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450B1 -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450B1
KR101730450B1 KR1020160115318A KR20160115318A KR101730450B1 KR 101730450 B1 KR101730450 B1 KR 101730450B1 KR 1020160115318 A KR1020160115318 A KR 1020160115318A KR 20160115318 A KR20160115318 A KR 20160115318A KR 101730450 B1 KR101730450 B1 KR 101730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actory
event information
black box
faci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이진
이성미
Original Assignee
진이진
이성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이진, 이성미 filed Critical 진이진
Priority to KR102016011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450B1/ko
Priority to JP2019514040A priority patent/JP2019530084A/ja
Priority to EP17849102.3A priority patent/EP3518171A4/en
Priority to PCT/KR2017/009821 priority patent/WO2018048218A1/ko
Priority to US16/330,985 priority patent/US20190219993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6Programming the control seque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001CIM, total factory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장설비의 PLC구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장설비 작동상태 촬영을 위해 연결된 CCTV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며, 온/습도센서, 조도센서, 및 Co2센서로부터 공장설비에 대한 실시간 온도/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및 Co2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중앙관제 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액티브 블랙박스;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중앙관제 서버; 및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액티브 블랙박스가 공장설비와 연결된 CCTV, 및 온도/습도 센서, 조도센서, 및 Co2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모니터링한 중앙관제 서버가 실시간으로 공장설비를 제어하고, 액티브 블랙박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생성한 빅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대응 매뉴얼을 관리하며, 이 빅데이터를 유지보수업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시 관리자가 현장에 없더라도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고, 공장설비에 대한 최적의 유지보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MONITORING SPOT EQUIPMENT USING ACTIVE BLACK BOX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관제 서버가 공장설비에 구비된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통해 공장설비 작동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기계 전반적인 작업 정보 및 통계(머신상태, 생산량, 알람정보 및 툴정보)확인) 즉, 장비와 공장 내부의 실시간 영상 확인, 실시간 온도/습도 현황 및 변화 추이 확인, 및 공기 질 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모니터링한 중앙관제 서버가 공장설비를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산업 관리는 일부분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산업 시설물의 전반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산업 시설물의 총괄적인 시스템 관리에 있어 인력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인력을 통한 산업 시설물의 총괄 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 실시간 제어가 어려워 산업 시설물에 대한 이상 징후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산업 시설물 운영에 따른 재해, 불량 및 위험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공장이나 산업현장에서는 시설이나 장비의 모니터링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관리자가 현장에 상주해야하는 불편을 덜어주며, 중앙 제어실에서 전반적인 현장의 상황을 감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으로, 또 공간적으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환경이나 제한된 지역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그 중요성이 매우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34023호((2016.03.29.공개), “인터넷 기반의 통합 웹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선행기술은 센서를 통해 산업현장 내의 대상 기기의 상태를 계측하는 다수의 계측기기; 계측기기와 연결되며, 계측기기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다수의 시리얼 게이트웨이; 및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시리얼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제공받은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단순히 산업현장 내의 대상 기기에 대한 계측 데이터를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바, 사용자 단말기가 일방적인 계측 데이터 수신에만 국한되어 있어 대상 기기의 오작동 및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기가 인지할 뿐 결국에 관리자가 수동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10-2016-003402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액티브 블랙박스가 공장설비와 연결된 CCTV, 온도/습도 센서, 조도센서, 및 Co2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모니터링한 중앙관제 서버가 실시간으로 공장설비를 제어함으로써, 이벤트(공장설비 운영에 따른 제해, 오작동 및 제품생산 불량) 발생 시 관리자가 현장에 없더라도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액티브 블랙박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생성한 빅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대응 매뉴얼을 관리하고, 이 빅데이터를 유지보수업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장설비에 대한 최적의 유지보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장설비의 PLC구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장설비 작동상태 촬영을 위해 연결된 CCTV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며, 온/습도센서, 조도센서, 및 Co2센서로부터 공장설비에 대한 실시간 온도/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및 Co2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중앙관제 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액티브 블랙박스;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중앙관제 서버; 및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관제 서버는,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여 이벤트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빅데이터 및 이벤트 발생에 따른 대응 매뉴얼을 관리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유지보수업체 서버와 공유하여 공장설비 유지보수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액티브 블랙박스는, 공장설비에 대한 실시간 온도/습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온/습도센서; 공장설비 가동에 의해 배출되는 스모그, 메탄 또는 일산화탄소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집하는 가스센서; 및 공장설비의 구동 경로 또는 공장설비가 제작한 제품이 기 설정된 라인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해당 라인과 대응하는 식별ID를 포함하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 