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191B1 -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 - Google Patents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191B1
KR101733191B1 KR1020160023262A KR20160023262A KR101733191B1 KR 101733191 B1 KR101733191 B1 KR 101733191B1 KR 1020160023262 A KR1020160023262 A KR 1020160023262A KR 20160023262 A KR20160023262 A KR 20160023262A KR 101733191 B1 KR101733191 B1 KR 101733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aw material
sidewalk block
sidewall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식
한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에이치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에이치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에이치케어
Priority to KR102016002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15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on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53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to tiles, bricks or the like
    • B28B19/0061Means for arranging or fixing the tiles, bricks or the like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05Inorganic fillers with a shape other than granular or fibrou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정수슬러지, 시멘트 및 물을 포함하는 제1원료를 보도블록 형상의 금형에 투입하는 제1원료 투입 단계, 상기 금형으로 1차 가압 성형하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베이스층 형성 단계, 상기 베이스층이 형성된 상기 금형에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제2원료를 다시 투입하는 제2원료 투입 단계, 상기 금형으로 2차 가압 성형하여 상기 베이스층 상면에 열전도층을 형성하는 열전도층 형성 단계, 상기 금형을 양생시키는 양생 단계 및 상기 금형에서 양생된 보도블록을 탈형시키는 탈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manufacturing method for sidewalk block including and the sidewalk block by thereof}
본 발명은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도블록의 상면에 열전도율이 우수한 그래핀이 포함된 열전도층을 형성하여 눈이나 결빙으로 인한 미끄러움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방열기능을 갖는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보도블록이란 보행자가 통행하는 실내외 통로나 도로와 같은 장소에 판 형상의 블록을 덮어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고, 우수로 인한 보도의 훼손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 블록을 연속하여 설치한다.
종래의 보도블록은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표면을 고르고 매끈하게 시공하여 겨울철 눈이 오거나 결빙된 경우 보행자가 미끄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보도블록에 열선을 설치하거나 융설 작용을 하는 기능성 재질을 첨가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09315호("충격완화 및 융설 기능을 겸비한 보도블록", 2006.02.14, 이하 종래기술 1)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은 보도블록의 내부에 발열부재가 설치되어 겨울철에 눈이 내려 보도블록 위에 쌓일 경우 그 눈을 녹여줌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지만, 별도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이 공급하는 전기를 통해서만 상기 발열부재가 발열하는 구성이므로 비용이 소요되고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567445호("발열 가능한 보도블록 시공방법", 2015.11.03, 이하 종래기술 2)에는 지반에 일정 크기의 매설홈을 형성시킨 후, 상기 매설홈 형성 부분에 저감블럭이 구비되고, 상부에 완층블럭이 되며, 상기 완층블럭에 열선 설치홈이 구비된 설치블럭을 형성하여 상기 보도블록을 발열시키는 열선 보도블록 설치방법에 관하여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2는 제조방법이 까다롭고 시공단계가 복잡하여 설치비용이 증가되고 및 시공 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삽입된 열선이 발열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공급부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공급부 없이 발열이 가능하여 융설이 가능하고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09315호("충격완화 및 융설 기능을 겸비한 보도블록", 2006.02.14.) 한국등록특허 제1567445호("발열 가능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2015.11.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기적 공급원 및 발열 장치 없이 발열이 가능하여 동절기의 결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상면에 돌출부 및 함몰부를 교번 형성하여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을 복수개 배치하는 위치에 따라 상부 노출면에 다양한 형상을 연출할 수 있는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은 정수슬러지, 시멘트 및 물을 포함하는 제1원료를 보도블록 형상의 금형에 투입하는 제1원료 투입 단계(S10); 상기 금형으로 1차 가압 성형하여 베이스층(100)을 형성하는 베이스층 형성 단계(S20); 상기 베이스층(100)이 형성된 상기 금형에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제2원료를 다시 투입하는 제2원료 투입 단계(S30); 상기 금형으로 2차 가압 성형하여 상기 베이스층(100) 상면에 열전도층(200)을 형성하는 열전도층 형성 단계(S40); 상기 금형을 양생시키는 양생 단계(S50); 및 상기 금형에서 양생된 보도블록을 탈형시키는 탈형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원료는, 