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619B1 -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619B1
KR101707619B1 KR1020160058873A KR20160058873A KR101707619B1 KR 101707619 B1 KR101707619 B1 KR 101707619B1 KR 1020160058873 A KR1020160058873 A KR 1020160058873A KR 20160058873 A KR20160058873 A KR 20160058873A KR 101707619 B1 KR101707619 B1 KR 10170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ow
odor gas
flow pipe
wa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5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01F7/0034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고정팬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제 1 흡입팬 및 제 2 흡입팬과 같은 동력장치의 설치는 최소화 하면서도 악취가스는 원활히 유동 및 배출될 수 있으며, 폴링(pall ring)과 세척수 분사를 통해서 악취가스의 유해성분이 효과적으로 정화될 수 있는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는 축사의 외벽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 여부에 따라 축사 내부의 악취가스에 대한 흡입력이 발휘되는 다수의 제 1 흡입팬과, 상기 제 1 흡입팬 마다 그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악취가스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관과, 축사의 외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배기관들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 된 악취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악취가스가 단부를 향해 일 방향 유동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의 상부에 위치되어 세척수가 순환되며 상기 유동관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되게 하는 순환관과, 상기 유동관 내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관이 상기 유동관에 연결되는 지점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관 내어서 유동되는 악취가스가 상기 순환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에 의해 정화 처리되는 정화부와, 상기 유동관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정화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관 내에서 유동되는 악취가스가 통과되면서 와류가 형성되게 하는 믹싱부와, 상기 유동관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유동관 내의 악취가스가 일 방향 유동 될 수 있도록 흡입력이 발휘되고 상기 정화부에서 사용된 상기 세척수가 순환처리되며 정화된 악취가스가 최종 배기되는 처리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MALODOR GAS REMOVAL EQUIPMENT FOR LIVESTOCK SHED}
개시된 내용은 돼지나 소, 닭 등이 사육되는 축사에 설치되어 분뇨 등 각종 오염물질로부터 발생 된 악취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고, 이 악취가스에 포함된 유해성분의 정화를 통해 환경오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돈사(豚舍)나 계사(鷄舍)와 같은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 중에는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이황화메틸((CH3)2S2) 등의 유황계 화합물과 암모니아(NH3), 아민류((CH3)3N) 등의 암모니아계, 그리고 아세트산(acetic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발레르산(valeric acid) 등의 저급지방산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에서 주로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은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및 암모니아(NH3)이다.
최근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관련 법규를 근거로 대외적인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악취가스를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악취가스 제거방법에는 냉각응축방식, 고온산화(열소각)방식, 촉매산화방식, 흡착방식, 생물학적 처리방식 등이 있다.
냉각응축방식은 고농도의 악취가스 제거에는 효과적이지만 시설비와 운영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흡착방식 또한 흡착제의 최종처리 및 교체로 인해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촉매산화방식은 경제성은 있으나 촉매 산화 반응시 납, 비소, 황 안티몬, 수은, 아연, 철산화물 또는 다른 촉매유도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가 촉매의 활성을 급격히 저하되게 하므로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단점이 있다.
