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101B1 -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 Google Patents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101B1
KR101733101B1 KR1020150095326A KR20150095326A KR101733101B1 KR 101733101 B1 KR101733101 B1 KR 101733101B1 KR 1020150095326 A KR1020150095326 A KR 1020150095326A KR 20150095326 A KR20150095326 A KR 20150095326A KR 101733101 B1 KR101733101 B1 KR 101733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hole
drying
sealing memb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333A (ko
Inventor
이승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50095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1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온수 세정기가 제공된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변기와 결합되고, 상기 변기의 내부 공간을 향한 전면부에 위치하는 노즐 홀, 흡기 홀 및 배기 홀을 포함하는 세정 몸체; 상기 세정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 홀을 통해 상기 변기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세정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세정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 홀과 연결되는 흡기 덕트 및 상기 배기 홀과 연결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건조/탈취 어셈블리; 상기 세정 몸체의 상기 전면부와 결합되고, 상기 노즐 홀, 상기 흡기 홀 및 상기 배기 홀을 덮는 셔터 어셈블리; 및 상기 세정 몸체와 상기 셔터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세정 실링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Bidet having a drying/deodorizing assembly}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을 건조하거나, 변기 내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온수 세정기는 화장실의 변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용변 후 뒷처리를 도와주는 장치이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상기 변기와 결합되는 세정 몸체 및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으로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정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변기 내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수단 및 탈취 수단을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에서는 습기, 수분 또는 이물질이 세정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85843호 (공개일 2014.07.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조 수단 및 탈취 수단을 포함하되, 습기, 수분 또는 이물질이 세정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온수 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대기 상태에서 세정 노즐, 건조 수단 및 탈취 수단과 연결되는 세정 몸체의 홀들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는 온수 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앞서 언급한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변기와 결합되고, 상기 변기의 내부 공간을 향한 전면부에 위치하는 노즐 홀, 흡기 홀 및 배기 홀을 포함하는 세정 몸체; 상기 세정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 홀을 통해 상기 변기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세정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세정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 홀과 연결되는 흡기 덕트 및 상기 배기 홀과 연결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건조/탈취 어셈블리; 상기 세정 몸체의 상기 전면부와 결합되고, 상기 노즐 홀, 상기 흡기 홀 및 상기 배기 홀을 덮는 셔터 어셈블리; 및 상기 세정 몸체와 상기 셔터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세정 실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는 상기 세정 몸체의 상기 전면부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세정 몸체는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가 삽입되는 세정 실링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는 상기 세정 실링 홈의 깊이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상기 셔터 어셈블리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와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제 2 세정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세정 실링 부재는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는 상기 노즐 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노즐부 실링 부재 및 상기 흡기 홀과 상기 배기 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 실링 부재는 상기 노즐 홀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는 상기 흡기 홀의 내측 및 상기 배기 홀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는 상기 흡기 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흡기부 실링 부재 및 상기 배기 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배기부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 실링 부재는 상기 흡기부 실링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상기 노즐 홀, 상기 흡기 홀 및 상기 배기 홀 상에 위치하는 셔터 플레이트 및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상기 세정 몸체에 결합하는 셔터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힌지부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상기 세정 몸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는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가 연결되는 공유 영역 상에 위치하는 건조/탈취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팬은 블로워 팬(blower fa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는 상기 흡기 덕트 내에 위치하는 탈취 부재 및 상기 배기 덕트 내에 위치하는 가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대기 상태에서 노즐 홀, 흡기 홀 및 배기 홀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수 세정기에서는 습기, 수분 또는 이물질이 세정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수 세정기에서는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으며,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변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세정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대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노즐 