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001B1 -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 Google Patents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6001B1 KR101736001B1 KR1020160027744A KR20160027744A KR101736001B1 KR 101736001 B1 KR101736001 B1 KR 101736001B1 KR 1020160027744 A KR1020160027744 A KR 1020160027744A KR 20160027744 A KR20160027744 A KR 20160027744A KR 101736001 B1 KR101736001 B1 KR 1017360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housing
- dial wheel
- wearer
- impul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는 착용자가 안면이나 머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다리나 헤어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위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착용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 및 이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 및 이 코일의 중심에 배치되어 직선이동되는 가동플런저 및 이 가동플런저를 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 및 가동플런저에 연결되어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되는 자극침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자극체를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자극체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시 나선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것으로 그 중심으로는 자극침의 일단이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그 일단은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플런저의 전진시 그 선단측에 접촉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조절나사; 상기 위치조절나사와 일체로 회전 연동되게 구비되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 외부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력을 받도록 구비되는 다이얼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는 착용자가 안면이나 머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다리나 헤어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위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착용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 및 이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 및 이 코일의 중심에 배치되어 직선이동되는 가동플런저 및 이 가동플런저를 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 및 가동플런저에 연결되어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되는 자극침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자극체를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자극체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시 나선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것으로 그 중심으로는 자극침의 일단이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그 일단은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플런저의 전진시 그 선단측에 접촉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조절나사; 상기 위치조절나사와 일체로 회전 연동되게 구비되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 외부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력을 받도록 구비되는 다이얼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체의 관자놀이 부분에 자극을 가하여 졸음을 억제하는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자놀이에 접촉하는 자극침의 돌출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자극의 세기를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졸음은 사람이 피곤할 때 나타나는 현상의 하나로 장시간에 걸쳐 작업이나 운전을 하거나 또는 반복되고 단조로운 일을 하는 경우에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이러한 졸음은 작업자의 부주의와 더불어 운전이나 작업현장에서 교통사고와 각종 산업재해를 야기하는 크나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졸음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경우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신체 손상과 귀중한 인명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일례로, 장시간에 걸쳐 운전을 하는 경우, 특히 혼자 야간 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졸음 발생 빈도가 매우 높으나 휴식 또는 수면 이외에는 졸음을 충분히 해소하기 위한 마땅한 방안이 없는 실정이므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시간에 쫓기는 업무를 하는 관계로 충분한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지 못한 상태로 졸음을 참으면서 운전을 하게 된다. 이는 졸음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대단히 높은 상태로 주행하는 것이어서 예기치 않은 도로 상황이나 주변의 차량의 흐름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며 사고 발생시에는 대형 참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외에도 각종 산업현장에서 비교적 반복적이고 단조로운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그 작업의 특성상 졸음으로 이어지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러한 졸음은 작업불량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자칫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일례로 가압 성형하는 프레스 가공 작업이나 절단 성형하는 프레스 절단 작업의 경우 작업자는 장시간 동안 반복되고 단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긴장이 늦춰지는 경우 쉽게 졸음이 쏟아져 가수면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자칫 크나큰 인명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학생이나 사무직의 경우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장시간 의자에 앉아 공부나 업무를 하게 되는데, 착석 초기에는 비교적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신도 모르게 고개가 숙여지거나 옆으로 기울어지는 등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고, 이와 같이 자세가 흐트러지면 졸음이 오게 된다.
