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193B1 -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193B1
KR101376193B1 KR1020120139242A KR20120139242A KR101376193B1 KR 101376193 B1 KR101376193 B1 KR 101376193B1 KR 1020120139242 A KR1020120139242 A KR 1020120139242A KR 20120139242 A KR20120139242 A KR 20120139242A KR 101376193 B1 KR101376193 B1 KR 101376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unit
dust remov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익
이준엽
전중환
박규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3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새나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이나 축사 또는 분뇨를 처리하는 곳에서 분진과 냄새를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는 분진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복수개의 환풍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축사 내 공기를 배출공기 수집부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단시간에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수집된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공기는 분진제거부 내로 이동하여 분사되는 물줄기 사이 및 분진필터를 통과함으로써 냄새 및 분진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ODOR AND DUST FROM EXHAUST GAS}
본 발명은 냄새나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이나 축사 또는 분뇨를 처리하는 곳에서 분진과 냄새를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거환경의 개선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진이나 냄새가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분진의 배출량과 냄새의 배출농도를 법으로 강제하여 냄새나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이나 주거환경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냄새 나 분진을 다량으로 배출하는 축사 또는 공장 등에서는 고가의 냄새 및 분진 제거시설을 갖추어야 하나, 냄새 및 분진 제거시설은 상당한 비용을 필요로 하여 영세업자가 쉽게 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특히 축사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흡입되는 공기가 분사되는 물줄기 사이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 및 분진을 물로 흡수하여 냄새 및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분진은 샤워 형태로 분사되는 물로 처리하는 경우 완벽히 제거하기 어려우며, 또한 암모니아 기체의 경우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기를 흡입하여 샤워 형태의 물줄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냄새 및 분진을 제거토록 하는 선행기술이 있으나(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6085호, 제20-0262744호, 제20-0249522호), 상기 선행기술은 외부공기의 청정에 사용되는 것이어서, 고농도의 분진 제거에는 적합하지 않고, 또한 분진을 배출하는 환풍기마다 설치되어야 하므로, 배관과 설치 운용에 어려움이 따른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6085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744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9522호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노력한 결과,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고농도의 분진 및 암모니아 기체가 포함된 공기에서 냄새 및 분진을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환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모아서 한 번에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운용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한편 공기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져 고농도의 분진을 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축사의 배출공기를 수집하여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공기 수집부 및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에서 수집된 배출공기에 물을 분사시켜 분진을 제거한 후 공기를 배출시키는 분진제거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는 축사에 설치된 복수의 환풍기의 상면에 연결되어 축사의 배출공기가 수집부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송풍팬, 상기 유입된 외부공기를 와류로 만들기 위한 와류발생판,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 전면에 구비된 청소구, 및 상기 배출공기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건식 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분진제거부는 배출공기 수집부에서 유입된 배출공기에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상기 분진제거부의 3면에 구비된 분진필터, 및 상기 분진제거부의 하단부에 유수를 저장하는 저장조로 구성되고, 상기 저장조는 저장된 물에서 분진을 순차적으로 침전시키는 복수의 저장함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함에서 분진이 제거된 물이 펌프를 통하여 다시 상기 분사노즐로 분사되도록 구성된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식필터는 'ㄴ' 자 형태로서,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청소구를 통하여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풍팬은 송풍팬의 풍압에 의해 개방되는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진제거부는 상부에 서랍형 노즐, 분사노즐, 및 스프링쿨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 분사용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바닥과 이격된 물 분사용 분사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진제거부는 내부 관찰용 유리창 및 내부 청소용 도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조는 다단으로 설치된 저장함 및 히터가 구비된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조의 내부로 냄새 제거용 약제를 투입하는 약품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는 분진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복수개의 환풍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축사 내 공기를 배출공기 수집부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단시간에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수집된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공기는 분진제거부 내로 이동하여 분사되는 물줄기 사이 및 분진필터를 통과함으로써 냄새 및 분진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배출공기 수집부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4는 배출공기 수집부의 설치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배출공기 수집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와류 발생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와류 발생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조절셔터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분진제거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분진제거부의 서랍형 분사노즐을 상측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분진제거부의 중간부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분진제거부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분진제거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14는 분진제거부의 수거함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분진제거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거름망의 설치상태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분진제거부의 서랍식 분사노즐의 설치상태에 관한 평단면도이다.
