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317B1 -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 Google Patents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317B1
KR101732317B1 KR1020160103241A KR20160103241A KR101732317B1 KR 101732317 B1 KR101732317 B1 KR 101732317B1 KR 1020160103241 A KR1020160103241 A KR 1020160103241A KR 20160103241 A KR20160103241 A KR 20160103241A KR 101732317 B1 KR101732317 B1 KR 101732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sided tape
weight
psalm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창석
이승훈
이승현
최영두
주용성
Original Assignee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주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주창석 filed Critical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317B1/ko
Priority to PCT/KR2017/008560 priority patent/WO20180307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9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09J7/0264
    • C09J7/0278
    • C09J7/0285
    • C09J2201/12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6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제공용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정보 입력용 촬영수단(camera) 등을 구비하는 개인용 소형 전자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보호패널, 글라스(glass)나 카메라 렌즈 등과 같은 광학용 기자재를 안정적으로 부착하여 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로부터 제1 점착층(11), 충격 흡수층(12),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13) 또는 흑색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13), 제2 점착층(14), 이형지(15)의 순서를 이루도록 적층하여 전체 두께 0.1 ~ 1㎜의 두께로 양면 테이프(10)를 구성하고, 상기 충격 흡수층(12)은 아크릴계 수지(121)와 폴리머계 비드(122)를 혼합하여 조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상체의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하여 양면 테이프를 구성한 것으로, 양면 테이프의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포된 아크릴 폼, PE 폼으로 제조된 양면 테이프에 비해 우수한 충격 흡수능력을 발휘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for impact absorption by using polymer based bead}
본 발명은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에 관한 발명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정보 제공용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정보 입력용 촬영수단(camera) 등을 구비하는 개인용 소형 전자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보호패널, 글라스(glass)나 카메라 렌즈 등과 같은 광학용 기자재를 안정적으로 부착하여 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양면 테이프, 특히,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휴대전화 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이나 소형 영상촬영장치(디지털 카메라, 블랙박스 등)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촬영수단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은 패널모듈과 액정모듈의 접합작업이나 글라스(glass) 또는 카메라 렌즈 등과 같은 광학용 자재를 고정부에 부착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접합(부착)과정에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발포층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 휴대전화나 차량용 네비게이션, 소형화 영상촬영장치 등과 같은 전자제품은 경박단소(輕薄短小)의 경향이 더욱더 두드러지고 있으며, 전자제품의 경박단소화에 따라 그와 같은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또한 두께가 얇으면서도 내충격성과 방열, 방진, 방수력 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고점착성의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아크릴(Acryl),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등과 같은 물질로 구성된 발포폼 시트를 점착시트 사이에 개재하여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여 왔는데, 상기한 양면 테이프의 제조시에 0.5mm 이상되는 두꺼운 발포폼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충격 흡수능력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전자제품의 소형화, 박형화에 따라 테이프의 두께도 얇아지는 추세이고 상대적으로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포폼 시트의 두께도 얇아질 수밖에 없으며 두께의 손실로 인해 충분한 내충격성이나 방진 특성을 기대하기 어려운바, 종래의 양면 테이프 구성은 경박단소한 전자제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그에 따라 얇은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점착성이 양호하고 내충격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미 공개된 구성의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에 있어서, 기재층의 상면에 아크릴 바인더와 내충격 필러를 혼합한 내충격 필러층을 형성하고, 내충격 필러층의 상면과 기재층의 하면에 제1,2 점착층을 각각 형성하며, 제2 점착층의 하면에 이형층을 형성하여 구성한 양면 테이프가 존재한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9238호(2015. 10. 01)
