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592B1 -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 - Google Patents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592B1
KR102562592B1 KR1020210102306A KR20210102306A KR102562592B1 KR 102562592 B1 KR102562592 B1 KR 102562592B1 KR 1020210102306 A KR1020210102306 A KR 1020210102306A KR 20210102306 A KR20210102306 A KR 20210102306A KR 102562592 B1 KR102562592 B1 KR 102562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block
sidewalk block
manufactur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657A (ko
Inventor
이기영
이민상
Original Assignee
이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영 filed Critical 이기영
Priority to KR102021010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5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5Ceramic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6Comminuting, e.g. by grinding or breaking; Defibrillating fibres other than asbesto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도블록 제조 공법에 관한 발명이며, 폐기되는 태양광 패널로부터 원료를 확보하는 패널 해체 단계(S100); 상기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확보된 원료를 이용하여 블록을 성형하는 블록 제조 단계(S200); 를 포함하는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이다.

Description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 {A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walk block by processing waste solar panel and sidewalk block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공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보도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 내부 공간의 바닥면과 측면에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차단 커버를 구비하는 커버 구비 단계; 성형틀 내에 골재, 시멘트, 물 중 적어도 2 이상의 재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주입한 후, 가압 성형하는 성형 단계; 성형된 보도블록을 양생하는 양생 단계; 를 포함하되, 차단 커버는 하면과 측면을 이루는 입체 상태로 형성되어 성형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보도블록의 하부면 및 측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보도블록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기재층 및 기재층 상에 형성되고 투수성을 가지도록 복수의 공극이 형성되는 포러스 미디어 형태의 표층을 포함하는 본체부; 표층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도록 표층에 일부 삽입 배치되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 및 축광 알갱이의 둘레를 둘러싸 고정하도록 표층 상에 형성되는 제1 페이스트 영역을 포함하는 시멘트 페이스트부; 를 포함하되, 시멘트 페이스트부는 시멘트 및 광촉매를 포함하는 재잴이고, 표층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1 페이스트 영역과 연결되는 제2 페이스트 영역을 포함하고, 제1 페이스트 영역은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축광 및 발광을 위해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상단이 시멘트 페이스트부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최종 두께로 형성되며, 표층 상에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해 초기 두께만큼 형성된 다음, 타설된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초기 두께보다 얇은 최종 두께로 형성되고, 초기 두께는 축광 알갱이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이고, 축광 알갱이의 돌출 높이보다 작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정수 슬러지, 시멘트 및 물을 포함하는 제1 원료를 보도블록 형상의 금형에 투입하는 제1 원료 투입 단계; 금형으로 1차 가압 성형하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베이스층 형성 단계; 베이스층이 형성된 금형에 그래핀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제2 원료를 다시 투입하는 제2 원료 투입 단계; 금형으로 2차 가압 성형하여 베이스층 상면에 열전도층을 형성하는 열전도층 형성 단계; 금형을 양생시키는 양생 단계; 금형에서 양생된 보도블록을 탈형시키는 탈형 단계; 를 포함하는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시멘트 80~90중량% 및 니켈슬래그 분말 10~20중량%로 이루어지는 무기질계 분체; 골재; 시멘트 사용량에 대하여 2~10중량%의 아크릴수지 에멀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니켈슬래그 분말은 턴디쉬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 니켈슬래그에 고속의 공기를 분사하여 용융 니켈슬래그를 미세한 액적으로 분리하면서 분리된 미세한 액적을 분사된 고속의 공기와 주위 분위기에 의해 급냉시켜 생성되는 니켈슬래그볼을 파쇄 및 입조조절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분말을 포집한 것으로, 밀도 2.7~3.5 g/㎤, 흡수율 1~2%, 분말도 3,000~4,000㎠/g이며, 아크릴수지 에멀젼은 고형분 46~47중량%, pH 8.5~8.7, 점도(25℃) 800~900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수지를 사용한 충격흡수 콘크리트 보도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25083 B1 (2019년09월19일) KR 10-2270655 B1 (2021년06월23일) KR 10-1733191 B1 (2017년04월27일) KR 10-1975858 B1 (2019년04월30일)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도블록 제조 공법에 관한 