도 17은 분진제거부의 서랍식 분사노즐의 사용상태에 관한 정단면도이다.
도 18은 분진제거부의 분사노즐의 사용상태에 관한 평단면도이다.
도 19는 분진제거부의 분사노즐의 사용상태에 관한 정단면도이다.
도 20은 분진제거부의 스프링쿨러의 사용상태에 관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냄새 및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이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환풍기에서 배출되는 축사 내 공기를 하나의 배출공기 수집부를 통하여 수집한 후 공기 내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한 후, 분진제거부에서 물을 분사시키며 배출 공기의 냄새 및 분진를 제거한 뒤 최종적으로 분진필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암모니아 기체의 냄새 및 분진이 포함된 축사 내 공기를 복수의 환풍기와 연결된 하나의 배출공기 수집부에서 수집하고,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 내에 구비된 건식필터를 배출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 내 분진이 제거되고, 분진제거부에서는 배출 공기로 물을 분사시켜 분진을 제거한 뒤, 상기 배출 공기가 분진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농도의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출공기 수집부에 의해 복수의 환풍기로부터 수집된 축사 내 공기가 분진제거부 측으로 이동하는 일련의 과정은,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에 구비된 송풍팬 및 와류발생판에 의해 촉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의 일측에 구비된 송풍팬이 외부 공기를 배출공기 수집부 내로 유입시키는 송풍 과정에 의해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 내로 수집된 축사 내 공기가 분진제거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촉진되며, 이와 동시에 배출공기 수집부 내에 구비된 와류발생판에 의해 외부공기와 축사 내 공기가 혼합되어 와류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 내의 공기가 분진제거부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출공기 수집부 내에 구비되어 있는 건식필터는 수집된 축사 내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건식필터는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의 측면에 설치된 청소구를 통하여 탈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청소구는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의 일측에 구비된 송풍팬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개방되어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청소구는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의 일측에 구비된 송풍팬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외부공기의 유입에 따른 배출공기 수집부 내의 압력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나, 송풍팬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수집부 내의 압력이 제거된 상태가 되므로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수집부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분진제거부는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축사 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 및 분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에서 분진제거부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분진제거부 내부에 구비된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줄기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이 물에 의해 제거되고, 이어서 물줄기를 거친 공기가 분진필터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고농도의 분진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 물은 분진을 침전시킨 후 다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분사되는 용도로 재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진제거부의 일측에는 청소도어가 구비되어 있어 분진제거부 내부의 청소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분진제거부에서 공기 내 분진 제거에 사용된 물은 저장조의 저장함을 순차적으로 채워주도록 함으로써 분진이 걸러진 물이 다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분사되는 용도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물에 포함된 분진은 상기 분진제거부에 구비된 저장함에 침전되며, 상기 저장함에 침전된 분진은 주기적으로 저장함을 탈착하여 분진을 제거해줌으로써 재사용되는 물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장함에 남아있는 물의 재사용은 상기 분진제거부에 일측에 구비된 펌프에서 물을 펌핑하여 분사노즐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도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는 축사(1)의 배출공기를 수집하여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공기 수집부(100) 및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에서 수집된 배출공기에 물을 분사시켜 분진을 제거한 후 공기를 배출시키는 분진제거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내부로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의 설치 상태의 측단면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축사(1)에 설치된 복수의 환풍기(10)가 구비되어 있어, 복수의 환풍기(10)에 구비된 팬의 작동에 따라 축사 내 공기가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는 수집부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송풍팬(40) 및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 전면에 구비된 복수의 청소구(20)를 더 포함한다.