상기한 양면 테이프는 아크릴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의 내충격 필러를 포함하도록 내충격 필러층을 구성하고, 내충격 필러는 복수의 중공미립자를 포함하도록 한 것으로, 박막화가 가능하게 하면서 아크릴 바인더의 혼입량과 중공미립자의 특성에 의해 내충격성과 방수성 등을 만족시키도록 한 것이다.
종래와 같이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아크릴(Acryl),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등과 같은 물질로 구성된 발포폼 시트를 사용하여 양면 테이프를 제조할 경우 박막화가 어려워 경박단소한 가전제품에 적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또한, 아크릴 바인더와 중공미립자를 포함하는 내충격 필러를 이용하여 양면 테이프를 구현하는 경우 양면 테이프의 박막화를 기대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중공미립자를 구현하기 위한 공정이 까다롭고 제조공정수가 많아 양면 테이프의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었으며, 또한, 중공상태를 유지하는 미세한 규격의 중공미립자를 구하다 보니 균일하고 양호한 품질(내충격성 등)을 가지는 중공미립자를 제조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불량 발생의 빈도가 높고 그로 인해 양면 테이프의 내충격성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양면 테이프의 제조상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우수한 품질의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를 구현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제조가 용이한 구상체의 폴리머계 비드(polymer based bead)를 이용하여 박막화에 가장 적합하면서 우수한 충격 흡수능력을 가지는 충격 흡수재를 구하고 이를 최적의 조건으로 조합하여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를 구현한 것이며, 양면 테이프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 경박단소한 전자제품에 적용하기에 최적화된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로부터 제1 점착층, 충격 흡수층,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또는 흑색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제2 점착층, 이형지의 순서를 이루도록 적층하여 전체 두께 0.1 ~ 1㎜의 두께로 양면 테이프를 구성하고, 상기 충격 흡수층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머계 비드를 1 ~ 25 중량부로 혼합하여 조성하며, 상기 충격 흡수층을 구성하는 폴리머계 비드는, 충격 흡수력을“K”라고 정의할 때“S”는 입자의 변위,“R”은 입자의 지름으로 하는 식 “K = (3/21/2)(F)(S-3/2 )(R-1/2)”에 의해 구해진 K값 200 이하의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PDMA; Polydecyl Methacrylate) 비드(122)이고, 상기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122)의 입자 직경은 6 ~ 40㎛인 것으로 채택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는 아크릴계 수지 점착제에 충격 흡수재인 폴리머계 비드를 혼합하여 조성한 충격 흡수층을 구성부로 하는 것으로, 구상체의 폴리머계 비드를 이용하여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므로 양면 테이프의 제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포된 아크릴 폼, PE 폼 등으로 제조된 양면 테이프에 비해 우수한 충격 흡수능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은 박막화에 가장 적합하면서 우수한 충격 흡수능력을 가지는 구상체의 폴리머계 비드(polymer based bead)를 최적의 조건으로 조합하여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 경박단소한 전자제품에 적용하기에 최적화된 박막형의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을 도시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다.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를 통해 본 발명은 위로부터 제1 점착층(11), 충격 흡수층(12),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13) 또는 흑색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13), 제2 점착층(14), 이형지(15)의 순서를 이루도록 적층하여 구성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구성부가 조합된 양면 테이프(10)의 전체 두께는 0.1 ~ 1㎜의 범위를 유지하게 하여 경박단소한 가전제품의 부품 접착에 적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점착층(11) 및 제2 점착층(14)은 아크릴 공중합체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은 폴리머를 제공하는 주 모노머(monomer)와 유리전이온도(Tg)가 높은 폴리머를 제공하는 코모노머(comonomer)를 공중합체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제1 점착층(11) 및 제2 점착층(14)은 에틸아세테이트 81.9 중량에 대해 단량체로서 아크릴산부틸 73.9 중량부, 아크릴산 1.1 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20 중량부, 가교 단량체로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을 산소 비함유의 조건으로 55℃까지 승온시킨 후 톨루엔 10 중량에 대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용해한 용액을 첨가하고, 서서히 승온시켜 반응이 개시되면 8시간 동안 반응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후 50℃까지 냉각하고 용제를 첨가하여 고형분이 40%가 되도록 한 유리전이온도(Tg) -35℃, 중량 평균 분자량 550,000, 점도 3,200cps의 아크릴 점착제를 도포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충격 흡수층(12)은 50 ~ 200㎛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아크릴계 수지(acrylic based resin; 121)와 충격 흡수재인 구상체의 유기 폴리머계 비드(polymer based bead; 122)를 혼합하여 조성한 것이다.
