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389B1 - 컨테이너 하역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하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389B1
KR101732389B1 KR1020150152103A KR20150152103A KR101732389B1 KR 101732389 B1 KR101732389 B1 KR 101732389B1 KR 1020150152103 A KR1020150152103 A KR 1020150152103A KR 20150152103 A KR20150152103 A KR 20150152103A KR 101732389 B1 KR101732389 B1 KR 101732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unit
discharg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63B27/2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컨테이너 하역 장치를 제공한다. 컨테이너 하역 장치는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적재하며, 상기 적재된 컨테이너 중 선택된 컨테이너를 수직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서 하강한 배출 대상 컨테이너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컨테이너선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달한 상기 배출 대상 컨테이너를 상기 컨테이너선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하역 장치{Container un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컨테이너 하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화물창(container hold)은 다수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다.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화물창은 복수의 컨테이너 셀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컨테이너 셀(cell)에 다수의 컨테이너가 적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에는 크레인이 이용될 수 있다. 크레인은 각 컨테이너 셀에서 가장 밑층부터 컨테이너를 적층하고, 가장 위층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1125호 (2011.04.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컨테이너 하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컨테이너 하역 장치의 일 면(aspect)은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적재하며, 상기 적재된 컨테이너 중 선택된 컨테이너를 수직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서 하강한 배출 대상 컨테이너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컨테이너선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달한 상기 배출 대상 컨테이너를 상기 컨테이너선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지지 기둥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 기둥의 장축을 따라 층별로 구비되어 층별로 배치된 컨테이너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 기둥에 대하여 회전하여 지지하고 있던 컨테이너의 지지를 해제한다.
상기 지지하고 있던 컨테이너의 지지를 해제한 상기 지지부는 해당 컨테이너의 측면을 압박하여 낙하하는 힘을 완화시킨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선택된 컨테이너를 하강시키기 전에 상기 선택된 컨테이너의 아래 층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하강시킨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에서 컨테이너가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자세가 복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 내에서 컨테이너가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 대상 컨테이너의 이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 대상 컨테이너가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하역 장치(100)는 승강부(110), 이송부(120) 및 배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부(110)는 컨테이너선(10)의 화물창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20)를 적재하며, 적재된 컨테이너(20) 중 선택된 컨테이너(20)를 수직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컨테이너 하역 장치(100)는 컨테이너선(10)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컨테이너선(10)의 화물창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장치(100)가 설치된 컨테이너선(10)의 화물창에는 승강부(110)가 구비되고, 승강부(110)에 컨테이너(20)가 적재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5개의 승강부(11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각 승강부(110)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컨테이너(20)가 하강하는 경우 이송부(120)에 안착하게 된다. 이송부(120)는 승강부(110)에서 하강한 컨테이너(2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베이어 벨트 및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이송부(1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승강부(110)에서 하강하여 이송부(120)에 안착한 컨테이너(20)는 컨테이너선(10)의 외부로 배출되는 컨테이너로서, 이하 이를 배출 대상 컨테이너라 한다.