이와 같이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없는 상태에서 운전이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졸음 발생에 따른 사고의 위험이 대단히 크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964호를 통해 졸음 방지 안경을 제안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안경테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안경테를 사용자의 안면에 얹기 위한 한 쌍의 안경다리; 상기 한 쌍의 안경다리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을 자극하기 위한 자극체; 상기 자극체에 진동을 주기 위한 진동소자; 상기 진동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진동소자와 상기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진동모드, 음향모드, 문지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진동설정모드 및 끄기/켜기 기능을 갖는 다수의 작동 버튼들을 포함하며, 상기 안경다리는 상기 진동소자가 수용되는 진동소자수용홈 및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수용홈 및 상기 진동소자와 상기 배터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덮개가 끼워지는 덮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방지 안경이 개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7590호를 통해 헤어밴드형 졸음 방지기를 제안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휨력을 갖도록 두 겹으로 속이 비어 있게 구성되고, 사용자의 옆머리를 감싸게 뒷머리에 장착되고, C 모양의 하나의 제1링부재와 상기 제1링부재의 양단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원호 모양의 제2링부재들로 구성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밀착되어 누르기, 두드리기, 문지르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자극하기 위한 자극부; 및 상기 착용부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극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등록받은 졸음 방지기는 형태적으로 안경 형태와 헤어밴드 형태로 된 착용요소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자극체 또는 자극부를 구성하여 자극을 가함으로써 졸음 발생시 주의환기를 유도하여 졸음을 억제할 수 있으나,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하는 자극체 또는 자극부와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하는 자극체 또는 자극부는 안경다리 또는 헤어밴드의 형상에 의해 접촉되므로,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따라 자극체 또는 자극부가 덜 접촉된 상태를 이루어 제대로 자극이 가해지지 않거나 또는 자극체 또는 자극부가 강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자극이 가해짐에 따라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관자놀이 부분에 자극을 가하여 졸음을 억제하는 자극체의 돌출 정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자 자신에게 적합한 자극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고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는, 착용자가 안면이나 머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다리나 헤어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위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착용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전원공급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 및 이 코일의 중심에 배치되어 직선이동되는 가동플런저 및 이 가동플런저를 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 및 가동플런저에 연결되어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되는 자극침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자극체를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자극체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시 나선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것으로 그 중심으로는 자극침의 일단이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그 일단은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플런저의 전진시 그 선단측에 접촉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조절나사; 상기 위치조절나사와 일체로 회전 연동되게 구비되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 외부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력을 받도록 구비되는 다이얼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상기 다이얼휠이 노출되게 패인홈을 형성하는 파지부 및 상기 자극침의 선단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관통된 침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휠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원둘레를 따라 등간격을 두고 노치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복수의 위치안내홈이 간격을 두고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복수의 위치안내홈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탄성 걸림되는 것으로 다이얼휠의 회전시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탄성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례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는 착용자가 안면이나 머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다리나 헤어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위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착용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전원공급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 및 이 코일의 중심에 배치되어 직선 이동되는 가동플런저 및 이 가동플런저를 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 및 이 가동플런저에 연결되어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되는 자극침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자극체를 포함하는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하우징과 결합되는 단부에 나선형의 결합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속부와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 체결정도에 따라 하우징의 돌출정도가 결정되게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는 사용자가 다이얼휠을 정,역 회전시키는 간소한 조작만으로 자극침의 돌출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신에게 적합한 자극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고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자극침이 관자놀이 부분을 자극시킴에 따라 운전이나 작업의 중단없이 짧은 시간안에 졸음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에서 솔레노이드 자극체와 다이얼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의 요부 구성의 동작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를 나타낸 발췌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에서 솔레노이드 자극체와 다이얼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의 요부 구성의 동작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를 나타낸 발췌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하우징(4)을 구비하여 착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착용부(3) 및 이 착용부(3)의 하우징(4)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분에 자극을 가하는 자극침(14) 그리고 이 자극침(14)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관자놀이에 접촉되는 자극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휠(20) 끝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기 위한 컨트롤러(6) 및 이 컨트롤러(6)와 상기 자극침(14)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자극체(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5)으로 이루어진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1)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착용부(3)는 착용자가 안면이나 머리 부분에 착용하여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모자나 안경다리나 헤어밴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헤어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는 자극침(14)이 하우징(4) 내로 들어간 상태이고, 도 3은 자극침(14)이 하우징(4)에서 