충격 흡수층(12)을 구성하는 폴리머계 비드(122)는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소프트(soft) 타입으로 선택한다.
충격 흡수층(12)의 기반이 되는 아크릴계 수지(121)는 유리전이온도(Tg)가 -30 ~ -60℃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데, 제1 점착층(11) 및 PET 필름(13)과의 부착력을 고려할 때 아크릴계 수지(121)는 아크릴 코 폴리머(acrylic-co polymer) 수지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크릴계 수지(121)는 에틸아세테이트 81.9 중량에 대해 단량체로서 아크릴산부틸 73.9 중량부, 아크릴산 1.1 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20 중량부, 가교 단량체로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을 산소 비함유의 조건으로 55℃까지 승온시킨 후 톨루엔 10 중량에 대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용해한 용액을 첨가하고, 서서히 승온시켜 반응이 개시되면 8시간 동안 반응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후 50℃까지 냉각하고 용제를 첨가하여 고형분이 40%가 되도록 한 유리전이온도(Tg) -35℃, 중량 평균 분자량 550,000, 점도 3,200cps의 아크릴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양면 테이프(10)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충격 흡수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충격 흡수층(12)이 분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는데, 충격 흡수층(12)의 부착강도를 높여 분리를 방지하고자 충격 흡수재인 폴리머계 비드(122)의 사용량을 줄이면 외부 충격에 대한 흡수 능력(내충격성)이 떨어지며, 폴리머계 비드(122)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면 충격 흡수층(12)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바, 최적의 충격 흡수력을 가지는 충격 흡수재를 이용하여 최적의 사용량으로 충격 흡수층(12)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원인은 충격 흡수재(폴리머계 비드)의 충격 흡수력은 입자의 반발 탄성과 연질성(softness)에 의해 결정되어짐을 확인하였으며, 입자의 충격 흡수력을“K”라고 정의할 때 하기와 같이 만들어진 수식을 통해 특정 입자의 정확한 충격 흡수력을 구할 수 있었다.
K = (3/21/2)(F)(S-3/2 )(R-1/2)
상기 수식에 있어“S”는 입자의 변위이고,“R”은 입자의 지름이며,“F”는 입자에 가해지는 힘이다.
상기한 수식에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비드, 나일론(Nylon) 비드,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비드,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PDMA; Polydecyl Methacrylate) 비드, 실리카(silica) 비드 등을 각각 대입하여 충격 흡수력(K)을 구한 결과,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 나일론 비드, 폴리우레탄 비드,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 등은 K값이 500 이하였고, 특히,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는 K값이 200 이하였으며, 실리카 비드는 K값이 900 가량이었다.
충격 흡수력(K값)을 달리하는 각각의 비드를 아크릴 점착제에 분산하여 충격 흡수층을 제조한 후 충격 흡수층의 양면에 동일한 양의 아크릴 점착제를 도포하여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고, 듀폰 충격 테스트기(Dupon Impact Tester)를 이용하여 충격 흡수 능력을 확인한 결과에 의하면 K값이 가장 낮은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의 충격 흡수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충격 흡수층(12)을 구성하는 충격 흡수재로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122)를 사용하며,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122)의 입자 크기는 1 ~ 100㎛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목적하는 양면 테이프(10)의 전체 두께를 유지하면서 충분한 내충격력을 발휘하기에는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122)의 입자 규격을 6 ~ 40㎛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코 폴리머 수지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122)를 5 내지 25 중량부로 혼입하였을 때 충분한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122)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하이드록시기(-OH)를 처리하면 아크릴 코 폴리머 수지(121)와의 결합성이 더욱 우수하였다.