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라인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액티브 블랙박스는, 공장설비 내부 또는 제품의 이송경로에 구비된 조명들 각각에 대한 조도 값을 취합한 조도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조도센서; 및 공장설비 가동시 발생하는 Co2 값을 취합한 Co2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Co2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중앙관제 서버는,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수집모듈;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하고, 수집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이에 대한 이벤트 알람을 출력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모듈; 수집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과 대응하도록 해당 공장설비의 작동 중지, 공장설비 재가동, 이전공정 반복 수행 또는 이후공정 건너뛰기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PLC구동 제어를 위한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수집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들의 위치좌표를 탐색하여 공장설비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기 식별ID를 추출하는 탐색모듈; 및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어모듈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며,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탐색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식별ID와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앙 관제서버는, 동일지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공장설비가 생산한 제품의 양품률 각각을 DB로부터 색인하고, 색인한 양품률과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조도센서 데이터 및 Co2센서 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조도센서 데이터 및 Co2센서 데이터를 토대로 어떠한 환경적 요소가 양품률에 영향을 주는지를 도출한 상관관계 도출정보를 생성하는 품질 상관관계 도출모듈; 및 공장설비 각각이 생산한 제품에 대한 생산품질 데이터를 DB로부터 색인하고, 색인한 생산품질 데이터와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적의 생산효율을 갖는 공장설비, 생산공정 및 생산라인을 도출한 생산효율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생산효율 분석모듈;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는, 중앙 관제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고, 중앙 관제서버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수신모듈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하고, 수신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이에 대한 기 설정된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는 모니터링 모듈; 수신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과 대응하도록 해당 공장설비의 작동 중지, 공장설비 재가동, 이전공정 반복 수행 또는 이후공정 건너뛰기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PLC구동 제어를 위한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및 제어모듈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방법은, 액티브 블랙박스가 공장설비의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도/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a) 단계; 중앙관제 서버가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는 (b) 단계; 중앙관제 서버가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c) 단계; (c) 단계의 판단결과,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중앙관제 서버가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d) 단계; 액티브 블랙박스가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e) 단계; 및 (e) 단계의 판단결과,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액티브 블랙박스가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f)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d) 단계 이후, 중앙관제 서버가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여 이벤트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g)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d)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가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는 (h) 단계; 모바일 단말기가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i) 단계; (i) 단계의 판단결과,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하는 (j) 단계; 모바일 단말기가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k) 단계; 및 액티브 블랙박스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l)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액티브 블랙박스가 공장설비와 연결된 CCTV, 온도/습도 센서, 조도센서, 및 Co2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모니터링한 중앙관제 서버가 실시간으로 공장설비를 제어함으로써, 이벤트(공장설비 운영에 따른 재해, 오작동 및 제품생산 불량) 발생 시 관리자가 현장에 없더라도 실시간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액티브 블랙박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생성한 빅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대응 매뉴얼을 관리하고, 이 빅데이터를 유지보수업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장설비에 대한 최적의 유지보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터넷 기반의 통합 웹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액티브 블랙박스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중앙관제 서버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l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중앙관제 서버에 구비된 모니터링 모듈의 UI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모니터링 모듈의 UI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방법의 제S4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방법의 제S40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S)은 각각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액티브 블랙박스(10), 중앙관제 서버(20), 모바일 단말기(30) 및 클라우드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액티브 블랙박스(10)는 공장설비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구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장설비 작동상태 촬영을 위해 연결된 CCTV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며, 온/습도센서(11)로부터 공장설비에 대한 실시간 온도/습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스센서(12)로부터 공장설비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관제 서버(20)로 전송하며, 중앙관제 서버(20) 또는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PLC구동 제어란,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작동 중지, 공장설비 재가동, 이전공정 반복 수행 또는 이후공정 건너뛰기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PLC구동은 기 설정된 매뉴얼에 대응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블랙박스(10)는 공장설비가 기 설정된 작동 이외에 작동을 수행하는 경우, 공장설비와 대응하는 식별ID를 포함하는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중앙관제 서버(20)로 전송한다.
