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563B1 - 제올라이트 y - Google Patents

제올라이트 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563B1
KR101728563B1 KR1020117023472A KR20117023472A KR101728563B1 KR 101728563 B1 KR101728563 B1 KR 101728563B1 KR 1020117023472 A KR1020117023472 A KR 1020117023472A KR 20117023472 A KR20117023472 A KR 20117023472A KR 101728563 B1 KR101728563 B1 KR 10172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olite
temperature
bar
less
parti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758A (ko
Inventor
데이비드 알렌 쿠퍼
코넬리우스 오우웨한드
라스즐로 도모코스
레이 화 옹
Original Assignee
피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피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2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B01J29/04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 B01J29/06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 B01J29/08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of the faujasite type, e.g. type X or Y
    • B01J29/084Y-type fauja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 B01J20/186Chemical treatments in view of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sieve, e.g. increasing the stability or the activity, also decreasing the a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02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20Faujasite type, e.g. type X or Y
    • C01B39/24Type 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2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 C07C7/13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by molecular-sieve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2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in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9/00Aspects of molecular sieve catalysts not covered by B01J29/00
    • B01J2229/10After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effect to be obtained
    • B01J2229/16After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effect to be obtained to increase the Si/Al ratio; Dealu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9/00Aspects of molecular sieve catalysts not covered by B01J29/00
    • B01J2229/30After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 B01J2229/36Steam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Catalyst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700∼1,000℃의 온도에서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가 10 이상인 제올라이트 Y를 하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형된 제올라이트 Y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증기 분압이 700∼800℃의 온도에서 0.06 bar 이하이고, (ii) 증기 분압이 800∼850℃의 온도에서 0.08 bar 이하이고, (iii) 증기 분압이 850∼900℃의 온도에서 0.03 bar 이상이고, (iv) 증기 분압이 900∼950℃의 온도에서 0.05 bar 이상이고, (v) 증기 분압이 950∼1,000℃의 온도에서 0.07 bar 이상인 제조 방법,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변형된 제올라이트 Y,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가 10 이상이고, 적외선 스펙트럼이 3,700 cm-1에서 피크를 가지나 3,605 cm-1 및 3,670 cm-1에서는 실질적으로 피크를 갖지 않는 제올라이트 Y, 및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가 10 이상이고, 과중수소화 벤젠과의 교환에 의해 측정할 때의 산성도가 20 μmol/g 이하인 제올라이트 Y.

Description

제올라이트 Y{ZEOLITE Y}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9년 4월 29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173,698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가특허 출원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변형된 제올라이트 Y 및 이러한 제올라이트 Y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올라이트 Y는 잘 알려져 있는 제올라이트 형태이며, 석유화학 및 화학 산업에 있어서 촉매 지지체, 흡착제, 선택적 분리용 물질 등으로서, 또, 공업용, 가정용 및 자동차용의 오염 방지용 물질로서의 매우 다양한 용도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제올라이트 Y는, 예를 들어, 수소화분해 용도를 위해 제안된 주요 제올라이트 물질 중 하나이다. 초기의 연구는, 단위 셀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US-A-3,130,007에 기재된 기본 물질의 변형이 원하는 중간 유분 또는 미드 배럴(mid-barrel) 유분에 대한 선택성을 개선시켰음을 보여 주었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특정 유형의 제올라이트 Y를 용이하게 처리하여, 변경된 특성을 갖는 제올라이트 Y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에 따라 제올라이트 Y의 산성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700∼1,000℃의 온도에서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가 10 이상인 제올라이트 Y를 하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형된 제올라이트 Y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증기 분압이 700∼800℃의 온도에서 0.06 bar 이하이고, (ii) 증기 분압이 800∼850℃의 온도에서 0.08 bar 이하이고, (iii) 증기 분압이 850∼900℃의 온도에서 0.03 bar 이상이고, (iv) 증기 분압이 900∼950℃의 온도에서 0.05 bar 이상이고, (v) 증기 분압이 950∼1,000℃의 온도에서 0.07 bar 이상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제올라이트 Y에 관한 것이다.
