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037B1 -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037B1
KR101212037B1 KR1020120114801A KR20120114801A KR101212037B1 KR 101212037 B1 KR101212037 B1 KR 101212037B1 KR 1020120114801 A KR1020120114801 A KR 1020120114801A KR 20120114801 A KR20120114801 A KR 20120114801A KR 101212037 B1 KR101212037 B1 KR 10121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reservoir
dust removal
water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수
Original Assignee
고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상수 filed Critical 고상수
Priority to KR102012011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이나 냄새가 발생하는 작업장이나 축사 또는 분뇨를 처리하는 곳에서 분진과 냄새를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분진 및 냄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환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한 곳으로 모아서 배출시키되 공기 중의 분진이 포집되면서 배출되게 하는 배출공기 수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공기 수집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제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출공기 수집장치에서 여러 개의 환풍기에 배출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모아서 분진제거장치로 보내고, 분진제거장치에서는 물을 분사시켜 분진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분진이 제거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EXHAUST GAS}
본 발명은 분진이나 냄새가 발생하는 작업장이나 축사 또는 분뇨를 처리하는 곳에서 분진과 냄새를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분진 및 냄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거환경의 개선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진이나 냄새가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분진의 배출량과 냄새의 배출농도를 법으로 강제하여 분진이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이나 주거환경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분진이나 냄새를 다량으로 배출하는 축사 또는 공장 등에서는 고가의 분진 제거시설과 냄새 제거시설을 갖추어야 하나, 분진 및 냄새제거 시설은 상당한 비용을 필요로 하여 영세업자가 쉽게 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게 되고, 특히 돈분장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배출하는 장치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분사되는 물줄기 사이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과 냄새를 물로 흡수하여 분진과 냄새가 제거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샤워 형태로 분사되는 물로 흡수하는 경우 깨끗이 제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또한 암모니아 냄새와 같은 경우는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즉, 공기를 흡입하여 샤워 형태의 물줄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분진과 냄새를 제거토록 하는 선행기술은 다수 등록되어 있으나(실용신안등록 20-0376085, 20-0262744, 20-0249522, 특허등록 10-0908464, 공개특허 10-2011-003155) 상기 된 선행기술은 외부공기의 청정에 사용되는 것이어서, 고농도의 분진 제거에는 적합하지 않고, 또한 분진을 배출하는 환풍기마다 설치되어야 하므로, 배관과 설치 운용에 상당한 문제가 있게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376085호(2005.02.03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262744호(2002.01.18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249522호(2001.09.25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1-0003155호(2011. 01. 11 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908464호(2009.07.13 등록)
본 발명은 고농도의 분진과 암모니아 냄새가 포함된 공기에서 분진과 냄새를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환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모아서 한 번에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운용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한편 공기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져 고농도의 분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환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한 곳으로 모아서 배출시키되 공기 중의 분진이 포집되면서 배출되게 하는 배출공기 수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공기 수집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제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출공기 수집장치에서 여러 개의 환풍기에 배출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모아서 분진제거장치로 보내고, 분진제거장치에서는 물을 분사시켜 