한편, 중앙관제 서버(20)는 액티브 블랙박스(10)로부터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10)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관제 서버(20)는 액티브 블랙박스(10)로부터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여 이벤트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30)는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10)로 전송한다. 여기서, 공장설비 제어정보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이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0)는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빅데이터 및 이벤트 발생에 따른 대응 매뉴얼을 관리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유지보수업체 서버와 공유하여 공장설비 유지보수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액티브 블랙박스에 대한 세부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구체적으로, 액티브 블랙박스(10)는 공장설비 각각의 PLC와 접속되되, 공장설비가 기 설정된 작동 이외에 작동을 수행하는 경우, 공장설비와 대응하는 식별ID를 포함하는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중앙관제 서버(20) 또는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한다.
또한, 액티브 블랙박스(10)의 온/습도센서(11)는 공장설비에 대한 실시간 온도/습도 데이터를 수집하되, 온도측정 범위는 -40℃ 내지 80℃ / 0.1℃ 오차 <±0.5℃인 것으로 상정하겠으나, 본 발명의 온도측정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액티브 블랙박스(10)의 가스센서(12)가 수집하는 유해물질 데이터는 공장설비 가동에 의해 배출되는 스모그, 메탄 또는 일산화탄소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겠으나, 본 발명의 가스센서(12) 수집 기능은 스모그, 메탄, 일산화탄소 이외에 또 다른 유해물질을 수집하도록 그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블랙박스(10)는 라인센서(13)를 통해 공장설비의 구동 경로 또는 공장설비가 제작한 제품이 기 설정된 라인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해당 라인과 대응하는 식별ID를 포함하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중앙관제 서버(20) 또는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한다.
또한, 액티브 블랙박스(10)의 라인센서(13)는 공장설비 또는 공장설비가 제작한 제품이 기 설정된 경로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기 또는 감압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블랙박스(10)의 조도센서(14)는 공장설비 내부 또는 제품의 이송경로에 구비된 조명들 각각에 대한 조도 값을 취합한 조도센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액티브 블랙박스(10)의 Co2센서(15)는 공장설비 가동시 발생하는 Co2 값을 취합한 Co2센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중앙관제 서버에 대한 세부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중앙관제 서버(20)의 수집모듈(21)은 액티브 블랙박스(10)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액티브 블랙박스(10)로부터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중앙관제 서버(20)의 모니터링 모듈(22)은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하고, 수집모듈(21)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이에 대한 이벤트 알람을 출력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l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모듈이 PLC구동 데이터를 토대로 모니터링하는 출력화면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모니터링 모듈(22)은 PLC구동 데이터를 토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라인 생산량 목표, 투입, 반출, 가동률, 일별 생산량, 주간 생산량, TOP장애설비, TOP5 알람, 및 보전호출 알람 리스트를 포함하는 종합현황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22)은 PLC구동 데이터를 토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합현황 정보를 차트별 또는 색상별 그래프로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22)은 PLC구동 데이터를 토대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합현황 정보를 엑셀 파일로 저장하거나 인쇄물로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22)은 PLC구동 데이터를 토대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설비의 실시간 작동상태와 그 상세내역 및 알람 상세내역을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22)은 PLC구동 데이터를 토대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설비의 작동상태(제어준비, 정상가동, 장비대기, 수동모드, 공구교환 또는 보전호출)를 시계열적인 그래프 형태로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22)은 PLC구동 데이터를 토대로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공정 시작날짜, 종료날짜, 공장설비별 알람의 발생시간, 종료시간 및 경과시간을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22)은 PLC구동 데이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토대로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공정 시작날짜, 종료날짜, 공장설비별 장애의 발생시간, 종료시간 및 경과시간을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22)은 PLC구동 데이터를 토대로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설비 가동에 따라 공정별로 선택된 날짜의 가동률, 생산량, 투입과 반출된 개수 및 기종을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22)은 PLC구동 데이터를 토대로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설비 가동에 따른 생산량을 설정한 일별 또는 월별 그래프 형태로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22)은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22)은 도 5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온도/습도 데이터를 토대로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실시간 온도 및 습도 이력을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모니터링 모듈(22)은 도 5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온도/습도 데이터를 토대로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온도 및 습도 이력을 날짜별로 그래프 형태로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한편, 중앙 관제서버(20)의 제어모듈(23)은 수집모듈(21)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과 대응하도록 해당 공장설비의 작동 중지, 공장설비 재가동, 이전공정 반복 수행 또는 이후공정 건너뛰기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PLC구동 제어를 위한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중앙 관제서버(20)의 제어모듈(23)은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여 이벤트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중앙 관제서버(20)의 탐색모듈(24)은 수집모듈(21)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30)들의 위치좌표를 탐색하여 공장설비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기(30) 식별ID를 추출하여 전송모듈(25)로 인가한다.
