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838B1 - 강하분진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강하분진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838B1
KR101727838B1 KR1020150185722A KR20150185722A KR101727838B1 KR 101727838 B1 KR101727838 B1 KR 101727838B1 KR 1020150185722 A KR1020150185722 A KR 1020150185722A KR 20150185722 A KR20150185722 A KR 20150185722A KR 101727838 B1 KR101727838 B1 KR 10172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unit
dust
water
f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기
박동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 G01N2001/2217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using a liquid

Abstract

강하분진 포집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강하분진 포집장치는: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포집부로 강하되는 분진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포집부로 물을 분사하며 포집부의 상부에 안착된 분진을 포집부의 하부로 쓸어내는 살수부와, 감지부에서 분진이 감지되면 살수부를 분사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하분진 포집장치{DUSTFALL COLLECTOR}
본 발명은 강하분진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으로 강하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강하분진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하분진(降下粉塵)은 대기 중에 부유하던 먼지가 중력 또는 강우에 의하여 지면으로 강하(降下)하는 것으로, 자중에 의해 강하하는 건성 강하물과 강우에 의해 강하하는 습성 강하물로 구분되며, 이들 강하물을 포집한 후 농축과정을 통해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강하분진량을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94696호(2007.03.07. 등록, 발명의 명칭: 강하분진 포집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지면으로 강하되는 분진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강하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는: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포집부로 강하되는 분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포집부로 물을 분사하며 상기 포집부의 상부에 안착된 분진을 상기 포집부의 하부로 쓸어내는 살수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분진이 감지되면 상기 살수부를 분사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물과 분진을 수용가능한 용기 형상을 가지는 포집용기; 및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포집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며, 표면에 안착된 분진을 상기 포집용기로 하향 안내하는 채취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취기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고, 상기 포집용기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채취깔때기부; 및 상기 채취깔때기부의 상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채취깔때기부의 내부로 분사되는 물의 누출을 구속하는 누출방지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수부의 분사단부는, 물이 상기 채취기의 내면부를 타고 수평방향으로 진행가능하게 상기 채취기의 접선방향 또는 상기 채취기의 내면부와 나란한 수평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포집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 상부의 제1영역을 통과하는 분진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포집부의 상부에 상기 제1센서와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 상부의 제2영역을 통과하는 분진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포집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포집부 중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량과,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량의 차이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살수부의 분사작동을 개시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수부는, 물이 수용되는 탱크; 상기 포집부의 내부를 향해 설치되고, 물을 분사하는 분사단부; 상기 탱크에서 상기 분사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물공급라인; 및 상기 물공급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 내부의 물을 상기 분사단부측으로 강제 유동시키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집부로 강하되는 분진량에 대한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에 의하면, 중력이나 강우에 의해 강하되는 분진을 채취하는 단순한 방법을 탈피하여, 강하 분진의 감지 시 포집부로 물을 분사하면서 포집부에 채취된 분진을 쓸어내리면서 포집부의 하부에 분진 전량을 신뢰성있게 포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포집부에 분진이 유입, 안착 시 감지부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와 살수부에 의해 분진을 향한 물 분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기존에 분진 채취 시마다 채취부에 안착된 분진을 물로 씻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고, 인력의 소모 없이 자동으로 강하 분진을 포집부의 하부에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집부에 포집된 강하 분진이 신속하게 물에 쓸려내려가게 되므로 바람에 날리거나 포집부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력에 의해 누적된 분진을 씻어내는 과정에서 분진의 일부가 비산, 누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강하분진량 측정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부를 이용해 강하 분진이 언제 채취되어졌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기상정보 분석을 통해 강하 분진의 오염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고, 오염원의 위치나 풍속, 풍향 등을 고려하여 분진 저감 대책을 보다 실질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의 감지부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의 채취기 내부로의 물 유입방향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의 채취기의 내면부를 타고 이루어지는 물의 유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의 감지부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의 채취기 내부로의 물 유입방향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의 채취기의 내면부를 타고 이루어지는 물의 유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는 포집부(10), 감지부(20), 살수부(30), 입력부(41), 제어부(42), 저장부(43)를 포함한다.
포집부(10)는 자중이나 강우에 의해 지면으로 강하하는 분진을 채취, 포집하는 장치부이다. 대기 중에서 강하된 분진은 포집부(10)의 상부에 안착, 채취되고, 포집부(10)의 표면을 타고 하부로 유동되어 포집된다.