하이드록시기(-OH)를 처리한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122)로 충격 흡수층(12)을 구현하고, 상기 충격 흡수층(12)을 적용해 양면 테이프를 구현한 후 듀폰 충격 테스트기를 이용한 테스트 결과에 의하면 충격 흡수층이 분리되는 현상이 제거되어 강한 충격에서도 에너지를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층(12)의 테스트를 위해 하기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샘플군을 구하고, 비교를 위해 하기의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비교군을 구하였다.
<실시예 1>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구비하는 반응기에 에틸아세테이트 81.9 중량에 대해 단량체로 아크릴산 부틸 73.9 중량부, 아크릴산 1.1 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20 중량부, 가교 단량체로 2-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을 투입하고, 질소 가스로 반응기 내부의 공기를 치환하여 산소 비함유의 조건으로 조성한 상태에서 내부 온도를 55℃까지 승온시킨 후 톨루엔 10 중량에 대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용해한 용액을 전량 첨가하며, 혼합물을 서서히 승온시켜 73℃에서 반응이 개시되면 8시간 동안 반응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이후 50℃까지 냉각하고 용제를 첨가하여 고형분이 40%가 되도록 함으로써 유리전이온도(Tg) -35℃, 중량 평균 분자량 550,000, 점도 3,200cps의 아크릴 점착제를 구하고;
상기 아크릴 점착제 100 중량에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선진화학 - 제품명; 80H)를 10 중량부로 첨가하여 분산액을 제조하고, 이를 25㎛ 두께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상에 100㎛ 두께로 도포하여 충격 흡수층을 구성하였으며;
상기 충격 흡수층의 제조에 이용된 아크릴 점착제를 사용하여 충격 흡수층 상면에 100㎛ 두께의 점착층을 도포하고 PET 필름의 반대면에도 100㎛ 두께의 점착제를 도포하여 전체 전체 두께 325㎛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기재의 아크릴 점착제 100 중량에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선진화학 - 제품명; SUNPMMA-S)를 10 중량부로 첨가하여 분산액을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같은 공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기재의 아크릴 점착제 100 중량에 나일론 비드(선진화학 - 제품명; Nylon 12)를 10 중량부로 첨가하여 분산액을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같은 공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기재의 아크릴 점착제 100 중량에 폴리 우레탄 비드(선진화학 - 제품명; PU170)를 10 중량부로 첨가하여 분산액을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구비하는 반응기에 에틸아세테이트 81.8 중량에 대하여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부틸 73.9 중량부, 아크릴산 1.1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가교 단량체로서 2-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로 혼합한 용액을 투입하고, 질소 가스로 반응기 내부의 공기를 치환하여 산소 비함유의 조건으로 조성한 상태에서 내부 온도를 55℃까지 승온시킨 후 톨루엔 10 중량에 대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5 중량부를 용해한 용액을 전량 첨가하며, 혼합물을 서서히 승온시켜 73℃에서 반응이 개시되면 8시간 반응 온도를 유지하고, 이후 50℃까지 냉각하고 용제를 첨가하여 고형분이 40%가 되도록 함으로써 유리전이온도(Tg) -56℃, 중량 평균 분자량 600,000, 점도 4,000cps의 아크릴 점착제를 구하고;
상기 아크릴 점착제 100 중량에 대해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선진화학 - 제품명; 80H) 5 중량부, 폴리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선진화학 - 제품명; SUNPMMA-S) 5 중량부를 첨가하여 분산액을 제조하고, 이를 25㎛ 두께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상에 100㎛ 두께로 도포하여 충격 흡수층을 구성하였으며;
상기 충격 흡수층의 제조에 이용된 아크릴 점착제를 사용하여 충격 흡수층 상면에 100㎛ 두께의 점착층을 도포하고 PET 필름의 반대면에도 100㎛ 두께의 점착제를 도포하여 전체 두께 325㎛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기재의 충격 흡수층을 대신하여 100㎛ 두께의 아크릴 폼(이와타니 - 제품명; ACF-WPF 0.1T)을 기재로 사용하고 <실시예 1>의 아크릴 점착제를 사용하여 전체 두께 325㎛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 기재의 충격 흡수층을 대신하여 100㎛ 두께의 PE 폼(영보화학 - 제품명; KVH 0.1T)을 기재로 사용하고 <실시예 1>의 아크릴 점착제를 사용하여 전체 두께 325㎛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 기재의 아크릴 점착제 100 중량에 대해 무기물로 제조되어진 실리카 비드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충격 흡수층을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전체 두께 325㎛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 기재의 충격 흡수층에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를 첨가하지 않은 상태로 두께 100㎛의 충격 흡수층을 제조하고, 그와 같은 충격 흡수층을 적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전체 두께 325㎛의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구성으로 된 각 양면 테이프를 2mm 두께의 아크릴 판에 부착하여 5개의 테스트 시편을 구하고, 듀폰 충격 테스트기(Dupon Impact Tester)를 이용하여 특정 높이에서 추를 낙하하여 시편에 충돌시킨 다음 충격에너지에 의한 테스트 시편의 박리 여부를 조사하는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각 시편에 대한 테스트 결과는 하기의 표 1 내지 표 9와 같이 나타났다.