발명이며, 폐기되는 태양광 패널로부터 원료를 확보하는 패널 해체 단계(S100); 상기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확보된 원료를 이용하여 블록을 성형하는 블록 제조 단계(S2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패널 해체 단계(S100)는 태양광 패널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외력을 가하여 분말 상태로 가공하는 분말 가공 단계(S15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블록 제조 단계(S200)는 분말 형태로 분쇄된 복수의 분말을 교반하여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S2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분말 혼합 단계(S210)는 분말 형태로 분쇄된 복수의 분말 중에서 선택적으로 상호 혼합시키는 것;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블록 제조 단계(S200)는 제조되는 블록 외형의 형상을 결정하는 형상 결정 단계(S220); 상기 형상 결정 단계(S210)에서 외형이 성형된 블록을 양생하는 양생 단계(S2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도블록에 대한 발명이며, 청구항 1 내지 5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보도블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태양광 발전에서 사용되어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제조된 보도블록은 기존에 사용되는 보도블록과 비교하여 향상된 내구성과 유지 보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도블록 제조 공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패널 해체 단계에서 각각 분리된 태양광 패널의 분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원료 수용부와 원료 교반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볼밀 분쇄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부와 파쇄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금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조 공법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폐기되는 태양광 패널로부터 원료를 확보하는 패널 해체 단계(S100); 상기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확보된 원료를 이용하여 블록을 성형하는 블록 제조 단계(S2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통로 지면 상에 설치되는 보도블록에 대한 발명이다. 통상적으로 보도블록은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 인도를 포장하기 위한 토목자재를 칭한다.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폭방향 양단부에 복수의 보도블록을 배치하여, 차량과 보행자의 통로를 구분짓는다. 복수의 보도블록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각종 지중화 공사 이후에 차도가 아닌 복수의 보도블록으로 형성된 인도만을 통제함에 따라, 땅을 파기도 수월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발전(發電)기술 분야에서는 우라늄을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존의 원자력 발전기술에 편중된 의존도를 해소하고자, 비교적 집전 효율이 높은 태양광 발전을 육성하고 있는 추세다.
태양광 발전이란, 광기전효과를 이용하여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 방법으로, 빛 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전기 에너지로 바꾼다는 점에서 빛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열 발전과는 구분된다. 광기전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은 태양 전지가 내재된 별도의 패널 설치가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이 때, 태양 전지의 수명이 한정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패널을 교체해야 한다. 상기한 과정에서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폐기하는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을 해체하는 단계와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활용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해체 단계(S100)는 태양광 패널 모서리부에 배치된 프레임을 제거하는 프레임 해체 단계(S1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해체 단계(S100)는 태양광 패널 전면에 개재되는 유리를 분리하는 커버 분리 단계(S1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해체 단계(S100)는 태양광 패널의 셀 구조체를 해체하는 소재 분리 단계(S1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로부터 보도블록의 원료를 확보하는 패널 해체 단계(S100)에 대한 발명이다. 패널 해체 단계(S100)가 수행됨에 따라, 시공자는 보도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원료를 확보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 전지, 태양 전지의 높이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밀봉재와 백시트, 상단 밀봉재 상측에 적층되는 커버 유리 및 패널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패널 해체 단계(S100)는 패널의 상기한 복수의 구성을 해체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패널 해체 단계(S100)는 패널 모서리부에 배치된 프레임을 제거하는 프레임 해체 단계(S110), 패널 전면의 유리를 제거하는 커버 제거 단계(S120), 밀봉재와 태양 전지를 분리하는 소재 분리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블록 제조 단계(S200)는 상기 커버 분리 단계(S120)에서 분리된 유리와 상기 소재 분리 단계(S130)에서 해체된 복수의 원료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원료를 확보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블록 제조 단계(S200)에 대한 발명이다. 블록 제조 단계(S200)는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해체된 태양광 패널로부터 원료를 확보하여, 인도에 설치되는 보도블록을 제조한다.
