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173B1 -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을 구비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 Google Patents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을 구비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173B1
KR101731173B1 KR1020150124360A KR20150124360A KR101731173B1 KR 101731173 B1 KR101731173 B1 KR 101731173B1 KR 1020150124360 A KR1020150124360 A KR 1020150124360A KR 20150124360 A KR20150124360 A KR 20150124360A KR 101731173 B1 KR101731173 B1 KR 101731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layer
pressure sensor
electrode layer
porous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566A (ko
Inventor
박인규
권동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2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173B1/ko
Priority to US14/990,838 priority patent/US20170059419A1/en
Publication of KR2017002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01L1/1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using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001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elastically deformable gauges by electric, electro-mechanic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9/0005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elastically deformable gauges by electric, electro-mechanic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us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이격된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형성된 유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층은 다공성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을 구비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CAPACITIVE TYPE PRESSURE SENSOR WITH POROUS DIELECTRIC LAYER}
본 발명은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전층으로 다공성 탄성중합체를 이용하는 정전용량형 유연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압력센서는 크게 외부 압력에 따른 스프링 요소의 탄성적 반발을 이용하는 기계식 압력센서와, 외부 압력에 따른 감지부의 전기적 응답 특성의 변화를 이용하는 전기식 압력센서로 구분된다.
전기식 압력센서로는 압전형 압력센서, 압저항형 압력센서 및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등이 있는데, 정전용량형 압력센서는 평행한 두 전극층 사이에 유전층을 형성하여 외부 압력에 따른 유전층의 압축에 의해 두 전극층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동적, 정적인 외부 압력 모두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전용량형 압력센서는 유전층으로서 압축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탄성체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사용되는 탄성체의 물성에 따른 압축 특성에 따라 압력센서의 작동 가능한 압력 범위가 결정된다. 종래의 정전용량형 압력센서는 작동 가능한 압력 범위 중 상대적으로 미세한 압력 수준에서 실제로 사용가능한 수준의 분해능과 감도를 제공하지 못해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59782 (2013.05.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84524 (2005.08.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19885 (2005.03.03) 미국공개특허 US 2014/0104047 A1 (2014.04.17) 미국공개특허 US 2004/0231969 A1 (2004.11.25) 일본공개특허 특개2007-268333 (2007.10.11) 일본공개특허 소61-207939 (1986.09.16)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에 비해 넓은 압력 범위에서 높은 감도를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한 압력 수준에서도 고감도로 측정이 가능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이격된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형성된 유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층은 다공성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전극층은 전기 절연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기저부와, 상기 제1 기저부의 일면에 형성된 전기 전도성 재질의 제1 전극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층은 전기 절연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 기저부와, 상기 제1 전극 패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기저부의 일면에 형성된 전기 전도성의 제2 전극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저부와 제2 기저부는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패턴과 상기 제2 전극 패턴은 탄소나노튜브 다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전층의 기공률은 70 내지 8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전층으로서 다공성 탄성중합체를 사용하므로 적은 힘으로도 두 전극층 사이의 거리가 크게 변하여 감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전층으로서 다공성 탄성중합체를 사용하므로 외부 압력에 의해 미세기공이 닫히면서 복합 유전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최종 정전용량 값의 변화 폭도 증가하여 센서의 감도는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형 압력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의 각 층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에서 유전층이 제조되는 과정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에서 전극층이 제조되는 과정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의 유전층에 대한 제1 샘플의 세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의 유전층에 대한 제2 샘플의 세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의 단면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1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외력이 작용하여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와 비교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압력 감지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에 대한 신뢰성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의 동적 압력 응답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의 주파수별 동적 응답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형 압력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의 각 층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형 압력센서(100)는 제1 전극층(110)과, 제1 전극층(110)과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제2 전극층(120)과, 두 전극층(110, 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성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유전층(130)을 포함한다. 정전용량형 압력센서(100)는 유전층으로 다공성 탄성중합체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에 비해 더 넓은 압력범위에서 더욱 향상된 감도로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제1 전극층(110)은 유연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서, 제1 기저부(111)와, 제1 기저부(111)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전극 패턴(112)을 구비한다.
제1 기저부(111)는 전기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 얇은 막 형태로서 탄성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외력에 의해 잘 구부러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형을 회복한다. 제1 기저부(111)는 제1 전극 패턴(112)을 구조적으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기저부(111)가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전극 패턴(112)은 전기 전도성 물질로서, 제1 기저부(111)의 일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 패턴(112)이 탄소나노튜브 다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전극층(120)은 유연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서, 제2 기저부(121)와, 제2 기저부(121)의 일면에 형성된 제2 전극 패턴(122)을 구비한다. 제2 전극층(1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1 전극층(110)과 대체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전극 패턴(122)은 유전층(130)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층(110)의 제1 전극 패턴(112)과 대향한다. 기본적으로 두 전극층(110, 12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유전층(130)이 압축되어서 두 전극층(110, 120) 사이의 거리가 변함으로써 정전용량이 변하게 되며, 압축 시 유전층 내 미세기공의 폐쇄로 인해 복합 유전상수 값이 증가하여 더욱 큰 정전용량의 변화가 유도된다.
