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480B1 -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 - Google Patents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480B1
KR101730480B1 KR1020150025196A KR20150025196A KR101730480B1 KR 101730480 B1 KR101730480 B1 KR 101730480B1 KR 1020150025196 A KR1020150025196 A KR 1020150025196A KR 20150025196 A KR20150025196 A KR 20150025196A KR 101730480 B1 KR101730480 B1 KR 101730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late
plate member
foot
work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534A (ko
Inventor
이웅균
김윤일
임원빈
이철희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10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 작업발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갱폼을 사용하는 시공 현장에서 작업발판의 형태를 개선하여 안전사고를 줄이고 작업발판에서 발생하는 작업자들을 추락사고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조적으로 안전한 새로운 구조의 갱폼 작업발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작업발판 구조물을 사용 시 작업자들이 작업발판을 열고 사용 후에 다시 닫지 않는 실수를 범하여 발생하는 추락 사고에 대해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자동으로 닫히는 효과로 인하여, 작업발판 사용 시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작업발판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언제나 위험하기 때문에, 하부에 새로운 작업발판이 추가로 형성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추락 사고에 대한 안전성을 높여 갱폼 작업발판 사용 시 작업자들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THE DUAL FOOTPLATE STRUCTURE SMART FASTENING MEANS}
본 발명은 갱폼을 사용한 시공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갱폼 작업발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갱폼 발판으로부터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갱폼(GANG FORM)이란 고층 아파트와 같은 건축 구조물 외벽의 두꺼운 벽체나 옹벽, 기초 등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조립과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단순화 하여 한 번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거푸집을 말한다.
상기 갱폼은 외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과 갱폼 작업발판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갱폼 작업발판은 작업자가 미장이나 견출작업 등을 건축시공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을 말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갱폼 작업발판은 상부 작업발판과 하부 작업발판으로 나눠져 있으며, 상판 작업발판은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 시에 사용되며, 하부 작업발판은 미장, 견출 작업 시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갱폼 작업발판은 작업발판의 일부가 개폐가 가능하며 작업자가 작업 용무에 따라 상판과 하판을 이동하며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작업발판을 개방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 후에는 작업자가 개방한 것을 닫지 않고 이동하여 다른 작업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갱폼 작업발판으로부터 추락하게 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갱폼 작업발판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현장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갱폼 작업발판의 형태를 개선하여 안전사고를 감소시키고 작업발판에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로부터 안전하도록 보호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안전한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은 시공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개폐식 갱폼 작업발판 구조물에 있어서, 직육면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속이 빈 중공형태로 형성되어지고, 그 상부에서 작업자가 공사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발판부재와, 상기 속이 빈 중공형태의 발판부재 내부로 삽입되거나 노출되어짐으로써 개폐되어지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각프레임 형상의 외곽틀 내부에 위치되어지는 삽입부재와, 상기 발판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개폐되어지는 삽입부재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판부재는 직육면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속인 빈 중공형태로 형성되어지며, 길이방향으로 일측단부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지고, 타측단부의 내부면은 상기 삽입부재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지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발판부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관통홀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발판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측면 내부면은 상기 삽입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지는 휠부재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형상의 삽입부재는 발판부재의 상하부면에 형성된 제 1 관통홀과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어지는 제 2 관통홀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삽입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측면 외부면에는 T자 형상으로 길게 안착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져서 상기 발판부재의 휠부재와 상호결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판부재의 제 1 관통홀과 상기 삽입부재의 제 2 관통홀이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되어지면, 상기 발판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삽입부재가 고정되어지도록 고정부재가 상기 제 1, 2 관통홀로 삽입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재가 발판부재 내부로 삽입되어진 이후에 탄성부재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될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감쇠부재가 삽입부재의 외곽틀에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공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 구조물은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는 수직단면으로 이루어지며 타측단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지는 하부 발판부재와, 상기 하부 