어셈블리, 건조/탈취 어셈블리 및 셔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세정 실링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탈취 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노즐 어셈블리, 건조/탈취 어셈블리 및 셔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건조/세정 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노즐 어셈블리, 건조/탈취 어셈블리 및 셔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세정 실링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셔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셔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세정 실링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세정 실링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챠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챠트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 예)
도 1은 변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세정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대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노즐 어셈블리, 건조/탈취 어셈블리 및 셔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세정 실링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세정 몸체(100), 버튼 조작부(200), 변좌 시트(300), 변좌 커버(400), 노즐 어셈블리(500), 건조/탈취 어셈블리(600), 셔터 어셈블리(700) 및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몸체(100)는 변기(TB)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상기 세정 몸체(100)에 의해 상기 변기(TB)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 몸체(100)는 상기 변기(TB)의 가장 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몸체(100)는 하부 몸체(110) 및 상부 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110)는 상기 변기(TB)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120)는 상기 하부 몸체(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120)는 상기 하부 몸체(11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110)는 노즐 홀(100n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홀(100nh), 상기 흡기 홀(100ih) 및 상기 배기 홀(100oh)은 상기 변기(TB)의 내부 공간(TS)을 향한 상기 하부 몸체(110)의 전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기 홀(100oh)은 상기 노즐 홀(100nh)와 상기 흡기 홀(100ih)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노즐 홀(100n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이 하부 몸체(110)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노즐 홀(100n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이 상부 몸체(120)의 전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노즐 홀(100n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이 상부 몸체(120)의 전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노즐홀(100nh)이 하부 몸체(110)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이 상부 몸체(120)의 전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몸체(100)는 전면부에 위치하는 세정 실링 홈(100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 실링 홈(100g)은 상기 노즐 홀(100nh), 상기 흡기 홀(100ih) 및 상기 배기 홀(100oh)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 실링 홈(100g)은 상기 노즐 홀(100nh)의 주변을 둘러싸는 노즐부 실링 홈(101g) 및 상기 흡기 홀(100ih)의 주변과 상기 배기 홀(100oh)의 주변을 둘러싸는 건조/탈취부 실링 홈(102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몸체(100)는 착좌 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착좌 센서(150)를 통해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할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요청 사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 조작부(200)는 변좌 시트(300)의 제어 및 노즐 어셈블리(500)의 제어를 위한 다양한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버튼 조작부(200)를 통해 변좌 시트(300)의 온도, 노즐 어셈블리(500)에 의해 분사되는 온수의 온도, 방향 및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2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 조작부(2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의 측면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변좌 시트(300)는 사용자가 편한 자세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좌 시트(300)는 착석한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시트(300)는 상기 변기(TB)의 상기 내부 공간(TS)을 노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좌 시트(300)는 상기 변기(TB)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변좌 시트(3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시트(2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트 가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시트(3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커버(4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변기(TB)의 상기 내부 공간(TS)을 가리거나 오픈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커버(4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커버(4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커버(40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변좌 시트(300)를 덮을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500)는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에 온수를 분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500)로부터 분사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용변 후 뒷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5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500)는 세정 노즐(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500)는 상기 세정 노즐(510)을 통해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에 