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737B1 -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737B1
KR101799737B1 KR1020170122118A KR20170122118A KR101799737B1 KR 101799737 B1 KR101799737 B1 KR 101799737B1 KR 1020170122118 A KR1020170122118 A KR 1020170122118A KR 20170122118 A KR20170122118 A KR 20170122118A KR 101799737 B1 KR101799737 B1 KR 101799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supply
welding
compressed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식
Original Assignee
오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식 filed Critical 오정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4Devices for supplying or evacuating a shielding or a welding powder, e.g. a magnetic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8Submerged-arc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용접 대상물을 용접하기 위해 용접 노즐부가 용접 장치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에도 용접 장치의 하부에서 상기 용접 노즐부로 용접 플럭스를 연속적으로 자동 공급할 수 있는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용접 장치(A)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용접 플럭스가 저장되며 저장된 용접 플럭스를 압축공기를 통해 배출시키는 제1공급부(10)와, 상기 제1공급부(1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상기 용접 장치(A)에 고정 설치되되 플럭스 공급관(40)을 통해 상기 제1공급부(10)와 연결되어 제1공급부(10)로부터 용접 플럭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용접 플럭스를 용접 노즐부(N)로 배출시키는 제2공급부(20)와, 상기 제1공급부(1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일 경우에는 외부에 경고를 표시하고, 상기 제2공급부(2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1공급부(1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를 상기 제2공급부(20)로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elding flux}
본 발명은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롤러 등과 같이 대형 용접 대상물을 용접하기 위해 용접 노즐부가 용접 장치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에도 용접 장치의 하부에서 상기 용접 노즐부로 용접 플럭스를 연속적으로 자동 공급할 수 있는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 플럭스를 사용하는 용접 장치는 용접 중에 계속적으로 용접 플럭스를 용접 부위 또는 용접 노즐 부위(용접 노즐부)에 공급해야 한다.
종래의 플럭스 공급 장치로서, 용접 플럭스가 저장되고 배출되는 플럭스 공급부에 작업자가 용접 플럭스를 새로 채워넣거나 또는 용접 후 소모되지않은 플럭스를 다시 회수해서 저장한 다음 상기 플럭스 공급부 보다 하부에 위치된 용접 노즐부로 플럭스를 배출시키거나 또는 플럭스 공급부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운 용접 노즐부로 플럭스를 배출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형 용접 대상물을 용접하는 용접 장치에서 용접 노즐부가 높은 위치에 설치될 경우에는 플럭스가 보충되고 저장되는 플럭스 공급부가 용접 노즐부와 같이 용접 장치의 상측에 설치되면 작업자가 플럭스 공급부에 플럭스를 새로 보충해서 채워넣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회수되는 플럭스를 다시 플럭스 공급부로 흡입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대형 용접 대상물을 용접하는 용접 장치에서 작업자가 플럭스를 새로 보충하기 편리하도록 상기 플럭스 공급부는 용접 장치의 하부에 설치해두더라도 플럭스 공급부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를 용접 장치의 상측에 위치된 용접 노즐부로 원활하게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20511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용접 대상물을 용접하기 위해 용접 노즐부가 용접 장치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에 용접 장치의 하부에서 상기 용접 노즐부로 용접 플럭스를 연속적으로 자동 공급할 수 있는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는 용접 장치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용접 플럭스가 저장되며 저장된 용접 플럭스를 압축공기를 통해 배출시키는 제1공급부와, 상기 제1공급부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상기 용접 장치에 고정 설치되되 플럭스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1공급부와 연결되어 제1공급부로부터 용접 플럭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용접 플럭스를 용접 노즐부로 배출시키는 제2공급부와, 상기 제1공급부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일 경우에는 외부에 경고를 표시하고, 상기 제2공급부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1공급부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를 상기 제2공급부로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공급부는 제1공급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공급부의 내부로 용접 플럭스를 투입시키고 하부에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호퍼부와, 상단부는 제1공급부의 외부에서 압축공기 공급수단과 전자제어밸브를 통해 연결되고 하단부는 제1공급부의 내부에서 제1공급부의 하부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배치되는 압축공기 분사관과, 제1공급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공급부의 내부에 저장되는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레벨 센서와, 제1공급부의 내부에 다수개로 배치되는 히터부와, 제1공급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럭스 공급관의 일단과 연결되는 플럭스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공급부는 일측에 형성된 플럭스 흡입구에 상기 플럭스 공급관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공급부로부터 용접 플럭스를 공급받고, 하단부에 구비되는 플럭스 공급구를 통해 용접 플럭스를 용접 노즐부로 공급하는 플럭스 제공부와, 상기 플럭스 제공부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측에 형성된 연통구를 통해 상기 플럭스 제공부와 연통되며, 내부에 분진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플럭스 제공부로 흡입된 용접 플럭스 내에 존재하는 분진을 필터링하고, 하부에 개폐 밸브를 통해 개폐되는 분진 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분진필터에서 분리되어 