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355B1 - 상품 배출게임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배출게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9355B1 KR101739355B1 KR1020140179150A KR20140179150A KR101739355B1 KR 101739355 B1 KR101739355 B1 KR 101739355B1 KR 1020140179150 A KR1020140179150 A KR 1020140179150A KR 20140179150 A KR20140179150 A KR 20140179150A KR 101739355 B1 KR101739355 B1 KR 1017393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frame
- push bar
- goods
- soleno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배출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내에 구비된 상품보관부내에 부피가 큰 상품을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부피가 작은 상품은 물론 부피가 큰 상품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레임의 타측내에 형성된 상품보관부내에 부피가 큰 상품을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부피가 작은 상품은 물론 부피가 큰 상품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품 배출게임장치는 단순히 화면상으로만 게임을 제공하는 일반 게임장치와는 달리 사용자의 게임 결과에 따라 실제 경품을 배출하기 때문에 게임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유인요인이 높아지게 되어 게임제공자는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경품을 배치할 수 있는 게임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구비되는 경품의 개수 및 크기에 대비하여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경품 배출게임장치가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 20-2010-0005013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 20-2010-0005013호는 경품이 놓여지는 전후면이 개방된 수납셀의 크기가 작아 상기 수납셀내에 부피가 작은 경품을 수용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부피가 큰 경품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프레임의 타측내에 형성된 상품보관부내에 부피가 큰 상품을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부피가 작은 상품은 물론 부피가 큰 상품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측에 투명창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내에 구비되고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칸막이부와; 상기 프레임내에서 전후이동하는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를 상하좌우전후이동시키는 푸쉬바구동부와; 상기 푸쉬바구동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관통구를 관통한 상기 푸쉬바를 감지하는 푸쉬바감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내에 형성되고, 전측에 상품인출용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푸쉬바를 감지하는 상기 푸쉬바감지부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락이 구비되는 상품보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일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투명창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내부를 개폐하는 일측도어와; 상기 프레임의 전면 타측에 타측이 축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부에 형성된 상기 상품보관부를 개폐하는 타측도어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와; 상기 일측도어의 타측과 상기 타측도어의 일측을 상기 구획부의 전면 일측과 상기 구획부의 전면 타측에 각각 결합 및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의 전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슬릿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 중 상기 일측도어의 타측을 상기 구획부의 전면 일측에 결합 및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는 상기 잠금부는 상기 일측도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일측도어의 타측 내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프레임과;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일측도어의 전측 외부로 전측이 상하이동가능하게 노출되는 손잡이프레임과;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슬릿내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부에 상품전시용선반이 상하방향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상품전시용선반의 상부면에 상기 상품전시용 선반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바가 상기 상품전시용 선반의 일측에서 상기 상품전시용 선반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푸쉬바감지부는 푸쉬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푸쉬바감지부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푸쉬바감지부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 타측에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부에 형성된 상기 상품보관부를 개폐하는 타측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도어의 내측에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상부가 축결합되며,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하부에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하부에서 상기 상품보관부내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슬릿이 형성되는 걸림고정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걸림고정판부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고정판부재의 고정슬릿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작동봉이 구비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의 일측과 상기 작동봉의 타측에 각각 수평형성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부 사이의 작동봉 부위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축부재의 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푸쉬바를 감지하는 상기 푸쉬바감지부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의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 타측에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부에 형성된 상기 상품보관부를 개폐하는 타측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도어의 내측 상부에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상부가 축결합되며,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하부에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하부에서 상기 상품보관부내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슬릿이 형성되는 걸림고정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걸림고정판부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고정판부재의 고정슬릿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작동봉이 구비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의 일측과 상기 작동봉의 타측에 각각 수평형성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부 사이의 작동봉 부위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축부재의 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도어의 전측에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버튼과; 상기 푸쉬바를 감지하는 상기 푸쉬바감지부의 감지여부 및 상기 제어버튼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의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품보관부내에 상품전시용선반이 상하방향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제어버튼에 발광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품전시용선반에 안착된 상품을 감지하는 상품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감지부의 상품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타측내에 형성된 상품보관부내에 부피가 큰 상품을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부피가 작은 상품은 물론 부피가 큰 상품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품 배출게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일측도어와 타측도어가 프레임의 내부를 폐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잠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잠금부가 일측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잠금부의 손잡이프레임의 전측이 일측도어의 전측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잠금부의 걸림고정편이 고정슬릿내에 걸림고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프레임의 일측내에서 상품전시용선반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푸쉬바 감지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0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푸쉬바 감지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0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어락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어락을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어버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은 