온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노즐(510)은 상기 세정 몸체(100)의 상기 노즐 홀(100nh)을 통해 상기 변기(TB)의 상기 내부 공간(TS)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500)는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500)는 상기 변기(TB) 내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5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5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의 상기 하부 몸체(1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500)는 흡기 덕트(610), 배기 덕트(620) 및 공유 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 덕트(610)는 상기 세정 몸체(100)의 상기 흡기 홀(100ih)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기(TB) 내의 공기는 상기 흡기 덕트(610)와 연결된 상기 세정 몸체(100)의 상기 흡기 홀(100ih)을 통해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5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기 덕트(620)는 상기 세정 몸체(100)의 상기 배기 홀(100oh)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유 영역(630)은 상기 흡기 덕트(610)와 상기 배기 덕트(620)가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기 덕트(610)를 통해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유 영역(630)을 거쳐, 상기 배기 덕트(620)와 연결된 상기 세정 몸체(100)의 상기 배기 홀(100oh)을 통해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는 상기 흡기 덕트(610) 내에 위치하는 탈취 부재(6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부재(615)는 상기 흡기 덕트(610)를 통해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로 유입된 공기를 탈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는 상기 탈취 부재(615)를 통해 상기 변기(TB) 내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는 상기 배기 덕트(620) 내에 위치하는 가열 수단(6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수단(625)은 상기 배기 덕트(620)를 통해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는 상기 가열 수단(625)을 통해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는 상기 공유 영역(630) 내에 위치하는 건조/탈취 팬(6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기(TB) 내의 공기는 건조/탈취 팬(635)의 구동에 의해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5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팬(635)은 블로워 팬(blower fa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흡기 덕트(610) 내에 탈취 부재(615)가 위치하고, 배기 덕트(620) 내에 가열 수단(625)이 위치하며, 상기 배기 덕트(620)가 상기 흡기 덕트(610)와 연결된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는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의 건조 및 변기 내의 악취 제거가 하나의 건조/탈취 팬(63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는 가열 수단(625)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변기 내의 악취 제거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어셈블리(700)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세정 몸체(100)의 상기 노즐 홀(100nh), 상기 흡기 홀(100ih) 및 상기 배기 홀(100oh)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상태는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 또는 사용자에 의한 구동 지시가 전달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어셈블리(700)는 셔터 플레이트(710) 및 셔터 힌지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플레이트(710)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노즐 홀(100nh), 상기 흡기 홀(100ih) 및 상기 배기 홀(100oh)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셔터 플레이트(710)는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기 전면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셔터 힌지부(720)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710)를 상기 세정 몸체(100)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셔터 힌지부(720)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710)의 상부면을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기 전면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셔터 플레이트(710)는 상기 셔터 힌지부(72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셔터 힌지부(720)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710)에 상기 세정 몸체(100) 방향의 힘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셔터 힌지부(720)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셔터 플레이트(71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에서는 셔터 플레이트(710)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셔터 어셈블리(700)가 하나의 셔터 플레이트(7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에서는 셔터 어셈블리(700)가 셔터 힌지부(720)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는 제 1 셔터 플레이트, 제 2 셔터 플레이트 및 제 3 셔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 1 셔터 플레이트는 상기 노즐 홀(100nh)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 2 셔터 플레이트는 상기 흡기 홀(100ih)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 3 셔터 플레이트는 상기 배기 홀(100oh)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상기 셔터 어셈블리(7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는 상기 세정 몸체(1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는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기 전면부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는 상기 세정 몸체(100) 및 상기 셔터 어셈블리(70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는 상기 노즐 홀(100nh), 상기 흡기 홀(100ih) 및 상기 배기 홀(100oh)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상기 노즐 홀(100nh), 상기 흡기 홀(100ih) 및 상기 배기 홀(100oh)은 상기 셔터 어셈블리(700) 및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에 의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는 오링(o-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의 상기 세정 실링 