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430B1 -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430B1
KR101730430B1 KR1020150165766A KR20150165766A KR101730430B1 KR 101730430 B1 KR101730430 B1 KR 101730430B1 KR 1020150165766 A KR1020150165766 A KR 1020150165766A KR 20150165766 A KR20150165766 A KR 20150165766A KR 101730430 B1 KR101730430 B1 KR 101730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ension
winding
tension ro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원호
Original Assignee
봉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봉원호 filed Critical 봉원호
Priority to KR102015016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12Stationary elements arranged to deflect material from straight path

Landscapes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보빈 및 상기 보빈으로부터 제공된 코일을 대상물에 권선하는 와인딩유닛을 구비한 코일와인딩기의 코일의 이동경로에 구비되어 코일의 장력을 조절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접촉되어 상기 코일의 이동에 저항을 가하는 조절롤러;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와인딩유닛에 제공되는 상기 코일의 경로가 연장되게 지지하는 연장위치 및 상기 코일의 경로가 단축되게 지지하는 단축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텐션봉; 및 상기 텐션봉이 상기 연장위치 및 상기 단축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텐션봉을 구동시키는 텐션봉구동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코일의 권선 도중 코일의 경로를 연장 또는 단축하여 코일의 긴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코일의 단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TENSION CONTROL APPARATUS FOR COIL WINDING MACHINE}
본 발명은,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와인딩 중 장력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코일와인딩기는, 대상물의 둘레에 미리 설정된 도체 길이및 턴수로 코일을 권선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코일와인딩기는, 대상물을 회전 구동시키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권선부에 코일을 제공하는 보빈 및 상기 권선부 및 보빈 사이의 상기 코일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에 일정한 장력(tension)을 부여하는 텐션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텐션장치는, 상기 보빈으로부터 상기 권선부로 제공되는 코일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코일와인딩기의 텐션장치는, 상기 보빈으로부터 상기 권선부로 제공되는 코일의 장력을 상기 권선부의 와인딩 전에 미리 설정하고, 상기 권선부의 와인딩 시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수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권선부의 일 부 동작, 예를 들면 상기 권선부의 저속 회전 시 상기 코일의 단선이 쉽게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185323 B1 (1999.04.15.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코일의 권선 도중 코일의 경로를 연장 또는 단축하여 코일의 긴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코일의 단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보빈 및 상기 보빈으로부터 제공된 코일을 대상물에 권선하는 와인딩유닛을 구비한 코일와인딩기의 코일의 이동경로에 구비되어 코일의 장력을 조절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접촉되어 상기 코일의 이동에 저항을 가하는 조절롤러;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와인딩유닛에 제공되는 상기 코일의 경로가 연장되게 지지하는 연장위치 및 상기 코일의 경로가 단축되게 지지하는 단축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텐션봉; 및 상기 텐션봉이 상기 연장위치 및 상기 단축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텐션봉을 구동시키는 텐션봉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텐션봉구동유닛은, 상기 텐션봉이 상기 단축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텐션봉를 가압하는 제1실린더기구; 및 상기 텐션봉이 상기 연장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텐션봉를 가압하는 제2실린더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이 상기 연장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텐션봉에 탄성력을 가하는 텐션봉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텐션봉은,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텐션봉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기구는 상기 텐션봉에 접촉되고, 상기 제2실린더기구는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게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기구에는 상기 텐션봉과 접촉되어 상기 텐션봉이 상기 단축위치로 이동되게 가압하는 가압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2실린더기구의 작용로드가 접촉되는 접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연장위치 시 상기 작용로드의 이탈을 억제하게 절곡된 이탈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접촉되어 상기 코일의 이동에 저항을 가하는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상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코일을 사이에 두고 대면 접촉되는 코일접촉부재; 상기 코일접촉부재가 서로 접촉되게 상기 샤프트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샤프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접촉부재는, 합성수지부재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코일접촉부재에 비해 우수한 강성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접촉부재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텐션봉를 상기 연장위치 또는 단축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텐션봉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의 이동경로가 연장되는 연장위치 및 코일의 이동 경로가 단축되는 단축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텐션봉을 구비하여, 코일의 권선 도중에 코일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여 코일에 가해지는 장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코일의 단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권선부의 저회전 시 코일의 경로가 단축되게 함으로써 장력을 감소시켜 코일의 단선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선부의 고속 회전 후 속도 감소 또는 정지 시 상기 코일의 경로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코일의 과도한 이완에 기인한 코일의 경로 이탈 및/또는 코일의 단선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장력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장력조절장치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배면도,