생물학적 처리방식은 혼합미생물군의 화학물질 분해능력을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기술로서 악취분해 미생물을 직접 사료에 첨가하는 생균 첨가제나 충전재의 입자표면에 정착한 미생물에 의하여 악취성분을 분해시키는 생물막 탈취장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생물학적 악취물질 처리기술에서 중요 사항인 미생물의 지속적 투입 및 유지관리와 미생물 생활환경의 조성 등이 축산농가에서 유지되기는 어려움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퇴비나 우드칩 등으로 이루어진 악취여과용 충전재로 필터링하여 악취를 환경친화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바이오필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오필터는 독립된 축사마다 설치되어 악취가스가 강제 흡기 및 유동되는 배출관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거나, 다수의 배출관이 연결되며 축사에서 배출된 악취가스가 일시에 유동되는 유동관 상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전자의 경우 배출관마다 별도의 제 2 흡입팬이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며 따라서 그 유지관리가 쉽지 않고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의 경우 배출관이 연결되는 유동관의 길이가 길어 악취가스가 그 내부에서 원활하게 유동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추가로 흡입팬이 더 설치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바이오필터는 친환경적인 장점은 있으나 악취가스의 유해성분이 완벽하게 정화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한국 특허등록 제10-0901756호(2009.06.02) 2. 한국 특허등록 제10-0854071호(2008.08.19) 3. 한국 특허등록 제10-0901756호(2009.06.02) 4. 한국 특허등록 제10-1137965호(2012.04.12)
흡입팬과 같은 구동장치가 다수 개 설치되지 않고도 악취가스의 원활한 유동 및 배출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축사에서 발생되는 각종 악취가스가 효과적으로 정화될 수 있는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축사의 외벽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 여부에 따라 축사 내부의 악취가스에 대한 흡입력이 발휘되는 다수의 제 1 흡입팬과, 상기 제 1 흡입팬 마다 그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악취가스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관과, 축사의 외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배기관들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 된 악취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악취가스가 단부를 향해 일 방향 유동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의 상부에 위치되어 세척수가 순환되며 상기 유동관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되게 하는 순환관과, 상기 유동관 내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관이 상기 유동관에 연결되는 지점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관 내어서 유동되는 악취가스가 상기 순환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에 의해 정화 처리되는 정화부와, 상기 유동관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정화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관 내에서 유동되는 악취가스가 통과되면서 와류가 형성되게 하는 믹싱부와, 상기 유동관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유동관 내의 악취가스가 일 방향 유동 될 수 있도록 흡입력이 발휘되고 상기 정화부에서 사용된 상기 세척수가 순환처리되며 정화된 악취가스가 최종 배기되는 처리부가 포함되는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는 흡입팬과 같은 구동장치가 다수 개 설치되지 않고도 악취가스의 원활한 유동 및 배출이 가능해 축산농가의 비용부담이 경감될 수 있어 경제적인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축사에서 발생되는 각종 악취가스가 효과적으로 정화될 수 있어 환경오염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의 다른 부분 확대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의 사용상태 개략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와 도 4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부분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사용상태 개략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는 축사의 외벽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 여부에 따라 축사 내부의 악취가스에 대한 흡입력이 발휘되는 다수의 제 1 흡입팬과, 상기 제 1 흡입팬 마다 그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악취가스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관과, 축사의 외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배기관들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 된 악취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악취가스가 단부를 향해 일 방향 유동되는 유동관과, 상기 유동관의 상부에 위치되어 세척수가 순환되며 상기 유동관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되게 하는 순환관과, 상기 유동관 내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관이 상기 유동관에 연결되는 지점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관 내어서 유동되는 악취가스가 상기 순환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에 의해 정화 처리되는 정화부와, 상기 유동관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정화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관 내에서 유동되는 악취가스가 통과되면서 와류가 형성되게 하는 믹싱부와, 상기 유동관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유동관 내의 악취가스가 일 방향 유동 될 수 있도록 흡입력이 발휘되고 상기 정화부에서 사용된 상기 세척수가 순환처리되며 정화된 악취가스가 최종 배기되는 처리부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1)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내용은 돼지나 소, 닭이 사육되는 축사의 외벽 인근에 설치된다. 그 중에서 제 1 흡입팬(100)은 축사의 외벽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작동 여부에 따라 축사 내부의 악취가스에 대한 흡입력이 발휘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 1 흡입팬(100)은 축사 내에서 가축이 독립 수용되는 구역마다 각각 설치된다. 또한 축사의 규모에 따라 흡입팬의 종류 및 용량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흡입팬(100) 마다에는 배기관(200)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데, 이 배기관(200)은 제 1 흡입팬(100)에 의해 흡입된 악취가스를 추후에 설명될 유동관(300)까지 배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배기관(200)은 축사 외벽에 설치된 제 1 흡입팬(100)과 연결된 상태로 수평방향 연장된 후 하향 수직 절곡 배치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흡입팬(100)의 용량에 따라 배기관(200)의 크기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배기관(200)들의 타단은 유동관(300)에 각각 연결되는데, 전술한 유동관(300)은 축사 각 구역에서 배출된 악취가스가 단부를 향해서 일시에 유동 되게 하면서, 동시에 순차적으로 정화 처리가 이루어지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동관(300)은 축사의 외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소정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타공판(310)에 의해 다수의 공간부(320)로 구획된다. 그리고 전술한 공간부(320)는 와이어망(321)에 의해서 전방 격실(323)과 후방 격실(322)로 구획된다.