발판부재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는 수직단면으로 이루어지며 타측단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지는 상부 발판부재와, 상기 하부 발판부재와 상부 발판부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발판부재의 경사진 타측단부와 상부 발판부재의 경사진 타측단부는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하부 발판부재와 상부 발판부재가 상호 회전되어 개방되어지도록 하는 경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하부 발판부재의 수직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일측단부에 결속되어지는 하부 고정부와, 상부 발판부재의 수직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일측단부에 결속되어지는 상부 고정부를 포함하며, 하부 발판부재와 상부 발판부재가 개방되어 펼쳐지도록 상기 하부 고정부와 상부 고정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회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고정부와 상부 고정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회전되어질 때 상부 고정부가 외부방향으로 더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고정부는 하부 고정부 방향에 형성된 일측단부의 상부측면에 자 형태로 꺾여지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고정부와 상부 고정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회전되어질 때 상부 고정부가 내부방향으로 더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고정부 상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스마트 체결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발판부재가 90도로 개방되어진 후 하부 발판부재 상으로 접혀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감쇠부재가 하부 발판부재의 자유단부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는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로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갱폼 작업발판 사용 시 작업자들이 작업발판을 열고 사용 후 다시 닫지 않는 실수를 범하여 발생하는 추락사고에 대해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자동으로 닫히는 효과로 인하여, 작업발판 사용 시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작업발판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언제나 위험하기 때문에, 하부에 새로운 작업발판이 추가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발판이 추가로 형성되기 때문에 추락 사고에 대한 안전성을 높여 갱폼 작업발판 사용 시 작업자들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의 사시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의 평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의 도 2 A의 단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의 도 2 B의 단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의 열림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의 도 7의 C를 확대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개폐식 갱폼 작업발판 구조물은 시공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개폐식 갱폼 작업발판 구조물에 있어서, 직육면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속이 빈 중공형태로 형성되어지고, 그 상부에서 작업자가 공사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발판부재(10)와, 상기 속이 빈 중공형태의 발판부재(10) 내부로 삽입되거나 노출되어짐으로써 개폐되어지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각프레임 형상의 외곽틀 내부에 위치되어지는 삽입부재(20)와, 상기 발판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개폐되어지는 삽입부재(20)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0)를 기본적 구성요소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발판부재(10)는 직육면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속인 빈 중공형태로 형성되어지되, 길이방향으로 일측단부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지고 타측단부의 내부면은 상기 삽입부재(2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지는 탄성부재(11)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상기 발판부재(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관통홀(12)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발판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측면 내부면은 상기 삽입부재(2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지는 휠부재(13)가 구비되어진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1)는 원형의 압축 스프링이 사용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탄성부재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판형상의 삽입부재(20)는 발판부재(10)의 상하부면에 형성된 제 1 관통홀(12)과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어지는 제 2 관통홀(21)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삽입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측면 외부면에는 T자 형상으로 길게 안착홈(22)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져서 상기 발판부재(10)의 휠부재(13)와 상호결속되어진다.
상기 삽입부재(20)의 안착홈(22)은 상기 발판부재(10)의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어지는 휠부재(13)가 삽입되어지며, 상기 삽입부재(20)가 상기 발판부재(10)의 내외부로 슬라이딩 될 시에 마찰력을 최소화하며 개폐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휠부재(13)는 일반적으로 회전되어지는 바퀴가 사용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이드 레일과 같은 슬라이딩 보조 부재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발판부재(10)의 제 1 관통홀(12)과 상기 삽입부재(20)의 제 2 관통홀(21)이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되어지면, 상기 발판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삽입부재(20)가 고정되어지도록 고정부재(30)가 상기 제 1, 2 관통홀(12, 21)로 삽입설치되어진다.
즉, 상기 삽입부재(20)에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제 2 관통홀(21)은 상기 발판부재(10)의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제 1 관통홀(12)과 동심을 이루도록 슬라이딩하게 되며, 상기 삽입부재(20)의 제 2 관통홀(21)과 상기 발판부재(10)의 제 1 관통홀(12)이 서로 동심원을 이루게되면 상기 고정부재(30)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20)가 발판부재(10) 내부로 삽입되어진 이후에 탄성부재(11)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될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감쇠부재(70a)가 삽입부재(20)의 외곽틀에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진다.