도 7은 도 3의 텐션봉의 연장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텐션봉의 연장위치 및 제2실린더기구의 상승(철회)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3의 텐션봉의 단축위치 및 제1실린더기구의 하강(돌출)상태를 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제1실린더기구의 상승(철회)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는, 코일(181)이 권선되어 있는 보빈(180) 및 상기 보빈(180)으로부터 제공된 코일(181)을 대상물에 권선하는 와인딩유닛(110)을 구비한 코일와인딩기의 코일(181)의 이동경로에 구비되어 코일(181)의 장력을 조절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200)로서, 프레임(220); 상기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코일(181)과 접촉되어 상기 코일(181)의 이동에 저항을 가하는 조절롤러(290); 상기 프레임(22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와인딩유닛(110)에 제공되는 상기 코일(181)의 경로가 연장되게 지지하는 연장위치 및 상기 코일(181)의 경로가 단축되게 지지하는 단축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텐션봉(240); 및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연장위치 및 상기 단축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텐션봉(240)을 구동시키는 텐션봉구동유닛(32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와인딩기는, 대상물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코일(181)을 상기 대상물에 권선하는 와인딩유닛(1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은, 예를 들면, 전동기의 스테이터(125)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181)이 권선되는 대상물이 전동기의 스테이터(125)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상물은 코일(181)이 권선되는 로터, 발전기의 스테이터 또는 로터, 솔레노이드, 편향코일 등 각종 전기기기의 코일 어셈블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인딩유닛(110)은,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125)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상부지지유닛(120) 및 하부지지유닛(130),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유닛(120) 및 하부지지유닛(130)에 의해 지지된 대상물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코일(181)을 권선하는 회전유닛(15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지지유닛(120) 및 하부지지유닛(130)은 상기 대상물을 상기 회전유닛(150)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유닛(130)은, 예를 들면, 회전가능한 회전원반(132), 상기 회전원반(132)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4) 및 상기 회전원반(132)의 상면에 원주에 근접하여 수직하게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대상물지지부(13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지지부(136)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125)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자전(自轉)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스테이터(12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유닛(120)은 상기 하부지지유닛(130)에 대해 상하방향을 따라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150)은, 예를 들면, 상기 회전원반(132)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대상물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에 대해 접근 및 이격, 역회전, 고속회전 및 저속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125)의 둘레에 코일(181)을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반향인 제2방향으로 각각 권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150)은 상기 스테이터(125)이 둘레에 코일(181)을 저속으로 권선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정교한 권선 작업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150)은 상기 스테이터(125)의 둘레에 고속으로 권선할 수 있어 코일(181)의 권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150)은 상기 스테이터(125)에 대하여 상기 코일(181)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181)의 상대위치는 상기 스테이터(125)의 상부, 하부, 우측 및 좌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150)은, 상기 스테이터(125)에 권선된 코일(18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코일(181)의 양 단부를 상기 스테이터(125)에 구비된 고정핀의 둘레에 일정 회수로 권선하는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150)의 일 측에는 상기 보빈(180)으로부터 제공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200)를 경유한 코일(181)을 안내하는 코일안내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안내부(160)는, 예를 들면, 일 방향으로 서로 선형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롤러(162) 및 상기 롤러(162)를 경유한 코일(181)이 내부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안내관(164)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딩유닛(110)은, 예를 들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는 하나의 와인딩유닛(110)에 하나의 장력조절장치(200)가 연결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와인딩유닛(110) 및 장력조절장치(200)는 상기 장력조절장치(200)의 텐션봉(240)의 회전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예를 들면 4개)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180)은, 예를 들면, 상기 각 와인딩유닛(110)에 각각 코일(181)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180)은, 도 1에는 2개가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장력조절장치(200)의 하측에 4개의 와인딩유닛(110)에 각각 코일(181)을 공급할 수 있게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200)는, 상기 각 와인딩유닛(110)과 해당 보빈(180) 사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빈(180)은 상기 장력조절장치(20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빈(180)은, 케이스(18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85)에는 상기 코일(181)이 인출될 수 있게 인출공(18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200)는,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된 프레임(2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0)은, 예를 들면, 판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0)은, 예를 들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된 컬럼(210)에 의해 수직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컬럼(210)에는 상기 보빈(180)으로부터 인출된 코일(181)을 해당 장력조절장치(200)로 각각 안내할 수 있게 원형의 고리 형상을 구비한 복수의 안내링(215)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안내링(215)은 상기 각 