분진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분진이 제거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진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여러 개의 환풍기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배출공기를 배출공기 수집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분진이 포함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한편 분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배출공기 수집장치에서 배출되는 배출공기는 분사되는 물줄기 사이를 통과시켜 분진과 냄새를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분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이 포함된 물을 다단으로 흐르게 하여 분진이 제거된 깨끗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돈분장 같은 곳에서는 주름관을 이용하여 분진제거장치로 배출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일부 분진과 암모니아 냄새를 제거한 후 공기 중에 배출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진 제거장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사판 설치상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저수조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배출팬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배출공기 수집장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청소구 개방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저수조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칸막이 실시예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칸막이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 칸막이의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19는 도 3의 정면도
본 발명은 분진과 냄새가 발생하는 돈사 등에 설치되어 분진과 냄새를 제거하는 것으로, 특히 여러 개의 환풍기에서 배출되는 배출공기를 하나의 배출공기 수집장치를 통하여 수집하되 환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건식필터에서 분진이 일부 제거되게 한 후 분진제거장치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분진제거장치에서는 배출공기 수집장치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시켜 분진과 냄새를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출공기 수집장치에서는 여러 개의 환풍기에서 배출되는 배출공기를 모아서 분진제거장치로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상측으로 환풍기가 설치되게 하되 상기 환풍기의 배출공기는 건식필터를 통하여 흐르게 하는 한편 상기 건식필터는 정면의 청소구를 통하여 외부로 꺼내어 분진을 털어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청소구는 분진제거장치의 배출팬이 고장나거나 정전이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개방되게 함으로써 자연 환기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배출공기 수집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안정공간을 통하여 풍속을 저하시켜 분진이 바닥의 분진제거구로 모아지게 한 후 분진제거장치로 공급되게 하며, 상기 안정공간에는 외부에서 청소나 수리를 위하여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도어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분진제거장치는 상기 배출공기 수집장치에서 배출되고 안정공간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분진과 냄새를 제거하는 것으로, 안정공간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공중에서 분사되는 물 사이를 통과시키되 상기 물은 지그재그 형태를 갖게 다단 다층으로 설치되는 분사판을 타고 떨어지게 함으로써 안정공간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분사판 사이를 통과하면서 분진이 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냄새는 물에 포함된 약품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분진제거장치에서 분진 제거에 사용된 물은 바닥의 저수조에서 분진을 가라앉힌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분진제거장치는 바닥판의 하측으로 저수조를 설치하여 상측에서 분사판으로 분사된 물이 경사진 바닥판을 타고 저수조에 모아지게 하되 저수조에서는 물을 다단으로 이동시키며 분진을 가라앉혀 깨끗한 물을 재사용하도록 한다.
경사진 바닥판이 끝나는 부분에 상측이 개방된 제1저수조를 설치하고, 상기 제1저수조에 채워진 물은 칸막이를 넘어 제2저수조에 채워지게 하며, 상기 제2저수조에 채워진 물은 칸막이로 구분된 제3과 제4저수조에 채워지게 함으로써 제4저수조에는 깨끗한 물이 채워지게 하고, 상기 제4저수조에 채워진 물을 분사판으로 분사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분진제거장치의 일측에는 청소도어를 형성하여 청소와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분진제거장치에는 배출팬을 설치하여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편 약품통을 설치하여 냄새 제거용 약품이 주기적으로 물에 섞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저수조에는 일정 수위 유지장치를 설치하는 한편 청소시 물을 배출하는 배출밸브를 설치한다.
본 발명은 분진제거장치의 양쪽으로 배출공기 수집장치를 연결한 후 양쪽의 배출공기 수집장치에서 모아진 공기 중의 분진을 물로 제거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길이가 긴 돈사에 서는 중앙에 분진제거장치를 설치하고 그 양쪽으로 배출공기 수집장치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살펴본다.
