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059B1 - 덕트 차수 장치 - Google Patents

덕트 차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059B1
KR101731059B1 KR1020160116700A KR20160116700A KR101731059B1 KR 101731059 B1 KR101731059 B1 KR 101731059B1 KR 1020160116700 A KR1020160116700 A KR 1020160116700A KR 20160116700 A KR20160116700 A KR 20160116700A KR 101731059 B1 KR101731059 B1 KR 10173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uct
closing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6011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통로의 천장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 부위를 차수하여 덕트가 훼손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덕트 차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수벽에 설치된 공기유출입홀의 일측에 밀폐결합되며, 덕트가 체결되는 제1덕트체결부; 공기유출입홀의 타측에 밀폐결합되는 개폐하우징; 개폐하우징에 내설되며, 공기유출입홀을 개폐시키는 개폐부; 개폐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며, 덕트가 체결되는 제2덕트체결부; 및 개폐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차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덕트 차수 장치{WATER BLOCKING DEVICE FOR DUCT}
본 발명은 덕트 차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하통로의 천장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 부위를 차수하여 덕트가 훼손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덕트 차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수장치는 지하 통로나 지상에서 지하로 이어지는 출입구에 설치된다.
환기구에 대한 차수장치는 주로 지상에 연결된 환기구에 설치되며, 지상으로부터 물이 환기구를 통해 지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보다 큰 문제점은 지하로 직접 유입된 물이 천장 내부까지 차오를 경우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된 덕트가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찌그러지거나 훼손됨으로써, 지하 환기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데 있다.
즉, 사람이 통행하는 통로는 차수가 가능하나, 물이 천장까지 차오를 경우 환기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1과 같이 설치된 종래의 덕트시설은 물의 유입으로 인한 피해는 물론, 수압에 의해 덕트 시설이 모두 훼손됨으로써, 상당한 피해복구 비용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등록특허 제10-1343082호(지하 환기구 차수 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하 차수문이 설치되는 수직 상부 천장에 위치되며, 공기유출입홀이 형성된 차수벽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덕트 부위를 차수하기 위한 덕트 차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이 차수벽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덕트 부위를 차수함으로써, 덕트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덕트 차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덕트 차수 장치는, 제1덕트체결부, 개폐하우징, 개폐부, 제2덕트체결부 및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개폐관, 상기 작동부와 연동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관과 상기 개폐부재 상호 간을 밀폐시키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덕트체결부, 상기 개폐하우징 및 상기 제2덕트체결부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의 출입구의 통로뿐만 아니라 천장 상부도 효율적으로 차수할 수 있다.
또한, 개폐하우징, 개폐부 및 제2덕트체결부를 수압에도 변형되지 않는 금속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차수벽 내측(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수공간)으로 연결되는 덕트시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측 덕트시설을 보호함으로써, 물의 범람(유입)으로 인한 덕트시설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덕트시설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복구 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으며, 복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이다.
도 1은 종래 덕트 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차수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일 실시예에 의해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차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맥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차수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일 실시예에 의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차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300)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300)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덕트 차수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덕트 차수 장치는 지하 차수문(10)의 수직 상부 천장에 위치되며, 공기유출입홀(21)이 형성된 차수벽(20)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덕트(30) 부위를 차수하기 위한 것으로, 제1덕트체결부(100), 개폐하우징(200), 개폐부(300), 제2덕트체결부(400) 및 작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수문(10)은 지하철 통로 등과 같이 사람이 통행하는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수문(10)에 대한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차수벽(20)은 차수문(10)의 수직 상부에 설치되어 천장 부위를 차수하는 것으로,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케이블 연결홀(미도시)이나 공조시설을 위한 공기유출입홀(21)이 형성된다.
제1덕트체결부(100)는 차수할 구역, 즉, 물이 유입되지 않는 구역(도 2에서 차수벽을 기준으로 왼쪽)에 설치되며, 차수벽(20)과 상호 간에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덕트체결부(100)는 덕트(30)가 밀폐결합되는 것으로, 덕트(30)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강철판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하우징(200)과 제2덕트체결부(400)는 차단할 구역, 즉, 물이 유입되는 구역(도 2에서 차수벽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설치된다.
개폐하우징(200)도 차수벽(20)과 상호 간에 밀폐되도록 결합된다.
개폐하우징(200)의 내부에는 개폐부(300)가 설치되며, 개폐부(300)는 하기에 설명할 개폐관(310)을 개폐시킴으로써 공기유출입홀(21)을 개방 및 폐쇄시킨다.
개폐하우징(200)은 개폐부(300)를 보호함과 동시에 제2덕트체결부(400)의 연결구 역할을 한다. 물론, 개폐하우징(200)과 제2덕트체결부(400)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개폐하우징(200) 없이 개폐부(300)만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제2덕트체결부(400)의 연결을 위해서는 개폐하우징(200) 내부에 개폐부(300)를 내설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하우징(200) 및 개폐부(300) 모두 차수벽(20)과 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300)는 개폐관(310)과 개폐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관(310)은 공기유출입홀(21)과 연통되는 구조로, 일단부(도 3을 기준으로 왼쪽)가 공기유출입홀(21)에 밀폐결합된다.
개폐관의 타단부(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도 3을 기준으로 좌우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물론, 경사지지 않고 일직선 상태로도 구성할 수 있으나, 수압에 의해 폐쇄상태가 지지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관(310)의 상부에는 개폐부재(3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시 개폐관(310)을 개방 및 폐쇄시킨다.
개폐관(310)은 작동부(500)에 의해 동작하며, 작동부(50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거나 자동 및 수동 겸용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미도시 하였으나, 작동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가 구성되며, 제어부를 통해 작동부(500)를 컨트롤할 수 있다.
개폐부재(320)와 개폐관(310)의 접촉면에는 폐쇄시에 상호 간을 밀폐시키도록 패킹부재(321)가 더 구비된다.
개폐하우징(200)의 타단부(도 3을 기준으로 오른쪽)에는 제2덕트체결부(400)가 형성되며, 구조 및 역할 등은 제1덕트체결부(100)와 동일하다.
개폐부(300)는 작동부(500)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며, 작동부(500)는 모터(510), 체인벨트(520) 및 회동샤프트(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모터(510)는 개폐하우징(200)의 외측에 설치되며, 개폐부재(320)의 상부에는 회동샤프트(530)가 결합된다.
회동샤프트(530)와 개폐부재(320) 상호 간은 별도의 체결부재(도면부호 미기재)로 고정결합되며, 회동샤프트(530)의 일단부와 모터(510)의 회전축 상호 간은 체인벨트(520)로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510)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동샤프트(530)가 정역회전시, 개폐부재(320)도 함께 연동되어 정역회전하면서 개폐관(310)을 개방 및 폐쇄시키게 된다.
또한, 모터(510)의 구성을 개폐하우징(200)의 외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폐하우징(200)의 내부에도 구성할 수 있으며, 다만, 개폐하우징(200)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외부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모터(510)는 방수모터를 사용하며, 회동샤프트(530)와 개폐하우징(200) 상호 간도 방수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하우징(200)과 개폐부(300)도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강철판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덕트체결부(100), 개폐하우징(200) 및 제2덕트체결부(400)는 하나의 몸체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제1덕트체결부(100)와 개폐하우징(200) 및 공기유출입홀(21) 상호 간은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 상에는 하나의 공기유출입홀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공기유출입홀과 이에 연결되는 덕트는 복수 개로도 구서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공기유출입홀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할 구역(도 3을 기준으로 차수벽의 오른쪽)으로 물의 유입시 제2덕트체결부(400)에 연결되는 덕트(30)까지만 훼손되므로, 복구시에도 제2덕트체결부(400)에 연결되는 덕트(30) 부위만을 신속히 복구할 수 있다.
10 : 차수문 20 : 차수벽
21 : 공기유출입홀 30 : 덕트
100 : 제1덕트체결부 200 : 개폐하우징
300 : 개폐부 310 : 개폐관
320 : 개폐부재 321 : 패킹부재
400 : 제2덕트체결부 500 : 작동부
510 : 모터 520 : 체인벨트
530 : 회동샤프트

