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185B1 -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185B1
KR101736185B1 KR1020150172399A KR20150172399A KR101736185B1 KR 101736185 B1 KR101736185 B1 KR 101736185B1 KR 1020150172399 A KR1020150172399 A KR 1020150172399A KR 20150172399 A KR20150172399 A KR 20150172399A KR 101736185 B1 KR101736185 B1 KR 10173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ightness
driver
smart glas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석
금병직
박성호
윤순표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37/0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3Adaptation to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motion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의 조도 및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부,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시선 검출부, HUD(Head Up Display) 정보를 표시하는 스마트글라스, 및 상기 운전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조도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SMART GLAS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글라스를 착용한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의 내부를 바라보는지에 따라 스마트글라스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차량에는 내비게이션이 장착되어, 운전자에게 목적지와 길 안내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차량의 앞 유리창에 원하는 정보를 투사하여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도 투사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 Head-Up Display)를 장착한 차량이 출시되고 있기도 하다.
나아가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통해 특정 정보를 증강현실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3차원의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한편 기존에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차량으로부터 전방에 있는 대상 물체(예 : 선행 차량, 표지판, 제한속도 등)에 관련된 정보(예 : 자 차량에서 선행 차량까지의 거리, 속도 정보 등)를 표시하여 사용자(즉, 운전자)가 충돌 등의 사고에 대비하여 안전운전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표시영역(예 : 사용자 정면의 일정 영역)이 고정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즉, 운전자)가 스마트글라스(즉, 스마트안경)을 착용할 수 있다. 그런데 항상 차량 밖을 배경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달리 스마트글라스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그 배경이 차량 밖이 될 수도 있고 차량 내부(안)가 될 수도 있다.
즉, 스마트글라스는 그 착용자(즉, 운전자)가 바라보는 방향(즉, 시선)에 따라 배경의 밝기(또는 조도)가 달라질 수 있다. 그 배경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절하지 않을 경우 스마트글라스에 표시되는 정보가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자(즉, 운전자)의 시선에 따라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76242호(2009.07.13.공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스마트글라스를 착용한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의 내부를 바라보는지에 따라 스마트글라스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는, 차량 내부의 조도 및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부;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시선 검출부; HUD(Head Up Display)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스마트글라스; 및 상기 운전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조도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의 조도는, 유리창을 통해서 보이는 방향의 외부 조도를 의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HUD 정보 및 디스플레이 밝기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글라스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외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 내부를 바라보는지 검출하며, 상기 데이터는 차량의 유리창 위치 및 그에 대응하는 운전자 시선의 각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배경 밝기 및 전경 밝기를 조합하거나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표시할 정보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 밝기가 조정되어 생성된 이미지나 영상 데이터를 곧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시선 검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시선이 차량의 내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의 외부를 바라보는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차량 내부를 바라보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차량 내부의 조도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차량 외부를 바라보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차량 외부의 조도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외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 내부를 바라보는지 검출하며, 상기 데이터는 차량의 유리창 위치 및 그에 대응하는 운전자 시선의 각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경 밝기 및 전경 밝기를 조합하거나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표시할 정보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 밝기가 조정되어 생성된 이미지나 영상 데이터를 곧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마트글라스를 착용한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의 내부를 바라보는지에 따라 스마트글라스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는, 조도 검출부(110), 시선 검출부(120), 제어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조도 검출부(110)는 차량 외부의 조도를 검출한다. 여기서 차량 외부의 조도란 차량 유리창을 통해 보이는 외부의 조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조도 검출부(110)는 차량 내부의 조도도 검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도 검출부(110)는 적어도 두 개의 조도 검출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선 검출부(120)는 사용자(즉, 운전자)의 시선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시선 검출부(120)는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이용해 사용자 헤드(즉, 머리)의 방향을 감지하거나, 사용자 시선(예 : 눈동자)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시선 검출부(120)는 사용자의 시선을 정확하고 쉽게 검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예 : 안경, 귀걸이 등)를 사용자의 헤더(예 : 머리, 얼굴, 귀 등)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시선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자의 시선이 기 설정된 기준 각도(예 : 차량 유리창의 양 끝을 바라보는 각도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시선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시선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차량 외부(즉, 차량의 전,후,좌,우 유리창을 통해 바라보는 외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 내부를 바라보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의 시선(바라보는 방향)이 유리창 외부인지 내부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예 : 차량의 유리창 위치 및 시선의 각도)는 미리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내부를 바라보는 경우에는 스마트글라스(200)의 디스플레이 밝기(또는 배경밝기, 전경밝기 등)를 차량 내부의 조도에 기초하여 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외부를 바라보는 경우(예 : 전방 유리창을 통해 바라보는 외부, 측면 유리창을 통해 바라보는 외부, 후방 유리창을 통해 바라보는 외부 등)에는 스마트글라스(200)의 디스플레이 밝기(또는 배경밝기, 전경밝기 등)를 차량 외부의 조도에 기초하여 조정한다.