도 3에는 유전층(130)을 제조하는 과정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다공성 템플레이트(10)(예들 들면, 각설탕)를 주형으로 하여 경화되기 전의 탄성중합체 액체(20)를 주입시킨 후 경화시켜서 다공성 템플레이트와 탄성중합체의 혼합물(30)을 준비한다. 다음 준비된 혼합물(30)에서 다공성 템플레이트를 용매(40)(예를 들면, 물)로 녹여서 다공성 탄성중합체(40)를 얻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공성 템플레이트(10)로서 각설탕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각설탕 외에 다른 종류의 다공성 템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다공성 템플레이트는 3D 프린터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전극층(110, 120)을 제조하는 과정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코팅 마스크(63)가 부착되어 있는 임시 기판(62)에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에어 스프레이 코팅법으로 코팅하고, 가열판(61)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용액의 용매(예: isopropylalcohol)를 증발시켜서 탄소나노튜브 다발로 이루어진 탄소나노튜브 박막(64)을 형성한다. 다음, 코팅 마스크(63)를 임시 기판(62)에서 제거한 후, 경화되기 전의 탄성중합체 액체를 임시 기판(62)에 부어주고 박막(64) 내 탄소나노튜브 다발 사이로 침투되게 한 다음 경화시키고, 임시 기판(62)을 제거하면 탄소나노튜브 박막(64)이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전극층(70)이 제조되며, 이 전극층(7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극층(110, 12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전층(130)은 두 전극층(110, 120) 사이에 위치하며, 다공성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유전층(130)의 제1 면(도면에서 상면)은 제1 전극층(110)의 제1 전극 패턴(112)과 접촉하며, 유전층(130)의 제2 면(도면에서 하면)은 제2 전극층(120)의 제2 전극 패턴(122)과 접촉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의 유전층에 대한 제1 샘플의 세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의 유전층에 대한 제2 샘플의 세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전층의 기공률 70% 내지 80%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100)의 압력 감지 원리를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도 11의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층(130)이 압축되어서 두 전극층(110, 120)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서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통해 외부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유전층(130)은 미세기공(131)이 형성된 다공성 탄성중합체이므로 다공성이 아닌 다른 일반 탄성중합체에 비해 매우 높은 탄성변형률을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적은 힘으로도 두 전극층(110,120) 사이의 거리가 크게 변하여 센서의 감도가 크게 향상된다. 또한, 미세기공(131)이 외부 압력으로 인해 압축되어 닫히면서 복합 유전상수 값이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최종 정전용량 값의 변화 폭도 증가하여 센서의 감도는 더욱 향상된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와 비교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압력 감지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3에서 미세기공이 없는 일반 탄성중합체를 유전층으로 사용한 압력센서의 응답곡선은 solid로 표기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탄성중합체를 유전층으로 사용한 압력센서의 응답곡선은 Porous로 표기되어 있다. 다공성 탄성중합체의 경우 작동하는 압력 범위에 따라 세 단계(Porous 1, Porous 2, Porous 3)로 구분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인 Porous 1의 영역(0 내지 5kPa)에서는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130) 내 미세기공(131)의 존재로 인해 낮은 압력에서도 큰 변형이 유도됨과 동시에 미세기공(131)이 닫히면서 상대적으로 공기 영역에 비해 탄성중합체의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유전층(130)의 전체 복합 유전상수 값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매우 높은 센서의 감도(Sp1=0.601kPa-1)를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인 Porous 2 영역(5 내지 30kPa)에서 점진적으로 압력이 증가하며, 미세기공(131)은 점점 닫히게 되고 센서의 감도 또한 점점 낮아지게 된다.