장력조절장치(200)의 하측에 각각 대응되게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0)의 일 측에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럼(210)과 결합되는 결합부재(2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25)는, 예를 들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25)에는, 예를 들면, 상기 장력조절장치(200)의 이격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로드가 삽입될 수 있게 지지로드삽입공(226)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0)의 일 면(판면)에는, 예를 들면 코일(181)을 지지하는 텐션봉(2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240)은, 예를 들면, 상기 와인딩유닛(110)에 제공되는 상기 코일(181)의 경로가 연장되게 지지하는 연장위치 및 상기 코일(181)의 경로가 단축되게 지지하는 단축위치 간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240)은, 예를 들면, 폭(굵기)에 비해 긴 길이를 구비한 막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240)은,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2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굵기)가 작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240)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시로 변동되는 코일(181)의 장력의 작용으로 텐션봉(240)이 쉽게 손상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240)의 단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코일(181)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코일(181)을 지지하는 지지롤러(2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245)는 상기 텐션봉(240)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245)와 상기 텐션봉(240)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상기 코일(181)이 통과하는 통과공(2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246)은, 예를 들면, 폐쇄된 고리 형 상의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181)의 불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240)의 타 단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텐션봉(240)의 타 단부를 수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2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2)는,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220)의 상부영역에 샤프트(24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240)의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연장위치로 회동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텐션봉스프링(250)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텐션봉스프링(250)은 상기 샤프트(24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재(242)의 상기 텐션봉(240)의 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스프링(250)은, 예를 들면,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0)의 하단부에는 상기 텐션봉스프링(250)의 일 단부(도면상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2)에는 상기 텐션봉스프링(250)의 타 단부(도면상 상단부)가 연결되는 스프링연결부(24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텐션봉스프링(250)은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연장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구비하게 인장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스프링(250)의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코일(181)과 접촉되어 상기 코일(181)의 이동에 저항을 가하는 조절유닛(2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유닛(270)은,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272); 상기 샤프트(272)에 상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코일(181)을 사이에 두고 대면 접촉되는 코일접촉부재(274); 상기 코일접촉부재(274)가 서로 접촉되게 상기 샤프트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76); 및 상기 샤프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276)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27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접촉부재(274)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부재로 원반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접촉부재(274)는, 예를 들면, 상기 코일(181)의 외면의 손상이 억제됨과 아울러 상기 코일(181)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접촉부재(274)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섬유 또는 "솜"과 같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181)의 외면의 손상을 억제하면서 상기 코일(181)의 표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코일접촉부재(274)의 외측에는 강성이 우수한 금속부재로 원반형상으로 구현되는 와셔 또는 보강부재(277)(이하, "보강부재(277)"로 표기함)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접촉부재(274) 및 보강부재(277)의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272)가 각각 삽입될 수 있게 샤프트공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72)의 단부에는, 예를 들면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72)는 상기 보강부재(277) 및 코일접촉부재(274)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220)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0)의 타 측으로 돌출된 상기 샤프트(272)에는 상기 탄성부재(27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0)의 수나사부에는 상기 탄성부재(276)를 압축하여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278)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181)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면된 코일접촉부재(274)가 상기 탄성부재(27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일(181)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72)의 단부에는 너트(27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76)의 탄성력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코일(181)의 마찰력(저항)이 증가하고 상기 탄성부재(276)의 탄성력이 감소되면 상기 코일(181)의 마찰력(저항)이 작아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조절유닛(270)의 상측에는 상기 코일(181)과 접촉되어 상기 코일(181)의 이동에 저항을 가하는 조절롤러(2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롤러(290)는, 예를 들면, 상기 코일접촉부재(274)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접촉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조절롤러(290)의 접촉면과 상기 코일(181)의 