상품인출용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품인출용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솔레노이드 작동봉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일측도어와 타측도어가 프레임의 내부를 폐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잠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잠금부가 일측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잠금부의 손잡이프레임의 전측이 일측도어의 전측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잠금부의 걸림고정편이 고정슬릿내에 걸림고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프레임의 일측내에서 상품전시용선반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푸쉬바 감지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0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푸쉬바 감지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0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어락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어락을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어버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은 상품인출용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품인출용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솔레노이드 작동봉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품 배출게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일측도어와 타측도어가 프레임의 내부를 폐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상품 배출게임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에 투명창(111)이 구비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내에 구비되고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210)가 형성되는 칸막이부(20)와; 상기 프레임(10)내에서 전후이동하는 푸쉬바(30)와; 상기 푸쉬바(30)를 상하좌우전후이동시키는 푸쉬바구동부(40)와; 상기 푸쉬바구동부(40)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50)와; 상기 칸막이부(20)의 관통구(210)를 관통한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하는 푸쉬바감지부(도 10 및 도 11의 60)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내에 형성되는 상품보관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 상기 칸막이부(20), 상기 푸쉬바(30), 상기 푸쉬바구동부(40) 및 상기 조작부(50)는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 20-2010-0005013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상품보관부(70)의 전측에는 상품인출용 도어(710)가 구비된다.
또한, 상품보관부(70)의 전측에는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하는 상기 푸쉬바감지부(60)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락(도 15의 720)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내부를 개폐하는 일측도어(110), 상기 상품보관부(70)를 개폐하는 타측도어(120), 구획부(130) 및 잠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도어(110)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10)의 전면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도어(110)의 내측에는 강화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투명창(1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도어(120)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10)의 전면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도어(120)의 내측에는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가 상기 타측도어(1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3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구획판(131)과; 상기 구획판(131)과 직교를 이룬 상태로 상기 구획판(131)의 전측에 상기 구획판(131)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면판(132);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일측도어(110)의 타측과 상기 타측도어(120)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일측도어(110)의 타측과 상기 타측도어(120)의 일측을 상기 구획부(130)의 전면판(132)의 일측과 상기 구획부(130)의 전면판(132) 타측에 각각 결합 및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잠금부는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구획부(130)의 전면판(132) 일측에는 상기 전면판(132)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슬릿(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슬릿(133)은 상기 전면판(132)의 일측에 상기 전면판(132)의 상부에서 상기 전면판(132)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잠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잠금부가 일측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잠금부의 손잡이프레임의 전측이 일측도어의 전측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잠금부 중 상기 일측도어(110)의 타측을 상기 구획부(130)의 전면판(132) 일측에 결합 및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는 상기 잠금부(15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하이동프레임(151), 손잡이프레임(152) 및 걸림고정편(1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51)은 상기 일측도어(1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51)의 전측은 상기 일측도어(11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투명창(111)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51)은 상기 일측도어(110)의 타측 내면에 작업자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도어(110)의 타측 내면과 접하는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51)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154)이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5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154)내에는 상기 일측도어(110)의 타측 내면에 느슨하게 체결되는 체결볼트 등의 체결부재(155)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프레임(152)은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51)의 전측 하부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프레임(152)의 전측은 상기 일측도어(110)의 투명창(11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도어(110)의 전면 타측에 상하연장형성되는 관통슬릿(112)을 관통하여 상기 일측도어(110)의 전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관통슬릿(112)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도어(110)의 관통슬릿(112) 일측주변과 상기 관통슬릿(112)의 타측주변의 상기 일측도어(110)의 표면부위에는 상기 일측도어(110)의 전방방향으로 전후연장형성되는 고정편(113)이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편(113) 사이에 상기 손잡이프레임(152)의 전측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고정편(113)의 중간부와 상기 손잡이프레임(152)의 전측 중간부를 관통하는 잠금고리가 구비된 자물쇠 등의 위치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손잡이프레임(152)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잠금고리가 구비된 자물쇠 등의 위치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편(113)과 상기 손잡이프레임(152)의 전측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프레임(152)의 전측 상부에 수평형성되어 상기 고정편(113)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156)를 이용하여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51)을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편(153)은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51)의 후측 단부에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51)의 후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5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잠금부의 걸림고정편이 고정슬릿내에 걸림고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편(153)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고정편(153)의 하부에서 상기 걸림고정편(153)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걸림고정홈(15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홈(157)내에 상기 고정슬릿(133)의 하부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구획부(130)의 전면판(132) 부위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걸림고정편(153)은 상기 고정슬릿(133)내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프레임의 일측내에서 상품전시용선반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상품전시용선반(100)이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내부에 복수구비된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의 상부에는 인형 등의 부피가 작은 상품이 일정간격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내부에 복수구비된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의 상부에 안착된 인형 등의 부피가 작은 상품이 