또한 추후에 설명될 정화부(500)에서 사용되는 세척수가 단부까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추후에 설명될 처리부(700)를 향해 하향 경사진 구배를 갖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유동관(300)은 축사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축사의 규모에 따라 그 크기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관(300)의 상부에는 순환관(400)이 위치되는데, 전술한 순환관(400)은 악취가스 정화에 필요한 세척수가 순환 및 공급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순환관(400)은 추수에 설명될 처리부(700)에 의해서 순환되며 분사앵글(510)을 통해 분사되면서 악취가스를 정화하게 된다.
개시된 내용에서는 유동관(300)의 상부에 순환관(400)이 별도로 구비되고 분사앵글(510)을 통해서 순환관(400) 내의 세척수가 유동관(300) 내부로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유동관(300) 내에 순환관(400)이 구비될 수도 있고, 유동관(300)과 순환관(400)이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는 등 세척수의 공급이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든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동관(300) 내의 공간부(320) 중에서 전방 격실(323) 내에는 정화부(5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정화부(500)는 유동관(300) 내어서 유동되는 악취가스가 상기 순환관(400)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정화 처리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정화부(500)는 배기관(200)으로부터 유동관(300) 내로 유입된 악취가스가 곧바로 정화처리 가능하도록 배기관(200)이 유동관(300)에 연결되는 지점의 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전방 격실(323)과 후방 격실(322)이 구비된 공간부(320)는 배기관(200)이 유동관(300)에 연결되는 지점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화부(500)는, 순환관(400) 내의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순환관(400)에 연결되고 전방 격실(323)의 상측에 위치되며 악취가스의 정화를 위한 세척수가 전방 격실(323)의 하측과 후방 격실(322)을 향해 분사되는 노즐(511)이 설치된 분사앵글(510)과, 전방 격실(323)의 하부에 충전되고 유동관(300)을 통해 전방 격실(323) 내로 유입된 악취가스와 본사노즐(511)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접촉면적이 증대되게 하는 폴링(pall ring, 520)이 포함된다.
전술한 분사앵글(510)의 후방 측은 순환관(4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음과 동시에 폴링(520)을 향해 세척수가 분사된다. 또한 분사앵글(510)의 후방단부는 하향 절곡 형성되어 추후에 설명될 믹싱부(600)를 향해 세척수가 분사된다.
따라서 전술한 노즐(511)은 분사앵글(510)에 각각 구비되되 전방 측 노즐(511)은 폴링(520)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후방 측 노즐(511)은 믹싱부(600)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전술한 폴링(520)은 악취가스와 세척수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여과 및 정화효율을 높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폴링(520)은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69526호(2002.03.12)의 "타워필터용 합성수지 폴링"을 통해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동관(300) 내의 공간부(320) 중에서 후방 격실(322) 내에는 믹싱부(600)가 설치된다. 이러한 믹싱부(600)는 유동관(300) 내에서 유동되는 악취가스가 통과되면서 와류가 형성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믹싱부(600)는 임펠러(impeller)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 격실(322) 내에 고정 설치된다. 믹싱부(600)를 통과한 악취가스에는 와류가 형성되어 유동관(300) 내에서 그 단부까지 유동가능한 추진력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팬과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가 구비되지 않고도 개시된 내용과 같은 직선형 스크러버(scrubber)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악취가스가 유동관(300) 내에 머무르지 않고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동관(300)의 단부에는 처리부(7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처리부(700)는 유동관(300) 내의 악취가스가 일 방향 유동 될 수 있도록 흡입력이 발휘되고, 정화부(500)에서 사용된 세척수가 순환처리되며, 정화된 악취가스가 최종 배기되는 역할은 한다.