접촉면적(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코일(181)에 적절한 저항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조절롤러(290)의 접촉면(292)은, 예를 들면, 반경방향을 따라 중앙이 오목하게 함몰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채널(또는 그루브)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롤러(290)의 상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코일(181)을 안내하는 안내롤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롤러(310)는, 예를 들면, 일 측에 구비된 지지축(31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안내롤러(310)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되어 상기 코일(181)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312)은, 예를 들면, 사각 단면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축(312)에 대해 상기 롤러지지부(314)가 불시에 상대 회전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안내롤러(310)는, 예를 들면, 지지축(312), 상기 지지축(312)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고정가능한 롤러지지부(314) 및 상기 롤러지지부(314)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31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롤러(310)가 상기 지지축(312)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안내롤러(310)가 상기 지지축(312)을 중심으로 선회 고정되지 아니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자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조절롤러(290)는 상기 조절롤러(29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접촉면(292)의 일 영역이 상기 코일접촉부재(274)의 코일 접촉면과 상기 안내롤러(310)의 코일 접촉면을 상호 연결한 연결선보다 먼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181)이 상기 조절롤러(290)의 접촉면(292)에 밀착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조절롤러(290)와 상기 코일(181)의 상대 슬립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조절롤러(290)의 회전축에는 상기 조절롤러(290)의 회전에 저항을 가하는 저항부(2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항부(295)는,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롤러(290)의 반대측(상기 프레임(220)의 타 측 판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항부(295)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자기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저항이 조절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항부(295)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력 발생부와, 상기 자기력발생부와 자기력이 작용할 수 있게 이격되고 상기 자기력발생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자성체를 구비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저항을 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력발생부 및 자성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대해 구속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항부(295)는, 예를 들면, 상기 자기력발생부 및 자성체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자기력발생부 및 자성체간 자기력을 조절할 수 있게 조절레버(296)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텐션봉(240)의 일 측에는 상기 텐션봉(240)을 상기 연장위치 또는 단축위치로 회동 구동시키는 텐션봉구동유닛(3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구동유닛(320)은, 예를 들면,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단축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텐션봉(240)를 가압하는 제1실린더기구(330); 및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연장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텐션봉(240)를 가압하는 제2실린더기구(36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는, 예를 들면, 상기 텐션봉(240)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텐션봉(24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텐션봉(240)을 상기 연장위치로부터 상기 단축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0)의 일 측(도 2의 좌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를 지지하는 제1실린더브래킷(3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브래킷(342)에는 상기 프레임(2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323a)가 결합될 수 있게 프레임고정볼트공(322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고정볼트공(322a)은,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2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323a)에 대해 상하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하로 긴 길이를 가지는 장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브래킷(342)에는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323b)가 결합될 수 있게 실린더고정볼트공(322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고정볼트공(322b)은,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220)에 대해 후술할 실린더(332)를 도면상 수평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게 수평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장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는, 실린더(332), 상기 실린더(332)의 내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미도시)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332)에 대해 신장 및 축소되게 이동하는 작용로드(33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32)의 양 단부에는 상기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킬 수 있게 작동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작동유체연결부(34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작동유체연결부(344)에는 상기 작동유체의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밸브(34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는, 예를 들면, 상기 실린더(332)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332)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3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337)는, 예를 들면, 상기 작용로드(336)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32)의 외면에는,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더(337)를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면(34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의 