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729B1 -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729B1
KR101738729B1 KR1020140024576A KR20140024576A KR101738729B1 KR 101738729 B1 KR101738729 B1 KR 101738729B1 KR 1020140024576 A KR1020140024576 A KR 1020140024576A KR 20140024576 A KR20140024576 A KR 20140024576A KR 101738729 B1 KR101738729 B1 KR 101738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weight
acrylic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551A (ko
Inventor
라병호
김지혜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2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72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4Glass
    • C09J2400/143Glass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 C09J2400/163Metal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5/00Presence of ABS
    • C09J2455/006Presence of ABS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9/00Presence of polycarbonate
    • C09J2469/006Presence of polycarbonat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아크릴 단량체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개시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PGDA)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HIGH SHEARING STRENGTH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착제는 사용의 용이성 때문에 시트, 필름, 라벨, 테이프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여러가지 고기능성 및 내구 신뢰성이 요구되는 광학필름용 점착제까지도 그 적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제는 고무계, 아크릴계, 및 실리콘계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다양한 응용 특성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아크릴계 점착제는 주로 상온에서 가벼운 압력을 가해주면 우수한 점착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점착제를 구성하는 폴리머 분자가 유동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압력에 민감하게 작용하여 피착제에 접착하게 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내후성, 내열성, 내 화학성 등이 우수하며 아크릴계 모노머는 다른 비닐 모노머와의 공중합성이 활발하므로 피착 물질의 극성을 고려하여 임의로 폴리머 분자 중에 극성기를 도입할 수도 있고 목적에 적합한 점착제를 비교 적 쉽게 만들 수가 있어서 다양한 응용 특성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nsive, PSA)란 약한 압력으로도 충분히 피착면에 접착시킬 수 있고, 이것을 탈착시킬 경우에도 피착면에 흔적을 남기지 않고 쉽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점착성 및 점착 강도를 유지하여 재점착이 가능한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말하는 것으로, 특히,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의 물성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제1 아크릴 단량체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개시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PGDA)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아크릴 단량체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개시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20436217-pat00001
상기 화학식 1 중
R은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고, n은 3~3,000의 정수이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내지 0.6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단량체는 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계,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계,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계,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계 및 아크릴 또는 메타아크릴의 측쇄에 환상의 구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점도는 25℃에서 1,000cps 내지 100,000cps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α,α-methoxy-α-hydroxyacetophenone; Irgacure #651), 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Irgacure #184),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on(2-methyl-1[4-(methy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 Irgacure #907) 및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Irgacure #117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킨 감압 점착제를 제공한다.
상기 감압 점착제는 하기 일반식 1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1]
X1 = 20 ㎏/in2
상기 일반식 1에서, X1는 상기 감압 점착제의 일면을 제1 기재에 부착하고, 6㎏으로 30초 동안 가압한 후, 2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1mm/min의 크로스헤드 속도로 측정한 전단 강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1 기재는 스테인레스(SUS) 또는 유리일 수 있다.
상기 감압 점착제는 하기 일반식 2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2]
X2 = 2200 g/in
상기 일반식 2에서, X2는 상기 감압 점착제의 일면을 제2 기재에 부착하고, 2㎏ 롤러로 2회 왕복하여 부착한 후, 2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90도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박리 강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2 기재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a) 제1 아크릴 단량체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를 광중합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광개시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교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20436217-pat00002
상기 화학식 1 중
R은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고, n은 3~3,0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PGDA)계 가교제가 감압 점착제 조성물 내 강한 수소 결합을 유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인 감압 점착제는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에서 높은 전단 강도를 가지면서도,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에서 박리 강도 또한 우수하다.
본 발명자들은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감압 점착제 조성물에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PGDA)계 가교제를 포함시킴으로써, 높은 전단 강도를 가지면서도, 박리 강도가 우수한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1 아크릴 단량체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개시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20436217-pat00003
상기 화학식 1 중
R은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고, n은 3~3,000의 정수이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내 제1 아크릴 단량체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종래에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내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와 같은 산(acid)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에서 높은 전단 강도를 가지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내 산(acid)의 함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에서 박리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가교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PGDA)계 가교제인 것으로, 가교제 내부에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단위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단위가 3~3,000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교제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약 250 내지 약 144,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 내부에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단위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단위가 3~210개 반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가교제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약 250 내지 약 10,000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바람직하게, 가교제 내부에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단위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단위가 3~300개 반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가교제는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바, 다루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가교제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약 300 내지 약 20,000일 수 있다.