낙하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필터링부와, 상기 플럭스 제공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럭스 제공부의 내부에 저장되는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레벨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플럭스 공급관 상에는 압축공기 공급수단과 연결된 공급관 분사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의 내측에는 상기 플럭스 공급관의 내측 상방향으로 회오리 유동으로 압축 공기가 분사되도록 압축공기 분사공이 상기 플럭스 공급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 전자제어밸브, 제1레벨센서, 및 제2레벨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레벨 센서를 통해 상기 제1공급부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등을 점멸시킴으로써 외부에 경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레벨 센서를 통해 상기 제2공급부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을 가동시킴과 동시에 전자제어밸브를 개방하여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분사관으로 공급하고 상기 압축공기 분사관의 하단부에서 압축공기를 제1공급부의 하부를 향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공급부 내의 용접 플럭스가 상기 플럭스 배출구를 통해 상기 플럭스 공급관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의 가동을 통해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의 압축공기 분사공에서도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럭스 공급관 내의 용접 플럭스가 원활하게 상기 제2공급부의 플럭스 제공부로 흡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링블로워를 사용하는 일 없이 압축 공기에 의해 용접 플럭스를 용접 장치의 하부에서 상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대형 용접 가공물에 대해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 장치에서 용접 노즐부가 상당히 높은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다시 말해, 플럭스 공급관의 길이가 상당히 길고 또한 수직으로 설치되더라도 용접 플럭스가 보충되는 제1공급부에서 용접 장치의 상부에 효과적으로 용접 플럭스를 공급해줄 수 있다.
또한, 제2공급부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양이 부족할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1공급부의 용접 플럭스가 공급될 수 있고, 제1공급부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양이 부족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플럭스를 보충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외부에 경고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급부에 히터부가 설치됨으로써 제1공급부에 용접 플럭스가 저장되는 동안 용접 플럭스가 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M 부위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M1 부위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나타내어 본 발명의 압축공기 분사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부에 의한 제어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용접 플럭스를 용접 장치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속적으로 자동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며, 일 실시예로서 대형이면서 길이가 긴 용접 대상물을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접하는 용접 장치에 설치되어 용접 장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용접 노즐부로 용접 플럭스를 하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용접 장치(A)에 제1공급부(10)와 제2공급부(20)가 각각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공급부(10)는 용접 장치(A)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일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대(16)를 통해 용접 장치(A)에 고정 설치되어], 용접 플럭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용접 플럭스를 압축공기를 통해 플럭스 공급관(40)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호퍼부(11), 압축공기 분사관(12), 제1레벨 센서(13), 히터부(14), 및 플럭스 배출구(15)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부(11)는 제1공급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공급부(10)의 내부로 용접 플럭스를 투입시키는 것으로, 하부에 개폐 밸브(11A)를 구비하여 상기 개폐 밸브(11A)의 개폐 조작에 의해 제1공급부(10)의 내부가 호퍼부(11)와 연통되거나 밀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폐 밸브(11A)는 공지의 볼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밸브가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분사관(12)은 제1공급부(10)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분사시키는 관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가 제1공급부(10)의 외부로 연장 설치되어 그 상단부가 제1공급부(10)의 외부에 배치되고, 그 상단부에 전자제어밸브(60)이 결합하여 상기 전자제어밸브(60)를 통해 압축공기 공급수단(C)에서 연장되는 압축공기 공급관(C1)과 연결된다. 즉, 압축공기 분사관(12)의 상단부는 전자제어밸브(60)를 통해 압축공기 공급수단(C)와 연결된다.
상기 압축공기 분사관(12)의 하단부는 제1공급부(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제1공급부(10)의 내부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급부(10)의 하부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배치된다. 즉, 압축공기 분사관(12)의 하단부가 제1공급부(10)의 하부 또는 저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압축공기 공급수단(C)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분사관(12)의 하단부에서 제1공급부(10)의 하부 또는 저부를 향해 분사된다.
상기 제1레벨 센서(13)는 제1공급부(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제1공급부(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용접 플럭스를 감지하는 것 다시 말해,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설정된 소정 높이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레벨 센서(13)는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센서가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제1레벨 센서(13)에 따른 작동 관계는 후술한다.