본 발명은 축사(1)에서 발생되는 분진과 냄새를 제거한 후 공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축사(1)에 설치된 여러 개의 환풍기(1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공기 수집장치(100)를 통하여 수집된 후 안정공간(200)을 통하여 분진제거장치(300)로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배출공기 수집장치(100)는 일정 길이를 갖고 내측으로 배출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갖추게 되고, 상측으로는 축사(1)에 설치된 환풍기(10)가 여러 개 설치되어 축사(1)에서 발생된 공기가 환풍기(10)에 의해 배출공기 수집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배출공기 수집장치(100)에는 정면으로 청소구(20)를 설치하되 상기 청소구(20)는 환풍기(10)의 하측으로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청소구(20)의 내측으로는 건식필터(30)를 설치하여 환풍기(1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서랍 형태의 건식필터(30)를 통하게 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이 건식필터(3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청소구(20)는 정전이나 분진제거장치(300)의 배출팬(310)이 고장 났을 경우 공지된 정전시 창문 개방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전이 되면 배출공기의 강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도 11에 도시되고 공지된 정전시 창문개방장치의 모터(21)의 구동이 정지되게 되고, 모터(21)가 정지되면 중량물(22)을 잡고 있는 힘이 사라지게 되므로, 중량물(22)이 하강하면서 청소구(20)의 개방핀을 뽑아주게 되며, 이로 인하여 청소구(20)가 개방되어 최소한의 자연 환기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출공기 수집장치(100)에서는 여러 개의 환풍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건식필터(30)에서 일부 분진이 제거된 후 안정공간(200)으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안정공간(200)은 배출공기 수집장치(100)보다 단면적이 커서 공기 흐름이 느려지게 되므로,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이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며, 이렇게 가라앉는 분진은 안정공간(200)의 바닥에 설치된 분진제거구(220)로 떨어져 모아지게 한다.
상기 분진제거구(22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ㄴ자 형태를 갖는 것으로, 분진이 공기의 정체로 바닥으로 인하여 떨어지는 것을 모아주게 되고, 상기 분진제거구(220)는 안정공간(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210)를 통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도어(210)는 작업자가 들어가 분진제거구(220)를 청소하거나 분진제거장치(300)의 내부 구조물의 청소나 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안정공간(200)에서 분진이 가라앉은 공기는 분진제거장치(300)로 유입된 후 분진과 냄새가 물의 분사로 물에 가라앉히면서 제거되게 하고, 분진과 냄새가 제거된 공기만 배출팬(3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상기 배출팬(31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제거장치(300)의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분진제거장치(300)는 일측면으로 안정공간(200)을 형성하여 배출공기 수집장치(100)가 결합되게 하는 한편 안정공간(200)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물 분사노즐(320)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분사판(330)에 부딪히면서 떨어지는 공간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분진이 떨어지는 물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분사판(330) 사이를 지나면서 분진과 냄새가 제거되는 깨끗한 공기는 배출팬(31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상기 배출팬(310)은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팬(310)에는 내측으로 반달형 셔텨(311)가 양쪽으로 설치되게 하되 상기 셔터(311)에는 도 9와 같이 무게추(312)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셔터(311)가 열리고 닫히도록 한다.
여기서, 배출팬(310)이 작동하면 공기의 배출압력으로 인하여 셔터(311)가 열리게 되고, 배출팬(310)이 작동되지 않으면 배출압력이 사라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무게추(312)의 무게로 셔터(311)가 닫히게 되는 것으로, 셔터(311)의 열림 정도는 무게추(312)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 가능하며, 이러한 무게추(312)의 위치 변화로 셔터(311)의 열림 정도를 조절하는 한편 배출팬(31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셔터(311)가 열리고 닫히는 하는 것은 당 업계의 공지된 사실이다.
본 발명의 분진제거장치(300)에는 물흐름이 용이하게 경사진 바닥판(340)을 설치하되 상기 바닥판(340)의 하측으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400)를 설치하며, 상기 분진제거장치(300)의 천정에는 물분사 노즐(320)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물분사 노즐(320)에서 분사된 물이 지그재그 형태로 떨어지도록 분사판(330)을 지그재그 형태로 다단 다층으로 설치함으로써, 분사판(330)에는 물분사 노즐(320)에서 분사된 물이 지그재그 형태로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바닥판(340)을 향하여 떨어지게 되고, 안정공간(200)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분사판(330) 사이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이 물에 적셔지면서 바닥판(340)으로 물과 함께 떨어지도록 한다.