돌출되어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자극을 가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는 착용부(3)의 말단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을 폭넓게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향하는 쪽에 자극침(14)이 출입하는 관통구멍인 침출입홀(4h)이 형성된 하우징(4)을 구비하되, 이 하우징(4)의 측면 일부에는 패인홈을 형성하여 된 파지부(4a)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그 일부가 파지부(4a)를 통해 노출되는 원판 형상의 다이얼휠(20)을 포함하는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에서 솔레노이드 자극체와 다이얼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로서, 도 4는 솔레노이드 자극체(10)와 다이얼휠(2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솔레노이드 자극체(10)와 다이얼휠(20)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착용부(3)의 하우징(4)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공급을 받아 자극침(14)을 전,후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자극체(10) 및 이 솔레노이드 자극체(10)의 자극침(14)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받는 다이얼휠(20)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솔레노이드 자극체(10)는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1)와, 이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공급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12) 및 코일(12)의 중심에 배치되어 여자된 코일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가동플런저(13) 및 이 가동플런저(13)를 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5) 끝으로 상기 가동플런저(13)에 일단이 연결되어 연동되어 직선 이동을 이루는 것으로 케이스(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자극을 가하도록 선단부가 뾰족하게 가공된 자극침(14)으로 구성되며, 이외에도 상기 솔레노이드 자극체(10)는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시 나선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것으로 그 중심으로는 자극침(14)의 일단이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그 일단은 케이스(11)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케이스(1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플런저(13)의 전진시 그 선단측에 접촉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조절나사(3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나사(30)와 일체로 회전 연동되게 구비되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 외부 일부가 상기 하우징(4)의 외부로 노출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력을 받도록 구비되는 다이얼휠(20)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상기 다이얼휠(20)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원둘레를 따라 등간격을 두고 노치홈(26n)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복수의 위치안내홈(23)이 간격을 두고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4)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복수의 위치안내홈(23)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탄성 걸림되는 것으로 다이얼휠(20)의 회전시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탄성스토퍼(25)가 조립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의 요부 구성의 동작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6은 솔레노이드 자극체(10)에 전원이 공급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복귀스프링(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동플런저(13) 및 자극침(14)이 케이스(11)의 내부로 후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때의 자극침(14)의 초기 위치는 하우징(4)을 기준으로 (a1)으로 표시한 솔레노이드 자극체(10) 및 다이얼휠(20)로 이루어진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솔레노이드 자극체(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코일(12)이 여자되는 것에 의해 가동플런저(13)와 자극침(14)이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전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의 복귀스프링(15)은 상기 가동플런저(13)의 전진 이동력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이루며, 위치 이동된 자극침(14)은 상기 하우징(4)을 기준으로 (a2)만큼 이동된 것을 표시한 솔레노이드 자극체(10)와 다이얼휠(20)로 이루어진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다이얼휠(20)을 조작하여 위치조절나사(30)를 우측으로 전진 이동시킨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자극체(10)에 전원이 공급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복귀스프링(1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동플런저(13) 및 자극침(14)이 케이스(11)의 내부로 후퇴 이동되어 있으며 이때의 자극침(14)의 초기 위치는 하우징(4)을 기준으로 (b1)으로 표시한 솔레노이드 자극체(10)와 다이얼휠(20)로 이루어진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코일(12)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여자되어 가동플런저(13)와 자극침(14)이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전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의 복귀스프링(15)은 상기 가동플런저(13)의 전진 이동력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이루며, 위치 이동된 자극침(14)은 상기 하우징(4)을 기준으로 (b2)만큼 이동된 것을 표시한 솔레노이드 자극체(10)와 다이얼휠(20)로 이루어진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1)는 크게 착용부(3)와 솔레노이드 자극체(10)로 구성된다.
착용부(3)는 사용자가 안면이나 머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모자나 안경다리 또는 헤어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위치되는 하우징(4)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례로서 헤어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상기 하우징(4)은 사용자의 얼굴 양측에 위치한 관자놀이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완충성을 갖는 패드나 쿠션이 부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자극체(10)는 상기 하우징(4)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1) 및 전원공급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12) 및 이 코일(12)의 중심에 배치되어 직선 이동되는 가동플런저(13) 및 이 가동플런저(13)를 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5) 및 이 가동플런저(13)에 연결되어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되는 자극침(14)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솔레노이드 자극체(10)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므로 각각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솔레노이드 자극체(10)는 자극침(14)의 돌출 정도를 사용자가 간편한 조작만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자극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위치조절나사(30)와 다이얼휠(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제안한다.
위치조절나사(30)는 상기 솔레노이드 자극체(10)를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시 나선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것으로 그 중심으로는 자극침(14)의 일단이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그 일단은 케이스(11)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케이스(1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플런저(13)의 전진시 그 선단측에 접촉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위치조절나사(30)는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1)에 나사체결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선이 가공된 관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위치조절나사(30)가 나사체결되는 케이스(11)는 상기 위치조절나사(30)가 나사조립되는 나사체결홀(11h)이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나사체결홀(11h)은 상기 위치조절나사(30)가 회전 가능할 정도의 나선구멍크기를 갖도록 구비된다.