분진제거부의 사시도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진제거부(200)는 배출공기 수집부에서 유입된 배출공기에 물을 분사시키기 위하여 내부 상측에 서랍식 노즐(22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가 결합돈 면 이외의 외측 3면에는 분진필터(250)를 구비하고 있어, 분진제거부(200)의 내부에서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냄새 및 분진이 제거된 공기가 다시 한번 분진필터(250)를 통과하면서 분진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분진필터(250)는 건조된 상태보다 습한 상태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 및 분진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분진필터(250)에는 상측으로 물을 적셔서 흘리게 하는 노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진제거부(200)의 일측에는 청소도어(27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분진제거부(200) 내부의 청소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진제거부(200)의 일측에는 물이 분사되는 상황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유리창(28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진제거부(200)에는 약품통(29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저장조(300)에서 펌프(340)에 의해 펌핑되는 물로 암모니아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약품이 혼합되게 함으로써 수집된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분진제거부(200)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콘트롤러가 구비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한 분진제거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진제거부(200)의 일측에는 상기 분진제거부(200)로 유입된 공기 내에 포함된 냄새 및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모아지는 저장조(30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저장조(300)에는 덮개(32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저장조(300) 내부에 있는 저장함(310)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인 도 2 및 배출공기 수집부(100)의 일부 절결 정면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내부로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부에는 축사(1)에 설 치된 복수의 환풍기(10)가 구비되어 있어, 복수의 환풍기(10)를 통해 축사 내 공기가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는 수집부 내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1차적으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건식필터(30), 송풍팬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반달형 셔텨(41),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에서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와류발생판(50),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셔터(60) 및 조절끈(6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청소구(20)를 통해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부의 건식필터(30)를 탈착할 수 있으며, 상기 건식필터(30)는 단면이 'ㄴ' 자 형태를 갖는 필터로서, 세워진 쪽으로 공기가 투과되면서 분진이 걸러지게 되는 필터이다.
상기 청소구(20)는 송풍팬(40)의 작동이 정지될 경우 상기 청소구(20)가 개방되어 상기 환풍기(10)로부터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로 유입된 축사 내 공기가 상기 청소구(2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구(20)에는 균형추가 구비되어 있어 평상시(송풍팬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청소구(2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송풍팬(40)이 작동하는 경우 압력에 의해 청소구(20)가 닫혀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청소구(20)에 내부 풍압에 의해 작동하도록 하는 균형추가 구비될 경우 상기 송풍팬(40)이 작동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청소구(20)는 폐쇄되고, 상기 송풍팬(40)의 작동이 정지하면 청소구(20)가 개방되며, 상기 청소구(20)는 균형추를 구비하지 않고 수동으로 개폐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의 일측에 구비된 송풍팬(40)이 외부 공기를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로 유입시키는 송풍 과정에 의해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로 유입된 축사 내 공기가 분진제거부(2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촉진된다.
또한, 와류 발생을 나타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에 구비된 와류발생판(50)에 의해 외부공기와 축사 내 공기가 혼합되어 와류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의 공기가 분진제거부(200)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에 설치되는 송풍팬의 평면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40)의 전면으로 반달형 셔터(4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송풍팬(4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반달형 셔터(41)가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부로 접히면서 개방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송풍팬(40)이 정지하면 상기 반달형 셔터(41)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입구를 막아 외부공기가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조절셔터 사용 상태의 단면도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에는 상기 송풍팬(40)과 대향되는 위치에 조절셔터(60)가 구비되어 있어 배출공기 수집부(100)에서 분진제거부(200) 쪽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절셔터(60)는 조절끈(61)을 이용하여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분진제거부(200)의 서랍형 분사노즐(220)을 상측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인 도 10 및 분진필터(250)의 정면도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진제거부(200)는 일측면으로 배출공기 수집부(100)가 결합되는 한편 물 분사노즐(210)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해 배출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가 결합된 면 이외의 외측면에는 분진필터(250)를 설치하여 분진제거부(200)의 내부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공기가 분진필터(250)를 통과하면서 분진이 완전 제거되게 한다.
