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13Y1 - 미세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413Y1
KR200483413Y1 KR2020160006573U KR20160006573U KR200483413Y1 KR 200483413 Y1 KR200483413 Y1 KR 200483413Y1 KR 2020160006573 U KR2020160006573 U KR 2020160006573U KR 20160006573 U KR20160006573 U KR 20160006573U KR 200483413 Y1 KR200483413 Y1 KR 200483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fine dust
duct
turbu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2020160006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이 건 고안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고안은 작업공간부에서 발생된 미세먼지가 블로워의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덕트를 따라 미세먼지 제거부를 경유하여 제거되어지도록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중간이 분리되어 상부의 급기덕트와 하부의 배기덕트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사이에 상기 미세먼지 제거부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미세먼지 제거부는 급기덕트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물분사부 및 상기 물분사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난류발생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고안은 설치와 점검 및 운용에 따른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미세먼지가 포집된 수분이 오염수로 응결되도록 하여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미세먼지 제거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장치{DUST REMOVAL EQUIPMENT}
이 건 고안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공간부에서 발생된 미세먼지가 블로워의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덕트를 따라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물분사부에서 분사되어지는 수분에 미세먼지가 포집되어지도록 하고, 미세먼지가 포집된 오염수분이 난류발생부에 의하여 응결되어 침전탱크에 저장된 후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되어 처리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각로, 철강, 분체공업, 시멘트가공, 코크스 및 주물 제조공정, 유리 및 내화물 제조공정, 합성수지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는 다양한 분진을 포함하는 미세먼지가 발생되고 있으며, 미세먼지는 집진필터를 장착한 집진장치에 의하여 제거되어지도록 사용하고 있다.
현장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는 공기와 함께 집진장치로 강제 유입시켜 내부에 장착되는 여러 개의 집진필터로 흡입, 여과 후 배출구를 통하여 청정한 공기를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집진필터를 이용한 건식 이외에 물을 분사하여 미세먼지를 걸러 제거하는 방식이 있으나, 분사된 물에 미세먼지가 포집된 오염수의 일부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미세먼지 제거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비산되는 오염수에 의하여 주변이 더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집진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중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점검 및 운용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74931호(2005.07.19)
이 건 고안은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중에 물(수분)을 분사시키는 물분사부가 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와 점검 및 운용에 따른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미세먼지가 포집된 수분이 거의 다 오염수로 응결되도록 하여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미세먼지 제거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고안은 작업공간부(SP)에서 발생된 미세먼지(DU)가 블로워(BL)의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덕트(10)를 따라 미세먼지 제거부(20)를 경유하여 제거되어지도록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장치(A)에 있어서, 상기 덕트(10)는 중간이 분리되어 상부의 급기덕트(11)와 하부의 배기덕트(12)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급기덕트(11)와 배기덕트(12) 사이에 상기 미세먼지 제거부(2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미세먼지 제거부(20)는 급기덕트(1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물분사부(21) 및 상기 물분사부(2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난류발생부(22)로 구비되며, 상기 난류발생부(22)는 제2중공형 수직벽체(221)의 상,하부에 테두리를 따라 제2체결홀(222-1)을 갖는 제2상,하부 플랜지(22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중공형 수직벽체(221)의 내부에 난류발생부재(223)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난류발생부재(223)는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는 제2중공형 수직벽체(221)의 일측 내벽에서 타측 내벽을 향하여 일정 수평 간격(L)이 유지되어 수평되게 배열되어지고, 상기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는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의 하부로부터 일정 수직 간격(L')이 유지되게 이격되어지며,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 사이의 하부로 위치되도록 수평되게 반복 배열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분사부(21)는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의 상,하부에 테두리를 따라 제1체결홀(212-2)을 갖는 제1상,하부 플랜지(21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중공형 수직벽체(221)에 관통홀(21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의 외부에는 물분기관(214)이 물공급부(30)에 연결되어 감싸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물분기관(214)의 내측으로 구비된 물분사노즐(215)이 상기 관통홀(213)을 관통하여 상기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의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30)는 물탱크(31)내의 물이 급수펌프(32)에 연결된 급수라인(33)을 통해 물분기관(214)으로 공급되어지되, 상기 급수라인(33)과 물분기관(214) 사이에 개폐밸브(34)가 구비되어 물이 선택적으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는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헤드부(HA)의 하부에 상기 헤드부(HA)의 하부 중앙을 향하여 양측의 폭이 좁아지는 몸체부(BA)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는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헤드부(HA)의 하부에 상기 헤드부(HA)의 하부 중앙을 향하여 양측의 폭이 좁아지는 몸체부(BA)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헤드부(HA)와 몸체부(BA)는 내부가 중공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12)는 하단부가 침전탱크(50)의 상부로 구비된 필터링 배출구(40)를 관통하여 인입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필터링 배출구(40)로 인입된 배기덕트(12)의 하단부는 다수개의 슬릿형 배기홀(1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필터링 배출구(40)는 단턱형태를 갖는 배출링 프레임(41)이 침전탱크(50)의 상단 모서리에 걸려지게 안착되어지고, 상기 배출링 프레임(41)의 내부로 망사필터부재(4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망사필터부재(42)의 중앙으로 중공형 턱트 삽입부(4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작업공간부에서 발생된 미세먼지가 블로워의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덕트를 따라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물분사부에서 분사되어지는 수분에 미세먼지가 포집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의 포집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있다.