상기 분사판(330) 사이를 통과하면서 분진과 냄새가 제거된 공기는 배출팬(3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상기 물분사 노즐(320)에서 분사되는 물은 저수조(400)에 채워진 물을 펌프(401)로 펌핑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저수조(400)에는 공지된 일정 수위 유지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수위가 유지되게 하는 한편 냄새를 제거하는 약품이 약품탱크에서 일정량씩 혼합되게 함으로써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저수조(400)는 바닥판(340)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경사진 바닥판(340)을 타고 흐르는 물은 제1저수조(410)에 채워진 후 필터(350)가 설치된 칸막이(411)를 통하여 제2저수조(420)에 채워지고, 제2저수조(420)에 채워진 물은 칸막이(421)를 넘어 제3저수조(430)에 채워지며, 제3저수조(430)에 채워진 물은 칸막이(431)를 넘어 제4저수조(440)에 채워지게 되고, 제4저수조(440)에 채워진 물은 칸막이(441)를 넘어 제5저수조(450)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 칸막이(411)(421)(431)(441)는 상측으로 물이 넘치는 홈을 형성하되 제1저수조(410)와 제2저수조(420)를 구분하는 칸막이(411)에 형성된 홈이 제일 높은 곳에 형성되고, 제4저수조(440)와 제5저수조(450)를 구분하는 칸막이(441)에 형성된 홈이 제일 낮은 곳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제1저수조(410)에서 제5저수조(450)로 물이 흐르게 하고, 저수조(400)의 바닥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출로(460)를 형성하되 제2저수조(420)와 제3저수조(430) 사이를 가로막는 칸막이(421)는 상기 배출로(460)를 완전히 막아주도록 한다.
제1저수조(410)와 제2저수조(420) 사이의 칸막이(411) 하측에는 배출로(460)를 막아주는 마개(470)를 설치하는 한편 제3저수조(430)와 제4저수조(440) 사이 및 제4저수조(440)와 제5저수조(450) 사이의 칸막이(431)(441)에도 하측으로 배출로(460)를 막아주는 마개(470)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바닥판(340)에는 중앙으로 덮개(341)를 설치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고, 제2저수조(420)의 상측에 위치하는 바닥판(340)과 덮개(341)에는 출입판(342)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쉽게 출입판(342)을 밟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출입판(342)은 분진제거장치(300)의 측면에 설치된 청소도어(301)를 열고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배출로(460)를 형성한 이유는 저수조(400)에 채워져 있는 분진 덩어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1저수조(410)와 제5저수조(450)에 설치된 배출밸브(302)(303)를 통하여 청소가 이루어지게 되며, 본 발명에서 마개(470)를 설치한 이유는 마개(470)로 배출로(460)를 막아주지 않으면 저수조(400)의 수위 유지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며, 청소를 할 때에는 마개(470)를 열고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마개(470)는 바닥판(340)의 덮개(341)를 열은 후 막거나 빼도록 하고, 덮개(341)를 열은 상태에서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칸막이(411a)는 중앙을 구획하여 마치 수문과 같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마개(470)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칸막이(411a)의 중앙을 막아주면 저수조(410)(420)(430)(440)(450)마다 수위차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칸막이(411a)의 중앙을 열어주면 개방된 곳을 통하여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배출공기 수집장치(100)를 사용하지 않고, 도 3과 같이 냄새나 일부 분진이 섞여있는 배출공기가 주름관(600) 등을 이용하여 배출공기가 안정공간(200)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분진제거장치(300)에서 냄새와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분진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면서 냄새도 없애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수조(400)에 물의 결빙을 방지하는 히터를 설치하고, 분진제거장치(300)에는 약품통을 설치하여 펌프(401)에서 펌핑되는 물에 암모니아 냄새를 제거하는 약품이 혼합되게 함으로써 배출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분진제거장치(300)에는 콘트롤러(308)를 설치하여 분진제거에 필요한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배출가스 수집장치(100)에서 여러 개의 환풍기(10)로부터 배출되는 고농도의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수집하여 안정공간(200)을 통하면서 흐름이 안정되게 한 후 분진제거장치(300)로 이동시킴으로써 분사되는 물 사이를 통과시켜 분진과 냄새가 제거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출가스 수집장치(100)는 축사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는 환풍기(10)를 작동시킴으로써 축사(1)의 오염된 공기가 배출가스 수집장치(100)로 유입되고, 이때 유입되는 공기는 건식필터(30)에 부딪히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이 건식필터(30)에서 일부 제거된 후 안정공간(200)을 통하여 분진제거장치(300) 쪽으로 배출된다.