상기 분진제거부(200)의 물 분사수단에 관한 도 17 내지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진제거부(200) 내부의 상측으로 서랍식 노즐(220), 삼지창식 분사노즐(210) 또는 스프링쿨러(230)를 설치하여 하측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식 노즐(220)은 물이 채워지면 바닥의 구멍을 통하여 물이 샤워처럼 흐르게 하는 노즐이며, 분사노즐(210) 또는 스프링쿨러(230)는 수압에 의해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이다.
또한, 상기 분진제거부(200)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시킨 분사노즐(240)을 구비함으로써 상측을 향하여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에서 유입된 공기는 노즐(19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분진이 제거될 수 있으며, 서랍식 노즐(220) 또는 분사노즐(210)에 의해 하측으로 분사되는 물과 분사노즐(240)에 의해 상측으로 분사되는 물 사이를 통과하면서 유입된 공기가 포함하는 분진의 제거가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240)은 상기 분진제거부(200)의 바닥에 일정 높이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분진이 분사노즐(240)에 걸려 저장조(300)로 흐르지 못하는 것을 예방한다.
또한, 분진필터의 중간부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진제거부(200)는 펌프(340)를 구비하고 있어, 저장함(310)에 분진이 침전된채 남아있는 물을 펌핑하여 분사노즐로 이동시킴으로써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펌핑되는 물이 흐르는 배관(341)에는 청소노즐 결합구(342)를 형성함으로써 필요시 상기 청소노즐 결합구(342)에 청소노즐을 끼워 상기 펌프(340)에서 펌핑되는 물을 이용하여 외부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위조절기(351)를 설치하여 저장함(310)이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진제거부(200)에는 일측으로 청소도어(27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분진제거부(200) 내부의 청소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물이 분사되는 상황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유리창(280)을 상기 분진제거부(200)의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분진필터 전방에 설치되는 거름망의 설치상태에 관한 단면도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필터(250)의 외측으로 거름망(260)을 탈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벌레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분진필터(250)가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분진제거부(200)의 저장조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진제거부(200)의 일측에는 유입된 공기 내부에 존재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분사된 물이 모아지는 저장조(3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조(300)에는 높이가 다른 복수의 저장함(3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저장함(310)에는 상기 분진제거부(200)에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분사된 물이 순차적으로 모아지게 되고, 상기 저장함(310) 내의 분진이 포함된 물은 덮개(320)를 열고 저장함(310)을 꺼내어 들어낼 때 물은 바닥의 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며, 분진은 저장함(310)에 남아있게 된다.