이때,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30)는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유지보수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중앙 관제서버(20)의 전송모듈(25)은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하고, 제어모듈(23)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10)로 전송하며,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탐색모듈(24)로부터 인가받은 식별ID와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한다.
한편, 중앙 관제서버(20)의 품질 상관관계 도출모듈(26)은 동일지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공장설비가 생산한 제품의 양품률 각각을 DB로부터 색인하고, 색인한 양품률과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조도센서 데이터 및 Co2센서 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조도센서 데이터 및 Co2센서 데이터를 토대로 어떠한 환경적 요소가 양품률에 영향을 주는지를 도출한 상관관계 도출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중앙 관제서버(20)의 생산효율 분석모듈(27)은 공장설비 각각이 생산한 제품에 대한 생산품질 데이터를 DB로부터 색인하고, 색인한 생산품질 데이터와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적의 생산효율을 갖는 공장설비, 생산공정 및 생산라인을 도출한 생산효율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세부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모바일 단말기(30)의 수신모듈(31)은 중앙 관제서버(20)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고, 중앙 관제서버(20)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30)의 모니터링 모듈(32)은 수신모듈(31)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하고, 수신모듈(31)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이에 대한 이벤트 알람을 출력한다.
이때, 모니터링 모듈(3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모듈(31)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를 토대로 공장설비의 실시간 작동상태와 그 상세내역 및 알람 상세내역을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30)의 제어모듈(33)은 수신모듈(31)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과 대응하도록 해당 공장설비의 작동 중지, 공장설비 재가동, 이전공정 반복 수행 또는 이후공정 건너뛰기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PLC구동 제어를 위한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모듈(33)은 관리자의 조작을 통해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30)의 전송모듈(34)은 제어모듈(33)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10)로 전송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액티브 블랙박스(10)가 공장설비의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도/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관제 서버(20)로 전송한다(S10).
이어서, 중앙관제 서버(20)가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한다(S20).
뒤이어, 중앙관제 서버(20)가 액티브 블랙박스(10)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제S30단계의 판단결과,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중앙관제 서버(20)가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10)로 전송한다(S40).
이어서, 액티브 블랙박스(10)가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제S50단계의 판단결과,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액티브 블랙박스(10)가 상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한다(S60).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방법의 제S40단계 이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40단계 이후, 중앙관제 서버(20)가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고, 이벤트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하고 제S50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70).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방법의 제S40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40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30)가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한다(S80).
이이서, 모바일 단말기(30)가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
제S90단계의 판단결과,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30)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한다(S100).
뒤이어, 모바일 단말기(30)가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10)로 전송한다(S110).