이 때, 보도블록을 구성하는 원료는 시공자가 원하는 내구성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보도블록을 구성하는 원료는 태양 전지를 구성하는 은, 실리콘, 구리와 같은 물질과 커버 유리를 구성하는 저철분 유리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용도에 따라 보도블록을 구성하는 원료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해체 단계(S100)는 태양광 패널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외력을 가하여 분말 상태로 가공하는 분말 가공 단계(S15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로부터 보도블록의 원료를 확보하는 패널 해체 단계(S100)에 대한 발명이다. 패널 해체 단계(S100)가 수행됨에 따라, 시공자는 블록 제조 단계(S200)에서 필요한 복수의 원료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블록 제조 단계(S200)는 분말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원료를 선택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시공자는 상이한 내구성의 보도블록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 해체 단계(S100)는 구성하는 성분에 따라 각각 분리된 커버 유리와 태양 전지를 분말 형태로 가공하는 분말 가공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분말 가공 단계(S150)는 패널로부터 생성된 해체물을 세척하는 세척 단계(S151); 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세척 단계(S151)는 해체물에 유기용매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성분에 따라 구분된 원료를 분말 형태로 가공하는 분말 가공 단계(S150)에 대한 발명이다. 분말 가공 단계(S150)가 수행됨에 따라, 시공자는 블록 제조 단계(S200)에서 보다 간편하게 보도블록을 성형할 수 있다.
이 때, 커버 분리 단계(S120)와 소재 분리 단계(S130)가 순차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구분된 커버 유리와 태양 전지의 표면에는 이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이물질이 블록 제조 단계(S200)로 투입될 시에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보도블록의 성형성과 내구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분말 가공 단계(S150)는 별도의 세척부(24)에 의해 커버 유리와 태양 전지의 표면을 향하여 유기용매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 단계(S15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분말 가공 단계(S150)는 패널로부터 생성된 해체물을 파쇄하는 파쇄 단계(S152); 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파쇄 단계(S152)에서 생성된 결과물의 직경 값은 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성분에 따라 구분된 원료를 분말 형태로 가공하는 분말 가공 단계(S150)에 대한 발명이다. 분말 가공 단계(S150)는 세척 단계(S151)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커버 유리와 태양 전지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할 수 있다.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된 커버 유리와 태양 전지는 분말 형태로 가공되어, 블록 제조 단계(S200)에서 성형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말 가공 단계(S150)는 세척 단계(S151) 이후, 분쇄부(25)에 의해 각종 소재를 분말 형태로 분쇄시키는 파쇄 단계(S15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블록 제조 단계(S200)는 분말 형태로 분쇄된 복수의 분말을 교반하여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S2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확보한 원료를 이용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블록 제조 단계(S200)에 대한 발명이다. 블록 제조 단계(S200)는 블록의 전반적인 형상을 결정하여 최종적으로 인도를 구성하는 보도블록을 생산한다.
패널 해체 단계(S100)는 분말 가공 단계(S15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블록 제조 단계(S200)로 전환되는 과정에서의 원료는 분말 상태로 존재한다. 이 때, 블록 제조 단계(S200)는 커버 유리 단계(S120)와 소재 분리 단계(S130)에서 분리된 각각의 원료를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자는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 커버 유리에서 파생된 저철분 유리 분말과 태양 전지에서 파생된 은, 실리콘, 구리 분말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보도블록의 내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분말 혼합 단계(S210)는 상기 분말 가공 단계(S150)에서 생성된 원료에 별도의 혼합제를 첨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혼합제는 상기 분말 가공 단계(S150)에서 생성된 원료 입자 간의 상호 결합력을 부여하는 바인더의 제1 혼합제; 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제는 폴리에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중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분말로 가공된 복수의 원료를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S210)에 대한 발명이다.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 시공자는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분말 형태로 가공된 복수의 원료 중에서 보도블록을 구성하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보도블록의 내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는 보도블록의 제조 용이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가공된 분말 형태의 원료 이외에 별도의 혼합제를 추가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일례로, 보도블록을 구성하는 분말 입자 간의 상호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중 선택되는 하나로 구성되는 제1 혼합제를 추가할 수 있다. 