또한, 물분사구가 덕트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와 점검 및 운용에 따른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가 포집된 수분이 난류 발생부에 의하여 거의 다 응결되어 오염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가 포집된 수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난류 발생부에 의하여 응결된 오염수가 침전탱크에서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되어지도록 한 후 슬로지는 배출처리하고, 상등수는 물탱크를 통해 재공급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영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2는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사이에 구비된 물분사부 및 난류발생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사이에 구비된 물분사부 및 난류발생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사이에 구비된 물분사부 및 난류발생부를 상세하게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 난류발생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6은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사이에 구비된 물분사부 및 난류발생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7은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 필터링 배출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이 건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2는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사이에 구비된 물분사부 및 난류발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사이에 구비된 물분사부 및 난류발생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사이에 구비된 물분사부 및 난류발생부를 상세하게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 난류발생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6은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사이에 구비된 물분사부 및 난류발생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건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A)는 미세먼지가 포집된 수분의 흐름속도와 흐름방향이 난류화되도록 하여 그 만큼 지연되도록 함으로써, 응결율을 높여 오염수로 되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공간부(SP)에서 발생된 미세먼지(DU)는 블로워(BL)의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덕트(10)를 따라 이송 또는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덕트(10)에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부(20)에 의하여 제거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후, 미세먼지가 포집된 수분은 오염수로 침전탱크(50)를 통해 상등수와 슬러지로 분리 처리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덕트(10)는 작업공간부(SP)로 부터 발생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중간이 분리된 상태에서 분리된 부분의 상부측으로 급기덕트(11)가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분리된 부분의 하부측으로 배기덕트(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급기덕트(11)와 배기덕트(12) 사이에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급기덕트(11)를 통해 급기되어진 후 급기되어진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수분에 의하여 포집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상기 미세먼지 제거부(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미세먼지 제거부(20)는 정압이 크게 걸릴 때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급기덕트(1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물분사부(21) 및 상기 물분사부(2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난류발생부(22)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분사부(21)는 후술하는 물탱크(31)에 있는 물이 급수펌프(32) 및 급수라인(33)에 의하여 급수된 후 물분사노즐(215)을 통해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 중으로 안개상태 즉, 수분형태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분사되어지는 수분에 의하여 미세먼지가 포집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물분사부(21)는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의 상,하부에 테두리를 따라 제1체결홀(212-2)을 갖는 제1상,하부 플랜지(212)가 형성되어 상부는 급기덕트(11)의 하부에 볼트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하부는 난류발생부(22)가 볼트결합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 건 고안에서는 물분사부(21)의 하부에 난류발생부(22)가 바로 플랜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동일한 구조를 갖는 물분사부(21)가 다단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포집율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에 소정 직경을 갖는 관통홀(213)이 형성되어물분사노즐(215)이 내부로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의 외부에는 물분기관(214)이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상기 물분기관(214)은 