이와 같은 처리부(700)는, 유동관(300)의 단부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본체(710)와, 본체(710) 내에 설치되고 유동관(300) 하측과 연결되며 유동관(300) 내로 분사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720)와, 본체(710)의 하측에 설치되고 배출구(720)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조(730)와, 일단은 저장조(7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순환관(400)에 연결되는 연결관(740)과, 연결관(740) 상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저장조(730) 내의 세척수를 순환관(400)으로 유입시켜 세척수가 순환관(400) 내에서 강제 순환되게 하는 순환펌프(750)와, 본체(710)의 타단에 설치되고 정화 처리된 악취가스가 최종 토출되는 토출관(760)과, 배기관(200) 측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 여부에 따라 유동관(300) 내에서 악취가스의 유동이 보조 되도록 흡입력이 발휘되는 제 2 흡입팬(770)이 포함된다.
유동관(300) 내로 공급되어 악취가스 정화에 사용된 세척수는 유동관(300) 내측 하부를 통해 유동 되다가 배출구(720)를 통해 배출되어 저장조(730)에 저장된다. 그리고 연결관(740)에 설치된 순환펌프(750)에 의해서 순환관(400)으로 순환 처리된다. 이처럼 세척수는 반복해서 악취가스 정화에 사용되기 때문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일정기간 또는 일정횟수가 사용되고 난 후 깨끗한 세척수로 교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동관(300) 내에서 정화부(500) 및 믹싱부(600)에 의해 정화 처리된 악취가스는 최종적으로 제 2 흡입팬(770)에 의해서 토출관(76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토출관(760)에는 악취가스의 성분이 분석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센서를 통해 악취가스의 정화 정도가 확인될 수 있으며,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감지될 경우 세척수, 폴링(520)를 교환 처리해준다.
이하에는 도 5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축사 외벽에 설치된 제 1 흡기팬의 작동에 의해 축사 내부의 악취가스가 흡입되어 배기관(200)을 따라 배기 된다. 배기 된 악취가스는 배기관(200)이 유동관(300)에 연결된 지점으로 각각 유입된다.
유입된 악취가스는 유입된 지점의 후방에 각각 위치된 정화부(500) 내로 유입되며 세척수에 의해서 정화 처리된다. 또한 폴링(520)이 구비되어 있어 악취가스와 세척수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정화의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처리부(700)와 인접된 정화부(500)를 제외하고는 최소 두 차례 이상 정화부(500)를 통과하게 되어 있어 악취가스가 효과적으로 정화될 수 있다.
정화부(500)에서 정화 처리된 악취가스는 정화부(500)의 후방에 위치된 믹싱부(600)로 유입된다. 믹싱부(600)는 임펠러(impeller)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이 믹싱부(600)를 통과한 악취가스에는 와류가 형성되어 유동관(300) 내에서 그 단부까지 유동가능한 추진력이 생성된다. 따라서 축사로부터 악취가스가 배기되게 하는 제 1 흡입팬(100)과, 유동관(300) 내에서 악취가스의 유동을 보조하는 흡입력이 발휘되는 제 2 흡입팬(770)을 제외한 다른 동력장치의 사용 없이도 악취가스가 유동관(300) 내에서 원활하게 유동 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는 유동관(300)을 따라 처리부(700)까지 유동되고, 처리부(700)의 배출관을 통해 저장조(730) 내로 저장된다. 또한 연결관(740)에 설치된 순환펌프(750)에 의해서 순환관(400)으로 순환 처리된다. 또한 유동관(300)을 통해 처리부(700)까지 도달되면서 유해성분이 제거된 악취 가스는 최종적으로 토출관(760)을 통해서 외부로 토출된다.