이같이 배출공기 수집장치(100)에서는 건식필터(30)에 의해 분진이 포집되게 되고, 상기 건식필터(30)에 의해 포집된 분진은 청소구(20)를 열고 건식필터(30)를 꺼내어 털어주면 된다.
따라서, 환풍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분진은 일차적으로 건식필터(30)에 의해 포집된 후 안정공간(200)을 통하여 공기 흐름이 안정되고 나서 분진제거장치(300)로 이동하게 되고, 분진제거장치(300)에서는 일차적으로 분진이 제거된 배출공기에서 분진을 처리하게 되므로, 분진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안정공간(200)의 바닥에는 분진제거구(220)를 설치하여 공기의 흐름이 줄어들 때 낙하되는 분진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분진제거구(220)로 포집된 분진은 도어(210)를 열고 꺼내어 제거하도록 한다.
배출공기 수집장치(100)에서 안정공간(200)을 통하여 흐름이 안정된 배출공기는 분진제거장치(300)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일차적으로 물분사 노즐(320)에서 분사되는 물이 분사판(330)에 부딪히면서 형성되는 막을 통과하는 것으로, 안정공간(200)에서 유입된 공기는 분사판(330)사이를 통과하면서 분진이 물로 제거되는 한편 냄새도 약품에 의해 제거되게 한다.
여기서, 물분사 노즐(320)에서 분사되는 물은 약품통에 채워진 약품이 혼합되므로, 물분사 노즐(320)에서 분사판(330)에 부딪혀 지그재그 형태로 떨어지는 물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게 되며, 상기 물분사 노즐(320)에서 분사되는 물은 저수조(400)에 채워져 분진이 걸러진 물을 펌프(401)로 펌핑하여 물분사노즐(320)에서 재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분사판(300)을 지그재그 형태로 거치면서 떨어진 물은 경사진 바닥판(340)을 타고 제1저수조(410)로 모아지게 되고, 제1저수조(410)에 모아진 물은 필터(350)에서 분진 등이 걸러진 후 칸막이(411)의 상측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넘치면서 제2저수조(420)로 이동하게 되고, 제2저수조(420)에 채워진 물은 제3저수조(430)와의 사이에 설치된 칸막이(421)의 상측에 형성된 홈을 타고 넘쳐서 제3저수조(430)로 흐르게 되고, 제3저수조(430)에 채워진 물은 제4저수조(440)와의 사이에 설치된 칸막이(431)의 상측에 형성된 홈을 타고 넘쳐서 제4저수조(440)에 채워지게 되며, 제4저수조(440)에 채워진 물은 제5저수조(450)와의 사이에 설치된 칸막이(441)의 상측에 형성된 홈을 타고 넘쳐서 제5저수조(450)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제1저수조(410)에서 제5저수조(450)로 순차적으로 흘러 넘치도록 칸막이(411)(421)(431)(441)에 형성된 홈의 깊이를 다르게 하고, 상기 칸막이(411)(421)(431)(441)는 바닥판(340)을 받치는 용도로 활용된다.