그리고, 액티브 블랙박스(10)가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각각의 식별ID별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한다(S12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10 : 액티브 블랙박스
11 : 온/습도센서 12 : 가스센서
13 : 라인센서 14 : 조도센서
15 : Co2센서
20 : 중앙관제 서버
21 : 수집모듈 22 : 모니터링 모듈
23 : 제어모듈 24 : 탐색모듈
25 : 전송모듈 26 : 품질 상관관계 도출모듈
27 : 생산효율 분석모듈
30 : 모바일 단말기
31 : 수신모듈 32 : 모니터링 모듈
33 : 제어모듈 34 : 전송모듈
40 : 클라우드 서버

Claims (11)

  1.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공장설비의 PLC구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장설비 작동상태 촬영을 위해 연결된 CCTV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며, 온/습도센서, 조도센서, 및 Co2센서로부터 공장설비에 대한 실시간 온도/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및 Co2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중앙관제 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액티브 블랙박스;
    상기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중앙관제 서버; 및
    상기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빅데이터 및 이벤트 발생에 따른 대응 매뉴얼을 관리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유지보수업체 서버와 공유하여 공장설비 유지보수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 서버는,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여 이벤트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는,
    상기 공장설비에 대한 실시간 온도/습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온/습도센서;
    상기 공장설비 가동에 의해 배출되는 스모그, 메탄 또는 일산화탄소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집하는 가스센서; 및
    상기 공장설비의 구동 경로 또는 공장설비가 제작한 제품이 기 설정된 라인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해당 라인과 대응하는 식별ID를 포함하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 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라인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는,
    공장설비 내부 또는 제품의 이송경로에 구비된 조명들 각각에 대한 조도 값을 취합한 조도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조도센서; 및
    공장설비 가동시 발생하는 Co2 값을 취합한 Co2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Co2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 서버는,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수집모듈;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하고,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이에 대한 이벤트 알람을 출력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모듈;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과 대응하도록 해당 공장설비의 작동 중지, 공장설비 재가동, 이전공정 반복 수행 또는 이후공정 건너뛰기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PLC구동 제어를 위한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들의 위치좌표를 탐색하여 공장설비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기 식별ID를 추출하는 탐색모듈; 및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며,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상기 탐색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식별ID와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서버는,
    동일지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공장설비가 생산한 제품의 양품률 각각을 DB로부터 색인하고, 색인한 양품률과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조도센서 데이터 및 Co2센서 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조도센서 데이터 및 Co2센서 데이터를 토대로 어떠한 환경적 요소가 양품률에 영향을 주는지를 도출한 상관관계 도출정보를 생성하는 품질 상관관계 도출모듈; 및
    공장설비 각각이 생산한 제품에 대한 생산품질 데이터를 DB로부터 색인하고, 색인한 생산품질 데이터와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적의 생산효율을 갖는 공장설비, 생산공정 및 생산라인을 도출한 생산효율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생산효율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중앙 관제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중앙 관제서버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하고,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이에 대한 기 설정된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는 모니터링 모듈;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과 대응하도록 해당 공장설비의 작동 중지, 공장설비 재가동, 이전공정 반복 수행 또는 이후공정 건너뛰기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PLC구동 제어를 위한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인가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상기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9. 공장설비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a) 액티브 블랙박스가 공장설비의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중앙관제 서버가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c) 중앙관제 서버가 액티브 블랙박스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판단결과,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중앙관제 서버가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e) 액티브 블랙박스가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의 판단결과,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액티브 블랙박스가 상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 이후에,
    (h) 모바일 단말기가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i) 모바일 단말기가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j) 상기 (i) 단계의 판단결과,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하는 단계;
    (k) 모바일 단말기가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액티브 블랙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l) 액티브 블랙박스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g) 중앙관제 서버가 오작동 이벤트 정보 또는 라인상태 이벤트 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여 이벤트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방법.