게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100 : 제 1 흡입팬
200 : 배기관
300 : 유동관
310 : 타공판
320 : 공간부
321 : 와이어망
322 : 후방 격실
323 : 전방 격실
400 : 순환관
500 : 정화부
510 : 분사앵글
511 : 노즐
520 : 폴링
600 : 믹싱부
700 : 처리부
710 : 본체
720 : 배출구
730 : 저장조
740 : 연결관
750 : 순환펌프
760 : 토출관
770 : 제 2 흡입팬

Claims (9)

  1. 축사의 외벽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 여부에 따라 축사 내부의 악취가스에 대한 흡입력이 발휘되는 다수의 제 1 흡입팬;
    상기 제 1 흡입팬 마다 그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악취가스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관;
    축사의 외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배기관들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 된 악취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악취가스가 단부를 향해 일 방향 유동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의 상부에 위치되어 세척수가 순환되며 상기 유동관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되게 하는 순환관;
    상기 유동관 내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관이 상기 유동관에 연결되는 지점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관 내어서 유동되는 악취가스가 상기 순환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에 의해 정화 처리되는 정화부;
    상기 유동관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정화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관 내에서 유동되는 악취가스가 통과되면서 와류가 형성되게 하는 믹싱부; 및
    상기 유동관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유동관 내의 악취가스가 일 방향 유동 될 수 있도록 흡입력이 발휘되고 상기 정화부에서 사용된 상기 세척수가 순환처리되며 정화된 악취가스가 최종 배기되는 처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유동관의 단부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동관 하측과 연결되며 상기 유동관 내로 분사된 상기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조;
    일단은 상기 저장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 상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저장조 내의 세척수를 상기 순환관으로 유입시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순환관 내에서 강제 순환되게 하는 순환펌프;
    상기 본체의 타단에 설치되고 정화 처리된 악취가스가 최종 토출되는 토출관; 및
    상기 배기관 측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유동관 내에서 악취가스의 유동이 보조 되도록 흡입력이 발휘되는 제 2 흡입팬;이 포함되며,
    상기 유동관은 상기 배출구까지 상기 세척수가 유동 될 수 있도록 상기 처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구배를 갖도록 설치되는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의 내부는 소정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타공판에 의해 다수의 공간부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 및 믹싱부는 하나의 상기 공간부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 및 믹싱부가 구비된 공간부는 와이어망에 의해서 전방 격실과 후방 격실로 구획되며, 상기 전방 격실에는 정화부가, 상기 후방 격실에는 믹싱부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상기 순환관 내의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고 상기 전방 격실의 상측에 위치되며 악취가스의 정화를 위한 세척수가 상기 전방 격실의 하측과 후방 격실을 향해 분사되는 노즐이 설치된 분사앵글; 및
    상기 전방 격실의 하부에 충전되고 상기 유동관을 통해 상기 전방 격실 내로 유입된 악취가스와 상기 본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접촉면적이 증대되게 하는 폴링(pall ring);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는 임펠러(impeller) 형상으로 상기 후방 격실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믹싱부를 통과한 악취가스에는 와류가 형성되어 상기 유동관 내에서 그 단부까지 유동가능한 추진력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팬은 가축이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구역마다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KR1020160058873A 2016-05-13 2016-05-13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KR10170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873A KR101707619B1 (ko) 2016-05-13 2016-05-13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873A KR101707619B1 (ko) 2016-05-13 2016-05-13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619B1 true KR101707619B1 (ko) 2017-02-21