석탄회, 산화철, 점토, 규사 및 자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원료는, 상기 제2원료의 중량을 100이라고 할 때,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의 중량비가 15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원료는, 시멘트, 이산화규소, 납석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원료와 제1원료의 함량비는 중량비로 1 : 2 ~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에 대한 것으로서, 정수슬러지, 시멘트 및 물을 포함하는 제1원료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베이스층(100); 및 상기 베이스층(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층(100)의 상면에 적층되며,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 성분을 포함하는 제2원료로 이루어지는 열전도층(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도층(200)은, 상면에 서로 동일한 폭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210) 및 함몰되는 함몰부(220)가 길이 방향으로 교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210)는, 상기 열전도층(200) 상면에 0.9mm ~ 1.6mm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은, 보행자가 직접 닿는 구성인 열전도층을 열전도율이 우수한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발열장치 없이 발열이 가능하여 동절기에 건조가 지연되어 발생하는 결빙 현상을 빠르게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의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고형물 및 분말형태의 폐 그래핀 또는 폐 그라파이트를 사용함으로써 고가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토지오염을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전도층에 돌출부 및 함몰부를 교번 형성하여 단차로 인한 보행자의 미끄러짐 방지 및 투수 유도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층에 정수슬러지를 포함하여 산업폐기물을 최소화시키고 친환경적인 보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사용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가 포함된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첨부된 도면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의 제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의 제조방법은 정수슬러지, 시멘트 및 물을 포함하는 제1원료를 보도블록 형상의 금형에 투입하는 제1원료 투입 단계(S10), 상기 금형으로 1차 가압 성형하여 베이스층(100)을 형성하는 베이스층 형성 단계(S20, 상기 베이스층(100)이 형성된 상기 금형에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제2원료를 다시 투입하는 제2원료 투입 단계(S30), 상기 금형으로 2차 가압 성형하여 상기 베이스층(100) 상면에 열전도층(200)을 형성하는 열전도층 형성 단계(S40), 상기 금형을 양생시키는 양생 단계(S50), 및 상기 금형에서 양생된 보도블록을 탈형시키는 탈형 단계(S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분쇄기, 믹서, 호퍼, 계량 장치, 공급기, 성형장치 및 양생장치 등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종래의 보도블록 성형장치를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원료 투입단계(S10)는 정수슬러지, 시멘트 및 물을 포함하는 상기 제1원료를 보도블록 형상의 금형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먼저 상기 제1원료에 포함되는 정수슬러지는 정수장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정수처리과정에서 부유물질이 침전된 고형물이다. 정수슬러지는 특성상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그대로 사용하면 블록의 성형이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완전 건조시킨 후 사용한다. 정수슬러지의 함량은 전체 보도블록 중량을 100이라 할 때 10 ~ 40 중량비가 바람직하다. 정수슬러지의 함량이 20중량비 미만일 경우 산업폐기물의 재활용에 부합하는 효과가 미약하고 40중량비 이상일 경우에는 수분함량이 많아 다른 원료와 잘 혼합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한 중량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추가되는 성분에 따라 상기 정수슬러지의 함량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정수처리과정에서 사용되는 활성탄은 코코넛 껍질, 나무 등을 태워 만들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사용되는 정수슬러지의 성분 중 대부분이 상기 코코넛 껍질 및 나무를 태워 만든 코코넛 숯 이다. 상기 코코넛 숯은 콘크리트 보다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상기 제1원료의 열전도율 또한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원료에 정수슬러지를 포함하여 산업폐기물을 최소화시키고 친환경적인 보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원료는 전술한 정수슬러지, 시멘트 및 물 이외에 석탄회, 산화철, 점토, 규사 및 자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석탄회는 수분이 거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정수슬러지와 혼합하였을 때 정수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하므로 정수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효율적이다. 산화철, 점토(또는 고령토, 백토), 규사 및 자갈과 같은 성분의 함량비는 최적의 성형강도 및 경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히 조절하여 혼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1원료를 상기 금형의 주입 공간에 투입하는데 상기 금형의 주입 공간 전체에 상기 제1원료를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투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이 상기 제1원료가 투입된 금형의 주입공간에 후술할 제2원료가 더 투입되어 완전한 보도블록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기 때문인데, 이는 후술한다.