세 번째 단계인 Porous 3 영역(30 내지 130kPa)에서 압력이 더욱 증가하여 미세기공이 거의 모두 닫히게 되면 첫 번째 단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도가 낮아지지만 여전히 일반 탄성중합체 유전층을 이용한 압력센서보다 감도에 있어서 약 4.8배(Sp3/Ss=0.077/0.016≒4.8)의 높은 성능을 보인다. 또한, 미세기공이 모두 사라짐에 따라 큰 외력을 더욱 잘 견딜 수 있게 되어 넓은 압력 법위에 대해 계속해서 안정적인 센서 응답을 보인다.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130)을 이용한 압력 센서의 가장 높은 감도를 보이는 영역은 일반 탄성중합체 유전층을 이용한 압력 센서보다 감도에 있어서 약 37.6배(Sp1/Ss=0.601/0.0016≒37.6)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에 대한 신뢰성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4의 테스트에서는 압축과 릴리스(release)가 1000회 반복되었으며, 도 14의 그래프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은 센서는 안정적으로 작동을 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의 동적 압력 응답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별로 안정적인 응답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의 주파수별 동적 응답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별로 안정적인 동적 응답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형 압력센서는 맥박 측정기와 같은 헬스 케어 시스템, 로봇 클로우(claw), 센서 어레이 패드 및 미소 중량 측정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110 : 제1 전극층
120 : 제2 전극층
130 :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
131 : 미세기공

Claims (5)

  1.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이격된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형성된 유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층은 다공성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극층은 전기 절연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기저부와, 상기 제1 기저부의 일면에 형성된 전기 전도성 재질의 제1 전극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층은 전기 절연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 기저부와, 상기 제1 전극 패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기저부의 일면에 형성된 전기 전도성의 제2 전극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유전층의 기공률은 7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탄성중합체는 다공성 템플레이트를 주형으로 하여 경화되기 전의 탄성중합체 액체를 주입시킨 후 경화시켜서 다공성 템플레이트와 탄성중합체의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혼합물에서 다공성 템플레이트를 용매로 녹여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저부와 제2 기저부는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패턴과 상기 제2 전극 패턴은 탄소나노튜브 다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5. 삭제
KR1020150124360A 2015-09-02 2015-09-02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을 구비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KR101731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360A KR101731173B1 (ko) 2015-09-02 2015-09-02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을 구비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US14/990,838 US20170059419A1 (en) 2015-09-02 2016-01-08 Piezocapacitive type pressure sensor with porous dielectric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360A KR101731173B1 (ko) 2015-09-02 2015-09-02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을 구비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566A KR20170027566A (ko) 2017-03-10
KR101731173B1 true KR101731173B1 (ko) 2017-04-28

Family

ID=5810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360A KR101731173B1 (ko) 2015-09-02 2015-09-02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을 구비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059419A1 (ko)
KR (1) KR1017311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936B1 (ko) 2019-11-27 2021-04-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절단 공정 장비의 자동 안전 정지 시스템용 고감도 정전용량식 움직임 감지 압력 센서
KR20230091694A (ko) 2021-12-16 2023-06-23 광주과학기술원 열감지 기반 압력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173B1 (ko) 2015-09-02 2017-04-28 한국과학기술원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을 구비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US20190103549A1 (en) * 2016-03-21 2019-04-04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devices using dielectric elastomers
KR102141666B1 (ko) * 2017-11-22 2020-08-05 한국과학기술원 압력센서용 유전체 및 그 제조방법과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CN108731851B (zh) * 2018-08-01 2023-10-20 南京工业大学 一种柔性电容式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09186817B (zh) * 2018-09-13 2022-10-11 深圳光韵达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容式柔性压力传感器及其制造方法
KR102183136B1 (ko) * 2019-03-26 2020-11-25 한국기계연구원 압력 센서, 탄성 유전체, 및 탄성 유전체의 제조 방법
CN111024296B (zh) * 2019-12-30 2023-11-28 浙江清华柔性电子技术研究院 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US11614377B2 (en) 2020-03-24 2023-03-28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ransparent and highly sensitive pressure sensor with improved linearity and pressure sensitivity
US11828718B2 (en) 2020-05-07 2023-11-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umidity sensor and button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83269B1 (ko) * 2020-05-07 2023-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습도 센서 및 그를 포함하는 버튼 장치
KR102394469B1 (ko) * 2020-05-29 2022-05-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다공성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압 센서
TWI788671B (zh) * 2020-06-02 2023-01-01 晶極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多孔壓力感測器的製造方法及其裝置
CN111855029B (zh) * 2020-07-24 2022-10-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电子装置
KR102352961B1 (ko) * 2020-08-14 2022-0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카본나노튜브를 혼합한 폴리머 합성체 적층구조를 이용한 물리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771A (ja) 2005-01-14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静電容量型半導体物理量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03531A (ja) * 2007-10-22 2009-05-14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静電容量型圧力センサ