제1 혼합제의 중량비는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태양광 패널을 구성하는 밀봉재와 고분자 바인더가 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혼합제는 구리 분말로 형성되는 제2 혼합제; 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제의 직경 값은 0.5 마이크로 미터 이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분말로 가공된 복수의 원료를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S210)에 대한 발명이다.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는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분말 형태로 가공된 원료 이외에 별도의 혼합제를 추가적으로 혼합하여, 보도블록의 제조 용이성과 내구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 추가적으로 투입되는 혼합제는 구리 분말로 형성되는 제2 혼합제를 추가할 수 있다.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 제2 혼합제가 투입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혼합된 분말은 실리콘-구리-은 분말이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혼합제를 구성하는 입자의 직경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실리콘-구리-은 분말의 제조 용이성을 높이기 위하여 0.5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7)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분말 혼합 단계(S210)는 복수의 원료 분말을 분쇄 미디어가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분쇄 용기 내부에 투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분말로 가공된 복수의 원료를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S210)에 대한 발명이다. 소재 분리 단계(S130)가 진행됨에 따라, 태양 전지로부터 실리콘, 은, 구리 분말과 소량의 유기물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유기물을 증발시킨다면 주변의 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분말 가공 단계(S150)에서는 유기물을 증발시키지 않고 분말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분말 원료 입자 표면에는 유기물이 코팅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파쇄 단계(S152)에서 분말 형태로 가공된 복수의 원료 분말은 분말 혼합단계(S210)에서 별도의 볼밀(Ball Mill) 분쇄기(23)에 투입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실리콘-구리-은 분말 입자가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분말 혼합 단계(S210)는 분말 형태로 분쇄된 복수의 분말 중에서 선택적으로 상호 혼합시키는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분말 혼합 단계(S210)는 상기 분말 가공 단계(S150)에서 패널로부터 해체된 복수의 원료를 선별하는 분말 선별 단계(S211);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패널 해체 단계(S150)에서 성분 별로 각각 분리된 복수의 원료 분말을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S210)에 대한 발명이다. 복수의 원료 분말을 혼합하여 생성된 최종 분말을 금형 내에 투입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보도블록의 형상이 결정된다.
이 때,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는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분말 형태로 가공된 각각의 원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분말 혼합 단계(S210)는 각각의 원료를 선별하여 혼합 장치 내로 선택적으로 투입시키는 분말 선별 단계(S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시공자가 필요로 하는 보도블록의 내구도에 부합한 원료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분말 혼합 단계(S210)는 상기 분말 선별 단계(S211)에서 선별된 원료에 별도의 혼합제를 첨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혼합제는 콘크리트 분말로 형성되는 제3 혼합제; 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제3 혼합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또는 투수 콘크리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패널 해체 단계(S150)에서 성분 별로 각각 분리된 복수의 원료 분말을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S210)에 대한 발명이다.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는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분말 형태로 가공된 원료 이외에 별도의 혼합제를 추가적으로 혼합하여, 보도블록의 제조 용이성과 내구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보도블록의 종류에 따라, 혼합제는 콘크리트 분말로 형성되는 제3 혼합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보도블록의 구조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블록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3 혼합제를 추가적으로 혼합시키지 않는다.
반면에,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보도블록의 구조가 도 8의 (a)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높은 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분말의 제3 혼합제를 추가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3 혼합제를 구성하는 콘크리트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또는 투수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블록 제조 단계(S200)는 제조되는 블록 외형의 형상을 결정하는 형상 결정 단계(S220); 상기 형상 결정 단계(S210)에서 외형이 성형된 블록을 양생하는 양생 단계(S2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확보한 원료를 이용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블록 제조 단계(S200)에 대한 발명이다. 블록 제조 단계(S200)는 블록의 전반적인 형상을 결정하여 최종적으로 인도를 구성하는 보도블록을 생산한다.