상기 히터부(1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급부(10)의 내부에 다수개로 배치되어 제1공급부(10)에 저장되는 용접 플럭스를 건조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히터부(14)가 제1공급부(10)에 설치됨으로써 제1공급부(10)에 용접 플럭스가 장시간 저장 또는 보관되는 상황이라도 제1공급부(10) 내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가 습기를 함유하여 습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히터부(14)의 구성 또는 구조는 공지의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플럭스 배출구(15)는 제1공급부(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제1공급부(10)에서 용접 플럭스를 플럭스 공급관(40)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의 일단과 연결된다. 상기 압축공기 분사관(12)의 하단부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해 제1공급부(10)의 하부 또는 저부에 있는 용접 플럭스가 플럭스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공급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급부(1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상기 용접 장치(A)에 고정 설치되되[일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대(24)를 통해 용접 장치(A)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되] 플럭스 공급관(40)을 통해 상기 제1공급부(10)와 연결되어 제1공급부(10)로부터 용접 플럭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용접 플럭스를 용접 노즐부(N)로 배출시켜 용접시 용접 플럭스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공급부(20)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럭스 제공부(21), 필터링부(22), 및 제2레벨 센서(23)를 포함하는데, 상기 플럭스 제공부(21)는 일측에 형성된 플럭스 흡입구(21A)에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공급부(10)로부터 용접 플럭스를 공급받아, 하단부에 구비되는 플럭스 공급구(21B)를 통해 용접 플럭스를 용접 노즐부(N)로 공급하는 부위로 상기 제1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용접 플럭스를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가진다. 한편, 도 3의 a도면은 제2공급부(20)의 내부를 단면도로 나타내는 것이고, b도면은 정면 외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플럭스 공급구(21B)는 상기 플럭스 제공부(21)의 하부에 구비되되 플럭스 제공관 또는 플럭스 제공호스(21C)와 연결되어 용접 노즐부(N)로 용접 플럭스를 배출하는 부위이다. 용접 노즐부(N)는 용접 노즐 또는 용접 토치 등이 구비되어 용접 대상물에 용접을 수행하는 부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럭스 제공부(21)의 내부에 제2레벨 센서(23)가 구비되어 상기 플럭스 제공부(21)의 내부에 저장되는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를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2레벨 센서(23)는 플럭스 제공부(21)내의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설정된 소정 높이 이하인지를 감지하여 용접 플럭스의 배출에 의해 용접 플럭스가 소정 높이 이하로 내려가면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이에 대한 작동 관계는 후술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상기 제2레벨 센서(23)는 플럭스 제공부(21) 내의 용접 플럭스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센서가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22)는 상기 플럭스 제공부(21)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측에 형성된 연통구(22A)를 통해 상기 플럭스 제공부(21)와 연통되며, 내부에 분진필터(22B)를 구비하여 상기 플럭스 제공부(21)로 흡입된 용접 플럭스 내에 존재하는 분진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하부에 개폐 밸브(22C)를 통해 개폐되는 분진 배출구(22D)를 구비하여 상기 분진필터(22B)에서 분리되어 낙하된 분진(D)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필터링부(22)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플럭스 제공부(21)의 플럭스 흡입구(21A)를 통해 제2공급부(20) 내부에 용접 플럭스가 흡입되면 용접 플럭스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분진 또는 이물질은 용접 플럭스 보다 가볍기 때문에 압축공기에 의해 연통구(22A)를 통해 필터링부(22)로 유입되고, 용접 플럭스는 분진 또는 이물질 보다는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플럭스 제공부(21) 내부에서 아래로 떨어진다.