물공급부(30)에 파이프 라인으로 연결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물분기관(214)은 내측에 다수개의 물분사노즐(215)이 내측을 향하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분기관(214)의 내측으로 구비된 물분사노즐(215)은 상기 관통홀(213)을 관통하여 상기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의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부(30)는 물분사부(21)를 통해 물이 공급되어 안개형태로 분사(무)되어지도록 한 것으로 물탱크(31)내의 물이 급수펌프(32)에 연결된 급수라인(33)을 통해 물분기관(214)으로 공급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급수라인(33)과 물분기관(214) 사이에는 별도의 개폐밸브(34)가 구비되어 급수라인(33)으로 급수된 물이 물분사노즐(215)을 통해 선택적으로 급수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난류발생부(22)는 물분사부(21)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포집된 수분의 속도를 줄이는 가운데 난류에 의하여 오염수로 응결되도록 한 것으로 제2중공형 수직벽체(221)의 상,하부에 테두리를 따라 제2체결홀(222-1)을 갖는 제2상,하부 플랜지(222)가 형성되어 상부는 물분사부(21)의 하부에 맞대어지며, 하부는 배기덕트(12)에 맞대어져 볼트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중공형 수직벽체(221)의 내부에는 미세먼지가 포집된 수분의 이동속도를 줄이기 위한 난류발생부재(223)가 구비되어지고, 이러한 상기 난류발생부재(223)는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는 제2중공형 수직벽체(221)의 일측 내벽에서 타측 내벽을 향하여 일정 수평 간격(L)이 유지되어 수평되게 배열되어 미세먼지가 포집된 수분이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 사이를 통해 하부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는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의 하부로부터 일정 수직 간격(L')이 유지되게 이격되어지며,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 사이의 하부로 위치되도록 수평되게 반복 배열되어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다시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를 통과하기 위해 공기의 흐름 방향이 다시 바뀌어지게 된다. 즉, 먼지가 포집된 수분이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를 통과시 지그 재그 형태로 흐름으로써, 흐름의 속도가 늦추어지는 가운데 방향이 급변함에 따라 원심력과 난류로 인하여 수분과 수분이 합쳐지는 응결현상으로 인하여 오염수로 된 후 배기덕트(12)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어지게 된다.
상기 배기덕트(12)는 하부가 관통된 수직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1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침전탱크(50)의 상부로 구비된 필터링 배출구(40)를 관통하여 인입되게 구비되어있다.
상기 필터링 배출구(40)로 인입된 배기덕트(12)의 하단부는 다수개의 슬릿형 배기홀(121)이 형성되어 배기덕트(12)의 최하단 뿐만 아니라 최하단에 근접된 부분을 통해 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필터링 배출구(40)는 먼지가 포집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과정에서 수분만이 더 포집되어지도록 함으로서 공기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단턱형태를 갖는 배출링 프레임(41)이 침전탱크(50)의 상단 모서리에 걸려지게 안착되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링 프레임(41)의 내부에는 망사필터부재(42)가 구비되어 망사필터부재(42)에 의하여 수분이 포집되어지고, 상기 망사필터부재(42) 사이로 순수한 공기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망사필터부재(42)의 중앙으로 중공형 턱트 삽입부(43)가 구비되어 배기덕트(12)의 하단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의 상부는 각각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볼록한 형태를 갖는 헤드부(HA)가 형성되어 이물질이 포집된 수분과 공기가 이동하면서 양측으로 분기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의 하부는 각각 상기 헤드부(HA)의 하부 중앙을 향하여 양측의 폭이 좁아지는 몸체부(BA)가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다시 분기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는 내부가 비워진 중공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소재의 사용량과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공급부(30)는 물분사노즐(215)을 통해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물탱크(31)의 내부에 급수펌프(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급수펌프(32)의 토출측에 구비된 급수라인(33)은 외부로 인출되어진 상태에서 개폐밸브(34)를 갖는 파이프 라인이 물분기관(214)에 연결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기덕트(12)의 하부에는 호퍼 형태를 갖는 수집구(40)가 구비되어 배기덕트(12)를 통과한 오염수가 한곳으로 모일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한 곳으로 모인 오염수는 배수관(41)을 통해 침천탱크(50)로 배수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세먼지 제거장치(A)는 작업공간부(SP)에서 발생된 미세먼지(DU)가 블로워(BL)의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급기덕트(10)를 따라 이동된 후 이어 급기덕트(10)의 단부에 구비된 물분사부(21)를 통과하게 된다.
다음,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물분사부(21)를 통과함과 동시에 물공급부(30)의 물탱크(31)에 채워진 물은 급수펌프(32)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된 후 급수라인(33)을 통해 토출되어지게 된다.