상기 단축위치로 이동시 상기 텐션봉(240)에 접촉되어 상기 텐션봉(240)을 가압하는 가압롤러(34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348)는,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더(337)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348)는,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더(33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압롤러(348) 및 상기 텐션봉(240)의 접촉에 기인한 마모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240)의 일 측(도면상 상측)에는 상기 텐션봉(240)을 상기 연장위치로 구동되게 하는 제2실린더기구(3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기구(360)는, 예를 들면, 실린더(362),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대 운동하는 피스톤(364) 및 상기 피스톤(364)에 결합되는 작용로드(36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62)의 양 단부에는, 예를 들면, 작동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작동유체연결부(37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작동유체연결부(374)에는 유로를 각각 개폐하는 유로개폐밸브(37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실린더(362)의 내부의 피스톤(364)이 선택적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0)의 상단에는 상기 제2실린더기구(360)가 결합되는 제2실린더기구결합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기구결합부(224)는,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220)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기구결합부(224)에는, 예를 들면, 제2실린더브래킷(38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브래킷(380)은, 예를 들면, 역 "L"형상을 구비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브래킷(380)은, 예를 들면, 수평구간부(382) 및 상기 수평구간부(382)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구간부(38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구간부(382)는, 예를 들면, 상기 제2실린더브래킷(380)의 상면에 면접촉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구간부(383)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제2실린더기구(360)의 실린더(362)의 단부가 결합되는 실린더결합부(38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기구(360)의 작용로드(366)의 단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텐션봉(240)과 접촉되어 상기 텐션봉(240)을 가압하는 가압부재(36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68)는, 예를 들면,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68)의 단부에는, 예를 들면, 중앙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딩부(369)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텐션봉(240)과 접촉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텐션봉(240)에는, 예를 들면, 상기 가압부재(368)와 접촉되는 접촉부재(2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255)는, 예를 들면, 상기 가압부재(368)에 비해 강성이 약한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68)와 상기 접촉부재(255)의 충격적 접촉 시 상기 가압부재(368)의 손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255)에는 상기 가압부재(368)의 접촉 시 상기 가압부재(368)의 이탈을 억제하는 이탈방지부(2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256)는, 예를 들면, 상기 접촉부재(255)의 판면으로부터 거의 직각이 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220)의 일 측에는 상기 코일(181)의 단선을 감지하는 단선감지부(3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선감지부(390)는, 예를 들면, 상기 텐션봉(240)에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선감지부(390)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본체(392), 상기 본체(392)에 구비되는 스위치(394), 및 상기 본체(39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위치(394)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감지와이어(39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와이어(395)는, 예를 들면, 상기 코일(181)의 단선 시 상기 텐션봉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되는 상기 텐션봉(240)과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로부터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0)에는, 예를 들면, 상기 감지와이어(395)가 상기 텐션봉(240)에 접촉될 수 있게 감지공(397)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와이어(395)는, 예를 들면, 상기 관통공(397)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게 절곡된 감지단부(396)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부(396)는, 예를 들면, 상기 텐션봉(240)의 지지부재(242)와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선감지부(390)는 상기 지지부재(242)의 상향 회동에 의해 상기 감지와이어(395)가 상기 스위치(394)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코일(181)의 단선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200)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41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예를 들면, 상기 와인딩유닛(110)을 제어하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연장위치 및 단축위치로 각각 구동되게 상기 텐션봉구동유닛(320)을 제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에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딩유닛(110)을 제어하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415)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력조절장치(200)의 제어부(410)가 상기 와인딩유닛(110)의 제어부와 별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장력조절장치(200)의 제어부(410)와 상기 와인딩유닛(110)의 제어부는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10)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 및 제2실린더기구(360)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10)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125)인 스테이터(125)의 코일(181)의 일 단부를 고정핀에 저속으로 소수(예를 들면 수회(3-5회)) 권선하는 경우, 상기 신호입력부(415)를 통해 상기 회전유닛(150)의 저속 소수 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단축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가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181)의 인장력이 감소되어 상기 회전유닛(150)의 저속 소수 회 권선 시 상기 코일(181)의 과도한 긴장에 의한 단선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단축위치로 하향 회동되면 초기위치로 상향이동(철회)될 수 있다.