감지부(20)는 센서를 이용해 포집부(10)로 강하되는 분진을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0)는 포집부(10)의 상부에 상향 개방되게 형성된 개방부로 강하, 유입되는 분진의 양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포집부(10)의 개방부의 상부에, 그 감지범위가 포집부(10)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너비,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살수부(30)는 포집부(10)의 상부에 안착된 분진을 물을 이용해 포집부(10)의 하부로 쓸어내리기 위해 포집부(10)로 물을 분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수부(30)는 포집부(10) 중 분진이 안착되는 상부로 물을 분사하고, 포집부(10)에 안착된 분진은 살수부(30)에서 분사된 물에 쓸려 포집부(10)의 하부로 하향 유동된다.
입력부(41)는 감지부(20)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부분이다. 제어부(42)는 입력부(41)에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살수부(30)를 분사작동시킨다. 감지부(20)에 분진이 감지되면 입력부(41)에 이러한 감지부(20)의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42)는 이와 같이 입력부(41)에 실시간으로 입력된 분진의 양에 따라 살수부(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42)를 이용해 포집부(10)에 채취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살수부(30)의 물분사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저장부(43)는 포집부(10)로 강하되는 분진량에 대한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분진의 양은 감지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와 함께 입력부(41)에 실시간으로 입력되고, 저장부(43)에 연속하여 저장된다.
저장부(43)를 이용해 강하 분진의 양을 시간별로 기록, 저장함으로써, 해당 시각의 기상정보 분석을 통해 강하 분진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향을 고려하여 강하 분진 오염원의 방향을 추적할 수 있고, 풍속을 고려하여 강하 분진의 발생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세기의 풍속에서 강하 분진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분진이 발생되지 않는 한계 풍속을 산정하여 산업시설에 적용하는 등과 같이 분진 저감 대책을 세우는 것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집부(10)는 포집용기(11)와 채취기(12)를 포함한다.
포집용기(11)는 물과 분진을 수용가능한 용기의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집용기(11)는 병 모양의 용기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 채취기(1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목부가 형성된다. 목부는 포집용기(11)의 내부 공간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향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채취기(12)를 목부의 상부에 안착, 결합시킨 상태에서 채취기(12)와 포집용기(11)의 내부는 연통되게 연결된다.
채취기(12)는 강하 분진이 안착되어 채취되는 부분으로, 설정 단면적을 가지고 포집용기(11)의 상부에 설치된다. 채취기(12)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속된 분진 유동 통로를 가진다. 채취기(12)의 상부에 안착된 분진은 채취기(12)의 표면을 타고 포집용기(11)측으로 하향 안내되어, 최종적으로 포집용기(11)에 포집된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취기(12)는 채취깔때기부(13)와 누출방지턱부(14)를 포함한다.
채취깔때기부(13)는 상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확장되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고, 포집용기(11)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채취깔때기부(13)의 상부는 포집용기(11)의 목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포집용기(11)의 상부 외부로 노출되며, 채취깔때기부(13)의 하부는 포집용기(11)의 목부보다 축소된 너비를 가지고 포집용기(11)의 목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채취기(12)가 상기와 같은 깔때기 형상을 가짐에 따라, 채취깔때기부(13)의 상부의 횡단면적에 해당되는 면적에 대해 강하 분진을 채취할 수 있고, 채취된 분진을 채취기(12)의 경사진 내면부를 따라 하부 중앙부측으로 하향 안내하여 포집용기(11)의 내부에 안정되게 수용할 수 있다.
누출방지턱부(14)는 채취깔때기부(13)의 내부로 분사되는 물의 누출을 구속하는 누출방지턱을 이루는 부분으로, 채취깔때기부(13)의 상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채취깔때기부(13)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채취깔때기부(13)의 내면부를 타고 유동되면서 채취깔때기부(13)의 내면부에 안착된 분진을 쓸어내게 되는데, 누출방지턱부(14)는 이러한 과정에서 물이 채취깔때기부(13)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구속한다.