그리고, 저수조(400)의 바닥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출로(460)를 형성하여 물에 녹은 분진덩어리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칸막이(411)(431)(441)에 형성된 마개(470)를 열어 배출로(460)를 개방시킨 후 바닥판(340)의 중앙을 덮어주는 덮개(341)를 열고 호스로 물을 분사시켜 청소를 함으로써 배출밸브(302)(303)를 통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덮개(341)는 바닥판(340)의 중앙부위를 여러 개로 나누어 덮어주는 것으로, 상기 덮개(341)를 열고 마개(470)를 뺀 후 배출밸브(302)(303)를 열면 저수조(4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고압의 물을 이용하여 저수조(400)를 청소하면 찌꺼기는 배출로(470)를 타고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청소가 완료되면 마개(470)를 끼운 후 덮개(341)를 덮어주고, 배출밸브(302)(303)를 잠근 후 물을 투입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저수조(400)에는 일정수위 유지장치를 통하여 일정 수위가 유지되게 된다.
본 발명은 제2저수조(420)와 제3저수조(430) 사이의 칸막이(421)는 바닥의 배출로(460)를 완전히 막아주도록 함으로써 청소를 하는 경우 제2저수조(420)에 채워진 찌꺼기는 제1저수조(410)로 이동하여 배출하고, 제3저수조(430)의 찌꺼기는 제4저수조(440)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바닥판(340)에는 청소도어(301)를 열고 작업자가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출입판(342)을 설치하게 되고, 상기 출입판(342)은 덮개(341)의 상부에도 설치하여 작업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바닥판(340)에는 출입판(342)으로 이동하는 작업자에게 물이 튀기지 않도록 차단판(380)을 설치하되 상기 차단판(380)의 하측 공간을 통하여 물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저수조(410)에 채워진 물의 분진 찌꺼기는 대부분 필터(35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상기 필터(350)는 주기적으로 출입판(342)으로 작업자가 들어가 꺼낸 후 청소하여 재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411a)의 중앙 부분을 분리하여 수문과 같이 상하로 이동하며 열고 닫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배출로(460)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칸막이(411a)의 중앙 부분을 개방시켜 청소가 이루어지게 되고, 칸막이(411a)의 중앙 부분을 막아주게 되면 물이 제1저수조(410)에서 제5저수조(450)로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넘쳐흐르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분진제거장치(300)의 안정공간(200)으로 주름관(600)을 이용하여 직접 오염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별도의 배출공기 수집장치(100)를 활용하지 않고 비교적 분진이 적은 공기의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분진제거장치(300)의 양쪽으로 배출공기 수집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는 돈사의 길이가 길을 경우 돈사의 중앙쪽에 분진제거장치(300)를 설치한 후 양쪽으로 배출공기 수집장치(100)를 설치함으로써 돈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냄새와 분진을 제거하게 된다.
10 : 환풍기 20 : 청소구
30 : 건식필터 100 : 배출공기 수집장치
200 : 안정공간 220 : 분진제거구
300 : 분진제거장치 310 : 배출팬
320 : 물분사노즐 340 : 바닥판
350 : 필터 400 : 저수조
411,421,431,441 : 칸막이 460 : 배출로
470 : 마개 600 : 주름관

Claims (10)

  1. 축사(1)의 공기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환풍기(10)로 배출시킨 배출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바닥에 설치되는 건식필터(30)로 포집하는 한편 상기 건식필터(30)의 청소와 환기를 위한 청소구(20)가 설치되는 배출공기 수집장치(100)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공기 수집장치(10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완화시키고 바닥으로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제거구(220)를 설치하는 한편 도어(210)가 설치되는 안정공간(200)을 구비하며,