홈(100g)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의 두께는 상기 세정 실링 홈(100g)의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는 제 1 노즐부 실링 부재(810) 및 제 1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노즐부 실링 부재(810)는 상기 노즐 홀(100nh)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 1 노즐부 실링 부재(810)는 상기 노즐부 실링 홈(101g)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820)는 상기 흡기 홀(100ih)의 주변 및 상기 배기 홀(100oh)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 1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820)는 상기 건조/탈취부 실링 홈(102g)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셔터 어셈블리(700) 및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가 상기 노즐 홀(100nh), 상기 흡기 홀(100ih) 및 상기 배기 홀(100oh)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대기 상태에서 습기, 수분 또는 이물질이 세정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동작 모드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500)와 셔터 어셈블리(700)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예를 들어, 도 6a는 탈취 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노즐 어셈블리, 건조/탈취 어셈블리 및 셔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건조/세정 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에 결합된 노즐 어셈블리, 건조/탈취 어셈블리 및 셔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탈취 모드 또는 건조/세정 모드에서 노즐 어셈블리(500)의 세정 노즐(510)은 변기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세정 노즐(510)의 이동에 의해 셔터 플레이트(71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셔터 플레이트(710)의 회전에 의해 세정 몸체(100)의 노즐 홀(100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은 오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대기 상태에서 노즐 홀(100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을 외부와 차단하고, 동작 모드에 따라 세정 노즐(510)을 이동하여 노즐 홀(100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을 오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대기 상태에서 노즐 홀(100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을 통해 습기, 수분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 모드와 건조/세정 모드에서 세정 노즐(510)의 이동 거리가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에서는 탈취 모드에서 세정 노즐(510)이 건조/세정 모드보다 작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모드에 따라 노즐 홀(100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이 오픈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동작 상태에서 노즐 홀(100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을 통해 습기, 수분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세정 실링 부재(800)의 두께가 세정 몸체(100)의 세정 실링 홈의 깊이와 동일한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세정 실링 부재(800)가 세정 몸체(1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에서는 상기 세정 실링 부재(800)가 상기 세정 몸체(100)의 상기 세정 실링 홈의 깊이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가 세정 실링 홈(100g)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상기 세정 몸체(100)의 전면부에 세정 실링 홈(100g)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대기 상태에서 셔터 플레이트(710)가 세정 몸체(100)에 고정된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와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셔터 어셈블리(700)의 셔터 플레이트(710)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와 대응되는 제 2 세정 실링 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세정 실링 부재(900)는 제 2 노즐부 실링 부재(910) 및 제 2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920)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 2 노즐부 실링 부재(910)는 제 1 노즐부 실링 부재(810)와 접촉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 2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920)는 제 1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820)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세정 몸체(100) 상에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가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셔터 어셈블리(700) 상에 고정된 제 2 세정 실링 부재(900)만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흡기 홀(100ih)의 주변 및 배기 홀(100oh)의 주변이 하나의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820)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820)가 흡기 홀(100ih)의 주변을 둘러싸는 흡기부 실링 부재(821) 및 배기 홀(100oh)의 주변을 둘러싸는 배기부 실링 부재(8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 실링 부재(822)는 상기 흡기부 실링 부재(821)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가 세정 몸체(100)의 전면부 상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제 1 세정 실링 부재(800)가 노즐 홀(100n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노즐 홀(100nh)의 주변을 둘러싸는 제 1 노즐부 실링 부재(810)가 상기 노즐 홀(100nh)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흡기 홀(100ih)의 주변 및 배기 홀(100oh)의 주변을 둘러싸는 제 1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820)가 상기 흡기 홀(100ih)의 내측 및 상기 배기 홀(100oh)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착좌 센서(150)를 포함하는 세정 몸체(100), 버튼 조작부(200), 세정 노즐(510)을 포함하는 노즐 어셈블리(500), 건조/탈취 어셈블리(600) 및 제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는 탈취 부재(615), 가열 수단(625) 및 건조/탈취 팬(6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세정 몸체(100), 상기 버튼 조작부(200), 상기 노즐 어셈블리(500) 및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500)의 상기 세정 노즐(5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의 상기 가열 수단(625)의 구동 및 상기 건조/탈취 팬(635)의 구동은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탸트이다.