WO-A-2004/047988 및 WO-A-2005/084799와 같은 선행 기술 문헌은 넓은 온도 범위가 결합제와 함께 제올라이트 Y를 하소하는 데 적합하다고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당업자들은, 고온은 제올라이트 구조를 파괴할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그러한 범위의 대부분이 적합한 것은 아님을 알고 있다. 따라서, 일부 당업자들은 WO-A-2004/047988에서 언급된 300∼800℃ 또는 WO-A-2005/084799에서 언급된 300∼850℃의 전체 온도 범위를 적용하는 것을 진정으로 고려하고 있지는 않으며, 다만, 실제로 적용되는 하소 온도, 즉 535℃ 부근의 비교적 좁은 범위만을 고려하고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제올라이트 Y는 그 적외선 스펙트럼에 있어서 공지의 제올라이트 Y와 상이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가 10 이상인 제올라이트 Y로서, 그 담체의 적외선 스펙트럼이 3,700 cm-1에서 피크를 갖지만 3,670 cm-1에서는 실질적으로 피크를 갖지 않는 제올라이트 Y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변형된 특정 유형의 제올라이트 Y의 산성도는 공지의 제올라이트 Y의 산성도보다 낮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가 10 이상인 제올라이트 Y로서, 그 담체가 중수소화 벤젠과의 교환에 의해 측정할 때의 산성도가 20 μmol/g 이하인 제올라이트 Y에 관한 것이다.
제올라이트 Y의 하소는 700∼1,00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제올라이트 Y의 하소 시간은 적용되는 정확한 온도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온도는 최대 850℃이다. 900℃보다 높은 하소 온도에서는, 결정도 손실이 관찰되었다. 제올라이트 Y의 하소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0분∼5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30분∼4시간이다. 적용되는 시간의 길이는 오븐을 예열하는지 또는 촉매 담체를 하소하는 동안 온도를 증가시키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시간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40분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분 이상이다. 또한, 시간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4시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시간 30분 미만이다.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850℃,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820℃,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800℃이다.
하소는 적용된 온도에 따라 증기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증기 분압은 바람직하게는 700∼800℃의 온도에서 0.04 bar 이하이다. 증기 분압은 바람직하게는 800∼850℃의 온도에서 0.07 bar 이하이다. 증기 분압은 바람직하게는 850∼900℃의 온도에서 0.05 bar 이상이고, 더 특히 0.07 bar 이상이다. 증기 분압은 바람직하게는 900∼950℃의 온도에서 0.07 bar 이상이다. 증기 분압은 바람직하게는 950∼1,000℃의 온도에서 0.08 bar 이상이고, 더 특히 0.1 bar 이상이다. 증기가 존재할 경우, 증기 분압은 바람직하게는 0.5 bar 이하이고, 더 특히 0.4 bar 이하이다.
제올라이트 Y를 비결정질 결합제 부재 하에 하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제올라이트 Y 물질은 실리카 대 알루미나 비(SAR)가 10 초과인 제올라이트 Y, 특히 단위 셀 크기(a0)가 2.440 nm(24.40 Å) 미만, 특히 2.435 nm(24.35 Å) 미만이고, SAR이 10 초과, 특히 10 초과 100 이하인 고안정성 제올라이트 Y(USY) 또는 초고안정성 제올라이트 Y(VUSY)이다. 적절한 제올라이트 Y 물질은, 유럽 특허 출원 247 678호 및 247 679호, 및 WO 2004/047988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USY 및 VUSY Y 제올라이트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만, 다른 Y형 제올라이트, 예를 들어 공지된 초소수성 Y형 제올라이트도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EP-A-247 678 또는 EP-A-247 679의 바람직한 VUSY 제올라이트는 단위 셀 크기가 2.445 nm(24.45 Å) 또는 2.435 nm(24.35 Å) 이하이고, 수흡수도(25℃, p/po 값 0.2)가 제올라이트의 8 중량% 이상, 공극 부피가 0.25 ml/g 이상(총 공극 부피의 10∼60%는 직경이 8 nm 이상인 공극으로 이루어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WO-A-2004/050548에 기재되어 있는, 단위 셀 크기가 작고 표면적이 큰 제올라이트 Y 물질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로서 SAR이 13 초과이고, 단위 셀 크기가 24.10∼24.40 Å 범위이며, p/po 값 0.02, 0.03 및 0.04에서의 질소 흡착을 이용한 ATSM D 4365-95 및 BET법에 의해 측정할 때 표면적이 875 m2/g 이상인 제올라이트 Y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물질은 하기 단계 a)∼d)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a) 실리카 대 알루미나 비가 4.5∼6.5이고 알칼리 농도가 1.5 중량% 미만인 포우저사이트 구조를 갖는 출발 제올라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b) 단위 셀 크기가 24.30∼24.45 Å인 중간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데 효과적인 시간(0.5∼5시간이 적절하고, 1∼3시간이 더 적절함) 동안 600∼850℃, 바람직하게는 600∼700℃ 더 바람직하게는 620∼680℃, 특히 630∼670℃ 범위의 온도 및 0.2∼1 대기압 범위의 증기의 분압, 바람직하게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증기의 분압에서 상기 출발 제올라이트를 수열 처리하는 단계;
c) 단위 셀 크기가 24.10∼24.40 Å 범위이고, 벌크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가 13 초과이며, 표면적이 875 m2/g 이상인 고표면적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데 효과적인 조건 하에 산과, 경우에 따라 암모늄 염을 포함하는 산성화 용액과 상기 중간 제올라이트를 접촉시킴으로써 고표면적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고표면적 제올라이트를 회수하는 단계.