  11. 삭제
KR1020160115318A 2016-09-08 2016-09-08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ctive KR10173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18A KR101730450B1 (ko) 2016-09-08 2016-09-08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9514040A JP2019530084A (ja) 2016-09-08 2017-09-07 アクティブブラックボックスを利用した工場設備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EP17849102.3A EP3518171A4 (en) 2016-09-08 2017-09-07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ACTORY FACILITIES USING AN ACTIVE BLACK BOX
PCT/KR2017/009821 WO2018048218A1 (ko) 2016-09-08 2017-09-07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16/330,985 US20190219993A1 (en) 2016-09-08 2017-09-07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actory facilities using active black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18A KR101730450B1 (ko) 2016-09-08 2016-09-08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450B1 true KR101730450B1 (ko) 2017-04-26

Family

ID=5870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318A Active KR101730450B1 (ko) 2016-09-08 2016-09-08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19993A1 (ko)
EP (1) EP3518171A4 (ko)
JP (1) JP2019530084A (ko)
KR (1) KR101730450B1 (ko)
WO (1) WO2018048218A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157B1 (ko) * 2018-07-03 2018-11-09 호전실업 주식회사 의류생산공장 스마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974631B1 (ko) * 2018-07-16 2019-05-02 장인선 히스토리 및 환경조건 기반 자동고장진단을 통하여 제공되는 메뉴얼을 이용한 고객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77000B1 (ko) * 2018-10-23 2019-05-13 주식회사 이피엠솔루션즈 실물영상기반 리얼타임 가상공장
KR20190088581A (ko) * 2018-01-02 2019-07-29 (주)코에버정보기술 Fbd 머신러닝 기반의 동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9712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에너지 소비 시뮬레이션 데이터 획득장치
CN110968010A (zh) * 2019-12-24 2020-04-07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新型非工艺除尘集中监控系统
KR102094639B1 (ko) * 2019-05-30 2020-05-04 박종문 공장 제조라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210046172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한국일측 IoT 센서 인터페이스 보드를 이용한 품질 환경 상관관계 도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21251698A1 (ko) * 2020-06-08 2021-12-16 유정호 시설물 센서데이터 관리서버
KR20220026901A (ko) * 2020-08-26 2022-03-07 (주)씨엔에프텍 스카다 시스템의 블랙박스 및 이의 제어방법
CN114483478A (zh) * 2021-12-21 2022-05-13 中国大唐集团新能源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scada大数据的风电场故障预警方法
KR20220099497A (ko) * 2021-01-06 2022-07-13 (주) 지에스티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
KR102488820B1 (ko) * 2022-05-18 2023-01-17 영일엔지니어링(주) 웹기반 실시간 팩토리 제어 시스템
KR102512792B1 (ko) * 2021-12-20 2023-03-21 손명준 산업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2601760B1 (ko) * 2023-07-12 2023-11-13 주식회사 성원 작업장의 안전 조업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82930A1 (en) 2017-10-18 2019-04-18 Kari Saarenvirta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romotional products for retail
CN108200395A (zh) * 2018-01-05 2018-06-22 贵州远诚自控科技有限公司 基于设备运行图像视频处理的无人值守污水处理站
US10621533B2 (en) 2018-01-16 2020-04-14 Daisy Intelligen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nterprise on an autonomous basis
CN108594744A (zh) * 2018-05-30 2018-09-28 山东山宇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污染治理设施在线监控系统及方法
CN111061171A (zh) * 2019-12-04 2020-04-24 广州穗能通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配电房监控系统、配电房数据处理、调用方法及其装置
US11887138B2 (en) 2020-03-03 2024-01-30 Daisy Intelligen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tail price optimization
US11231846B2 (en) * 2020-03-06 2022-01-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nitor and control for distributed system
US11783338B2 (en) 2021-01-22 2023-10-10 Daisy Intelligenc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outlier detection of transactions
JP7689088B2 (ja) * 2022-01-24 2025-06-05 エヌ・ティ・ティ・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生産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016353A (zh) 2022-06-17 2022-09-06 浙大城市学院 一种用于远程控制设备的监控管理系统
CN117236704B (zh) * 2023-11-16 2024-02-06 中钢集团武汉安全环保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钢铁生产线区域动态安全风险评估量化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089B1 (ko) * 2013-02-21 2013-10-02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제어설비 무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4732B2 (ja) * 1999-02-01 2009-06-24 横河電機株式会社 生産システム
CN101040231A (zh) * 2004-08-31 2007-09-19 沃特洛电气制造公司 分布式操作系统诊断系统
US20070078629A1 (en) * 2005-09-30 2007-04-05 Neil Gollhardt Distributed control system diagnostic logging system and method
US20090030753A1 (en) * 2007-07-27 2009-01-29 General Electric Company Anomaly Aggregation method