Claims (3)

  1. 차수문의 수직 상부 천장에 위치되며, 공기유출입홀이 형성된 차수벽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덕트 부위를 차수하기 위한 덕트 차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기유출입홀의 일측에 밀폐결합되며, 덕트가 체결되는 제1덕트체결부;
    상기 공기유출입홀의 타측에 밀폐결합되는 개폐하우징;
    상기 개폐하우징에 내설되며, 상기 공기유출입홀을 개폐시키는 개폐부;
    상기 개폐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며, 덕트가 체결되는 제2덕트체결부; 및
    상기 개폐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공기유출입홀과 연통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공기유출입홀에 밀폐결합되는 개폐관;
    상기 개폐관의 타단 상부에 결합되어 회동되며, 회동시 상기 개폐관의 타단부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작동부와 연동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폐쇄시 상기 개폐관과 상기 개폐부재 상호 간을 밀폐시키는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덕트체결부, 상기 개폐하우징, 상기 개폐부 및 상기 제2덕트체결부는 수압에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차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체결부, 상기 개폐하우징 및 상기 제2덕트체결부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차수 장치.
KR1020160116700A 2016-09-09 2016-09-09 덕트 차수 장치 KR10173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700A KR101731059B1 (ko) 2016-09-09 2016-09-09 덕트 차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700A KR101731059B1 (ko) 2016-09-09 2016-09-09 덕트 차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059B1 true KR101731059B1 (ko) 2017-04-27

Family

ID=5870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700A KR101731059B1 (ko) 2016-09-09 2016-09-09 덕트 차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05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7893B2 (en) Hood for a filter ventilator
KR102229587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 방지 창틀
KR101731059B1 (ko) 덕트 차수 장치
KR20140105384A (ko) 흡기 구조를 갖는 건설 기계
US7828005B2 (en) Freezeless hydrant
EP4235045A2 (en) A roof window system comprising a ventilation assembly with an exhaus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ventilation assembly of such a roof window system
JP2016075243A (ja) 遠心送風機
US4218784A (en) Dual-purpose diverter valve
KR20110019633A (ko) 수중펌프의 방수구조 및 모니터링 장치
KR20180102813A (ko) 플립업 타입 차수문
US6705940B1 (en) Portable doorway bug deflector
CN106207802B (zh) 电力调控总机设备屏
KR102030553B1 (ko) 개폐 및 바이패스가 가능한 전동댐퍼
KR100640143B1 (ko) 관정 시설물 보호장치
KR101382174B1 (ko)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KR20140095626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2008617B1 (ko)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KR20210158074A (ko) 링크연동식 바이패스 전동댐퍼
KR101969014B1 (ko)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
KR101944933B1 (ko) 체크밸브 구조
KR102228908B1 (ko) 상수도관 공기배출설비
KR100698889B1 (ko) 상수도 맨홀 누수방지 시설
KR102635594B1 (ko) 냉동고용 도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동고 및 그 제작 방법
KR102604209B1 (ko) 전기 송풍기를 갖는 nbc 수동식 백업 벨로우즈
KR100261696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