상기 덮개(320)의 내측으로는 저장함 내의 물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3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조(300)에는 펌프(340)를 설치하여 사용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조(300)의 측면으로 저장함 내의 분진이 제거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배출가스 수집부(100)에서 복수의 환풍기(10)로부터 배출되는 고농도의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수집하여 분진제거부(200)로 이동시킨 후 복수의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줄기 사이를 통과시켜 냄새 및 분진이 제거되게 하고, 다시 분진필터(25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출가스 수집부(100)는 외부공기를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송풍팬(40)을 작동시킴으로써 반달형 셔터(41)를 개방시키고, 이에 따라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외부 공기 유입에 따라 환풍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외부공기와 함께 분진제거부(20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조절끈(61)을 당겨 조절셔터(6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와류발생판(50)에 의해 송풍팬(40)에서 송풍되는 바람이 와류를 이루면서 배출공기의 빠른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와류발생판(50)을 사용하지 않고 송풍팬(40)만을 이용하는 경우는 송풍되는 바람이 분진제거부(200)까지 효율적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와류를 만들어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 내의 공기가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배출공기 수집부(100)에서는 건식필터(30)에 의해 분진이 포집되게 되고, 상기 건식필터(30)에 의해 포집된 분진은 청소구(20)를 열고 건식필터(30)를 탈착한 후 털어주면 된다. 따라서, 환풍기(10)를 통해 수집된 축사 내 공기에 포함된 분진은 일차적으로 건식필터(30)에 의해 포집된 후 분진제거부(200)로 이동하게 되고, 분진제거부(200)에서는 일차적으로 분진이 제거된 공기에서 분진을 처리하게 되므로, 분진처리 부하를 줄이고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출공기 수집부(100)는 축사(1)에 설치된 복수의 환풍기(10)가 하나로 연결되어 축사 내 공기의 강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환풍기(10)마다 개별적으로 분진제거장치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설치 및 운용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100)를 통과한 공기는 분진제거부(200)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일차적으로 노즐(190)에서 분사되는 물을 통과하면서 분진이 제거되며, 특히, 노즐(190)이 설치된 곳의 단면적이 배출가스 수집부(100)의 단면적보다 넓게 함으로써 배출가스 수집부(100)에서 배출된 공기의 유입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노즐(19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분진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진제거부(200)의 내부 상측에서는 서랍식 노즐(220), 분사노즐(210) 또는 스프링쿨러(230)를 이용하여 분사되는 물과 분진제거부(200) 내부 하측에 설치된 분사노즐(240)에서 상부로 분사하는 물 사이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포함된 분진이 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분진제거부(200)의 내측에서 물이 분사되는 상황은 유리창(28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서랍식 노즐(220)은 외부으로 탈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분진제거부(200)에서 물을 분사함으로써 분진이 제거된 공기는 분진필터(25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분진이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분진필터(250)는 상측에서 물이 적셔지며 흐르도록 함으로써 습식필터 역할을 하면서 분진을 제거하도록 하며, 상기 분진필터(250)에서 제거된 분진은 물에 의해 분진필터(250)를 타고 바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분진필터(200)에서 분진을 제거한 물은 분진제거부(200)의 바닥에서 저장조(30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저장조(300)로 이동된 물은 분진을 걸러낸 후 재활용되게 된다.
상기 저장조(300)에는 높이가 다른 저장함(310)을 설치하여 순차적으로 물이 채워지고 흐르게 함으로써 물이 들어있는 분진이 저장함(310)의 바닥에 침전되게 하고, 분진이 침전된 저장함(310)은 덮개(320)을 열고 외부로 꺼내어 분진을 털어낸 후 다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함(310)의 바닥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이 구비되어 있어 저장함(310)을 꺼낼 때 물이 제거된 분진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저장조(300)에 구비된 덮개(320)의 내측으로 히터(330)가 구비되어 있어, 저장함(310) 내의 물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장조(300)에는 펌프(340)가 구비되어 있어, 분진을 제거한 물을 다시 분진제거부(200) 내에서 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진필터(250)의 외측에는 거름망(260)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벌레나 이물질이 분진필터(250)를 막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분진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복수개의 환풍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축사 내 공기를 배출공기 수집부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단시간에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수집된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공기는 분진제거부 내에서 분사되는 물줄기 사이 및 분진필터를 통과함으로써 냄새 및 분진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 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 환풍기 20 : 청소구
30 : 건식필터 50 : 와류발생판
100 : 배출공기 수집부 200 : 분진제거부
210 : 분사노즐 220 : 서랍식 노즐
230 : 스프링쿨러 250 : 분진필터