특히 바람직한 고표면적 물질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갖는다:
단위 셀 크기가 24.14∼24.38 Å, 바람직하게는 24.24 Å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24.30 Å에서 24.38 Å까지, 바람직하게는 24.36 Å까지, 특히 24.35 Å까지, 특히 24.14∼24.33 Å;
SAR이 20∼100, 바람직하게는 20에서 80까지, 특히 50까지;
표면적이 890 m2/g 이상, 특히 910 m2/g 이상;
문헌[Lippens, Linsen and de Boer, Journal of Catalysis, 3-32 (196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착제로서 질소를 사용하여 t 플롯법(t법이라고도 함)을 이용하여 질소 공극률 측정법에 의해 측정할 때의 미세공극 부피가 0.28 ml/g 초과, 적절하게는 0.30 ml/g 초과.
일반적으로, 미세공극 부피는 0.40 ml/g 미만이고, 적절하게는 0.35 ml/g 미만이다. 본원에서 미세공극은 직경이 2 nm 미만인 공극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과중수소화 벤젠과의 교환에 의해 측정할 때의 산성도가 20 μmol/g 이하인 본 발명에 따른 제올라이트 Y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산성도는 더 바람직하게는 15 μmol/g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2 μmol/g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 μmol/g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8 μmol/g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올라이트는 흡착제로서의 특별한 용도를 가지며, 흡착시킬 수 있는 물질의 종류에 있어서의 다양성을 보인다. 낮은 분압의 흡착제에서의 흡착능도 극성 물질과 비극성 물질 둘 다에 대해 확인되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제올라이트는 일반적인 흡착 용도와 오염 방지 용도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것이 된다. 극성 물질로서는 물 및 극성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비극성 물질로서는 방향족 탄화수소(예를 들어, 벤젠 및 톨루엔)와 같은 비극성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제올라이트 Y, 특히 산성도가 감소된 제올라이트 Y의 흡착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한다.
실시예
실시예에서는, 하기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였다:
단위 셀 크기: ASTM D-3942-80 방법을 이용하여 X선 회절에 의해 측정함.
표면적: 문헌[S. Brunauer, P. Emmett and E. Teller, J. Am. Chm. Soc, 60, 309 (1938)]에 기재된 통상적인 BET(Brunauer-Emmett-Teller)법, 질소 흡착 기법, 및 ASTM 방법 D4365-95에 따라 측정함. 하기에 인용된 측정에서, 결과는 고온 전처리 후 질소 분압 0.03에서 취한 단일점 측정값으로서 제공된다(하기 기록도 참조).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SAR): 화학적 분석에 의해 측정함; 인용된 값은 "벌크" SAR(즉, 전체 SAR)이며 특이적으로 결정질 골격구조의 SAR은 아니다.