도 1은 컨테이너선(10)의 선수 측면에 배출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이송부(120)는 승강부(110)에서 하강한 배출 대상 컨테이너를 선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 대상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송부(120)의 상부면과 승강부(110)의 최하층에 적재된 컨테이너의 하부면간의 거리는 컨테이너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부(130)는 컨테이너선(10)의 측면에 구비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달한 배출 대상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테이너선(10)이 복수의 승강부(110)를 구비하고, 각 승강부(110) 중 선택된 승강부(110)의 최하층에 적재된 컨테이너(20)를 배출할 수 있음에 따라 컨테이너선(10)에 적재된 컨테이너(20)의 배출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방식으로 컨테이너(20)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해치 커버를 개방하고 크레인을 이용하여야 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장치(100)가 구비된 컨테이너선(10)은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도 컨테이너(20)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승강부(110) 내에서 컨테이너(20)의 하강이 가능한데, 이에 해당 승강부(110)에 적재된 컨테이너(20)를 수 차례 배출함으로써 특정 컨테이너(20)를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강부(110)는 지지 기둥(111) 및 지지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기둥(111)에는 지지부(11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가이드가 지지 기둥(11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셀 가이드에 지지부(11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지지 기둥(111)이 셀 가이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지부(112)는 지지 기둥(111)의 장축을 따라 층별로 구비되어 층별로 배치된 컨테이너(2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컨테이너(20)의 상부면에 컨테이너(20)가 적재되는 것이 아니라, 컨테이너(20) 각각이 이격되어 해당 층에 존재하는 지지부(112)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이하, 승강부(1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에서 컨테이너가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자세가 복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 내에서 컨테이너가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12)는 지지 기둥(111)에 대하여 회전하여 지지하고 있던 컨테이너(20)의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2)가 컨테이너(20)의 지지를 해제하는 경우 해당 컨테이너(20)는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컨테이너(20)의 지지를 해제한 지지부(112)는 해당 컨테이너(20)의 측면을 압박하여 낙하하는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2)가 하강하는 컨테이너(20)의 측면을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컨테이너(20)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강한 컨테이너(20)는 이송부(120)에 안착하는데, 하강 속도가 감소됨에 따라 컨테이너(2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송부(120)에 안착한 컨테이너(20)는 이송부(120)에 의하여 수평 이동되고, 배출부(1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테이너(20)가 하강하여 이송부(120)로의 안착이 완료되면 지지부(112)의 자세가 복귀될 수 있다. 즉, 지지를 해제한 지지부(112)의 자세가 컨테이너(20)를 지지하기 위한 자세로 복귀되는 것이다. 지지를 해제한 지지부(112)의 자세는 자동으로 컨테이너(20)를 지지하기 위한 자세로 복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지지부(112)의 상위 층에 적재된 컨테이너(20)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부(110) 내에서 컨테이너(20)가 하강할 수 있다. 즉, 중간 층에 적재된 컨테이너(20)가 아래 층으로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중간 층의 지지부(112)가 컨테이너(20)의 지지를 해제함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20)가 하강하게 된다. 컨테이너(20)가 하강하는 도중에 중간 층의 지지부(112)는 하강하는 컨테이너(20)의 측면을 압박하여 낙하하는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아래 층에 구비된 지지부(112)가 컨테이너(20)를 지지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 층에서 하강한 컨테이너(20)는 아래 층의 지지부(11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중간 층에서 하강한 컨테이너(20)가 아래 층의 지지부(112)에 의하여 지지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20)의 배출 및 승강부(110) 내에서의 컨테이너 이동을 이용하여 특정 컨테이너(20)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수의 승강부 중 특정 승강부를 선택하고, 해당 승강부에 적재된 컨테이너 중 특정 층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해당 승강부는 선택된 컨테이너(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 때, 승강부(110)는 선택된 컨테이너(20)를 하강시키기 전에 선택된 컨테이너(20)의 아래 층에 적재된 컨테이너(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즉, 승강부(110)는 최하층에 적재된 컨테이너(20)를 배출하고, 중간층에 적재된 컨테이너(20)를 최하층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승강부(110)는 선택된 컨테이너(20)가 이송부(120)에 안착된 경우 적재된 나머지 컨테이너(20)의 이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이에, 선택된 컨테이너(20)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 대상 컨테이너의 이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강부(110)에서 하강한 컨테이너(20)는 이송부(120)를 통하여 수평 이동하여 배출부(130)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130)에 도달한 컨테이너(20)는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20)의 자동 배출을 구현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하역 장치(100)에는 제어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승강부(110), 이송부(120) 및 배출부(13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정 