즉, 상기 가교제는 가교제 내부에 많은 에테르(-O-) 산소를 가지므로, 이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내 강한 수소 결합을 유도한다. 이와 같이 감압 점착제 조성물 내 강한 수소 결합으로 인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 내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와 같은 산(acid)의 함량을 늘리지 않더라도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에서 높은 전단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내지 0.6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가교제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 감압 점착제 내부의 응집력이 낮아 충분한 전단 강도가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가교제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6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감압 점착제의 경화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박리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가교제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등의 용제에 녹아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단량체는 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계,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계,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계,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계 및 아크릴 또는 메타아크릴의 측쇄에 환상의 구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계는 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아크릴 또는 메타아크릴의 측쇄에 환상의 구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는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트페녹시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사이틀로헥산아크릴레이트, 사이클릭트리에틸프로판포말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및 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아크릴 단량체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류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류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이타코닉산, 무수말레인산 및 베타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로 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점도는 25℃에서 1,000cps 내지 100,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개시제는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α,α-methoxy-α-hydroxyacetophenone; Irgacure #651), 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Irgacure #184),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on(2-methyl-1[4-(methy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 Irgacure #907) 및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Irgacure #117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광개시제로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α,α-methoxy-α-hydroxyacetophenone; Irgacure #651)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킨 감압 점착제를 제공한다.
상기 감압 점착제는 기 일반식 1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1]
X1 = 20 ㎏/in2
상기 일반식 1에서, X1는 상기 감압 점착제의 일면을 제1 기재에 부착하고, 6㎏으로 30초 동안 가압한 후, 2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1mm/min의 크로스헤드 속도로 측정한 전단 강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1 기재는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인 것으로, 표면 에너지가 250 dyne/㎝ 내지 1000 dyne/㎝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테인레스(SUS) 또는 유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감압 점착제는 하기 일반식 2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2]
X2 = 2200 g/in
상기 일반식 2에서, X2는 상기 감압 점착제의 일면을 제2 기재에 부착하고, 2㎏ 롤러로 2회 왕복하여 부착한 후, 2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90도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박리 강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2 기재는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인 것으로, 표면 에너지가 30 dyne/㎝ 내지 60 dyne/㎝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a) 제1 아크릴 단량체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를 광중합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광개시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교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20436217-pat00004
상기 화학식 1 중
R은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고, n은 3~3,000의 정수이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내지 0.6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PGDA)계 가교제가 감압 점착제 조성물 내 강한 수소 결합을 유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인 감압 점착제는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에서 높은 전단 강도를 가지면서도,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에서 박리 강도 또한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0g과 극성 모노머 아크릴산 10g을 1L 반응기에서 광중합시켜 점도가 3,500cPs인 공중합체 100g을 얻었다. 여기에, 광개시제로서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Irgacure #651) 0.5g 및 가교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 0.2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가교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 0.4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가교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 0.6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가교제로서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4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8g과 극성 모노머 아크릴산 12g을 1L 반응기에서 광중합시켜 점도가 3,500cPs인 공중합체 100g을 얻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전단 강도 측정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인 감압 점착제를 1in ×1 in(가로×세로)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시편의 일면을 스테인레스(SUS)에 부착하고, 6㎏으로 30초 동안 가압한 후, 25℃의 온도에서 3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인장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1mm/min의 크로스헤드 속도로 전단 강도를 측정하였다.