물론 상기 스마트글라스(200) 자체에 조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내장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글라스(200)가 조도 검출 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있거나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동일하게 제어함으로써 HUD 정보를 동일한 품질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에 장착된 헤드업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표시되는 HUD 정보(또는 차량정보)를 상기 스마트글라스(200)를 통해 표시할 경우, 상기 스마트글라스(2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즉, 운전자)가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스마트글라스(200)의 디스플레이 밝기(예 : 전경 밝기, 배경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에 관계없이 균일한 품질의 HUD 정보를 상기 스마트글라스(2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스마트글라스(20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가 HUD 정보(또는 차량정보)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종류의 정보나 다른 형태의 정보가 상기 스마트글라스(2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때 상기 차량 내부의 조도 및 차량 외부의 조도에 따라 조정할 적정 디스플레이 밝기(예 : 전경 밝기, 배경 밝기)는 실험을 통해 룩업 테이블 형태로 미리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된 HUD 정보(또는 차량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밝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글라스(200)에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HUD 정보(또는 차량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밝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글라스(200)에 전송한다.
또는 상기 통신부(140)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밝기(예 : 전경 밝기, 배경 밝기)가 조정되어 생성된 이미지(또는 영상)의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스마트글라스(200)의 사양(SPEC.)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시선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밝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품질로 HUD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시선 검출부(120)를 통해 사용자(즉,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한다(S101).
다음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시선이 차량의 내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의 외부를 바라보는지 체크한다(S102).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차량의 내부인지 아니면 외부인지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예 : 차량의 유리창 위치 및 시선의 각도)가 미리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유리창 위치 및 시선의 각도가 어떤 위치에 어떤 각도가 되었을 때 차량의 내부인지 또는 외부인지 여부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시선이 차량의 내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의 외부를 바라보는지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체크(S102)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내부를 바라보는 경우(S102의 예), 상기 제어부(130)는 스마트글라스(200)의 디스플레이 밝기(또는 배경밝기, 전경밝기 등)를 차량 내부의 조도에 기초하여 조정한다(S103).
또한 상기 체크(S102)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외부를 바라보는 경우(예 : 전방 유리창을 통해 바라보는 외부, 측면 유리창을 통해 바라보는 외부, 후방 유리창을 통해 바라보는 외부 등)(S1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30)는 스마트글라스(200)의 디스플레이 밝기(또는 배경밝기, 전경밝기 등)를 차량 외부의 조도에 기초하여 조정한다(S104).