도 1-3, 6a, 6b, 13 및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노즐 어셈블리(500) 및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를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500) 및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를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어셈블리(500)의 세정 노즐(510)을 세정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의 가열 수단(625) 및 건조/탈취 팬(635)을 정지된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모드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드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S110)는 사용자가 버튼 조작부(200)를 통해 설정한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입력된 모드가 탈취 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S120), 탈취 모드에 따라 상기 세정 노즐(510)을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121) 및 탈취 모드에 따라 상기 건조/탈취 팬(635)을 구동하는 단계(S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노즐(510)의 이동에 의해 셔터 플레이트(710)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셔터 플레이트(7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정 몸체(100)의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은 오픈될 수 있다. 상기 세정 몸체(100)의 상기 흡기 홀(100ih) 및 상기 배기 홀(100oh)의 오픈 및 상기 건조/탈취 팬(635)의 구동에 의해 변기 내의 공기는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다. 변기 내의 공기는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로 유입된 후, 탈취 부재(615)를 통과하여 상기 변기 내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세정 노즐(510)을 탈취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121) 및 상기 건조/탈취 팬(635)을 구동하는 단계(S122)에 의해 상기 변기 내의 악취는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입력된 모드가 세정 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S130), 세정 모드에 따라 상기 세정 노즐(510)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131) 및 세정 모드에 따라 온수를 분사하는 단계(S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입력된 모드가 건조 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S140), 건조 모드에 따라 상기 세정 노즐(510)을 건조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141), 건조 모드에 따라 건조/탈취 팬(635)을 구동하는 단계(S142) 및 건조 모드에 따라 가열 수단(625)을 구동하는 단계(S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노즐(5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세정 몸체(100)의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은 오픈될 수 있다. 변기 내의 공기는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로 유입되어 상기 탈취 부재(615)를 통과한 후, 상기 가열 수단(625)에 의해 가열되어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세정 노즐(510)을 건조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141), 상기 건조/탈취 팬(635)을 구동하는 단계(S142) 및 상기 가열 수단(625)을 구동하는 단계(S143)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의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동작 종료를 확인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동작 종료가 확인되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동작 종료가 확인되지 않으면, 모드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은 모드에 따라 세정 노즐(510)의 이동을 제어하여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을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에서는 노즐 홀(100nh), 흡기 홀(100ih) 및 배기 홀(100oh)을 통한 습기, 수분 또는 이물질의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다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탸트이다.
도 1-3, 6a, 6b, 13 및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노즐 어셈블리(500) 및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를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200), 사용자의 착좌를 확인하는 단계(S210), 사용자의 착좌에 따라 세정 노즐(510)을 탈취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220), 사용자의 착좌에 따라 건조/탈취 팬(635)을 구동하는 단계(S230), 세정 모드의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S240), 세정 모드에 따라 상기 세정 노즐(510)을 세정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250), 세정 모드에 따라 온수를 분사하는 단계(S260), 건조 모드의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S270), 건조 모드에 따라 가열 수단(625)을 구동하는 단계(S280) 및 사용자의 이탈을 확인하는 단계(S29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착좌 여부 및 이탈 여부는 세정 몸체(100)의 착좌 센서(150)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착좌가 확인되지 않으면, 노즐 어셈블리(500) 및 건조/탈취 어셈블리(600)를 대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되면, 건조/탈취 어셈블리(600)의 가열 수단(625)을 중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착좌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착좌/이탈을 확인하고, 세정 노즐의 이동 및 건조/탈취 팬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습기, 수분 또는 이물질이 세정 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온수 세정기의 미동작 또는 과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세정 몸체 110 : 하부 몸체
120 : 상부 몸체 150 : 착좌 센서
200 : 버튼 조작부 300 : 변좌 시트
400 : 변좌 커버 500 : 노즐 어셈블리
600 : 건조/탈취 어셈블리 610 : 흡기 덕트
620 : 배기 덕트 635 : 건조/탈취 팬
700 : 셔터 어셈블리 710 : 셔터 플레이트
800 : 제 1 세정 실링 부재

Claims (15)