    상기 안정공간(20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다단 다층으로 설치되 분사판(330) 사이를 통과하면서 분진을 물로 흡수시킨 공기만 배출팬(310)을 통하여 배출되게 하는 한편 바닥판(340)으로 떨어진 물은 바닥판(340) 하측 공간에 설치된 저수조(400)를 다단으로 이동하면서 걸러진 후 펌프(401)로 펌핑되어 분사판(330)에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 노즐(320)을 통하여 분사되게 하는 분진제거장치(30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출공기 수집장치(100)에 설치되는 건식필터(30)는 서랍 형태를 갖고 바람이 쉽게 통과되나 분진은 걸리게 하며, 상기 건식필터(30)는 청소구(20)를 통하여 탈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안정공간(200)의 바닥에 설치된 분진제거구(220)는 ㄴ자 형태를 갖고 분진이 포집되게 하고, 상기 분진제거구(220)는 측면에 형성된 도어(210)를 통하여 청소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분진제거장치(300)는 상측으로 물분사 노즐(320)을 설치하여 분사된 물이 다단 다층으로 설치된 분사판(330)을 거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흘러내리게 하고, 상기 분사판(330)을 거친 물은 경사진 바닥판(340)을 타고 저수조(400)에 모아지게 하되 상기 저수조(400)는 제1저수조(410)에서 제5저수조(450)로 높이를 달리하여 흘러넘치게 하고, 상부가 개방된 제1저수조(410)에서 제2저수조(420)로 이동하는 물은 필터(350)를 통한 후 칸막이(411)의 상측 홈을 통하여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분진제거장치(300)의 바닥판(340)은 중앙을 덮개(341)로 씌워주고, 덮개(341)를 열어 저수조(400)의 중앙부위가 노출되게 하며, 상기 저수조(400)의 칸막이(411)(421)(431)(441)는 양쪽으로 바닥판(340)을 받치면서 상측으로 물이 흘러넘치는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분진제거장치(300)의 바닥판(340)에는 물튀김을 방지하는 차단판(380)을 설치하는 한편 청소도어(301)를 통하여 출입하는 작업자의 이동통로인 출입판(342)을 바닥판(340)과 덮개(341)의 상측에 설치하되 상기 차단판(380)과 출입판(342)에 관계없이 바닥판(340)을 타고 물흐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저수조(400)를 구획하는 칸막이(411)(431)(441)는 하측으로 배출로(460)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로(460)는 마개(470)를 이용하여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저수조(400)를 구획하는 칸막이(411)(431)(441)는 중앙부분을 분리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막거나 열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분진제거장치(300)의 양쪽으로 배출공기 수집장치(10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배출공기 수집장치(100)의 청소구(20)는 정전시 강제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20120114801A 2012-10-16 2012-10-16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21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801A KR101212037B1 (ko) 2012-10-16 2012-10-16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801A KR101212037B1 (ko) 2012-10-16 2012-10-16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037B1 true KR101212037B1 (ko) 2013-01-02

Family

ID=4784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801A KR101212037B1 (ko) 2012-10-16 2012-10-16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03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96B1 (ko) 2014-09-01 2015-02-24 주식회사 근옥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538784B1 (ko) * 2015-02-11 2015-07-24 주식회사 근옥 악취 및 분진 제거기의 물거름 장치
KR20170035717A (ko) 2015-09-23 2017-03-31 주식회사 근옥 액비악취 저감장치
CN107020575A (zh) * 2017-03-14 2017-08-08 江苏大学 一种工作间式抛光粉尘监测与清除装置及方法
CN107664320A (zh) * 2017-10-13 2018-02-06 佛山市高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粉尘环保排风清洁设备
CN107983051A (zh) * 2017-11-29 2018-05-04 龙泉市宏盛科技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竹木切削粉尘收集处理装置
CN108940594A (zh) * 2017-05-18 2018-12-07 江苏瑞洁环境工程科技有限责任公司 湿式电除尘器
KR102056943B1 (ko) 2019-06-18 2019-12-17 김승구 용액 분사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CN110585836A (zh) * 2019-08-26 2019-12-20 曹县精锐机械锁业有限公司 砂磨除尘一体机
KR102064137B1 (ko) * 2019-12-10 2020-02-11 김승구 미세먼지의 양에 대응하여 용액 분사량을 조절하는 공기 정화 장치
CN112535912A (zh) * 2020-11-18 2021-03-23 湖南天府生态农业有限公司 猪舍臭气处理系统