상기 와인딩유닛(110)에 의해 고속 다수회 권선작업이 진행되면 상기 텐션봉(240)은 상기 와인딩유닛(110)의 인장력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상기 단축위치에 비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인딩유닛(110)의 권선에 의한 인장력과 상기 텐션봉스프링(250)의 탄성력의 상호 작용으로 상기 텐션봉(240)은 대체로 상기 단축위치 보다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하향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정의 진폭으로 상승 및 하강 회동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10)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125)인 스테이터(125)의 코일(181)을 폴(또는 티스)의 둘레에 고속으로 다수회(백수십턴 내지 수백턴) 권선하는 경우 상기 신호입력부(415)를 통해 고속 다수 회전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연장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제2실린더기구(360)가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보빈(180)의 코일(181)은 상기 인출공(186)을 통해 인출된 후 상기 안내링(215), 상기 조절유닛(270), 상기 조절롤러(290), 상기 안내롤러(310)를 차례로 경유한 후, 상기 텐션봉(240)의 지지롤러(245)를 경유하여 상기 와인딩유닛(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 및 상기 제2실린더기구(360)는 각각 연장위치에 위치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절유닛(270)의 조절부재(278)를 이용하여 상기 코일(181)의 죔새(저항)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절레버(296)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절롤러(290)를 통해 상기 코일(181)에 가해지는 저항(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와인딩유닛(110)이 상기 대상물인 스테이터(125)의 고정핀에 코일(181)의 단부를 저속으로 소수회 권선하는 경우, 상기 신호입력부(415)를 통해 상기 회전유닛(150)의 저속 소수 권선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텬션봉(240)이 상기 단축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 및 제2실린더기구(36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를 제어하여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의 피스톤이 하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의 피스톤이 하강되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작용로드(336) 및 슬라이더(337)가 동시에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337)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348)가 하강하고, 하강하는 상기 가압롤러(348)에 의해 상기 텐션봉(240)이 하향 가압되어 상기 단축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181)은 상기 텐션봉(240)의 상기 연장위치시에 비해 상기 코일(181)의 실제 경로가 단축됨으로써 상기 코일(181)의 인장력이 감소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단축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를 제어하여 상기 제1실린더기구(330)가 연장위치로 상향 이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단축위치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150)이 미리 설정된 방향 및 속도로 상기 스테이터(125)에 대해 상대 회전(선회)하면서 상기 스테이터(125)의 고정핀의 둘레에 상기 코일(181)의 단부가 권회(권취,감음)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150)이 상기 스테이터(125)의 고정핀의 둘레에 소수회 권회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지지유닛(130) 및 상부지지유닛(120)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125)가 고속 권선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125)의 둘레에 고속으로 다수회 권선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신호입력부(415)를 통해 고속 다수 회 권선 종료 신호가 상기 제어부(410)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고속 다수 회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연장위치로 회동되게 상기 제2실린더기구(3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기구(360)의 피스톤(364)이 하강하면 상기 가압부재(368)가 상기 접촉부재(255)에 충격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텐션봉(240)은 상기 샤프트(241)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유닛(150)의 