  1. 변기와 결합되고, 상기 변기의 내부 공간을 향한 전면부에 위치하는 노즐 홀, 흡기 홀 및 배기 홀을 포함하는 세정 몸체; 상기 세정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 홀을 통해 상기 변기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되, 온수세정기의 탈취모드 또는 건조/세정모드에 따라 그 이동거리가 다르게 제어되는 세정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세정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 홀과 연결되는 흡기 덕트 및 상기 배기 홀과 연결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건조/탈취 어셈블리; 상기 세정 몸체의 상기 전면부와 결합되고, 상기 노즐 홀, 상기 흡기 홀 및 상기 배기 홀을 덮는 셔터 어셈블리; 및 상기 세정 몸체와 상기 셔터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세정 실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셔터 플레이트는, 온수세정기의 대기모드와 탈취모드 또는 건조/세정모드에 따른 상기 세정노즐의 이동거리로부터 노즐 홀을 개폐하는 제 1 셔터 플레이트; 온수세정기의 대기모드와 탈취모드 또는 건조/세정모드에 따른 상기 세정노즐의 이동거리로부터 흡기 홀을 개폐하는 제 2 셔터 플레이트; 및, 온수세정기의 대기모드와 탈취모드 또는 건조/세정모드에 따른 상기 세정노즐의 이동거리로부터 배기 홀을 개폐하는 제 3 셔터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 1,2,3 셔터 플레이트는 셔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세정 몸체에 결합되면서, 상기 셔터 힌지부에 의해 동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는 상기 세정 몸체의 상기 전면부 상에 고정되는 온수 세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몸체는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가 삽입되는 세정 실링 홈을 더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는 상기 세정 실링 홈의 깊이보다 두꺼운 온수 세정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어셈블리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와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제 2 세정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정 실링 부재는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정 실링 부재는 상기 노즐 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노즐부 실링 부재 및 상기 흡기 홀과 상기 배기 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 실링 부재는 상기 노즐 홀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는 상기 흡기 홀의 내측 및 상기 배기 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온수 세정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탈취부 실링 부재는 상기 흡기 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흡기부 실링 부재 및 상기 배기 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배기부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 실링 부재는 상기 흡기부 실링 부재와 접촉하는 온수 세정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힌지부는 상기 제 1,2,3 셔터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상기 세정 몸체에 결합하는 온수 세정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는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가 연결되는 공유 영역 상에 위치하는 건조/탈취 팬을 더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탈취 팬은 블로워 팬(blower fan)을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탈취 어셈블리는 상기 흡기 덕트 내에 위치하는 탈취 부재 및 상기 배기 덕트 내에 위치하는 가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1020150095326A 2015-07-03 2015-07-03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101733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326A KR101733101B1 (ko) 2015-07-03 2015-07-03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326A KR101733101B1 (ko) 2015-07-03 2015-07-03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333A KR20170005333A (ko) 2017-01-12
KR101733101B1 true KR101733101B1 (ko) 2017-05-25

Family

ID=5781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326A KR101733101B1 (ko) 2015-07-03 2015-07-03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01B1 (ko) * 2018-12-17 2020-03-12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건조장치
ES2782301B2 (es) * 2019-03-11 2021-06-10 Roca Sanitario Sa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de una puerta, e inodoro con funciones de bidet que incluye dicho dispositiv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4780A (ja) * 2008-07-23 2010-02-04 Toto Ltd トイレ装置
KR101361102B1 (ko) * 2012-10-23 2014-02-1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건조 및 탈취장치의 구동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843A (ko) 2012-12-27 2014-07-08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4780A (ja) * 2008-07-23 2010-02-04 Toto Ltd トイレ装置
KR101361102B1 (ko) * 2012-10-23 2014-02-1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건조 및 탈취장치의 구동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333A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101B1 (ko)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JP2008099950A (ja) 暖房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1746781B1 (ko) 건조/탈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JP5800284B2 (ja) 衛生洗浄装置
JP6839406B2 (ja) 衛生洗浄装置
JP5253231B2 (ja) 温水洗浄式便座装置
KR102180145B1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비데
EP3159458B1 (en) Bidet having internal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drying inside of bidet
JP6946975B2 (ja) 洗浄便座装置
JP6701599B2 (ja) 衛生洗浄装置
JP7205140B2 (ja) 衛生洗浄装置
JP6748943B2 (ja) 衛生洗浄装置
JP6709976B2 (ja) 便器装置
KR20160105647A (ko) 변좌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JP6900827B2 (ja)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JP7213021B2 (ja) 便器装置
KR102419984B1 (ko)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JP6874399B2 (ja) 衛生洗浄装置
JP6839405B2 (ja) 衛生洗浄装置
JP6775763B2 (ja) 衛生洗浄装置
JP7102841B2 (ja) 便座装置
KR102419983B1 (ko)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JPH0211915Y2 (ko)
JP6823280B2 (ja) 衛生洗浄装置
WO2019188404A1 (ja) 便器装置および便座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