제올라이트 Y 제조
본 발명의 촉매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Y는 WO 2004/047988의 교시에 따라 제조하였다. 사용된 출발 물질은 알칼리 함량이 낮은(알칼리 산화물이 1.5 중량% 미만임) 암모늄형 Y 제올라이트였다. 이들 제올라이트는 당업계에 공지된 두 가지 방법 중 하나에 의해 제조하였다.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을 배제하려는 의도는 아니지만, 실시예는 Na형 제올라이트 Y의 K+ 이온 교환 및 이에 이은 암모늄 이온 교환을 포함하는 쿠퍼법(Cooper method)(미국 특허 제5,435,987호에 기재됨), 또는 자생 대기압 초과 압력 하에서의 암모늄 교환을 포함하는 알라판디법(Alafandi method)(미국 특허 제4,085,069호에 기재됨)에 의해 제조하였다. 저알칼리 함량 암모늄형 Y 제올라이트를 1 단계 또는 2 단계로 증기 하소하여 초고안정성 Y형 제올라이트를 제조하였다. 그 후, 증기 처리된 제올라이트에 대해 염화암모늄과 염산의 조합을 이용한 1 단계 처리로 이루어진 산-탈알루미늄 처리를 수행하였다. 이온 교환 탈알루미늄 처리에서의 수함량은 일반적으로 5∼25%의 무수 제올라이트를 갖는 제올라이트 슬러리를 제공하기에 충분하였다. 이러한 편차는 얻어진 결과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얻어진 제올라이트 Y는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가 25, 단위 셀 크기가 24.33 Å이며, 표면적이 922 m2/g이었다.
적외선 스펙트럼
추가로, 상기 촉매 담체의 IR 스펙트럼을 수은 카드뮴 텔루라이드 검출기를 이용한 Biorad FTS 175 FT-IR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셀을 10개 위치를 포함하는 샘플 홀더에 장착하고, 샘플을 직경 18 mm의 자립형 웨이퍼로서 측정하였으며, 3.5∼4 톤의 압력에서 25.3±0.1 mg의 제올라이트 분말을 가압하였다. 백그라운드 측정을 위해, 샘플 홀더의 개방 위치를 이용하였다. 2 cm-1 해상도에서 250개 스캔을 수집함으로써 백그라운드 및 샘플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수증기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광광도계를 질소로 플러싱한다. 5×10-4 mbar 미만으로 배기한 후, 10℃/min의 속도로 450℃까지의 상승시킨 후 450℃에서 30분의 유지 시간을 두는 온도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특정 가열 영역에서 계내에서 샘플을 활성화시켰다. 그 후, 샘플을 20℃/min의 속도로 50℃까지 냉각시켰다. 그 후, 백그라운드 및 샘플 I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H/D 산성도
상기에 언급된 스펙트럼을 기록한 후, 샘플 홀더를 가열 영역으로 다시 밀어 넣고, 진공을 유지하면서 추가 15분 동안 50℃에서 평형화시켰다. 8∼9 토르의 헥사듀테로벤젠(hexadeuterobenzene; C6D6)을 활성화된 제올라이트 샘플과 50℃에서 15분 동안 상호작용하도록 한 후 목표 압력 5×10-4 mbar로 45분 동안(최대 1시간) 배기함으로써 계내에서 H/D 교환을 수행하였다. 그 후, 백그라운드와 샘플의 I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산성도의 총량을 정량하기 위해, 헥사듀테로벤젠과의 접촉 전의 샘플의 IR 스펙트럼(OH 스펙트럼) 및 접촉 후의 샘플의 IR 스펙트럼(OD 스펙트럼)을 다음과 같이 비교하였다. 얻어진 OH 스펙트럼을 OD 스펙트럼으로부터 빼고 기본값을 보정하였다. 그 후, VUSY형 물질에 대해 미리 설정한 소정의 피크 세트를 및 미리 측정한 흡광 계수를 이용하여 곡선 피팅을 수행하였다.
결정도
XRD로 측정한 피크 넓어짐에 있어서의 변화를 추적하여 고결정성 VUSY 참조물질과 비교함으로써 결정도를 측정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600℃에서 2시간 동안 하소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제올라이트 Y 샘플의 특성을 기재하였다.