실시예
1




추무게
(g)
낙하고
(mm)
에너지
(mj)
시편수 결 과
시편 1 시편 2 시편 3 시편 4 시편 5 OK NG
150 100 147 5 0
150 172 5 0
100
200 196 5 0
250 245 5 0
150
200 294 5 0
250 368 5 0
200 200 392 5 0
300 150 441 5 0
200 250 490 × × × 2 3
300 200 588 × × × × 1 4




실시예
2




추무게
(g)
낙하고
(mm)
에너지
(mj)
시편수 결 과
시편 1 시편 2 시편 3 시편 4 시편 5 OK NG
150 100 147 5 0
150 172 5 0
100
200 196 5 0
250 245 5 0
150
200 294 5 0
250 368 5 0
200 200 392 × × × 2 3
300 150 441 × × × × × 0 5
200 250 490 × × × × × 0 5
300 200 588 × × × × × 0 5




실시예
3




추무게
(g)
낙하고
(mm)
에너지
(mj)
시편수 결 과
시편 1 시편 2 시편 3 시편 4 시편 5 OK NG
150 100 147 5 0
150 172 5 0
100
200 196 5 0
250 245 5 0
150
200 294 5 0
250 368 5 0
200 200 392 × × 3 2
300 150 441 × × × × × 0 5
200 250 490 × × × × × 0 5
300 200 588 × × × × × 0 5




실시예
4




추무게
(g)
낙하고
(mm)
에너지
(mj)
시편수 결 과
시편 1 시편 2 시편 3 시편 4 시편 5 OK NG
150 100 147 5 0
150 172 5 0
100
200 196 5 0
250 245 5 0
150
200 294 5 0
250 368 5 0
200 200 392 5 0
300 150 441 × × × × 1 4
200 250 490 × × × × × 0 5
300 200 588 × × × × × 0 5




실시예
5




추무게
(g)
낙하고
(mm)
에너지
(mj)
시편수 결 과
시편 1 시편 2 시편 3 시편 4 시편 5 OK NG
150 100 147 5 0
150 172 5 0
100
200 196 5 0
250 245 5 0
150
200 294 5 0
250 368 5 0
200 200 392 5 0
300 150 441 5 0
200 250 490 × × × 2 3
300 200 588 × × × × 1 4




비교예
1




추무게
(g)
낙하고
(mm)
에너지
(mj)
시편수 결 과
시편 1 시편 2 시편 3 시편 4 시편 5 OK NG
150 100 147 5 0
150 172 5 0
100
200 196 5 0
250 245 5 0
150
200 294 × 4 1
250 368 × × × × × 0 5
200 200 392 × × × × × 0 5
300 150 441 × × × × × 0 5
200 250 490 × × × × × 0 5
300 200 588 × × × × × 0 5




비교예
2




추무게
(g)
낙하고
(mm)
에너지
(mj)
시편수 결 과
시편 1 시편 2 시편 3 시편 4 시편 5 OK NG
150 100 147 × × 3 2
150 172 × × × × × 0 5
100
200 196 × × × × × 0 5
250 245 × × × × × 0 5
150
200 294 × × × × × 0 5
250 368 × × × × × 0 5
200 200 392 × × × × × 0 5
300 150 441 × × × × × 0 5
200 250 490 × × × × × 0 5
300 200 588 × × × × × 0 5