KR20130028385A (ko) * 2011-09-09 2013-03-19 조영환 스마트폰을 이용한 plc기반의 공작기계 원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9405B1 (ko) * 2012-03-19 2013-12-09 주식회사 팔콘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KR20150049420A (ko) * 2013-10-30 2015-05-08 (주)에이시에스 연속생산공정을 위한 생산자원 양방향 감시시스템
KR20150136681A (ko) * 2014-05-27 2015-12-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조공정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34023A (ko) 2014-09-19 2016-03-29 주식회사 티이에스 인터넷 기반의 통합 웹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50013A (ko) * 2016-03-10 2016-05-10 주식회사 블루비즈 생산 정보화 센서 데이터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하는 생산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089B1 (ko) * 2013-02-21 2013-10-02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제어설비 무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581A (ko) * 2018-01-02 2019-07-29 (주)코에버정보기술 Fbd 머신러닝 기반의 동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3085B1 (ko) * 2018-01-02 2020-03-03 (주)코에버정보기술 Fbd 머신러닝 기반의 동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009342A1 (ko) * 2018-07-03 2020-01-09 호전실업 주식회사 의류생산공장 스마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917157B1 (ko) * 2018-07-03 2018-11-09 호전실업 주식회사 의류생산공장 스마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974631B1 (ko) * 2018-07-16 2019-05-02 장인선 히스토리 및 환경조건 기반 자동고장진단을 통하여 제공되는 메뉴얼을 이용한 고객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09712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에너지 소비 시뮬레이션 데이터 획득장치
KR102105356B1 (ko) * 2018-07-20 2020-04-28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에너지 소비 시뮬레이션 데이터 획득장치
KR101977000B1 (ko) * 2018-10-23 2019-05-13 주식회사 이피엠솔루션즈 실물영상기반 리얼타임 가상공장
KR102094639B1 (ko) * 2019-05-30 2020-05-04 박종문 공장 제조라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210046172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한국일측 IoT 센서 인터페이스 보드를 이용한 품질 환경 상관관계 도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273008B1 (ko) * 2019-10-18 2021-07-05 주식회사 한국일측 IoT 센서 인터페이스 보드를 이용한 품질 환경 상관관계 도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10968010A (zh) * 2019-12-24 2020-04-07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新型非工艺除尘集中监控系统
WO2021251698A1 (ko) * 2020-06-08 2021-12-16 유정호 시설물 센서데이터 관리서버
KR20220026901A (ko) * 2020-08-26 2022-03-07 (주)씨엔에프텍 스카다 시스템의 블랙박스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16789B1 (ko) * 2020-08-26 2022-07-06 (주)씨엔에프텍 스카다 시스템의 블랙박스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99497A (ko) * 2021-01-06 2022-07-13 (주) 지에스티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
KR102448189B1 (ko) * 2021-01-06 2022-10-11 (주)지에스티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
KR102512792B1 (ko) * 2021-12-20 2023-03-21 손명준 산업용 블랙박스 시스템
CN114483478A (zh) * 2021-12-21 2022-05-13 中国大唐集团新能源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scada大数据的风电场故障预警方法
CN114483478B (zh) * 2021-12-21 2023-10-24 大唐可再生能源试验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scada大数据的风电场故障预警方法
KR102488820B1 (ko) * 2022-05-18 2023-01-17 영일엔지니어링(주) 웹기반 실시간 팩토리 제어 시스템
KR102601760B1 (ko) * 2023-07-12 2023-11-13 주식회사 성원 작업장의 안전 조업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0084A (ja) 2019-10-17
EP3518171A1 (en) 2019-07-31
WO2018048218A1 (ko) 2018-03-15
EP3518171A4 (en) 2020-03-11
US20190219993A1 (en)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450B1 (ko) 액티브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15879B1 (ko) 무선통신 기반의 제어장치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865773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생산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30451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95216B1 (ko) 스마트 공장의 데이터 취합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6397197B2 (ja) プロセスプラントにおけるモバイル制御デバイスの位置を判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359771B2 (en) Prediction of false alarms in sensor-based security systems
US201703521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Density of Data Surrounding an Event
CN107589727A (zh) 用于工业自动化的经由云平台的远程协助
CN103544739A (zh) 基于b/s架构的可视化地铁设备巡检管理系统的巡检方法
CN105049223A (zh) 一种电力通信网缺陷故障处理决策辅助分析方法
KR101980008B1 (ko) Web 플랫폼을 이용한 plc 및 시퀀스 회로 제어 시스템, 그 방법
US20190246071A1 (en) Building Monitoring System
KR20180028107A (ko) 생산현장의 위협요소 분석을 통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718986B1 (ko) 지능형 데이터분석을 위한 데이터 로거 시스템
US20200211351A1 (en) Remote diagnostics for flame detectors using fire replay technique
KR20180112951A (ko)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1891926B1 (ko) 자동화 설비 원격 제어 시스템
CN116969148A (zh) 一种胶带机故障多维联动监测处理方法及系统
JP4637818B2 (ja) 水処理施設統合運用管理システム
KR101494217B1 (ko) 계장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10255797B1 (en) Integrated alarm management system (ALMS) KPIs with plant information system
KR102504121B1 (ko) Qr코드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태양광 발전시스템 운영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45148A (ko) 설비 감시 시스템
JP2023037366A (ja) 作業監視システム及び作業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