Figure 112011077890175-pct00001
또한, 새로 제조한 제올라이트 Y의 추가 샘플을 2시간 동안, 그러나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더 높은 온도에서 증기 존재 하에 증기 하소하였다. 이렇게 하소한 제올라이트 Y의 특성을 또한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1077890175-pct00002
상기 제올라이트 Y 샘플의 IR 스펙트럼을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샘플 1 및 2는 3,700 cm-1에서 피크를 가졌으나 3,605 cm-1 및 3,670 cm-1에서는 실질적으로 피크를 갖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조물질 1의 IR 스펙트럼은 반대였으며, 즉, 이것은 3,605 cm-1 및 3,670 cm-1에서 피크를 가졌으나 3,700 cm-1에서 피크를 갖지 않았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기 표 3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고 600℃에서 2시간 동안 하소한 제올라이트 Y 샘플의 특성을 기재하였다.
Figure 112011077890175-pct00003
또한, 새로 제조한 제올라이트 Y의 추가 샘플을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더 높은 온도에서 증기 부재 하에 2시간 동안 하소하였다. 이렇게 하소한 제올라이트 Y의 특성을 또한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1077890175-pct00004
상기 제올라이트 Y 샘플의 IR 스펙트럼을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샘플 3은 3,700 cm-1에서 피크를 가졌으나 3,605 cm-1 및 3,670 cm-1에서는 실질적으로 피크를 갖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조물질 2의 IR 스펙트럼은 반대였으며, 즉, 이것은 3,605 cm-1 및 3,670 cm-1에서 피크를 가졌으나 3,700 cm-1에서 피크를 갖지 않았다.

Claims (9)

  1. 700∼1,000℃의 온도에서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가 10 이상인 제올라이트 Y를 하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형된 제올라이트 Y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증기 분압이 700∼800℃의 온도에서 0.06 bar 이하이고, (ii) 증기 분압이 800∼850℃의 온도에서 0.08 bar 이하이고, (iii) 증기 분압이 850∼900℃의 온도에서 0.03 bar 이상이고, (iv) 증기 분압이 900∼950℃의 온도에서 0.05 bar 이상이고, (v) 증기 분압이 950∼1,000℃의 온도에서 0.07 bar 이상이고,
    제올라이트 Y의 적외선 스펙트럼이 3,700 cm-1에서 피크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 Y가 10 초과의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소를 20분∼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하소 전의 제올라이트 Y는 13 초과의 벌크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 24.10∼24.40 Å 범위의 단위 셀 크기 및 875 m2/g 이상의 표면적을 갖는 것인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제올라이트 Y.
  6.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가 10 이상인 제올라이트 Y로서, 그 적외선 스펙트럼이 3,700 cm-1에서 피크를 가지나, 3,670 cm-1에서는 피크를 갖지 않는 것인 제올라이트 Y.
  7. 실리카 대 알루미나 몰비가 10 이상인 제올라이트 Y로서, 과중수소화 벤젠과의 교환에 의해 측정할 때의 산성도가 20 μmol/g 이하이고,
    그 적외선 스펙트럼이 3,700 cm-1에서 피크를 가지나, 3,670 cm-1에서는 피크를 갖지 않는 것인 제올라이트 Y.
  8. 제7항에 있어서, 과중수소화 벤젠과의 교환에 의해 측정할 때의 산성도가 10 μmol/g 이하인 제올라이트 Y.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변형된 제올라이트 Y,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변형된 제올라이트 Y를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제올라이트의 사용 방법.