이에 따라 채취깔때기부(13)에 안착된 분진의 일부가 물과 함께 혼재된 상태로 채취깔때기부(13)의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분진의 채취가 보다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누출방지턱부(14)의 내경부에 해당되는 면적에 걸쳐 강하 분진의 채취, 포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누출방지턱부(14)는 채취깔때기부(13)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짐에 따라, 감지부(20)를 채취기(12)의 상부에 안정되게 안착, 설치할 수 있는 링 형상의 설치면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부(20)는 제1센서(21), 제2센서(22), 제3센서(23), 제4센서(24)를 포함하는 복수개가 설정간격을 두고 채취기(12)의 상부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제1센서(21)는 포집부(10) 상부의 제1영역을 통과하는 분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포집부(10)의 상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출방지턱부(14) 상에 설치된다. 제2센서(22)는 포집부(10) 상부의 제2영역을 통과하는 분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포집부(10)의 상부에 제1센서(21)와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3센서(23)는 포집부(10) 상부의 제3영역을 통과하는 분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포집부(10)의 상부에 제1센서(21), 제2센서(22)와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4센서(24)는 포집부(10) 상부의 제4영역을 통과하는 분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포집부(10)의 상부에 제1센서(21), 제2센서(22), 제3센서(23)와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제1영역, 제2영역, 제3영역, 제4영역은 서로 다른 영역을 의미하며, 제1영역, 제2영역, 제3영역, 제4영역을 포괄하면 포집부(10)의 상부의 횡단면적에 해당되는 면적이 된다. 이때 제1영역, 제2영역, 제3영역, 제4영역은 일부가 중첩되거나 겹쳐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센서(21), 제2센서(22), 제3센서(23), 제4센서(24) 각각은 발광부(21a)와 수광부(21b)를 포함하는 센서 구조를 가진다. 발광부(21a)는 누출방지턱부(14)의 일측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한다. 수광부(21b)는 누출방지턱부(14) 중 발광부(21a)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발광부(21a)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센서(21), 제2센서(22), 제3센서(23), 제4센서(24)는 45°에 해당되는 상대각도를 두고 원형으로 배치되고, 이때 제1센서(21), 제2센서(22), 제3센서(23), 제4센서(24) 각각의 발광부(21a)와 수광부(21b)는 서로 180°에 대응되는 상대각도를 가진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분진 감지 영역을 포집부(10)의 상부에 그 횡단면에 대응되는 원형의 형상으로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다.
발광부(21a)에서 발광된 광량과, 수광부(21b)에서 수광된 광량은 입력부(41)에 실시간으로 입력된다. 제어부(42)는 발광부(21a)에서 발광된 광량과, 수광부(21b)에서 수광된 광량의 차이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분진이 채취기(12)로 유입되었다고 판단하고 살수부(30)의 분사작동을 개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설정치는 분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1센서(21), 제2센서(22), 제3센서(23), 제4센서(24) 모두의 발광부(21a)에서 발광된 광량 전체와, 제1센서(21), 제2센서(22), 제3센서(23), 제4센서(24) 모두에서 수광부(21b)에서 수광된 광량 전체를 비교하여, 그 광량의 차이를 연산함으로써 도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수부(30)는 탱크(31), 분사단부(32), 물공급라인(33), 펌프(34), 밸브(35)를 포함한다.
탱크(31)는 분진이 포함되지 않는 청정한 물이 수용되는 장치이다. 분사단부(32)는 포집부(10)의 내부를 향해 물을 분사하게 되는 장치이다. 물공급라인(33)은 탱크(31) 내부의 물을 분사단부(32)까지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탱크(31)에서 분사단부(32)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펌프(34)는 탱크(31) 내부의 물을 분사단부(32)측으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장치로, 물공급라인(33) 상에 설치된다. 펌프(34)의 구동 시, 탱크(31) 내부의 물이 물공급라인(33)을 따라 분사단부(32)측으로 유동되고, 분사단부(32)에서 채취깔때기부(13)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러한 펌프(34)의 구동은 제어부(42)에 의해 제어된다.
밸브(35)는 물공급라인(33)을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물공급라인(33) 상에 설치된다. 밸브(35)로서 전자제어밸브를 적용하면, 제어부(42)를 이용해 밸브(35)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2)로 펌프(34)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분사단부(32)측으로의 물 공급 여부를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제어부(42)로 밸브(35)를 개폐조절함으로써 펌프(34)의 구동 중에도 분사단부(32)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신속하게 미세조절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단부(32)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채취깔때기부(13) 상에 접선 방향으로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분사단부(32)의 일단부는 채취깔때기부(13)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채취깔때기부(13)의 외부에서 물공급라인(33)의 단부와 연결된다. 물공급라인(33)은 튜브의 형상을 가지고, 분사단부(32)의 타단부에 끼워져 분사단부(32)와 연통되게 결합된다.