다이얼휠(20)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그 중심에는 상기 위치조절나사(30)가 끼움 조립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조립홀(20h)이 관통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다이얼휠(20)과 위치조절나사(30)는 상호 끼움 조립되는 것에 일체로 연동 회전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다이얼휠(20)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다이얼휠(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조절나사(30)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케이스(11)의 나사체결홀(11h)에서 나선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의 직선변위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다이얼휠(20)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면서 그 원둘레를 따라 등 간격을 두고 노치홈(26n)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때 미끄럼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이얼휠(20)은 그 일측면에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홀(20h)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동심원이 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안내홈(23)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위치안내홈(23)은 상기 하우징(4)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복수의 위치안내홈(23)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탄성 걸림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다이얼휠(20)의 회전시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탄성스토퍼(25)가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다이얼휠(20)을 회전시키면 다이얼휠(20)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안내홈(23)이 상기 탄성스토퍼(25)의 일단과 걸림과 이탈을 반복하면서 조작감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다이얼휠(20)은 상기 하우징(4)의 일측에 패인홈을 형성하여 된 파지부(4a)를 통해 노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착용부(3)를 머리에 착용하면서 하우징(4)이 관자놀이 부근에 위치되게 한다. 이어서 컨트롤러(6)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드 자극체(10)를 구성하는 코일(12)에 전원이 인가시키면, 상기 코일(12)이 여자되는 것에 의해 도 6과 같은 상태의 가동플런저(13)와 자극침(14)은 도 7과 같이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전진 이동을 이루게 되고, 이 위치에서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상기 자극침(14)의 뾰족한 선단부가 자극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12)에 공급되는 전원이 단락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자극체(10)는 복귀스프링(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동플런저(13)와 자극침(14)이 도 6과 같이 케이스(11) 내에서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이루고 이 상태에서는 자극침(14)이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서 후퇴 이동함에 따라 자극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자극침(14)이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반복 이동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진동형태의 자극을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졸음을 억제하고 짧은 시간내에 졸음을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자극침(14)이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하는 정도가 약한 경우에는 다이얼휠(20)을 일방향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8과 같이 다이얼휠(20)과 끼움조립된 위치조절나사(30)가 연동하여 일방향 회전을 이루고 솔레노이드 자극체(10)를 구성하는 케이스(11)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게 된다. 즉, 도 6의 자극침(14)은 (a1)의 위치에서 자극침(14)이 좌측으로 전진 이동되었으나, 도 8의 자극침(14)은 (b1)의 위치에서 좌측으로 전진 이동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a1)에 비해 상기 (b1)은 좌측으로 수mm 돌출된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자극체(10)의 코일(12)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플런저(13)는 도 7의 자극침(14)의 위치인(a2)에 비해 (b2)만큼 더 돌출된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큰 자극을 가하게 된다.
즉, 도 8의 자극침(14)은 도 6의 자극침(14)에 비해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근접 이동된 상태에서 가동플런저(13)가 전,후 이동을 이루므로 결과적으로 도 9의 자극침(14)이 도 7의 자극침(14)에 비해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더 큰 자극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를 나타낸 발췌 도면으로서, 본 실시례에서의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는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9의 구성과 유사하며, 다만 솔레노이드 자극체(10)를 수용한 하우징(4)을 착용부(3)와 나사체결로 결합시키는 구성을 통해 나선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솔레노이드 자극체(10)를 구성하는 자극침(14)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례에 따른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의 간략하게 설명하면, 착용자가 안면이나 머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다리나 헤어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위치되는 하우징(4)을 구비한 착용부(3)와; 상기 하우징(4)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전원공급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12) 및 이 코일(12)의 중심에 배치되어 직선 이동되는 가동플런저(13) 및 이 가동플런저(13)를 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5) 및 이 가동플런저(13)에 연결되어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되는 자극침(14)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자극체(10)를 포함하는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의 구성에서, 상기 착용부(3)는 하우징(4)과 결합되는 단부에 나선형의 결합관부(3s)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은 상기 결속부(30)와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홈부(4s)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 체결정도에 따라 하우징(4)의 돌출정도가 결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3: 착용부