비교예
3




추무게
(g)
낙하고
(mm)
에너지
(mj)
시편수 결 과
시편 1 시편 2 시편 3 시편 4 시편 5 OK NG
150 100 147 5 0
150 172 5 0
100
200 196 5 0
250 245 × × 3 2
150
200 294 × × × × × 0 5
250 368 × × × × × 0 5
200 200 392 × × × × × 0 5
300 150 441 × × × × × 0 5
200 250 490 × × × × × 0 5
300 200 588 × × × × × 0 5




비교예
4




추무게
(g)
낙하고
(mm)
에너지
(mj)
시편수 결 과
시편 1 시편 2 시편 3 시편 4 시편 5 OK NG
150 100 147 5 0
150 172 × × 3 2
100
200 196 × × 3 2
250 245 × × × × 1 4
150
200 294 × × × × × 0 5
250 368 × × × × × 0 5
200 200 392 × × × × × 0 5
300 150 441 × × × × × 0 5
200 250 490 × × × × × 0 5
300 200 588 × × × × × 0 5
테스트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 1>의 양면 테이프는 490 mj부터 시편의 박리가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실시예 2>의 양면 테이프는 392 mj부터 시편의 박리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실시예 3>의 양면 테이프는 392 mj부터 시편의 박리가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실시예 4>의 양면 테이프는 392 mj부터 시편의 박리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실시예 5>의 양면 테이프는 490 mj부터 시편의 박리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1>의 양면 테이프는 294 mj부터 시편의 박리가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비교예 2>의 양면 테이프는 147 mj부터 시편의 박리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비교예 3>의 양면 테이프는 245 mj부터 시편의 박리가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비교예 4>의 양면 테이프는 172 mj부터 시편의 박리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모든 실시예에서 비교예보다 우수한 박리 방지의 특성을 보였으며, 실시예 중에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5>가 가장 우수한 박리 방지의 특성을 보였다.
박리 테스트 결과와 충격 흡수재의 충격 흡수력(K값)을 감안할 때 <실시예 1>과 같이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PDMA; Polydecyl Methacrylate)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양면 테이프(10)를 구성하는 PET 필름 또는 흑색 PET 필름(13) 소형 가전제품용 양면 테이프의 구현에 이용되는 통상의 PET 필름이나 PET 필름 상에 흑색의 도료를 도포하여 구성한 것으로, 목적하는 양면 테이프(10) 전체의 두께를 감안할 때 PET 필름 또는 흑색 PET 필름(13)은 1 ~ 100㎛ 범위의 두께를 유지하게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면 테이프(10)를 구성하는 이형지(release paper; 15)는 양면 테이프(10)의 사용 전단계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점착면의 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통상의 이형지(박리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하고 있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향유하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양면 테이프 11: 제1 점착층
12: 충격 흡수층 121: 아크릴계 수지
122: 폴리머계 비드 13: PET 필름
14: 제2 점착층 15: 이형지

Claims (5)

  1. 위로부터 제1 점착층(11), 충격 흡수층(12),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13) 또는 흑색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13), 제2 점착층(14), 이형지(15)의 순서를 이루도록 적층하여 전체 두께 0.1 ~ 1㎜의 두께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충격 흡수층(12)은 아크릴계 수지(acrylic based resin; 121)와 폴리머계 비드(polymer based bead; 122)를 혼합·조성한 물질을 이용하여 50 ~ 200㎛ 범위의 두께를 유지하게끔 하며, 상기 PET 필름(13) 또는 흑색 PET 필름(13)은 1 ~ 100㎛ 범위의 두께를 유지하게끔 양면 테이프(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층(12)을 구성하는 폴리머계 비드(122)는, 충격 흡수력을 “K”라고 정의할 때 “S”는 입자의 변위, “R”은 입자의 지름, “F”는 입자에 가해지는 힘으로 하는 수식“K = (3/21/2)(F)(S-3/2 )(R-1/2)”에 의해 구해진 K값 200 이하인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PDMA; Polydecyl Methacrylate) 비드(122)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폴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드(122)의 입자 직경은 6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03241A 2016-08-12 2016-08-12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KR101732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241A KR101732317B1 (ko) 2016-08-12 2016-08-12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PCT/KR2017/008560 WO2018030755A1 (ko) 2016-08-12 2017-08-08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241A KR101732317B1 (ko) 2016-08-12 2016-08-12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317B1 true KR101732317B1 (ko) 2017-05-11