KR1020117023472A 2009-04-29 2010-04-28 제올라이트 y KR101728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69809P 2009-04-29 2009-04-29
US61/173,698 2009-04-29
PCT/US2010/032691 WO2010126955A1 (en) 2009-04-29 2010-04-28 Zeolite 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758A KR20120022758A (ko) 2012-03-12
KR101728563B1 true KR101728563B1 (ko) 2017-04-19

Family

ID=4303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472A KR101728563B1 (ko) 2009-04-29 2010-04-28 제올라이트 y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20100278723A1 (ko)
EP (1) EP2424661B1 (ko)
JP (2) JP5868314B2 (ko)
KR (1) KR101728563B1 (ko)
CN (2) CN102413929A (ko)
BR (1) BRPI1014350B1 (ko)
CA (1) CA2760181C (ko)
DK (1) DK2424661T3 (ko)
RU (1) RU2487756C1 (ko)
SG (1) SG175067A1 (ko)
UA (1) UA99993C2 (ko)
WO (1) WO2010126955A1 (ko)
ZA (1) ZA2011065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2014CN04670A (ko) 2011-12-23 2015-09-18 Shell Int Research
CA2867947C (en) * 2013-10-22 2021-11-09 Jun Long A metal modified y zeolite, its preparation and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6237A (ja) * 1998-10-06 2002-08-20 マシソン トライ ガ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過熱ゼオライトを用いてガスから水を除去する方法
JP2002538069A (ja) * 1999-03-03 2002-11-12 ピーキュー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変更されたゼオライトを製造する方法。
JP2006505676A (ja) * 2002-11-08 2006-02-16 シェブロン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極度に低酸性度で超安定性のyゼオライト触媒組成物およびプロセス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0007A (en) 1961-05-12 1964-04-21 Union Carbide Corp Crystalline zeolite y
US4085069A (en) 1976-08-27 1978-04-18 Filtrol Corporation Hydrothermally stable catalysts containing ammonium faujasite zeolites
CA1141229A (en) * 1978-12-26 1983-02-15 Thomas P.J. Izod Removal of caffeine by selective adsorption using zeolite adsorbents
US4331694A (en) * 1978-12-26 1982-05-25 Union Carbide Corporation Removal of caffeine by selective adsorption using zeolite adsorbents
JPS5714132A (en) 1980-06-30 1982-01-25 Toshiba Corp Electronic range
JPS5622624A (en) * 1980-08-01 1981-03-03 Union Oil Co Manufacture of hottwaterrstable and ammoniaastable y zeolite composition
DE3463002D1 (en) * 1983-10-13 1987-05-14 Mobil Oil Corp Catalyst and process for hydrocracking and dewaxing hydrocarbon oils
SE8602341D0 (sv) * 1986-05-22 1986-05-22 Eka Nobel Ab Sett att framstella en modifierad zeolit y
GB8613132D0 (en) 1986-05-30 1986-07-02 Shell Int Research Hydrocarbon conversion catalysts
GB8613131D0 (en) 1986-05-30 1986-07-02 Shell Int Research Hydrocarbon conversion
GB8708961D0 (en) * 1987-04-14 1987-05-20 Shell Int Research Preparation of modified zeolites
DE4202671A1 (de) * 1991-05-27 1992-12-03 Degussa Formkoerper enthaltend dealuminierten zeolith y und das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5240889A (en) * 1991-07-12 1993-08-31 Union Oil Company Of California Hydrated alkylation catalyst
JP2549332B2 (ja) * 1991-12-28 1996-10-30 株式会社コスモ総合研究所 結晶性アルミノケイ酸塩の製造方法
US5435987A (en) 1993-07-22 1995-07-25 Pq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mmonium zeolites of low alkali metal content
US5601798A (en) * 1993-09-07 1997-02-11 Pq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zeolite Y with increased mesopore volume
US6284218B1 (en) * 1998-09-23 2001-09-04 Indian Oil Corporation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an hydrothermally stable, large crystallite sized, highly crystallite sized, highly crystalline synthetic faujasite zeolite
US7084087B2 (en) * 1999-09-07 2006-08-01 Abb Lummus Global Inc. Zeolite composite, method for making and catalytic application thereof
EP1199101A3 (en) * 2000-10-19 2003-12-17 The Boc Group, Inc. Methods for preparing shaped sorbent
CN1108356C (zh) * 2000-10-26 2003-05-1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高活性高中油性加氢裂化催化剂及其制备方法
US6902664B2 (en) * 2002-11-08 2005-06-07 Chevron U.S.A. Inc. Extremely low acidity USY and homogeneous, amorphous silica-alumina hydrocracking catalyst and process
US7192900B2 (en) * 2002-11-27 2007-03-20 Shell Oil Company Hydrocracking catalyst