한편 작업자가 작업을 완료한 후에 상기 고정부재(30)를 제거하게 되면 탄성부재(11)의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부재(20)가 자동으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어 다른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작업발판 안전성 구조물은 시공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개폐식 갱폼 작업발판 구조물에 있어서,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는 수직단면으로 이루어지며 타측단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지는 하부 발판부재(40)와,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는 수직단면으로 이루어지며 타측단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지는 상부 발판부재(50)와,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와 상부 발판부재(5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개방제한수단(60) 및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와 상부 발판부재(50)가 상호 회전되어 개방되어지도록 하는 힌지부(Hinge, H)를 기본적 구성요소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의 경사진 타측단부와 상부 발판부재(50)의 경사진 타측단부는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발판부재(50)가 서로 동일한 위치에 적층되어 형성되어지며,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상부 발판부(5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은 서로 맞닿아지게 되면 일정 각도를 형성하게 되어 상기 상부 발판부(50)는 난간으로 사용되어 작업자가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와 상기 상부 발판부재(50)가 회전하게 될 때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개방되어 회전하도록 경첩부재(41)를 추가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와 상기 상부 발판부재(5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지며 상기 경첩부재(41)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단부 끝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긴 막대 형상의 개방제한수단(60)이 추가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개방제한수단(60)는 하부 발판부재(40)의 수직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일측단부에 결속되어지는 하부 고정부(61)와, 상부 발판부재(50)의 수직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일측단부에 결속되어지는 상부 고정부(62)를 포함하며, 하부 발판부재(40)와 상부 발판부재(50)가 개방되어 펼쳐지도록 상기 하부 고정부(61)와 상부 고정부(62)는 회전축(63)을 중심으로 피벗회전되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부(61)와 상부 고정부(62)는 회전축(63)을 중심으로 피벗회전되어질 때 상부 고정부(62)가 외부방향으로 더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방제한수단(60)의 상부 고정부(62)는 하부 고정부(61) 방향에 형성된 일측단부의 상부측면에 자 형태로 꺾여지게 형성되는 돌출부(64)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부(61)와 상부 고정부(62)는 회전축(63)을 중심으로 피벗회전되어질 때 상부 고정부(62)가 내부방향으로 더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고정부(62) 상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스마트 체결수단(65)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즉, 상기 하부 고정부(61)와 상부 고정부(62)가 180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지면, 상기 스마트 체결수단(65)은 상기 하부 고정부(61)와 상부 고정부(62)가 겹쳐지는 접합부에 슬라이딩 하여 감싸게 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해 접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발판부재(50)가 90도로 개방되어진 후 하부 발판부재(40) 상으로 접혀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부 발판부재(40)의 자유단부 상에 감쇠부재(70b)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짐으로써 소음 및 충격을 감소시켜 작업자가 더욱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갱폼 작업발판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켜 작업자에게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발생을 감소시켜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발판부재 20 : 삽입부재
30 : 고정부재 40: 하부 발판부재
50 : 상부 발판부재 60 : 개방제한수단
70a, 70b : 감쇠부재

Claims (10)

  1.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는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발판이 서로 이중으로 적층되어 있다가 필요시 펼쳐지게 되면 발판과 난간으로 사용되어지도록 작업자의 발판으로 사용되어지는 하부 발판부재(40)와, 상기 하부 발판부재(40) 상에 적층되어 있다가 필요시 난간으로 사용되어지는 상부 발판부재(50)와,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와 상부 발판부재(50)의 일측단부에는 하부 발판부재(40)가 고정되어지고 상부 발판부재(50)가 연직방향으로 펼쳐지기 위한 힌지부(Hinge, H)가 형성되어지며, 타측단부는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와 상부 발판부재(50)가 더 펼쳐지는 것이 방지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개방제한수단(60)으로 구성되어지는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이중발판 구조물은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의 일측단부는 수직단면으로 형성되어지며 타측단부는 하부면이 상부면보다 더 돌출되어지는 제 1 결합수단(41)과,