US20170059419A1 (en) 2015-09-02 2017-03-02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iezocapacitive type pressure sensor with porous dielectric lay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7939A (ja) 1985-03-13 1986-09-16 Yokohama Rubber Co Ltd:The 圧力センサ−
US6376971B1 (en) * 1997-02-07 2002-04-23 Sri International Electroactive polymer electrodes
US6812624B1 (en) * 1999-07-20 2004-11-02 Sri International Electroactive polymers
WO2002091410A1 (en) * 2001-05-07 2002-11-1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icrofabricated electrochemical device separators
KR20050019885A (ko) 2002-07-17 2005-03-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미세구조화된 도전층을 갖는 저항성 터치 센서
AU2003287874A1 (en) * 2002-12-12 2004-06-30 Danfoss A/S Tactile sensor element and sensor array
EP1437584A1 (de) 2003-01-07 2004-07-14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 ENGINEERING S.A. Drucksensor mit elastischer Sensorschicht, deren Oberfläche mikrostrukturiert ist
US7112755B2 (en) 2003-05-21 2006-09-26 Nitta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sensor
US7776269B2 (en) * 2005-03-15 2010-08-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apacitive based sensing of molecular adsorbates on the surface of single wall nanotubes
US20120105370A1 (en) * 2005-12-12 2012-05-03 Nupix, LLC Electroded Sheet for a Multitude of Products
JP5037844B2 (ja) 2006-03-30 2012-10-03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シュレッダのカッタ構造
AU2008307295B2 (en) * 2007-10-05 2011-09-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ganic chemical sensor comprising microporous polymer, and method of use
US7958789B2 (en) * 2008-08-08 2011-06-14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apacitive sensor
US8222799B2 (en) * 2008-11-05 2012-07-17 Bayer Materialscience Ag Surface deformation electroactive polymer transducers
KR101259782B1 (ko) 2011-03-02 2013-05-0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Cmos 회로 방식을 적용한 반도체 스트레인 게이지의 플렉서블 힘 또는 압력 센서 어레이, 그 플렉서블 힘 또는 압력 센서 어레이 제조방법 및 그 플렉서블 힘 또는 압력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힘 또는 압력 측정방법
US9281415B2 (en) * 2010-09-10 2016-03-0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Pressure sensing apparatuses and methods
FR2976109B1 (fr) 2011-05-30 2014-01-1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affichage tactile a ecran muni de particules ferromagnetiques
US8997588B2 (en) * 2012-09-29 2015-04-07 Stryker Corporation Force detecting mat with multiple sensor types
JPWO2014157627A1 (ja) * 2013-03-29 2017-02-16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センサシート及び静電容量型セン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771A (ja) 2005-01-14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静電容量型半導体物理量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03531A (ja) * 2007-10-22 2009-05-14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静電容量型圧力センサ
US20170059419A1 (en) 2015-09-02 2017-03-02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iezocapacitive type pressure sensor with porous dielectric lay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936B1 (ko) 2019-11-27 2021-04-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절단 공정 장비의 자동 안전 정지 시스템용 고감도 정전용량식 움직임 감지 압력 센서
KR20230091694A (ko) 2021-12-16 2023-06-23 광주과학기술원 열감지 기반 압력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59419A1 (en) 2017-03-02
KR20170027566A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173B1 (ko) 다공성 탄성중합체 유전층을 구비하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TWI467601B (zh) 微形變壓阻材料及其製作方法
Lee et al. Micro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pray-coated single-wall carbon nanotube film strain gauges
WO2017211095A1 (zh) 电容型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01133309A (zh) 已校准的压力传感器
CN210689875U (zh) 柔性电容传感器及压力测量装置
CN108387617B (zh) 气体传感器及其制造方法
FI125958B (en) Improved safe measuring box
KR102141666B1 (ko) 압력센서용 유전체 및 그 제조방법과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Yang et al. Arrayed porous polydimethylsiloxane/barium titanate microstructures for high-sensitivity flexible capacitive pressure sensors
KR101691910B1 (ko) 스트레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umar et al. Flexible microhyperboloids facets giant sensitive ultra-low pressure sensor
KR20150059452A (ko) 압력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26302A (ko) 압력 센서 소자 및 압력 센서 소자 제조 방법
Tang et al. Flexible and Ultra‐Sensitive Planar Supercapacitive Pressure Sensor Based on Porous Ionic Foam
Yu et al. Capacitive stretchable strain sensor with low hysteresis based on wavy-shape interdigitated metal electrodes
KR102059546B1 (ko) 절연 구조를 포함하는 스트레인 센서 및 스트레인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45471B1 (ko) 압력 센서
Choi et al. Spatially digitized tactile pressure sensors with tunable sensitivity and sensing range
CN110487168A (zh) 单向弯曲敏感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15307788A (zh) 一种非接触式圆形导电薄膜可变电容器电容量的确定方法
KR101499650B1 (ko) 압저항 습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Shi et al. Soft capacitive sensors for measurement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pressures
KR101647555B1 (ko) 정전 용량성 습도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TWI607205B (zh) 壓力感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