채취깔때기부(13)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단부(32)를 이와 같이 채취깔때기부(13)의 접선 방향으로 설치하면, 분사단부(32)에서 분사된 물이 자연히 채취기(12)의 내면부를 타고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진행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 하향 유동되면서 채취깔때기부(13)의 내면부에 안착된 분진을 포집용기(11)측으로 쓸어내리게 된다.
분사단부(32)에서 수평방향으로 분사되어 채취깔때기부(13)의 내면부를 타고 수평방향으로 진행중인 물줄기는, 중력에 의해 분사단부(32)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하강되는 나선형의 궤적을 이루면서 채취깔때기부(13)의 하부 중앙부측으로 자연히 유입된다. 이러한 물줄기의 진행은 물줄기의 일부가 중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하향 낙하(도 4의 일점쇄선 표시)되면서 그 유량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물줄기의 진행 궤적 하측에 위치되는 분진은 지속적으로 물에 쓸려내려가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분사단부(32)에서 분사된 물의 수평방향 진행 범위에 대응되는 원호 길이를 가지는 부채꼴 면적에 걸쳐 물의 하향 유동 및 분진 쓸어냄이 이루어지게 된다.
채취깔때기부(13)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분사단부(32)를 이격되게 배치하면, 분사단부(32) 각각에서 분사된 물줄기 각각이 이러한 작용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단부(32)는 4개를 90°에 해당되는 설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고, 물을 채취깔때기부(13)의 90°를 초과하는 전방 진행 거리를 가지도록 고압 분사시키는 경우, 채취깔때기부(13) 내면부의 표면적에 전체에 걸쳐 물의 유동 및 분진 쓸어냄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취기(12)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와 같이 분사단부(32)를 채취기(12)의 접선방향을 향해 설치함으로써, 채취깔때기부(13) 내면부의 표면적에 전체에 걸쳐 물의 유동 및 분진 쓸어냄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채취기(12)가 사각형 등과 같이 다른 도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채취기(12)의 내면부와 나란한 수평방향을 향해 설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채취깔때기부(13) 내면부의 표면적에 전체에 걸쳐 물의 유동 및 분진 쓸어냄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분사단부(32)는 채취깔때기부(13)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분사단부(3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단부(32)는 채취깔때기부(13)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분진을 쓸어내릴 수 있다면, 노즐 형상을 가지고 채취깔때기부(13), 물공급라인(33)과 별도로 제작되거나, 물공급라인(33)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강하분진 포집장치에 의하면, 중력이나 강우에 의해 강하되는 분진을 채취하는 단순한 방법을 탈피하여, 강하 분진의 감지 시 포집부(10)로 물을 분사하면서 포집부(10)에 채취된 분진을 쓸어내리면서 포집부(10)의 하부에 분진 전량을 신뢰성있게 포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포집부(10)에 분진이 유입, 안착 시 감지부(20)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42)와 살수부(30)에 의해 분진을 향한 물 분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기존에 분진 채취 시마다 포집부(10)에 안착된 분진을 물로 씻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고, 인력의 소모 없이 자동으로 강하 분진을 포집부(10)의 하부에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집부(10)에 포집된 강하 분진이 신속하게 물에 쓸려내려가게 되므로 바람에 날리거나 포집부(10)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력에 의해 누적된 분진을 씻어내는 과정에서 분진의 일부가 비산, 누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강하분진량 측정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부(43)를 이용해 강하 분진이 언제 채취되어졌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기상정보 분석을 통해 강하 분진의 오염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고, 오염원의 위치나 풍속, 풍향 등을 고려하여 분진 저감 대책을 보다 실질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포집부 11 : 포집용기
12 : 채취기 13 : 채취깔때기부
14 : 누출방지턱부 20 : 감지부
21 : 제1센서 21a : 발광부
21b : 수광부 22 : 제2센서
23 : 제3센서 24 : 제4센서
30 : 살수부 31 : 탱크
32 : 분사단부 33 : 물공급라인
34 : 펌프 35 : 밸브
41 : 입력부 42 : 제어부
43 : 저장부

Claims (8)

  1.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포집부로 강하되는 분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포집부로 물을 분사하며 상기 포집부의 상부에 안착된 분진을 상기 포집부의 하부로 쓸어내는 살수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분진이 감지되면 상기 살수부를 분사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물과 분진을 수용가능한 용기 형상을 가지는 포집용기와,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포집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며, 표면에 안착된 분진을 상기 포집용기로 하향 안내하는 채취기를 포함하고,