컨테이너가 배출되도록 승강부(110), 이송부(120) 및 배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에 대한 선택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 제어 장치는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컨테이너를 확인하고, 해당 컨테이너가 배출되도록 승강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승강부(110)는 해당 컨테이너가 이송부(120)에 안착할 때까지 컨테이너의 이동을 지속하며,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이송부(120) 및 배출부(130)는 컨테이너의 수평 이동 및 배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 대상 컨테이너가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출부(130)는 배출구(131) 및 배출 롤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131)는 컨테이너선(1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배출 롤러(132)는 이송부(120)로부터 전달된 컨테이너(20)를 배출구(131)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송부(120)에 의한 컨테이너(20)의 이동 방향에 배출구(131)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수 있는데, 배출 롤러(132)는 컨테이너(20)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배출 롤러(132)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구동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송부(120)를 통하여 이동한 컨테이너(20)는 배출 롤러(132)에 까지 이동하고, 배출 롤러(132)는 컨테이너(20)를 배출구(131)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구(131)로 배출된 컨테이너(20)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컨테이너(20)는 또 다시 승강부(110)에 적재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컨테이너선
20: 컨테이너
100: 컨테이너 하역 장치
110: 승강부
111: 지지 기둥
112: 지지부
120: 이송부
130: 배출부
131: 배출구
132: 배출 롤러

Claims (5)

  1.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적재하며, 상기 적재된 컨테이너 중 선택된 컨테이너를 수직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서 하강한 배출 대상 컨테이너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컨테이너선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달한 상기 배출 대상 컨테이너를 상기 컨테이너선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지지 기둥의 특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 기둥의 장축을 따라 층별로 구비되어 층별로 배치된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컨테이너 하역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 기둥에 대하여 회전하여 지지하고 있던 컨테이너의 지지를 해제하는 컨테이너 하역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하고 있던 컨테이너의 지지를 해제한 상기 지지부는 해당 컨테이너의 측면을 압박하여 낙하하는 힘을 완화시키는 컨테이너 하역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선택된 컨테이너를 하강시키기 전에 상기 선택된 컨테이너의 아래 층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하강시키는 컨테이너 하역 장치.
KR1020150152103A 2015-10-30 2015-10-30 컨테이너 하역 장치 KR101732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03A KR101732389B1 (ko) 2015-10-30 2015-10-30 컨테이너 하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03A KR101732389B1 (ko) 2015-10-30 2015-10-30 컨테이너 하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389B1 true KR101732389B1 (ko) 2017-05-04

Family

ID=5874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103A KR101732389B1 (ko) 2015-10-30 2015-10-30 컨테이너 하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936A (ko) * 2018-11-26 2020-06-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축전지를 이용한 발라스트수 프리 선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936A (ko) * 2018-11-26 2020-06-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축전지를 이용한 발라스트수 프리 선박
KR102449289B1 (ko) * 2018-11-26 2022-09-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축전지를 이용한 발라스트수 프리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853B1 (ko) 적층 가능한 저장 용기용 저장 장치
RU2007130147A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парковочный гараж
WO2009109218A1 (en) Process and workstation for semi-automatic multi-layer stacking on a load carrier
KR20220018573A (ko) 보관 시스템
KR20180028907A (ko) 물품 반송 설비
CN114803532B (zh) 袋装货物重力拆垛机
JP5671910B2 (ja) 積込装置および積込システム
KR101732389B1 (ko) 컨테이너 하역 장치
JP4296498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KR101012071B1 (ko) 완제품 타이어의 이동 적재장치
KR20220055497A (ko) 셀 및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수평 머시닝 센터로 구성되는 셀 작동법
CN108438918A (zh) 爬料卸货装置
CN115771696A (zh) 卸货装置
US66199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ading and reloading returnable shipping containers from a trailer
JP7415626B2 (ja) 保持装置
CN210479986U (zh) 油箱搬运系统
JP5420286B2 (ja) 搬送装置
EP3272682B1 (en) Pallet handling device, palletizing apparatus and pallet handling method
EP3390252B1 (en) Plant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loading of a container
KR102348284B1 (ko) 경사이동 드럼 스토리지 적재시스템
KR19990014445U (ko) 튜브이송장치
US1686088A (en) Unloading machine
KR20190113237A (ko) 팔레트 공급 장치 및 시스템
CN210655149U (zh) 油箱搬运系统
KR20120088235A (ko) 화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