상기 베이스층 형성 단계(S20)는 상기 제1원료가 투입된 상기 금형을 1차로 유압프레스(혹은 블록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가압 후 성형하여 상기 금형의 주입 공간 일부를 차지하는 베이스층(100)을 형성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유압프레스에 의한 압축 성형이 아닌, 진공 토련하여 압출성형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베이스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원료 투입 단계(S30)는 상기 베이스층(100)이 형성된 상기 금형의 주입공간 나머지에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2원료를 다시 투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원료는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에 시멘트, 이산화규소, 납석 및 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의 함량은 상기 제2원료의 중량을 100이라고 할 때 15 ~ 20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그래핀(graphene) 및 그라파이트(graphite)는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전기전도도, 강도, 열전도 및 탄성이 매우 우수한 신소재로, 특히 열전도율이 다이아몬드보다 높아 눈이나 결빙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본 발명에 적합한 소재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에서 사용되는 그래핀은, 그래핀의 가공 후 발생하는 분말 형태의 가공 찌꺼기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그라파이트는 폐 흑연을 소결, 분쇄, 건조, 성형과 같은 공정을 거쳐 재사용하도록 한 폐 그라파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흑연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도가니에 코팅된 SiC를 분리하여 폐 흑연을 재사용한 폐 그라파이트일 수 있으며, 블록, 바 및 튜브 형태의 그라파이트를 용도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가공하고 난 후 남은 고형물이나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은 그래핀 및 그라파이트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폐 그래핀 또는 폐 그라파이트를 재사용하여 고가자원의 낭비를 막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금형의 주입공간 일부에 상기 제1원료를 투입하고 그 나머지 공간에 상기 제2원료를 투입한다. 이때 상기 제1원료와 상기 제2원료의 중량비는 상기 제2원료의 중량을 1이라고 할 때 상기 제1원료가 2 내지 3이 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총 중량비를 100이라고 할 때, 상기 제1원료와 상기 제2원료의 중량비는 70 대 30이 될 수 있으며, 중량비로 상기 제1원료의 중량을 1이라고 할 때 상기 제1원료의 중량이 약 2.3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금형의 주입공간에 상기한 함량으로 상기 제1원료를 투입하고 나머지를 상기 제2원료를 투입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이 완성된다.
상기 열전도층 형성 단계(S40)는 상기 제1원료를 투입하여 1차 가압 성형된 상기 금형의 주입공간 나머지에 상기 제2원료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금형을 상기 베이스층 형성 단계(S20)와 동일한 방법으로 2차 가압 성형하여 상기 베이스층(100) 상면에 상기 열전도층(2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만일, 상기 베이스층 형성 단계(S20)가 압출성형방식으로 이루어졌다면 상기 열전도층 형성 단계(S40)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층(100) 상면에 상기 열전도층(200)이 적층되는 구조로 보도블록의 형상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금형을 일정 시간 양생시키는 양생 단계(S50) 및 상기 금형에서 완전히 양생된 보도블록을 탈형시키는 탈형 단계(S60)를 거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이 완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보도블록에 포함되는 점토의 함량이 많을 경우 상기 보도블록을 소성로에서 가열하여 상기 보도블록을 소성하는 단계와 이를 냉각시켜 소성로에서 인출하는 단계로 대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은 베이스층(100) 및 열전도층(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층(100)은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진 판 형상으로써 상기 제1원료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의 기본이 되는 구성이다.
상기 열전도층(200)은 상기 베이스층(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층(100)에 적층되며, 상기 제2원료로 이루어진다. 즉, 열전도율이 우수한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가 포함된 상기 제2원료로 보행자가 직접 닿는 구성인 상기 열전도층(200)을 형성하여 별도의 전기적 공급원이 없어도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 성분 특성 상 태양광을 복사열의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콘크리트와 모르타르로만 제조된 보도블록이나 별도의 발열장치가 설치된 보도블록에 비하여 동절기에 건조가 지연되어 발생하는 결빙 현상을 빠르게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의 측면도이다.
상기 열전도층(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폭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210) 및 함몰되는 함몰부(220)가 길이 방향으로 교번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10)는, 상기 열전도층(200) 상면에 0.9mm ~ 1.6mm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0.9mm 미만으로 돌출 형성될 경우 단차로 인한 기대효과가 미약하고 1.6mm이상으로 돌출 형성될 경우 보행자가 상기 돌출부(210)에 발이 걸려 보행이 불편할 수 있다.