    상기 채취기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고, 상기 포집용기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채취깔때기부와, 상기 채취깔때기부의 상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채취깔때기부의 내부로 분사되는 물의 누출을 구속하는 누출방지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수부의 분사단부는 상기 채취깔때기부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채취깔때기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분사단부에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분사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하강되는 나선형 궤적을 이루어 상기 채취깔때기부의 하부 중앙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분진 포집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부는,
    물이 상기 채취기의 내면부를 타고 수평방향으로 진행가능하게 상기 채취기의 접선방향 또는 상기 채취기의 내면부와 나란한 수평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분진 포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포집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 상부의 제1영역을 통과하는 분진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포집부의 상부에 상기 제1센서와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 상부의 제2영역을 통과하는 분진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분진 포집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포집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포집부 중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량과,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량의 차이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살수부의 분사작동을 개시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분진 포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는,
    물이 수용되는 탱크;
    상기 포집부의 내부를 향해 설치되고, 물을 분사하는 상기 분사단부;
    상기 탱크에서 상기 분사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물공급라인; 및
    상기 물공급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 내부의 물을 상기 분사단부측으로 강제 유동시키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분진 포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로 강하되는 분진량에 대한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분진 포집장치.
KR1020150185722A 2015-12-24 2015-12-24 강하분진 포집장치 KR10172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722A KR101727838B1 (ko) 2015-12-24 2015-12-24 강하분진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722A KR101727838B1 (ko) 2015-12-24 2015-12-24 강하분진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838B1 true KR101727838B1 (ko) 2017-04-17

Family

ID=5870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722A KR101727838B1 (ko) 2015-12-24 2015-12-24 강하분진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8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2173A (zh) * 2018-07-26 2019-01-04 房利鹏 一种具有安全警示和净化功能的煤矿用检测装置
KR20190142805A (ko) * 2018-06-19 2019-12-30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805A (ko) * 2018-06-19 2019-12-30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102068998B1 (ko) 2018-06-19 2020-01-22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CN109142173A (zh) * 2018-07-26 2019-01-04 房利鹏 一种具有安全警示和净化功能的煤矿用检测装置
CN109142173B (zh) * 2018-07-26 2021-01-08 陕西彬长大佛寺矿业有限公司 一种具有安全警示和净化功能的煤矿用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542B1 (ko)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 집진장치
KR101727838B1 (ko) 강하분진 포집장치
KR20120028066A (ko) 습식 집진장치
US20150158145A1 (en) Dry-ice cleaning device and process for a painting installation
KR101015999B1 (ko) 양송이버섯 이물질 제거장치
JP5537503B2 (ja) 粉塵回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走式切削機
JP6305040B2 (ja) 洗浄装置
CN208943660U (zh) 一种气动旋流除尘除雾实验塔
CN109124487A (zh) 一种扫地机器人及其控制方法
JP2008272762A (ja) ニードル洗浄装置
JP2003190724A (ja) フイルター用クリーニング装置
KR20230093869A (ko) 마킹장치 및 마킹방법
JP5918616B2 (ja) 密閉式廃棄物処分場の粉塵除去システム
US20230311040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glue particles from an aerosol
JP3762345B2 (ja) 外壁洗浄作業用の液体噴射装置
JP2003294771A (ja) ノズルチップ廃棄装置
KR101768630B1 (ko) 레벨 측정기 클리닝 장치
CN217251343U (zh) 润滑油桶清洗装置
JP4820145B2 (ja) 氷粒噴射装置および氷粒噴射装置の漏斗内詰り検知方法
KR200483413Y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742480B1 (ko) 무구동회전방식 에어분사형 클리닝장치
CN220683709U (zh) 一种耐火材料输送装置
CN108905572A (zh) 用于烟气处理的自动清盐碱液喷淋装置
KR101799737B1 (ko)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
KR101149752B1 (ko) 신발 바닥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