CN115006946A (zh) * 2022-06-27 2022-09-06 江坤龙 一种种路桥施工用喷雾降尘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51Y1 (ko) 2009-04-15 2009-09-21 김태현 축분뇨 악취 제거 장치
KR20100009851A (ko) * 2008-07-21 2010-01-29 (주)현보산업 고효율 처리용 습식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851A (ko) * 2008-07-21 2010-01-29 (주)현보산업 고효율 처리용 습식집진장치
KR200446051Y1 (ko) 2009-04-15 2009-09-21 김태현 축분뇨 악취 제거 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96B1 (ko) 2014-09-01 2015-02-24 주식회사 근옥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538784B1 (ko) * 2015-02-11 2015-07-24 주식회사 근옥 악취 및 분진 제거기의 물거름 장치
KR20170035717A (ko) 2015-09-23 2017-03-31 주식회사 근옥 액비악취 저감장치
CN107020575A (zh) * 2017-03-14 2017-08-08 江苏大学 一种工作间式抛光粉尘监测与清除装置及方法
CN108940594A (zh) * 2017-05-18 2018-12-07 江苏瑞洁环境工程科技有限责任公司 湿式电除尘器
CN108940594B (zh) * 2017-05-18 2023-09-22 江苏瑞洁环境工程科技有限责任公司 湿式电除尘器
CN107664320A (zh) * 2017-10-13 2018-02-06 佛山市高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粉尘环保排风清洁设备
CN107983051A (zh) * 2017-11-29 2018-05-04 龙泉市宏盛科技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竹木切削粉尘收集处理装置
CN107983051B (zh) * 2017-11-29 2021-01-29 龙泉市宏盛科技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竹木切削粉尘收集处理装置
KR102056943B1 (ko) 2019-06-18 2019-12-17 김승구 용액 분사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CN110585836A (zh) * 2019-08-26 2019-12-20 曹县精锐机械锁业有限公司 砂磨除尘一体机
CN110585836B (zh) * 2019-08-26 2024-02-13 曹县精锐机械锁业有限公司 砂磨除尘一体机
KR102064137B1 (ko) * 2019-12-10 2020-02-11 김승구 미세먼지의 양에 대응하여 용액 분사량을 조절하는 공기 정화 장치
CN112535912A (zh) * 2020-11-18 2021-03-23 湖南天府生态农业有限公司 猪舍臭气处理系统
CN115006946A (zh) * 2022-06-27 2022-09-06 江坤龙 一种种路桥施工用喷雾降尘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037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938861B1 (ko) 악취 및 분진 저감장치
KR101729079B1 (ko)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악취 제거장치
KR101296243B1 (ko) 공기 정화용 습식 집진장치
KR101874338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1587597B1 (ko) 수평방향 다단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603418B1 (ko)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0652528B1 (ko) 차량 도장 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KR101494696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655976B1 (ko)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KR101883659B1 (ko) 악취가스 균일분배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882803B1 (ko)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KR101401358B1 (ko) 천정형 에어컨 세척장치
KR101587598B1 (ko) 오존 탈취기능을 갖는 수평방향 다단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817899B1 (ko) 공기 정화 부스가 구비된 도장 부스
KR101555672B1 (ko) 효율적 분리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CN111918710A (zh) 具有水粒子碰撞扩散结构的湿法集尘空气净化装置
KR101376193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0717430B1 (ko)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KR101538784B1 (ko) 악취 및 분진 제거기의 물거름 장치
KR20110003155A (ko) 분진 및 냄새 제거장치
KR101483237B1 (ko) 공기 소독청정기
KR101777637B1 (ko) 상향 오픈식 수평형 습식 세정탑
KR101160622B1 (ko) 수막형 공기정화시스템
KR102139437B1 (ko) 효율적 악취처리가 가능한 복합 임핀젯 3단 약액 세정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