상기 푸쉬바(30)에 의해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의 전측에서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의 후측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의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품전시용 선반(10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바(101)가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의 일측에서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과 다른 하나의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 사이에 상기 칸막이부(20)가 수직구비되도록 복수의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칸막이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부(20)가 구비된 어느 하나의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과 다른 하나의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 사이에는 부피가 작은 저가의 인형 등의 상품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푸쉬바 감지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0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과 다른 하나의 상기 상품전시용선반(100) 사이에 장방형의 고정판(102)이 일체형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02)의 전면 각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고정판(102)의 전측외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대(103)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장방형의 상기 칸막이부(20)의 각 모서리부위는 상기 고정대(103)가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품보관부(70)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품전시용선반(730)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품보관부(70)내의 상기 상품전시용선반(730)의 상부면에는 부피가 큰 고가의 미니PC, 인형 등의 상품이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푸쉬바감지부(6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구성이 우수한 푸쉬버튼,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푸쉬바감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푸쉬버튼은 상기 고정판(102)의 전면 일측에서 상기 고정판(102)의 전면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품보관부(70)내의 고가의 부피가 큰 상품 중 원하는 상품을 얻고자 하는 이용자는 상기 조작부(50)를 조작하여 상기 푸쉬바(30)를 원하는 상품에 해당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푸쉬버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푸쉬버튼내에는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발광부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가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평상시 빛을 발광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푸쉬바(30)가 상기 칸막이부(20)의 관통구(210)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상기 푸쉬바감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어느 하나의 상기 푸쉬버튼을 누름조작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푸쉬바감지부(60)가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빛을 발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푸쉬바감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상기 푸쉬버튼에 내장된 발광부가 빛을 발광하지 않을 경우 이용자는 빛을 발광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상기 푸쉬바감지부(60)에 해당하는 고가의 상품이 상기 상품보관부(70)내에 없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푸쉬바 감지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0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다음으로, 상기 푸쉬바감지부(60)는 상기 접촉식 푸쉬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상기 푸쉬바감지부(60)의 수명연장을 위해, 상기 푸쉬바감지부(60)는 비접촉식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근접센서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일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광소자(610)와 수광소자(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610)는 상기 칸막이부(20)의 관통구(2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칸막이부(2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광소자(620)는 상기 칸막이부(20)의 관통구(2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칸막이부(20)의 후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610)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수광소자(620)가 상기 발광소자(610)의 빛을 수광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바감지부(60)가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광소자(620)가 상기 발광소자(610)의 빛을 수광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바감지부(60)가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도 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어락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어락을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타측도어(120)의 내측에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상부 타측이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도어(120)의 전면의 반대측인 상기 타측도어(120)의 후면부위에 보호커버(74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740)의 내부에는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도어(120)의 후면 중심부위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고정되는 상기 도어락(720)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6은 제어버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은 상품인출용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내측에는 강화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투명창(71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은 상품인출용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전측에서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걸림고정판부재(7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판부재(750)의 중심부부위에는 상기 걸림고정판부재(750)를 따라 전후연장형성되는 고정슬릿(75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솔레노이드 작동봉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락(720)으로서 자물쇠와 열쇠를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상기 열쇠의 분실우려가 있음으로, 상기 도어락(720)은 도 19 및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솔레노이드(721), 축부재(722) 및 탄성부재(723)로 구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721)는 상기 걸림고정판부재(75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도어(120)의 후면 중심부위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복수개로 수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721)에는 상기 걸림고정판부재(750)의 고정슬릿(751)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작동봉(72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722)는 상기 솔레노이드(721)의 작동봉(721a)의 일측 중간부와 상기 작동봉(721a)의 타측 중간부에 각각 수평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723)는 상기 축부재(722)의 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721)의 상부 사이의 상기 작동봉(721a) 부위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축부재(722)의 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721)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재(722)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하는 상기 푸쉬바감지부(60)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721)의 작동봉(721a)의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푸쉬바감지부(60)가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한 어느 하나의 상기 푸쉬바감지부(60)와 연동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솔레노이드(721)로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공급되어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솔레노이드(721)의 작동봉(721a)이 하강하면서 상기 탄성부재(723)는 수축될 수 있고, 이로서, 상기 작동봉(721a)의 상부가 어느 하나의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걸림고정판부재(750)의 고정슬릿(751)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이용자는 어느 하나의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하부를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상품보관부(70)의 내부를 개방하여 상기 상품보관부(70)의 내부에 수납된 어느 하나의 부피가 큰 고가의 미니PC, 인형 등의 상품을 꺼낼 수 있다.