고속 회전에 의해 고속으로 상기 보빈(180)으로부터 상기 와인딩유닛(110)으로 당겨지는 코일(181)은 상기 회전유닛(150)의 정지 시 관성에 의해 상기 와인딩유닛(110)측으로 계속해서 이동되어 과도하게 이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제2실린더기구(360)에 의해 상기 연장위치로 신속하게 상향 회동되어 상기 텐션봉(240)의 지지롤러(245)가 상기 와인딩유닛(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각 이동됨으로써, 상기 코일(181)의 과도한 이완 구간 발생이 억제되어 상기 코일(181)은 적절한 긴장 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181)의 과도한 이완에 기인한 상기 코일(181)의 경로이탈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181)의 경로이탈 발생이 억제되므로 상기 코일(181)의 경로 이탈에 기인한 단선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어 전반적인(전체 권선작업) 코일(181)의 단선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속 다수 회 권선이 완료되고 상기 코일(181)의 종료측 단부를 상기 스테이터(125)의 고정핀에 저속으로 소수회 권회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10)는 제1실린더기구(330)를 제어하여 상기 텐션봉(240)이 상기 단축위치로 회동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와인딩유닛 120 : 상부지지유닛
130 : 하부지지유닛 132 : 회전원반
134 : 구동모터 136 : 대상물지지부
150 : 회전유닛 160: 코일안내부
180 : 보빈 181 : 코일
185 : 케이스 186 : 인출공
200 : 장력조절장치 210 : 컬럼
215 : 안내링 220: 프레임
225: 결합부재 240 : 텐션봉
241,272 : 샤프트 242 : 지지부재
245: 지지롤러 246 : 통과공
250: 텐션봉스프링 255 : 접촉부재
256 : 이탈방지부 270 : 조절유닛
274: 코일접촉부재 276: 탄성부재
277 : 보강부재 278 : 조절부재
290 : 조절롤러 295 : 저항부
296: 조절레버 310: 안내롤러
312 : 지지축 314: 롤러지지부
316 : 롤러 320 : 텐션봉구동유닛
330 : 제1실린더기구 332,362 : 실린더
334 : 피스톤 336,366: 작용로드
337 : 슬라이더 344,374 : 작동유체연결부
345,375 : 유로개폐밸브 346: 가이드면
368: 가압부재 369: 라운딩부
390: 단선감지부 392: 본체
394 : 스위치 395 : 감지와이어
396: 감지단부 397 : 감지공
410 : 제어부 415: 신호입력부

Claims (12)

  1.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보빈 및 상기 보빈으로부터 제공된 코일을 대상물에 권선하는 와인딩유닛을 구비한 코일와인딩기의 코일의 이동경로에 구비되어 코일의 장력을 조절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접촉되어 상기 코일의 이동에 저항을 가하는 조절롤러;
    상기 프레임에 샤프트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와인딩유닛에 제공되는 상기 코일의 경로가 연장되게 지지하는 연장위치 및 상기 코일의 경로가 단축되게 지지하는 단축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텐션봉;
    상기 텐션봉이 상기 연장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텐션봉에 탄성력을 가하는 텐션봉스프링;
    상기 텐션봉이 상기 연장위치 및 상기 단축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텐션봉을 구동시키는 텐션봉구동유닛; 및
    상기 와인딩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텐션봉을 상기 연장위치 또는 단축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텐션봉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봉구동유닛은,
    상기 텐션봉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텐션봉이 상기 단축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텐션봉을 가압하는 제1실린더기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텐션봉이 상기 연장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는 제2실린더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인딩유닛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코일을 제1속도로 제1설정회수로 권선하는 경우, 상기 텐션봉이 상기 단축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제1실린더기구가 하강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텐션봉이 상기 단축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제1실린더기구가 초기위치로 이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인딩유닛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상기 제1속도에 비해 빠른 제2속도로 상기 제1설정회수보다 큰 제2설정회수로 권선하는 권선작업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텐션봉이 상기 연장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제2실린더기구가 하강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기구에는 상기 텐션봉과 접촉되어 상기 텐션봉이 상기 단축위치로 이동되게 가압하는 가압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2실린더기구의 작용로드가 접촉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연장위치 시 상기 작용로드의 이탈을 억제하게 절곡된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9. 