet) 타입이 있으며, 일면 또는 양면에 메쉬(mesh)를 보강한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압출 온도는 150 내지 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50℃이다. 공압출 온도가 150℃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성이 저하되고, 3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 중 필름 산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사용하여 40 내지 60㎛ 두께의 3층 압출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3층 압출 필름은 미세필터가 부착된 3-레이어 T-다이 캐스트 압출(3-layer T-die cast extrustion)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외층 및 중층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롯데케미칼의 FC150B 혹은 효성의 J440F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호남석유화학 제품을 사용하였다. 중층에 사용된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엘지화학의 BF415 혹은 한화 토탈의 642M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BF415를 사용하였다. 커플링제는 듀폰사의 nucrel 31001 grade(EAA)를 사용하였다. 내층에 사용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는 쿠라레이사 제품을 사용하였고, 메탈로센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엑슨모빌사의 Exact 0203을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외층
(20%)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 100 중량% 100 중량% 100 중량% 100 중량%
중층
(60%)
폴리프로필렌 40중량% 40중량% 40중량% 40중량% 40중량%
폴리에틸렌 40중량% 40중량% 40중량% 40중량% 40중량%
커플링제 20중량% 20중량% 20중량% 20중량% 20중량%
내층
(20%)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공중합체 10중량% 25중량% 50중량% 75중량% 100중량%
초저밀도메탈로센폴리에틸렌 90중량% 75중량% 50중량% 25중량% -
비교예 1 내지 8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을 사용하여 40 내지 60㎛ 두께의 3층 압출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3층 압출 필름은 미세필터가 부착된 3-레이어 T-다이 캐스트 압출(3-layer T-die cast extrustion)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외층 및 중층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롯데케미칼의 FC150B, 중층에 사용된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엘지화학의 BF415를 사용하였다. 블로킹방지제는 탄산칼슘을 사용하였다.
커플링제는 듀폰사의 nucrel 31001 grade(EAA)를 사용하였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n-부틸아크릴레이트 수지는 큐라레이사 제품을 사용하였고, 초저밀도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은 엑슨모빌사의 Exact 0203을 사용하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외층
(20%)
폴리프로필렌 90중량% 70중량% 50중량% 50중량% 100
중량%
100
중량%
100
중량%
PP필름
+
PSA 코팅
블로킹방지제 10중량% 30중량% 50중량% 50중량% - - -
중층
(60%)
폴리프로필렌 50중량% 50중량% 50중량% 50중량% 40중량% 40중량% 40중량%
폴리에틸렌 50중량% 50중량% 50중량% 50중량% 40중량% 40중량% 40중량%
커플링제 - - - - 20중량% 20중량% 20중량%
내층
(20%)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공중합체 - - - - - - -
메탈로센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90
중량%
75
중량%
50
중량%
25
중량%
- - -
스티렌계고무 10
중량%
25
중량%
50
중량%
75
중량%
- -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 - - - 100
중량%
- 50
중량%
n-부틸아크릴레이트 - - - - - 100
중량%
50
중량%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보호필름에 대하여 점착력, 배면이형성, 롤풀림성, 이물개수, 점착성 백점현상, 점착제 전이 전사, 스탑라인 형성여부, 뜰뜸 현상 발생여부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점착력은 KS A 1107 규격에 따라 UTM [㈜테스트원, 2006년]을 이용하여 SUS304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보호필름의 배면 이형성은 필름의 내층(점착층)과 외층(스킨층)을 3kg 롤러로 부착하여 합지한 후, 10분 뒤에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박리강도 값이 낮을수록 필름 배면 이형성이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권취 상태 풀림성은 보호필름을 롤 상태로 권취한 후 손으로 풀었을 때 소음 등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여 소음 발생 없이 풀리는 경우를 양호로 평가하고 풀리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를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이물 개수, 점착성 백점 현상의 경우 암실 내 삼파장 램프에서 육안으로 관찰하고 개수를 종합하였다. 필름의 점착제 전이 전사 및 스탑 라인(Stop line)은 PET 및 PMMA Sheet에 보호필름을 부착하고, 80도 Convection oven에 6시간 방치한 후, 필름 박리 시 암실의 삼파장 램프에서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들뜸 발생은 3kg 롤러로 프리즘 필름에 직접 붙여 들뜸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점착력
(gf/25mm)
20 45 72 200 250
배면이형성
(gf/25mm)
4 8 15 45 50
롤풀림성 우수 우수 우수 양호 양호
이물개수
(ea/m2)
2개 이하 2개 이하 3개 이하 10개 이하 10개 이하
점착성 백점현상
(ea/m2)
2개 이하 2개 이하 3개 이하 8개 이하 8개 이하
점착제
전이 전사
우수 우수 우수 양호 양호
스탑라인
형성여부
우수 우수 우수 양호 양호
들뜸현상
여부
미세들뜸 없음 없음 없음 없음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점착력
(gf/25mm)
15 30 60 120 8 250 200 300
배면이형성
(gf/25mm)
10 25 120 250 10 400 300 150
롤풀림성 양호 양호 불량 불량 양호 불량 불량 불량
이물개수
(ea/m2)
2개 이하 5개 이하 10개 이하 25개 이하 100개 이하 100개 이상 100개 이상 100개 이상
점착성 백점현상
(ea/m2)
2개 이하 5개 이하 10개 이하 15개 이하 없음 발생 심함 발생 심함 100개 이상
점착제
전이 전사
양호 양호 발생 발생심함 없음 발생 심함 발생 심함 발생 심함
스탑라인
형성여부
미세발생 발생 발생심함 발생심함 없음 발생심함 발생심함 발생심함
들뜸현상
여부
미세들뜸 미세들뜸 없음 없음 들뜸 없음 없음 없음
상기 표 3을 보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 및 초저밀도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을 내층에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 내지 5의 보호필름이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동시에 외층에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배면이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5 내지 7과 비교하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대비하여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동시에 우수한 배면이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자기점착 보호필름, 11: 외층, 12: 중층, 13: 내층