상기 푸쉬바감지부(60)가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721)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수축상태인 상기 탄성부재(723)가 팽창되면서 상기 솔레노이드(721)의 작동봉(721a)은 상승하면서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봉(721a)의 상부가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걸림고정판부재(750)의 고정슬릿(751)내에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도어(120)의 전측에는 누름식 버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어버튼(80)이 상기 타측도어(1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버튼(80)은 상기 솔레노이드(721)의 작동봉(721a)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하는 상기 푸쉬바감지부(60)의 감지여부 및 상기 제어버튼(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721)의 작동봉(721a)의 승강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버튼(80)내에는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발광부가 내장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푸쉬버튼내에는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발광부가 내장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푸쉬바감지부(60)가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상기 푸쉬바감지부(60)와 연동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제어버튼(80)의 발광부는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용자는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빛을 발광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제어버튼(80)을 ON상태로 누름조작하게 되고, 이때,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한 어느 하나의 상기 푸쉬바감지부(60)와 연동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솔레노이드(721)로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용자가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어버튼(80)을 누름조작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푸쉬바(30)를 감지한 어느 하나의 상기 푸쉬바감지부(60)와 연동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솔레노이드(721)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상품보관부(70)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구비되는 상기 상품전시용선반(730)에는 상기 상품전시용선반(730)에 부피가 큰 고가의 상품이 안착된 부피가 큰 고가의 상품을 감지하는 상품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품감지부는 상기 상품전시용선반(730)에 구비되어 상기 상품전시용선반(730)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감지부의 상품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버튼(80)에 내장된 상기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기준하중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품감지부를 이룰 수 있는 하중감지센서가 측정한 하중값이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기준하중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어버튼(80)의 발광부는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상품감지부를 이룰 수 있는 하중감지센서가 측정한 하중값이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기준하중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어버튼의 발광부는 빛을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과 마주하도록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타측도어(120)의 내측에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금속재질의 고정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의 후면 일측에는 자석 등의 부착부재(712)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석 등의 상기 부착부재(712)는 상기 고정틀(121)의 일측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710)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내에 형성된 상기 상품보관부(70)내에 부피가 큰 상품을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부피가 작은 상품은 물론 부피가 큰 상품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10; 메인프레임, 20; 칸막이부,
30; 푸쉬바, 40; 푸쉬바구동부,
50; 조작부, 60; 푸쉬바감지부,
70; 상품보관부.
30; 푸쉬바, 40; 푸쉬바구동부,
50; 조작부, 60; 푸쉬바감지부,
70; 상품보관부.
Claims (10)
- 전측에 투명창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내에 구비되고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칸막이부와;
상기 프레임내에서 전후이동하는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를 상하좌우전후이동시키는 푸쉬바구동부와;
상기 푸쉬바구동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관통구를 관통한 상기 푸쉬바를 감지하는 푸쉬바감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내에 형성되고, 전측에 상품인출용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푸쉬바를 감지하는 상기 푸쉬바감지부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락이 구비되는 상품보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 타측에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부에 형성된 상기 상품보관부를 개폐하는 타측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도어의 내측에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상부가 축결합되며,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하부에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하부에서 상기 상품보관부내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슬릿이 형성되는 걸림고정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걸림고정판부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고정판부재의 고정슬릿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작동봉이 구비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의 일측과 상기 작동봉의 타측에 각각 수평형성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부 사이의 작동봉 부위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축부재의 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푸쉬바를 감지하는 상기 푸쉬바감지부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의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
- 전측에 투명창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내에 구비되고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칸막이부와;
상기 프레임내에서 전후이동하는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를 상하좌우전후이동시키는 푸쉬바구동부와;