    상기 제 1 결합수단(41)과 대응되어지도록 상기 상부 발판부재(50)의 일측단부는 수직단면으로 형성되어지며 타측단부는 상부면이 하부면보다 더 돌출되어지는 제 2 결합수단(51)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수단(41)과 제 2 결합수단(51)이 서로 맞닿아지게 되면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와 상기 상부 발판부재(50)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직방향으로 펼쳐지되, 하부 발판부재(40) 상부 발판부재(50)가 연직방향보다 더 펼쳐지는 것이 방지되어지기 위한 상기 개방제한수단(60)는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의 타측단부와 결합되어 회전되어지는 하부 고정부(61)와, 상기 상부 발판부재(50)의 타측단부와 결합되어 회전되어지는 상부 고정부(62)와, 상기 하부 고정부(61)와 상부 고정부(62)가 서로 회전되어지도록 결합되어지는 회전축(63)과, 상기 하부 고정부(61)와 상부 고정부(62)가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더 회전되어지는 것이 방지되기 위한 돌출부(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제한수단(60)는 하부 고정부(61)와 상부 고정부(62)가 회전축(63)을 중심으로 더 회전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지도록 상부 고정부(62) 상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되어지며 회전축(63)을 감싸며 납작한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스마트 체결수단(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발판부재(40)의 자유단부 상에는 상부 발판부재(50)가 접혀질 때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감쇠부재(7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25196A 2014-02-24 2015-02-23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 KR101730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177 2014-02-24
KR20140021177 2014-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534A KR20150100534A (ko) 2015-09-02
KR101730480B1 true KR101730480B1 (ko) 2017-04-26

Family

ID=5424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196A KR101730480B1 (ko) 2014-02-24 2015-02-23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4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198B2 (ja) * 1993-12-28 2001-02-13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ラズマ励起cvdによるシリコンオキシナイトライド膜の堆積方法
KR100728668B1 (ko) * 2006-01-17 2007-06-14 한국가설산업(주) 비계용 발판
KR101117772B1 (ko) * 2011-07-29 2012-03-21 유은상 건축공사용 슬라이드형 안전발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198B2 (ja) * 1993-12-28 2001-02-13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ラズマ励起cvdによるシリコンオキシナイトライド膜の堆積方法
KR100728668B1 (ko) * 2006-01-17 2007-06-14 한국가설산업(주) 비계용 발판
KR101117772B1 (ko) * 2011-07-29 2012-03-21 유은상 건축공사용 슬라이드형 안전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534A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5337B1 (ja) 手すり先行型足場養生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手すり先行型足場、ならびに手すり先行型足場養生方法
EP3269898B1 (en) Washer assembly for use in affixing a guardrail support to a surface
KR101346387B1 (ko)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US20140026486A1 (en) Adjustable safety barrier system
KR101730480B1 (ko) 스마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이중발판 구조물
KR101616302B1 (ko) 승강기 통로용 작업발판 고정대
KR102497770B1 (ko)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JP5982171B2 (ja) スライド式免震ジョイントカバー装置
KR101699425B1 (ko) 비계용 안전발판
GB2466768A (en) A clamp having a pivotal hook and locking element
KR200442099Y1 (ko) 건설현장용 안전발판 보호대의 연결장치
KR102058942B1 (ko) 작업자 추락 방지용 안전도어
KR101474731B1 (ko) 접철식 사다리
KR102186318B1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KR200490603Y1 (ko)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KR102249286B1 (ko) 그레이팅 안전 출입장치
WO2010124481A1 (zh) 一种门式脚手架
JP5935165B2 (ja) マンホール用梯子
KR20060033757A (ko)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안전난간 부착형 점검구 및기기반입구 안전커버
KR20170043288A (ko) 자동 닫힘 덮개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대 구조물
KR200486003Y1 (ko) 사다리 발판 모서리 안전커버
KR102086828B1 (ko) 건축용 슬라이딩슈
KR20190071556A (ko) 갱폼 안전도어
KR20130000012U (ko) 건축용 비계 안전 난간대
CN106088997A (zh) 一种嵌套式安全逃生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