보행자는 상기 돌출부(210) 및 상기 함몰부(220)가 형성된 상기 열전도층(200)의 상면에 돌출된 단차에 직접 접촉하게 됨으로써 미끄러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마찰력 또한 증대되어 보행자의 보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차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함몰부(220)로 투수(透水) 유도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의 사용예시도이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층(100) 및 상기 열전도층(200)을 가압하여 성형시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을 완성시킬 수 있는데, 상기 열전도층(200)에 별도의 안료를 첨가하거나 도포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층(200) 상면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210)는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210)에만 색상을 입힌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을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기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의 상기 열전도층(200)의 상부 노출면을 서로 엇갈리게 복수개 배열한 것을 도시한 사용예시도이다. 이와 같이 배열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의 상부 노출면이 바둑판처럼 격자 형태를 가지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10)을 연속적으로 배열할 때, 배열 위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바둑판 형상이나 줄무늬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
100 : 베이스층
200 : 열전도층
210 : 돌출부
220 : 함몰부

Claims (8)

  1. 정수슬러지, 시멘트 및 물을 포함하는 제1원료를 보도블록 형상의 금형에 투입하는 제1원료 투입 단계(S10);
    상기 금형으로 1차 가압 성형하여 베이스층(100)을 형성하는 베이스층 형성 단계(S20);
    상기 베이스층(100)이 형성된 상기 금형에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제2원료를 다시 투입하는 제2원료 투입 단계(S30);
    상기 금형으로 2차 가압 성형하여 상기 베이스층(100) 상면에 열전도층(200)을 형성하는 열전도층 형성 단계(S40);
    상기 금형을 양생시키는 양생 단계(S50); 및
    상기 금형에서 양생된 보도블록을 탈형시키는 탈형 단계(S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료는,
    석탄회, 산화철, 점토, 규사 및 자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료는,
    상기 제2원료의 중량을 100이라고 할 때,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의 중량비가 15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료는,
    시멘트, 이산화규소, 납석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료와 제1원료의 함량비는 중량비로 1 : 2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23262A 2016-02-26 2016-02-26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 KR10173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262A KR101733191B1 (ko) 2016-02-26 2016-02-26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262A KR101733191B1 (ko) 2016-02-26 2016-02-26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191B1 true KR101733191B1 (ko) 2017-05-11

Family

ID=5874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262A KR101733191B1 (ko) 2016-02-26 2016-02-26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8864A1 (en) 2019-12-19 2021-06-23 HeidelbergCement AG Electrically conductive binder for manufacturing heatable building parts
KR20230020657A (ko) 2021-08-04 2023-02-13 이기영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8864A1 (en) 2019-12-19 2021-06-23 HeidelbergCement AG Electrically conductive binder for manufacturing heatable building parts
US11820712B2 (en) 2019-12-19 2023-11-21 Hconnect 2 Gmbh Electrically conductive binder for manufacturing heatable building parts
KR20230020657A (ko) 2021-08-04 2023-02-13 이기영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
KR102562592B1 (ko) 2021-08-04 2023-08-29 이기영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97807C (zh) 一种免挤压无粘土固体废渣烧结砖的生产方法
KR101214596B1 (ko)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733191B1 (ko)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
US8545748B2 (en) Building bricks including plastics
JP2019078126A (ja) 融雪機能性コンクリート製品
CN103121830B (zh) 一种生态地面砖
JP4041859B2 (ja) 透水・保水性セラミック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22895B1 (ko) 가로수 보호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203373947U (zh) 改良的橡胶地板
KR100577353B1 (ko) 빛 반사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
JP2013227188A (ja) リサイクル材料を用いた建材の製造方法及び建材
KR101398206B1 (ko) 저류 기능을 가진 인조 화강 블록 및 잔디 식생 블록, 그 제조 방법 및 인조 화강 블록 및 잔디 식생 블록을 사용한 시공 방법
KR101897980B1 (ko) 폐흑연의 재활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닥 난방구조체
KR20020066459A (ko) 폐자재를 이용한 투수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003384B1 (ko) 토사유출 방지 겸 등산로 계단
KR20090115634A (ko) 인도블록
CN205242927U (zh) 烧结物构件
KR101480865B1 (ko) 동절기 제설제에 강한 자원순환형 콘크리트 보차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JP6633927B2 (ja) 土工資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M579661U (zh) Environmentally friendly bricklaying
KR20160133659A (ko) 발열보드용 폐흑연 모올타르 제조방법
KR101015262B1 (ko) 폐기물의 재활용에 의한 건설용 블록의 제조방법
JP4197304B2 (ja) ゴムチップマットに保水性を付与する方法
KR101010161B1 (ko) 산업 폐기물을 이용한 건설자재와 그 제조방법
JP2882757B2 (ja) 屋根の断熱部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と屋根の断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