이때 상기 차량 내부의 조도 및 차량 외부의 조도에 따라 조정할 적정 디스플레이 밝기(예 : 전경 밝기, 배경 밝기)는 실험을 통해 룩업 테이블 형태로 미리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스마트글라스(200)의 사양(규격)이 고사양이거나 저사양인 것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시선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밝기가 조정된 HUD 정보(즉, 차량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품질로 HUD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의 스마트글라스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스마트글라스를 통한 안정적인 HUD 정보의 출력으로 인해 눈의 피로감을 줄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조도 검출부
120 : 시선 검출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200 : 스마트글라스

Claims (10)

  1. 차량 내부의 조도 및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부;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시선 검출부;
    HUD(Head Up Display)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스마트글라스; 및
    상기 운전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조도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선 검출부는 운전자의 헤드 방향을 감지하고 운전자의 눈동자 방향을 감지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가 운전자의 시선이 유리창 외부인지 내부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의 유리창 위치 및 시선의 각도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의 조도는,
    유리창을 통해서 보이는 방향의 외부 조도를 의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UD 정보 및 디스플레이 밝기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글라스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외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 내부를 바라보는지 검출하며,
    상기 데이터는 차량의 유리창 위치 및 그에 대응하는 운전자 시선의 각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배경 밝기 및 전경 밝기를 조합하거나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표시할 정보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 밝기가 조정되어 생성된 이미지나 영상 데이터를 곧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7. 제어부가 시선 검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시선이 차량의 내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의 외부를 바라보는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차량 내부를 바라보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차량 내부의 조도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차량 외부를 바라보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차량 외부의 조도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선 검출부는 운전자의 헤드 방향을 감지하고 운전자의 눈동자 방향을 감지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가 운전자의 시선이 유리창 외부인지 내부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의 유리창 위치 및 시선의 각도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외부를 바라보는지 아니면 차량 내부를 바라보는지 검출하며,
    상기 데이터는 차량의 유리창 위치 및 그에 대응하는 운전자 시선의 각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경 밝기 및 전경 밝기를 조합하거나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글라스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표시할 정보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 밝기가 조정되어 생성된 이미지나 영상 데이터를 곧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방법.
KR1020150172399A 2015-12-04 2015-12-04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36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99A KR101736185B1 (ko) 2015-12-04 2015-12-04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99A KR101736185B1 (ko) 2015-12-04 2015-12-04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185B1 true KR101736185B1 (ko) 2017-05-17

Family

ID=5904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399A KR101736185B1 (ko) 2015-12-04 2015-12-04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1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1266A (en) * 2018-02-19 2019-08-28 Jaguar Land Rover Ltd Vision interaction area lighting
GB2624974A (en) * 2022-11-29 2024-06-05 E Lead Electronic Co Ltd Shield for helmet, helmet, and head-up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578A (ja) * 2013-08-19 2015-0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578A (ja) * 2013-08-19 2015-0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1266A (en) * 2018-02-19 2019-08-28 Jaguar Land Rover Ltd Vision interaction area lighting
GB2571266B (en) * 2018-02-19 2020-10-28 Jaguar Land Rover Ltd Vision interaction area lighting
GB2624974A (en) * 2022-11-29 2024-06-05 E Lead Electronic Co Ltd Shield for helmet, helmet, and head-up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80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head-up display (HUD) information
US20230209030A1 (en) Scope of coverage indication in immersive displays
US10868976B2 (en) Method for operating smartglasses in a motor vehicle, and system comprising smartglasses
US9001153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and controls
US10162409B2 (en) Locating a head mounted display in a vehicle
US20140232746A1 (en) Three 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eye tracking
EP2894620B1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4970379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60050852A (ko) Hud 시스템에서 전방 주시 가능한 제어장치
KR20160063333A (ko) 눈부심 방지 스크린을 포함하는 데이터 표시 안경
JP2009269551A (ja) 車両用表示装置
JP7111582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20130059650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컨텐츠 초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36185B1 (ko) 스마트글라스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322552A (ja) 視覚補正装置
KR101739519B1 (ko) Hud 정보가 최적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
US9875562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20140130802A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062018A (ko) 눈부심 방지 스크린을 포함하는 데이터 표시 안경
CN107009961A (zh) 汽车和汽车透明座舱系统
KR101775924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영상 위치 조절 장치 그 방법
JP6415968B2 (ja) 通信装置、警告装置、表示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6004481A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方法
KR101756249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35687A (ko) 차량의 위험대상정보 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