EP1613426B1 (en) 2002-11-27 2015-10-21 PQ Holding, Inc. High surface area zeolite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RU2366505C2 (ru) * 2004-03-03 2009-09-10 Шелл Интернэшнл Рисерч Маатсхаппий Б.В. Носитель катализатора и катали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EP1938898B1 (en) * 2005-09-12 2019-06-12 Petroleum Energy Center Catalyst composition for hydrogenation treatment of hydrocarbon and hydrogenation treatment method
TWI433829B (zh) * 2007-01-26 2014-04-11 Albemarle Netherlands Bv 使用含稀土元素之沸石及氫化金屬之催化劑的烷化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6237A (ja) * 1998-10-06 2002-08-20 マシソン トライ ガ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過熱ゼオライトを用いてガスから水を除去する方法
JP2002538069A (ja) * 1999-03-03 2002-11-12 ピーキュー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変更されたゼオライトを製造する方法。
JP2006505676A (ja) * 2002-11-08 2006-02-16 シェブロン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極度に低酸性度で超安定性のyゼオライト触媒組成物およびプロセ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4661A4 (en) 2014-01-22
KR20120022758A (ko) 2012-03-12
ZA201106589B (en) 2012-11-28
US20140135560A1 (en) 2014-05-15
SG175067A1 (en) 2011-11-28
WO2010126955A1 (en) 2010-11-04
CN102413929A (zh) 2012-04-11
US9308521B2 (en) 2016-04-12
EP2424661A1 (en) 2012-03-07
JP2012525320A (ja) 2012-10-22
DK2424661T3 (da) 2021-03-08
CA2760181C (en) 2016-12-20
BRPI1014350B1 (pt) 2021-02-09
UA99993C2 (en) 2012-10-25
JP2015172000A (ja) 2015-10-01
RU2011148365A (ru) 2013-06-10
BRPI1014350A2 (pt) 2020-07-14
US20100278723A1 (en) 2010-11-04
EP2424661B1 (en) 2020-12-16
JP5868314B2 (ja) 2016-02-24
CN105854792A (zh) 2016-08-17
CN105854792B (zh) 2019-06-14
RU2487756C1 (ru) 2013-07-20
CA2760181A1 (en)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ixão et al. Modification of MOR by desilication treatments: Structural, textural and acidic characterization
Marques et al. Infrared spectroscopic study of the acid properties of dealuminated BEA zeolites
García et al. Catalytic cracking of HDPE over hybrid zeolitic–mesoporous materials
US10882002B2 (en) Zeolite adsorbents having a high external surface area and uses thereof
Piumetti et al. Vanadium-containing SBA-15 systems prepared by direct synthesis: Physico-chemical and catalytic properties in the decomposition of dichloromethane
Ooi et al. Aluminum-containing SBA-15 as cracking catalyst for the production of biofuel from waste used palm oil
Peral et al. Bidimensional ZSM-5 zeolites probed as catalysts for polyethylene cracking
EP1613426B1 (en) High surface area zeolite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KR20190081424A (ko) 규칙적인 메조 기공을 가진 제오라이트 입자에 금속이 함침된 탄화수소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Melero et al. Crystallization mechanism of Fe-MFI from wetness impregnated Fe2O3–SiO2 amorphous xerogels: role of iron species in Fenton-like processes
KR101728563B1 (ko) 제올라이트 y
Serrano et al. Hydrogen production through catalytic methane decomposition promoted by pure silica materials
Delitala et al. Liquid-phase thiophene adsorption on MCM-22 zeolite and activated carbon
Babić et al. Comparative study of zeolite L etching with ammonium fluoride and ammonium bifluoride solutions
Selli et al. Effect of surface acidity on the behaviour of Fe-MFI catalysts for benzene hydroxylation to phenol
Zimmermann et al. Mesoporous H‐ZSM‐5 for the Conversion of Dimethyl Ether to Hydrocarbons
Mihályi et al. Structure, acidity and redox properties of MCM-22 ferrisilicate
Wang et al. Synthesis of sulfated titania supported on mesoporous silica using direct impregnation and its application in esterification of acetic acid and n-butanol
Vinh-Thang et al. Effect of the acid properties on the diffusion of C7 hydrocarbons in UL-ZSM-5 materials
KR102198463B1 (ko) Sapo-34 분자체 및 그 제조방법
Li et al. Thermal and hydrothermal stability of La-modified ETS-10 and its cracking ability
Bisio et al. Nanocomposite catalytic materials: Synthesis, characterisation and reactivity of Pt/Cs–BEA zeolites
Xia et al. Effect of surface modifications on the adsorption and hydrothermal stability of MCM-41 material
Khomenko et al. Synthesis and Adsorptive Constitutive Properties of MMS/MFI Materials Prepared on the Basis of Al-aerosil
Melero et al. Crystallization mechanism of Fe-MFI from wetness impregnated Fe2O3-SiO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