Family

ID=5874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241A KR101732317B1 (ko) 2016-08-12 2016-08-12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2317B1 (ko)
WO (1) WO201803075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755A1 (ko) * 2016-08-12 2018-02-15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KR101961674B1 (ko) * 2018-08-31 2019-03-26 주식회사 에스필름존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KR20210083099A (ko) * 2019-12-26 2021-07-06 이상훈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N113396187A (zh) * 2019-01-29 2021-09-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冲击吸收材
US11192338B2 (en) 2017-10-12 2021-12-07 Tredegar Surface Protection, Llc Films for use as interleaves between substrat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35405A4 (en) * 2012-04-04 2016-04-27 Nitto Denko Corp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RIBBON ROLLER
JP2013249367A (ja) * 2012-05-31 2013-12-12 Hitachi Kasei Polymer Co Ltd 両面粘着テープ
KR20160037721A (ko) * 2014-09-26 2016-04-06 주식회사 켐코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 테이프
KR101655896B1 (ko) * 2014-12-23 2016-09-08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접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1732317B1 (ko) * 2016-08-12 2017-05-11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755A1 (ko) * 2016-08-12 2018-02-15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US11192338B2 (en) 2017-10-12 2021-12-07 Tredegar Surface Protection, Llc Films for use as interleaves between substrates
KR101961674B1 (ko) * 2018-08-31 2019-03-26 주식회사 에스필름존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CN113396187A (zh) * 2019-01-29 2021-09-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冲击吸收材
CN113396187B (zh) * 2019-01-29 2023-05-2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冲击吸收材
KR20210083099A (ko) * 2019-12-26 2021-07-06 이상훈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317843B1 (ko) 2019-12-26 2021-10-26 주식회사 지오니어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755A1 (ko)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317B1 (ko)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KR102052211B1 (ko)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 기기
JP5952013B2 (ja)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5452907B (zh) 特别用于胶粘粘结移动设备中的窗的压敏胶带
TWI391463B (zh) 防水用雙面膠帶
TWI753203B (zh) 衝擊吸收片及其製造方法
TW201833266A (zh) 用於可撓性電子顯示器之低介電光學清透黏著劑
KR102559150B1 (ko) 점착 테이프
JP7036715B2 (ja) 両面粘着テープ
JP5212688B2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TWI472429B (zh) 用於吸收衝擊與密封且具有黏性之片狀物及其製造方法
KR20150108320A (ko) 점착제 부착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체
KR20160058842A (ko) 점착테이프 및 전자 기기
KR20120114394A (ko) (메트)아크릴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마킹 필름 및 수용체 시이트
JP6917468B2 (ja) 衝撃吸収シート
JP5525167B2 (ja) タッチパネル用粘着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583191B1 (ko) 열박리형 접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4156200A1 (ja) 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WO2004111152A1 (ja) 透明ゲル粘着剤、透明ゲル粘着シート、及び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
JPWO2018203537A1 (ja) 衝撃吸収シート及び両面粘着シート
JP2014051567A (ja) 両面粘着シート
CN110835503B (zh) 一种发泡压敏胶带及其制备方法
KR101836757B1 (ko) 발포 수지 시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전기ㆍ전자 기기
KR20170003787A (ko) 패널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966352A (zh) 来源于(甲基)丙烯酸酯大分子单体的聚合物、粘合剂组合物和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