2. 박리 강도 측정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인 감압 점착제를 1in ×5 in(가로×세로)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시편의 일면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에 부착하고, 2㎏ 롤러로 2회 왕복하여 부착한 후, 25℃의 온도에서 3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박리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90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전단 강도 및 박리 강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구분 아크릴계 공중합체
(g)
광개시제
(g)
가교제
(g)
전단 강도
(㎏/in2)
박리 강도
(g/in)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Irgacure #651 PEGDA HDDA
실시예 1 90 10 0.5 0.2 - 21 2250
실시예 2 90 10 0.5 0.4 - 30 2300
실시예 3 90 10 0.5 0.6 - 32 2280
비교예 1 90 10 0.5 - 0.4 20 2200
비교예 2 88 12 0.5 - 0.4 25 1400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실시예 1~3에 따른 감압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계 가교제가 감압 점착제 조성물 내 강한 수소 결합을 유도하여, 실시예 1~3에 따른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인 감압 점착제는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인 스테인레스(SUS)에서 21 ㎏/in2 이상의 높은 전단 강도를 가지면서도,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에서 박리 강도가 2250g/in 이상으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2의 경우, 아크릴산의 함량의 증가로 인해 감압 점착제가 딱딱해져서 견딜 수 있는 힘이 높아지므로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인 스테인레스(SUS)에서 25㎏/in2 의 높은 전단 강도를 가지나,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기재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에서 박리 강도가 1400g/in으로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제1 아크릴 단량체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개시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내 제1 아크릴 단량체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80중량부 내지 95중량부이며,
    상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인 것인 감압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122688637-pat00005

    상기 화학식 1 중
    R은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고, n은 10~3,00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내지 0.6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 단량체는 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계,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계,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계,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계 및 아크릴 또는 메타아크릴의 측쇄에 환상의 구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감압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인
    감압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점도는 25℃에서 1,000cps 내지 100,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α,α-methoxy-α-hydroxyacetophenone; Irgacure #651), 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Irgacure #184),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on(2-methyl-1[4-(methy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 Irgacure #907) 및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Irgacure #117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감압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킨
    감압 점착제.
  8. 제7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1의 조건을 만족하는 감압 점착제:
    [일반식 1]
    X1 = 20 ㎏/in2
    상기 일반식 1에서, X1는 상기 감압 점착제의 일면을 제1 기재에 부착하고, 6㎏으로 30초 동안 가압한 후, 2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1mm/min의 크로스헤드 속도로 측정한 전단 강도를 나타낸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는 스테인레스(SUS) 또는 유리인
    감압 점착제.
  10. 제7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2의 조건을 만족하는 감압 점착제:
    [일반식 2]
    X2 = 2200 g/in
    상기 일반식 2에서, X2는 상기 감압 점착제의 일면을 제2 기재에 부착하고, 2㎏ 롤러로 2회 왕복하여 부착한 후, 2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90도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박리 강도를 나타낸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재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인
    감압 점착제.
  12. (a) 제1 아크릴 단량체 및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를 광중합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광개시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교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교제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내 제1 아크릴 단량체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80중량부 내지 95중량부이고,
    상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제2 아크릴 단량체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인 것인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6122688637-pat00007

    상기 화학식 1 중
    R은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고, n은 10~3,000의 정수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내지 0.6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40024576A 2014-02-28 2014-02-28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8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576A KR101738729B1 (ko) 2014-02-28 2014-02-28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576A KR101738729B1 (ko) 2014-02-28 2014-02-28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551A KR20150102551A (ko) 2015-09-07
KR101738729B1 true KR101738729B1 (ko) 2017-05-22

Family

ID=5424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576A KR101738729B1 (ko) 2014-02-28 2014-02-28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3249B2 (ja) * 2017-02-14 2020-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KR102527140B1 (ko) * 2021-07-08 2023-04-27 울산과학기술원 아크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9265A (en) 1982-11-04 1986-07-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KR100434678B1 (ko) * 1995-04-03 2004-10-22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감압성접착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9265A (en) 1982-11-04 1986-07-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KR100434678B1 (ko) * 1995-04-03 2004-10-22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감압성접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551A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1514B1 (ja) 光硬化型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JP5801409B2 (ja) タッチパネル用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KR101603641B1 (ko) 아크릴-실리콘계 하이브리드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134444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leavable crosslinker and methods
CN107532043A (zh) 紫外线固化型粘合片和粘合片
KR101736536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EP3656830B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film
KR101589486B1 (ko)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33008A (ko)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TWI719080B (zh) 黏著片材及附剝離膜之黏著片材
CN106459302B (zh) 可紫外固化的丙烯酸系共聚物
KR101828931B1 (ko) 폴리에틸렌 박리력 및 중합 안정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6112120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KR101614341B1 (ko) 점착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7156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1738729B1 (ko)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040500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剤
JP6461927B2 (ja) 粘着フィルム用光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粘着フィルム
JP6697395B2 (ja) 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ポリマー及びこれを含む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ホットメルト接着剤
CN112074581B (zh) 粘合剂组合物和无基底粘合剂带
KR102012285B1 (ko) 재박리형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KR102171979B1 (ko)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5014A (ko) 저온형 점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28377A (zh) 高触变uv湿气双重固化胶粘剂的制备方法
CN111212882A (zh) 用于软质pvc图形膜和标签的耐增塑剂迁移的uv固化热熔胶粘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