이 때, 블록 제조 단계(S200)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보도블록의 형상을 결정하여 양생시키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블록 제조 단계(S200)는 제조되는 보도블록의 형상을 성형하는 형상 결정 단계(S220)와 분말 슬러리 형태로 존재하는 원료를 경화시키는 양생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형상 결정 단계(S220)는 상기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 상호 교반되어 혼합된 분말을 금형 내로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보도블록을 성형하는 형상 결정 단계(S220)에 대한 발명이다. 본 단계에서는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 교반되어 혼합된 복수의 원료 분말을 이용하여 보도블록의 형상을 결정한다.
도 8의 (a)와 같이 일체형 보도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분말 혼합 단계(S210)는 도 7과 같은 별도의 금형을 이용하여 보도블록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금형 내에 형성되는 각각의 홈 내부로 원료 분말을 투입한 이후, 양생 단계(S230)로 진입함에 따라 도 8의 (a)와 같은 일체형 보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형상 결정 단계(S220)는 상기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 상호 교반되어 혼합된 분말을 블록 상단부에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단부에 형성되어, 소정 깊이 함몰되는 홈(1-1);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보도블록을 성형하는 형상 결정 단계(S220)에 대한 발명이다. 본 단계에서는 분말 혼합 단계(S210)에서 교반되어 혼합된 복수의 원료 분말을 이용하여 보도블록의 형상을 결정한다.
도 8의 (b)와 모듈형 보도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분말 혼합 단계(S210)는 도 9와 같이 기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의 상단부로 원료 분말을 투입한 이후, 양생 단계(S230)로 진입함에 따라 모듈형 보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기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은 상단부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는 별도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원료 분말은 콘크리트 블록의 홈 내부에 투입되어 양생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도 8의 (b)와 같은 모듈형 보도블록이 생산될 수 있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양생 단계(S230)는 상기 형태 결정 단계(S220)에서 공급되는 분말을 향하여 열기를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형상이 결정된 보도블록을 경화시키는 양생 단계(S230)에 대한 발명이다.
금형 또는 콘크리트 블록의 홈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원료 분말은 양생 단계(S230)와 같은 별도의 경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내구성이 높은 보도블록으로 가공된다. 이 때, 양생 단계(S230)의 경화 방식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금형 또는 콘크리트 블록의 홈 내부로 열기를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제조된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 내지 5-1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보도블록; 을 포함한다.
1 : 보도블록 1-1 : 보도블록 홈
2 : 금형 2-1 : 금형 홈
10 : 태양광 패널
11 : 프레임 12 : 커버 유리
13 : 밀봉재 14 : 태양 전지
21 : 원료 수용부 21-1 : 호퍼
21-2 : 개폐부 21-2A : 회전축
21-2B : 개폐 블레이드 22 : 원료 교반부
23 : 볼밀 분쇄기 24 : 세척부
25 : 파쇄부
S100 : 패널 해체 단계 S110 : 프레임 해체 단계
S120 : 커버 분리 단계 S130 : 소재 분리 단계
S150 : 분말 가공 단계 S151 : 세척 단계
S152 : 파쇄 단계
S200 : 블록 제조 단계 S210 : 분말 혼합 단계
S211 : 분말 선별 단계 S220 : 형상 결정 단계
S230 : 양생 단계

Claims (6)

  1. 폐기되는 태양광 패널로부터 원료를 확보하는 패널 해체 단계(S100);
    상기 패널 해체 단계(S100)에서 확보된 원료를 이용하여 블록을 성형하는 블록 제조 단계(S200); 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해체 단계(S100)는 태양광 패널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외력을 가하여 분말 상태로 가공하는 분말 가공 단계(S150); 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 가공 단계(S150)는 패널로부터 생성된 해체물을 세척하는 세척 단계(S151) 및 패널로부터 생성된 해체물을 파쇄하는 파쇄 단계(S152); 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 단계(S151)는 해체물에 유기용매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파쇄 단계(S152)에서 생성된 결과물의 직경 값은 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 제조 단계(S200)는 분말 형태로 분쇄된 복수의 분말을 교반하여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S210); 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 혼합 단계(S210)는 상기 분말 가공 단계(S150)에서 생성된 원료에 별도의 혼합제를 첨가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혼합제는 상기 분말 가공 단계(S150)에서 생성된 원료 입자 간의 상호 결합력을 부여하는 바인더의 제1 혼합제 및 구리 분말로 형성되는 제2 혼합제;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혼합제의 직경 값은 0.5 마이크로 미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제조 단계(S200)는,
    제조되는 블록 외형의 형상을 결정하는 형상 결정 단계(S220);
    상기 형상 결정 단계(S210)에서 외형이 성형된 블록을 양생하는 양생 단계(S230); 를 포함하는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6. 청구항 1, 5 중 어느 한 항의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보도블록.