제1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접촉되어 상기 코일의 이동에 저항을 가하는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상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코일을 사이에 두고 대면 접촉되는 코일접촉부재;
    상기 코일접촉부재가 서로 접촉되게 상기 샤프트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샤프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접촉부재는, 합성수지부재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코일접촉부재에 비해 우수한 강성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접촉부재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보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12. 삭제
KR1020150165766A 2015-11-25 2015-11-25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KR101730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766A KR101730430B1 (ko) 2015-11-25 2015-11-25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766A KR101730430B1 (ko) 2015-11-25 2015-11-25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430B1 true KR101730430B1 (ko) 2017-04-26

Family

ID=5870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766A KR101730430B1 (ko) 2015-11-25 2015-11-25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4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5361A (zh) * 2022-02-12 2022-05-10 安徽风正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调节铝箔表面张力的放卷设备
CN115881424A (zh) * 2022-12-02 2023-03-31 常州市精特电工机械有限公司 一种微细漆包线生产用绕线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401Y1 (ko) * 2001-12-28 2002-04-17 주식회사 씨에스 이엔지 코일칩 인덕터 제조장비의 텐션조절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401Y1 (ko) * 2001-12-28 2002-04-17 주식회사 씨에스 이엔지 코일칩 인덕터 제조장비의 텐션조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5361A (zh) * 2022-02-12 2022-05-10 安徽风正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调节铝箔表面张力的放卷设备
CN115881424A (zh) * 2022-12-02 2023-03-31 常州市精特电工机械有限公司 一种微细漆包线生产用绕线结构
CN115881424B (zh) * 2022-12-02 2024-05-03 常州市精特电工机械有限公司 一种微细漆包线生产用绕线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333B1 (ko) 트로이드의 트로이덜 코일 권선장치
KR101730430B1 (ko) 코일와인딩기의 장력조절장치
CN103193106A (zh) 防止卷绕于线轴的线材松弛的装置及方法
KR101562382B1 (ko) 합사기의 와이어 장력조절장치
CN104444581A (zh) 导纱横动机构
CN210150496U (zh) 一种电缆的缓存装置
CN208485421U (zh) 往复卷绕装置
CN207738211U (zh) 一种自动收线式电源线盘
US4516739A (en) Magnetically controlled wire tensioning device
CN110947154B (zh) 一种阻力装置
CN101139785B (zh) 缝纫机中夹线器的控制装置
CN208700257U (zh) 一种立式放线装置
KR100927441B1 (ko) 트레바샤 가이드 장치
JP2020204106A (ja) 糸張力調整装置
CN107458978B (zh) 一种用于电动晾衣机的绕线装置及电动晾衣机
CN203536105U (zh) 一种漆包放线装置
CN114104857B (zh) 一种线缆智能张紧装置
DE102007005314A1 (de) Fadenspannvorrichtung für eine Nähmaschine
CN205000154U (zh) 一种电动晾衣架的卷线装置
CN115092765A (zh) 基于纱线断纱的自停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776840B (zh) 一种可避免出现放线混乱的永磁式放线装置
KR100840370B1 (ko) 보빈와인더용 실권취보빈의 가압장치
KR101009032B1 (ko) 와이어 로프 유도장치
CN208810832U (zh) 一种自动涨紧式收线装置
JP2007020791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