다음, 급수라인(33)으로 토출된 물은 개폐밸브(34)와 파이프 라인을 경유한 후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의 내부로 돌출된 물분사노즐(215)을 통해 안개형태로 분사되어지게 됨에 따라 안개형태로 분사되어지는 수분이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집하게 된다.
다음, 미세먼지가 포집된 수분은 계속 이동하여 난류발생부(22)의 입구측으로 이동되어지게 되고, 이어 제2중공형 수직벽체(221)에 의하여 지지된 난류발생부재(223)의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하부부재(223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지그 재그형태의 흐름과 원심력에 의하여 응결되어 물방울 형태의 오염수로 된다.
다음, 물방울 형태의 오염수가 배기덕트(12)를 따라 하부로 낙하된 후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과정중에 배기덕트(12)의 하단부로 배출되는 배기덕트(12)의 최하단 뿐만 아니라 최하단 부근에 형성된 다수개의 슬릿형 배기홀(121)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일부는 자중에 의하여 침천탱크(50)로 낙하되어 모이는 가운데 나머지는 침천탱크(50)의 상부로 이동하여 배출되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출링 프레임(41)의 내부에에 구비된 망사필터부재(42)에 의하여 나머지 수분이 포집되어지고, 순수한 공기만이 망사필터부재(42) 사이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오염수의 일부가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주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 침전탱크(50)내의 오염수는 응결로 침전되어 하부의 슬러지와 상부의 상등수로 분리되어지고, 상부의 상등수는 미도시한 펌프에 의하여 물공급부(30)의 물탱크(31)로 재공급되어 계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침전탱크(50)의 바닥에 모인 미세먼지가 주성분인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 폐기 처리하면 된다.
10:덕트 11:급기덕트
12:배기덕트 20:미세먼지 제거부
21:물분사부 22:난류발생부
30:물공급부 31:물탱크
32:급수펌프 33:급수라인
34:개폐밸브 40:수집구
41:배수관 50:침전탱크
212:제1상,하부 플랜지 213:관통홀
214:물분기관 211:제1중공형 수직벽체
212-2:제1체결홀 215:물분사노즐
221:제2중공형 수직벽체 222-1:제2체결홀
222:제2상,하부 플랜지 223:난류발생부재
223a:단위 난류 어퍼부재 223b:단위 난류 로워부재

Claims (7)

  1. 작업공간부(SP)에서 발생된 미세먼지(DU)가 블로워(BL)의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덕트(10)를 따라 미세먼지 제거부(20)를 경유하여 제거되어지도록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장치(A)에 있어서,
    상기 덕트(10)는 중간이 분리되어 상부의 급기덕트(11)와 하부의 배기덕트(12)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급기덕트(11)와 배기덕트(12) 사이에 상기 미세먼지 제거부(2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미세먼지 제거부(20)는 급기덕트(1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물분사부(21) 및 상기 물분사부(2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난류발생부(22)로 구비되며, 상기 난류발생부(22)는 제2중공형 수직벽체(221)의 상,하부에 테두리를 따라 제2체결홀(222-1)을 갖는 제2상,하부 플랜지(22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중공형 수직벽체(221)의 내부에 난류발생부재(223)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난류발생부재(223)는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는 제2중공형 수직벽체(221)의 일측 내벽에서 타측 내벽을 향하여 일정 수평 간격(L)이 유지되어 수평되게 배열되어지고, 상기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는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의 하부로부터 일정 수직 간격(L')이 유지되게 이격되어지며,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 사이의 하부로 위치되도록 수평되게 반복 배열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21)는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의 상,하부에 테두리를 따라 제1체결홀(212-2)을 갖는 제1상,하부 플랜지(21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에 관통홀(21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의 외부에는 물분기관(214)이 물공급부(30)에 연결되어 감싸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물분기관(214)의 내측으로 구비된 물분사노즐(215)이 상기 관통홀(213)을 관통하여 상기 제1중공형 수직벽체(211)의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30)는 물탱크(31)내의 물이 급수펌프(32)에 연결된 급수라인(33)을 통해 물분기관(214)으로 공급되어지되, 상기 급수라인(33)과 물분기관(214) 사이에 개폐밸브(34)가 구비되어 물이 선택적으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는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헤드부(HA)의 하부에 상기 헤드부(HA)의 하부 중앙을 향하여 양측의 폭이 좁아지는 몸체부(BA)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난류 어퍼부재(223a)와 단위 난류 로워부재(223b)는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헤드부(HA)의 하부에 상기 헤드부(HA)의 하부 중앙을 향하여 양측의 폭이 좁아지는 몸체부(BA)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헤드부(HA)와 