Claims (9)

  1. 외층, 중층 및 내층으로 이루어진 자기점착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내층은 내층 총 중량 대비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코폴리머 25~50중량% 및 폴리에틸렌 50~75중량%을 포함하는 점착층이고,
    상기 중층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와 커플링제를 포함하고,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의 배면 이형성이 2 내지 80 gf/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에틸렌 아크릴산,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층은 중층 총 중량 대비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 50~90중량% 및 커플링제 10~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이루어고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점착력이 5 내지 300 gf/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27801A 2016-03-08 2016-03-08 우수한 점착력과 배면 이형력을 갖는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KR101739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01A KR101739418B1 (ko) 2016-03-08 2016-03-08 우수한 점착력과 배면 이형력을 갖는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01A KR101739418B1 (ko) 2016-03-08 2016-03-08 우수한 점착력과 배면 이형력을 갖는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418B1 true KR101739418B1 (ko) 2017-05-26

Family

ID=5905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801A KR101739418B1 (ko) 2016-03-08 2016-03-08 우수한 점착력과 배면 이형력을 갖는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386B1 (ko) * 2019-03-25 2019-11-21 주식회사 한엘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 포밍시 적용되는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제조 방법 그리고 이러한 보호 필름을 이용한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706B1 (ko) 2012-12-20 2013-10-10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도광판 보호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KR101332315B1 (ko) 2012-12-21 2013-11-25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고점착성 메탈로센 보호 필름
WO2015076332A1 (ja) * 2013-11-21 2015-05-28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706B1 (ko) 2012-12-20 2013-10-10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도광판 보호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KR101332315B1 (ko) 2012-12-21 2013-11-25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고점착성 메탈로센 보호 필름
WO2015076332A1 (ja) * 2013-11-21 2015-05-28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386B1 (ko) * 2019-03-25 2019-11-21 주식회사 한엘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 포밍시 적용되는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제조 방법 그리고 이러한 보호 필름을 이용한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9723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JP5446369B2 (ja) 粘着フィルム
EP2116580A1 (en) Surface protection sheet
KR101332315B1 (ko) 고점착성 메탈로센 보호 필름
JP200808170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94337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TWI541129B (zh) Surface protection film
KR101154877B1 (ko) 편광판 제조공정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JP573819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323690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KR102509299B1 (ko) 적층 필름
JP2009263510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739418B1 (ko) 우수한 점착력과 배면 이형력을 갖는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JP5445023B2 (ja) 粘着フイルム
KR101316706B1 (ko) 도광판 보호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JP201024207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6043560A (ja) 積層二軸延伸フィルム
KR101383995B1 (ko) 다층구조의 편광판 보호용 필름
KR101553815B1 (ko) 자기 점착성 보호필름
JP200810107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316707B1 (ko) 사출도광판 보호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WO2011096351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997961B2 (ja) 二軸延伸自己粘着性プロテクトフィルム
JP561939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9287005A (ja) 粘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