260 : 거름망 270 : 청소도어
280 : 유리창 290 : 약품통
300 : 저장조 310 : 저장함
340 : 펌프

Claims (6)

  1. 축사의 배출공기를 수집하여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공기 수집부 및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에서 수집된 배출공기에 물을 분사시켜 분진을 제거한 후 공기를 배출시키는 분진제거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는 축사에 설치된 복수의 환풍기의 상면에 연결되어 축사의 배출공기가 수집부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송풍팬, 상기 유입된 외부공기를 와류로 만들기 위한 와류발생판,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 전면에 구비된 청소구, 및 상기 배출공기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건식 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분진제거부는 배출공기 수집부에서 유입된 배출공기에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상기 분진제거부의 3면에 구비된 분진필터, 및 상기 분진제거부의 하단부에 유수를 저장하는 저장조로 구성되고,
    상기 저장조는 저장된 물에서 분진을 순차적으로 침전시키는 복수의 저장함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함에서 분진이 제거된 물이 펌프를 통하여 다시 상기 분사노즐로 분사되도록 구성된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필터는 'ㄴ' 자 형태로서, 상기 배출공기 수집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청소구를 통하여 탈착이 가능한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송풍팬의 풍압에 의해 개방되는 셔터를 포함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제거부는 상부에 서랍형 노즐, 분사노즐, 및 스프링 쿨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 분사용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바닥과 이격된 물 분사용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있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제거부는 내부 관찰용 유리창 및 내부 청소용 도어를 더 포함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다단으로 설치된 저장함 및 히터가 구비된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조의 내부로 냄새 제거용 약제를 투입하는 약품통을 더 포함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20120139242A 2012-12-03 2012-12-03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376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242A KR101376193B1 (ko) 2012-12-03 2012-12-03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242A KR101376193B1 (ko) 2012-12-03 2012-12-03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193B1 true KR101376193B1 (ko) 2014-03-25

Family

ID=5064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242A KR101376193B1 (ko) 2012-12-03 2012-12-03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1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96B1 (ko) 2014-09-01 2015-02-24 주식회사 근옥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CN104436743A (zh) * 2014-11-29 2015-03-25 河南国花彩印包装有限公司 一种印刷机溶剂收集系统
CN104436960A (zh) * 2014-11-29 2015-03-25 河南国花彩印包装有限公司 一种印刷机用的溶剂回收系统
KR101707619B1 (ko) * 2016-05-13 2017-02-21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CN108686458A (zh) * 2018-07-14 2018-10-23 嘉兴市如裕纺织有限公司 一种车间过滤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96B1 (ko) 2014-09-01 2015-02-24 주식회사 근옥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CN104436743A (zh) * 2014-11-29 2015-03-25 河南国花彩印包装有限公司 一种印刷机溶剂收集系统
CN104436960A (zh) * 2014-11-29 2015-03-25 河南国花彩印包装有限公司 一种印刷机用的溶剂回收系统
KR101707619B1 (ko) * 2016-05-13 2017-02-21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CN108686458A (zh) * 2018-07-14 2018-10-23 嘉兴市如裕纺织有限公司 一种车间过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861B1 (ko) 악취 및 분진 저감장치
KR101212037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955270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1376193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874338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1603418B1 (ko)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62807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878711B1 (ko) 집진효율이 향상된 습식집진장치
JP3144551U (ja) 空気浄化システム
KR100652528B1 (ko) 차량 도장 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KR20150116793A (ko) 가축 축사의 배기 정화를 위한 배기 정화 장치 및 방법
KR101538784B1 (ko) 악취 및 분진 제거기의 물거름 장치
KR101494696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483237B1 (ko) 공기 소독청정기
KR20110003155A (ko) 분진 및 냄새 제거장치
KR101777637B1 (ko) 상향 오픈식 수평형 습식 세정탑
KR100559371B1 (ko) 집진기
KR101866143B1 (ko) 필터 세척유닛을 포함하는 배가스 처리장치
KR101991083B1 (ko) 전기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 청정 시스템
KR100902791B1 (ko) 탈취 장치
KR102344433B1 (ko) 축산시설 공기정화 시스템
JPH0440205A (ja) 循環水の浄化装置
KR102305155B1 (ko) 악취 저감기
CN203116217U (zh) 一种空气净化加湿器
KR20230120902A (ko) 악취 및 분진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