몸체부(BA)는 내부가 중공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12)는 하단부가 침전탱크(50)의 상부로 구비된 필터링 배출구(40)를 관통하여 인입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필터링 배출구(40)로 인입된 배기덕트(12)의 하단부는 다수개의 슬릿형 배기홀(1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필터링 배출구(40)는 단턱형태를 갖는 배출링 프레임(41)이 침전탱크(50)의 상단 모서리에 걸려지게 안착되어지고, 상기 배출링 프레임(41)의 내부로 망사필터부재(4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망사필터부재(42)의 중앙으로 중공형 턱트 삽입부(4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20160006573U 2016-11-11 2016-11-11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0483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73U KR200483413Y1 (ko) 2016-11-11 2016-11-11 미세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73U KR200483413Y1 (ko) 2016-11-11 2016-11-11 미세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413Y1 true KR200483413Y1 (ko) 2017-05-24

Family

ID=5902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573U KR200483413Y1 (ko) 2016-11-11 2016-11-11 미세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413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533A (ja) * 1998-10-28 2000-05-09 Amada Co Ltd 集塵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0040089A (ko) * 2002-11-06 2004-05-12 주식회사 포스코 유속 및 유량제어가 가능한 멀티벤츄리형 집진장치
KR20050074931A (ko) 2005-03-28 2005-07-19 (주)현보산업 균등접촉식 습식 집진장치
JP2007237101A (ja) * 2006-03-09 2007-09-20 Honda Motor Co Ltd 空気浄化装置及び塗装設備
KR20120104460A (ko) * 2011-03-09 2012-09-21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1443157B1 (ko) * 2014-05-30 2014-09-22 (주)한성플랜트 오염가스 정화장치
KR101561414B1 (ko) * 2015-07-20 2015-10-16 박홍구 웨트 스크러버
KR101655356B1 (ko) * 2015-12-14 2016-09-22 정재억 질소산화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설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533A (ja) * 1998-10-28 2000-05-09 Amada Co Ltd 集塵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0040089A (ko) * 2002-11-06 2004-05-12 주식회사 포스코 유속 및 유량제어가 가능한 멀티벤츄리형 집진장치
KR20050074931A (ko) 2005-03-28 2005-07-19 (주)현보산업 균등접촉식 습식 집진장치
JP2007237101A (ja) * 2006-03-09 2007-09-20 Honda Motor Co Ltd 空気浄化装置及び塗装設備
KR20120104460A (ko) * 2011-03-09 2012-09-21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1443157B1 (ko) * 2014-05-30 2014-09-22 (주)한성플랜트 오염가스 정화장치
KR101561414B1 (ko) * 2015-07-20 2015-10-16 박홍구 웨트 스크러버
KR101655356B1 (ko) * 2015-12-14 2016-09-22 정재억 질소산화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542B1 (ko)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 집진장치
KR101462398B1 (ko) 미세먼지 포집용 스크러버 장치
CN105999923A (zh) 一种水循环利用的多机理湿式除尘设备及除尘方法
CA2381045A1 (en) An agricultural or industrial spin filter and a method of operation for same
KR101970624B1 (ko) 펄싱 작업에 필터링 공기를 이용하는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KR101733239B1 (ko)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KR101609512B1 (ko) 습식집진기
US3464189A (en) Gas cleaning apparatus
KR101376193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US20050076782A1 (en) Gas scrubber
JP6363024B2 (ja) 水洗塗装ブース
KR200483413Y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US9815252B2 (en) Wet cyclone dust filtration system
KR101586292B1 (ko) 미세분진 집진장치
JP6894159B2 (ja) 排ガス浄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排ガス除害装置
US2238824A (en) Separation of fine particles from gases
WO2023118860A1 (en) Mist trap
US4475447A (en) Spray booth apparatus
US11633752B2 (en) Scrubber unit for a paint booth
KR101918000B1 (ko) 집진설비
GB2089233A (en) Spray booth apparatus
JP2014516018A (ja) 空気圧式物質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及び装置
KR100412999B1 (ko) 정미공장용 순환 세정식 집진장치
US560420A (en) Steam and oil separator
CN105916590A (zh) 自清洁离心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