KR1020210102306A 2021-08-04 2021-08-04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 KR102562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306A KR102562592B1 (ko) 2021-08-04 2021-08-04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306A KR102562592B1 (ko) 2021-08-04 2021-08-04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657A KR20230020657A (ko) 2023-02-13
KR102562592B1 true KR102562592B1 (ko) 2023-08-29

Family

ID=8520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306A KR102562592B1 (ko) 2021-08-04 2021-08-04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5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191B1 (ko) 2016-02-26 2017-05-11 주식회사 씨앤에이치케어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
KR102025083B1 (ko) 2017-12-01 2019-09-25 주식회사 선로드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록, 투수블록 및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KR102270655B1 (ko) 2019-11-11 2021-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858B1 (ko) 2017-04-20 2019-05-08 곽은구 아크릴 수지를 사용한 충격흡수 콘크리트 보도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충격흡수 콘크리트 보도블록
KR102207445B1 (ko) * 2019-02-01 2021-01-2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식제련공정을 이용한 폐태양광 모듈의 재활용방법
KR102250482B1 (ko) * 2019-03-29 2021-05-12 주식회사 레나 태양광 폐모듈의 재활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191B1 (ko) 2016-02-26 2017-05-11 주식회사 씨앤에이치케어 그래핀이 포함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록
KR102025083B1 (ko) 2017-12-01 2019-09-25 주식회사 선로드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록, 투수블록 및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KR102270655B1 (ko) 2019-11-11 2021-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657A (ko)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4223B (zh) 一种钢纤维橡胶钢渣再生骨料混凝土的制备方法
KR101482617B1 (ko) 석재슬러지를 이용한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CN102503370B (zh) 一种铁尾矿粉陶粒及其制造方法
CN111153664B (zh) 一种利用石灰赤泥稳定废旧混凝土类建筑垃圾骨料生产的道路基层材料
CN109650777A (zh) 一种复合透水砖及其制备方法
CN107309072B (zh) 碎石沥青废料精细分选再利用方法
KR102562592B1 (ko) 폐태양광 패널을 가공하여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도블록
CN2858735Y (zh) 利用回收废弃轮胎的路面铺层构造及其弹性铺层
KR102212893B1 (ko) 코르크칩을 이용한 칼라 탄성포장재의 제조방법 및 칼라 탄성포장재의 포설방법
CN101912813A (zh) 清除海砂中贝壳的方法及利用该方法的分离装置
RU2425723C1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бетонного лома
KR100497253B1 (ko) 폐타이어, 폐우레탄 컬러 고무칩을 이용한 투수성 탄성포장재
CN110540275A (zh) 洞渣材料在隧道污水处理的应用
US20220371956A1 (en) Production process of artificial aggregate from tailings from mining, artificial aggregate, concrete composition and use
KR20240016110A (ko) 폐아스콘을 활용한 복합순환골재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복합순환골재
KR200194080Y1 (ko)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인공자갈
KR20160004705A (ko) 연속 기공 구조의 폐세라믹을 이용한 투수성 포장 블록
CN107500667A (zh) 一种再生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0586066B1 (ko) 재생골재와 폐시멘트를 이용한 시멘트코팅 혼합골재와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Raju et al. Utilisation of waste plastics as a replacement of cement in paver blocks
KR20170021109A (ko) 폐콘크리트의 미분말 분급공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
KR200381309Y1 (ko) 폐전선피복물 입자로된 경계석
CN204174110U (zh) 玻璃颗粒筛分机
KR100490260B1 (ko)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이용한 건설 건자재
Maghfirah et al. Manufacturing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water absorbtion paving block by utilizing waste of coffee skin and pumice with polyurethane res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