상기 푸쉬바구동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관통구를 관통한 상기 푸쉬바를 감지하는 푸쉬바감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내에 형성되고, 전측에 상품인출용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푸쉬바를 감지하는 상기 푸쉬바감지부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락이 구비되는 상품보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 타측에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부에 형성된 상기 상품보관부를 개폐하는 타측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도어의 내측 상부에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상부가 축결합되며,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하부에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의 하부에서 상기 상품보관부내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슬릿이 형성되는 걸림고정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걸림고정판부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고정판부재의 고정슬릿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작동봉이 구비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의 일측과 상기 작동봉의 타측에 각각 수평형성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부 사이의 작동봉 부위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축부재의 하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도어의 전측에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버튼과;
상기 푸쉬바를 감지하는 상기 푸쉬바감지부의 감지여부 및 상기 제어버튼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의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도어가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부에 형성된 상기 상품보관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타측도어의 타측이 상기 프레임의 전면 타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타측도어의 내측에 상기 상품인출용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일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투명창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내부를 개폐하는 일측도어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와;
상기 일측도어의 타측과 상기 타측도어의 일측을 상기 구획부의 전면 일측과 상기 구획부의 전면 타측에 각각 결합 및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전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슬릿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 중 상기 일측도어의 타측을 상기 구획부의 전면 일측에 결합 및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는 상기 잠금부는 상기 일측도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일측도어의 타측 내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프레임과;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일측도어의 전측 외부로 전측이 상하이동가능하게 노출되는 손잡이프레임과;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구획부의 고정슬릿내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부에 상품전시용선반이 상하방향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상품전시용선반의 상부면에 상기 상품전시용 선반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바가 상기 상품전시용선반의 일측에서 상기 상품전시용선반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바감지부는 푸쉬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바감지부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바감지부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보관부내에 상품전시용선반이 상하방향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제어버튼에 발광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품전시용선반에 안착된 상품을 감지하는 상품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감지부의 상품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배출게임장치.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15317 | 2014-09-01 | ||
KR1020140115317 | 2014-09-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6609A KR20160026609A (ko) | 2016-03-09 |
KR101739355B1 true KR101739355B1 (ko) | 2017-05-24 |
Family
ID=5553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9150A KR101739355B1 (ko) | 2014-09-01 | 2014-12-12 | 상품 배출게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935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99698A (zh) * | 2018-06-13 | 2019-12-20 | 菜鸟智能物流控股有限公司 | 货物存取柜以及利用其收取和发放货物的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1025B2 (ja) | 1994-10-19 | 2001-05-28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走行位置表示装置 |
JP2003325918A (ja) | 2002-05-17 | 2003-11-18 | Chuto Sangyo Kk | ゲーム機の施錠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5013U (ko) | 2008-11-06 | 2010-05-14 | 송희석 | 경품배출 게임장치 |
-
2014
- 2014-12-12 KR KR1020140179150A patent/KR1017393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1025B2 (ja) | 1994-10-19 | 2001-05-28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走行位置表示装置 |
JP2003325918A (ja) | 2002-05-17 | 2003-11-18 | Chuto Sangyo Kk | ゲーム機の施錠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6609A (ko) | 2016-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47380C2 (ru) |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 |
JP5992782B2 (ja) | 冷蔵庫 | |
US2506086A (en) | Automatic cabinet | |
US9903635B2 (en) |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keep-fresh container the front wall of which is an outer wall of the appliance | |
KR101739355B1 (ko) | 상품 배출게임장치 | |
US20090273259A1 (en) | Mobile Storage Assembly | |
KR20070013137A (ko) | 냉장고 | |
KR200411804Y1 (ko) | 다용도 보관함 | |
KR100775822B1 (ko) | 냉장고의 선반 높이 조절 장치 | |
JP5354464B2 (ja) | 内引き出し付きキャビネット | |
US6651797B1 (en) | In-wall coin bank with novelty face | |
KR102057987B1 (ko) | 냉장고 | |
JP7284637B2 (ja) | 冷蔵庫 | |
CN109641157B (zh) | 行驶玩具及利用该行驶玩具的游戏装置 | |
US11261077B1 (en) | Adjustable drip tray for a dispensing assembly | |
JP2016055124A (ja) | キャビネット | |
JPS6037658Y2 (ja) | ホテル客室用冷蔵庫の商品棚開放装置 | |
US20040134247A1 (en) | Merchandise container | |
KR100621107B1 (ko) | 냉장고 | |
KR100468647B1 (ko) | 대량 수납용 신발장 | |
KR102440981B1 (ko)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 도어 | |
CN220530125U (zh) | 一种便携式智能医疗箱 | |
CN215341267U (zh) | 无人售卖设备及前门机构 | |
CN212747012U (zh) | 一种智能存储柜 | |
KR200337299Y1 (ko) | 신발 보관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