4 : 하우징 4h : 침출입홀
5 : 전선 6 : 컨트롤러
10 : 솔레노이드 자극체 11 : 케이스
11h : 나사체결홀 12 : 코일
13 : 가동플런저 14 : 자극침
15 : 복귀스프링 20 : 다이얼휠
20h : 조립홀 21 : 노치홈
23 : 위치안내홈 25 : 탄성스토퍼
30 : 조절나사
4 : 하우징 4h : 침출입홀
5 : 전선 6 : 컨트롤러
10 : 솔레노이드 자극체 11 : 케이스
11h : 나사체결홀 12 : 코일
13 : 가동플런저 14 : 자극침
15 : 복귀스프링 20 : 다이얼휠
20h : 조립홀 21 : 노치홈
23 : 위치안내홈 25 : 탄성스토퍼
30 : 조절나사
Claims (3)
- 착용자가 안면이나 머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다리나 헤어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위치되는 하우징(4)을 구비한 착용부(3)와;
상기 하우징(4) 내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1) 및 이 케이스(11) 내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12) 및 이 코일(12)의 중심에 배치되어 직선 이동되는 가동플런저(13) 및 이 가동플런저(13)를 위치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5) 및 이 가동플런저(13)에 연결되어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되는 자극침(14)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자극체(10)를 포함하는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자극체(10)는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시 나선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것으로 그 중심으로는 자극침(14)의 일단이 삽입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그 일단은 케이스(11)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케이스(1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플런저(13)의 전진시 그 선단측에 접촉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조절나사(30) 및 상기 위치조절나사(30)와 일체로 회전 연동되게 구비되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 외부 일부가 상기 하우징(4)의 외부로 노출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력을 받도록 구비되는 다이얼휠(2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4)은 일측에 상기 다이얼휠(20)이 노출되게 패인홈을 형성하는 파지부(4a) 및 상기 자극침(14)의 선단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관통된 침출입홀(4h)이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휠(20)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원둘레를 따라 등간격을 두고 노치홈(26n)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복수의 위치안내홈(23)이 간격을 두고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4)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복수의 위치안내홈(23)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탄성 걸림되는 것으로 다이얼휠(20)의 회전시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탄성스토퍼(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7744A KR101736001B1 (ko) | 2016-03-08 | 2016-03-08 |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7744A KR101736001B1 (ko) | 2016-03-08 | 2016-03-08 |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6001B1 true KR101736001B1 (ko) | 2017-05-15 |
Family
ID=5873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7744A KR101736001B1 (ko) | 2016-03-08 | 2016-03-08 |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600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4435B1 (ko) | 2019-05-15 | 2020-09-09 | 이경복 |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5532B1 (ko) * | 1997-05-19 | 1999-12-15 | 한희복 | 관자놀이 안마장치 |
JP3140761B2 (ja) * | 1989-08-21 | 2001-03-05 | ザ・ビーオーシー・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二酸化炭素含有供給物から実質的に純粋な二酸化炭素を製造するプロセス |
-
2016
- 2016-03-08 KR KR1020160027744A patent/KR1017360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0761B2 (ja) * | 1989-08-21 | 2001-03-05 | ザ・ビーオーシー・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二酸化炭素含有供給物から実質的に純粋な二酸化炭素を製造するプロセス |
KR100235532B1 (ko) * | 1997-05-19 | 1999-12-15 | 한희복 | 관자놀이 안마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4435B1 (ko) | 2019-05-15 | 2020-09-09 | 이경복 |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23298B2 (en) | Therapeutic wand system, kit, and method | |
KR101954018B1 (ko) | 얼굴 마사지기 | |
US2013009051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nditioned desynchronized non-invasive stimulation | |
TW201440753A (zh) | 差頻式衝擊按摩裝置 | |
CN107713199B (zh) | 一种腕带长度调节机构及一种可穿戴设备 | |
US20150100004A1 (en) | Tremor reduction system and device | |
US20070093685A1 (en) | Meditation facilitating device with timer | |
KR101736001B1 (ko) |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 |
KR101007498B1 (ko) | 머리 마사지 장치 | |
KR20120094349A (ko) | 눈의 모양근 조절이완장치 | |
JP3169425U (ja) | 耳かけつぼ押し具 | |
KR20210103923A (ko) | 이동하는 출력부가 구비된 마사지 장치 | |
CN212326898U (zh) | 一种用于缓解眼睑痉挛症状的装置 | |
JP3213974U (ja) | 視力回復マッサージ器 | |
KR102154435B1 (ko) |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 |
KR0162632B1 (ko) | 전자 온열구 | |
CN204709369U (zh) | 后溪穴按摩器 | |
WO2018212030A1 (ja) | 耳装着具、耳装着具の使用方法 | |
JP3161001U (ja) | メガネフレーム | |
JP3116337U (ja) | 耳介健康器具 | |
KR101650139B1 (ko) | 외이의 혈 자극 장치 | |
KR19980083701A (ko) | 관자놀이 안마장치 | |
CN210811969U (zh) | 一种可调松紧带长度的眼罩 | |
CN111374875B (zh) | 一种用于缓解眼睑痉挛症状的装置 | |
KR200337987Y1 (ko) | 경혈자극안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