Family

ID=5831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873A KR101707619B1 (ko) 2016-05-13 2016-05-13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6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583A (ko)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이프랜트 사육시설 악취제거를 위한 제취제 관리시스템
KR20230086364A (ko) 2021-12-08 2023-06-15 주식회사 이프랜트 가축 생장성 향상을 위한 축산 스마트 팜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071B1 (ko) 2007-03-08 2008-08-25 (주) 파루 전기화학적 매개산화를 이용한 돈사, 계사에서 발생되는악취가스 처리장치
KR100901756B1 (ko) 2007-09-10 2009-06-10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돈사의 악취제거방법과 그 시스템
KR101137965B1 (ko) 2009-10-07 2012-04-23 신일식 돈사의 환기시스템
KR101376193B1 (ko) * 2012-12-03 2014-03-25 대한민국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483237B1 (ko) * 2014-10-02 2015-01-19 주식회사 근옥 공기 소독청정기
KR101603418B1 (ko) * 2014-06-02 2016-03-15 (주) 벤처도장플랜트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20160036273A (ko) * 2014-09-25 2016-04-04 미륭이씨오 주식회사 순환형 대기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071B1 (ko) 2007-03-08 2008-08-25 (주) 파루 전기화학적 매개산화를 이용한 돈사, 계사에서 발생되는악취가스 처리장치
KR100901756B1 (ko) 2007-09-10 2009-06-10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돈사의 악취제거방법과 그 시스템
KR101137965B1 (ko) 2009-10-07 2012-04-23 신일식 돈사의 환기시스템
KR101376193B1 (ko) * 2012-12-03 2014-03-25 대한민국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603418B1 (ko) * 2014-06-02 2016-03-15 (주) 벤처도장플랜트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20160036273A (ko) * 2014-09-25 2016-04-04 미륭이씨오 주식회사 순환형 대기처리장치
KR101483237B1 (ko) * 2014-10-02 2015-01-19 주식회사 근옥 공기 소독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583A (ko)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이프랜트 사육시설 악취제거를 위한 제취제 관리시스템
KR20230086364A (ko) 2021-12-08 2023-06-15 주식회사 이프랜트 가축 생장성 향상을 위한 축산 스마트 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971Y1 (ko) 복합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JP5106982B2 (ja) 悪臭処理方法、悪臭処理システムおよび飼育システム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1133116B1 (ko) 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1023649B1 (ko) 분뇨악취제거장치
KR100966737B1 (ko) 약액 세정식 탈취탑
KR20090044150A (ko) 축산시설 악취처리 시스템
KR102032801B1 (ko) 3단 습식 세정 장치
KR102093121B1 (ko)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KR101984795B1 (ko) 마이크로플라즈마 에어 오존을 이용한 악취물질 분해 시스템
JP2011520610A (ja) 生物の生産に関連する構造物内を起源として発生する悪臭や臭気ガス物質の浄化および脱臭方法
KR101707619B1 (ko) 축사용 악취가스 정화장치
KR102047210B1 (ko) 복합탈취장치
JP2008036513A (ja) ガス処理ユニットおよびガス処理システム
KR102331251B1 (ko) 내부공기 순환공급식 탈취정화장치
KR101823139B1 (ko) 터널식 오존 세정 악취 제거 장치
KR101445907B1 (ko) 탈취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77324B1 (ko) 악성 악취가스 탈취시스템
CN206996279U (zh) 一种混合式诱导流喷淋除臭装置
KR101450603B1 (ko) 오존수를 이용한 암모니아 가스 저감장치
KR20210067284A (ko) 축산시설 공기정화 시스템
CN207970666U (zh) 一种养殖业恶臭废气处理装置
KR102282157B1 (ko) 축사의 악취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 방법
CN213314274U (zh) 一种垃圾中转站废气收集除臭协同处理系统
CN208340460U (zh) 一种高效光氧催化废气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