상기 필터링부(22)로 유입된 분진 또는 이물질은 필터링부(22) 내부에 구비된 분진 필터(22B)에 흡착되면서 필터링되고, 이후 분진 또는 이물질이 분진 필터(22B)에서 분리되어 필터링부(22)의 아래로 떨어지면 작업자가 개폐 밸브(22C)를 조작하여 분진 배출구(22D)를 개방하여 분진 또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진 필터(22B)의 구조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또한, 상기 개폐 밸브(22C)도 공지의 볼 밸브가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30)는 상기 제1공급부(1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일 경우에는 외부에 경고를 표시하고, 상기 제2공급부(2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1공급부(1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를 상기 제2공급부(20)로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며, 일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급부(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30)에 의한 작동 관계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본 발명의 플럭스 공급관(40)은 상기 제1공급부(10)와 제2공급부(20)를 연결하는 관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플럭스 공급관(40)은 용접 장치(A)의 상측에 설치된 제2공급부(20)와 연결되기 위해 길이가 상당히 길고 상당 부분이 수직으로 직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플럭스 공급관(40) 상에는 압축공기 공급수단(C)과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의 내부로 분사시키는 공급관 분사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에도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50)이 설치됨으로써 플럭스 공급관(40)이 길고 직립하더라도 제1공급부(10)에서 플럭스 공급관(40)으로 배출되는 용접 플럭스를 효과적으로 제2공급부(20)로 흡입 또는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50)의 내측에는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의 내측 상방향으로 회오리 유동으로 압축 공기가 분사되도록 압축공기 분사공(51)이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50)에 의해 상기 플럭스 공급관(40) 내에서 회오리 유동 또는 기류가 발생됨으로써 플럭스 공급관(40) 내에서 회오리 유동 또는 기류(또는 와류)에 의해 상승기류가 발생하고 이러한 상승 기류에 의해 용접 플럭스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공급관 분사수단(5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50)은 압축공기 공급수단(C)에서 연장되는 압축공기 공급관(C2)과 연결되어 압축공기 공급수단(C)이 가동되면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내측에 형성된 압축공기 분사유로(51A)를 거쳐 압축공기 분사공(51)으로 압축공기를 분사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압축공기 분사공(51)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M1 부위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것인데, 본 발명의 압축공기 분사공(5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럭스 공급관(40) 또는 공급관 분사수단(5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공급관 분사수단(50)의 내측에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면서(또는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면서) 다수개로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압축공기 분사공(51)이 도 6과 같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형성됨으로써 빠른 속도로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회전력을 가져 플럭스 공급관(40) 내에서 도 5와 같이 회오리 유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압축공기 분사공(51)에서 압축공기가 그냥 상방향으로 분사되는 것 보다 회오리 유동을 하며 상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이 플럭스 공급관(40) 내의 용접 플럭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상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제2공급부(20)로 흡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제, 도 7과 도 4를 참조하며, 제어부(30)에 의한 장치의 구동 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30)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C), 전자제어밸브(60), 제1레벨 센서(13), 및 제2레벨 센서(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우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레벨 센서(13)를 통해 상기 제1공급부(1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등을 점멸시킴으로써 외부에 경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1공급부(10)내의 용접 플럭스가 제2공급부(20)로 공급되어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내려가 용접 플럭스가 부족하게 되면 제1레벨 센서(13)가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30)로 보내고, 제어부(30)는 제어부(30)의 일측에 구비된 경보음 발생부(31A)나 경보등 점멸부(31B)를 구동시켜 외부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경보등을 점멸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이러한 경고 표시를 확인하면 제1공급부(10) 내에 용접 플럭스가 부족함을 인식하게되고, 개폐 밸브(11A)를 개방 조작하여 호퍼부(11)를 통해 용접 플럭스를 제1공급부(10)로 투입시킴으로써 용접 플럭스를 보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2레벨 센서(23)를 통해 상기 제2공급부(2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C)을 가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자제어밸브(60)를 개방하여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분사관(12)으로 공급하고 상기 압축공기 분사관(12)의 하단부에서 압축공기가 제1공급부(10)의 하부를 향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공급부(10) 내의 용접 플럭스가 상기 플럭스 배출구(15)를 통해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C)의 가동을 통해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50)의 압축공기 분사공(51)에서도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럭스 공급관(40) 내의 용접 플럭스가 원활하게 상기 제2공급부(20)의 플럭스 제공부(21)로 흡입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2공급부(20)내의 용접 플럭스가 용접 노즐부(N)로 공급되어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내려가 용접 플럭스가 부족하게 되면 제2레벨 센서(23)가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30)로 보내고, 제어부(30)는 압축공기 공급수단(C)을 가동시켜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면서 폐쇄되어있던 전자제어밸브(60)를 개방하여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분사관(12)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압축공기 분사관(12)의 하단부에서 압축공기가 제1공급부(10)의 하부 또는 저부를 향해 바로 강하게 분사시킴으로써, 제1공급부(10)의 하부에 있던 용접 플럭스가 플럭스 배출구(15)로 배출됨과 동시에 압축공기 공급관(C2)을 통해 압축공기가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50)으로도 공급되어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50)에서도 압축공기가 플럭스 공급관 내부 상방향으로 회오리 유동을 하며 분사됨으로써 플럭스 공급관(40)내의 용접 플럭스가 플럭스 흡입구(21A)를 통해 제2공급부(20)로 효과적으로 흡입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공급부(20)에서 용접 플럭스가 부족할 경우 상기 압축공기 분사관(12)으로부터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제1공급부(10)내의 용접 플럭스를 플럭스 공급관(40)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50)에서도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플럭스 공급관(40) 내의 용접 플럭스를 상방향으로 유동시켜 효과적으로 제2공급부(20)로 용접 플럭스를 흡입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작동 관계를 제어부(30)과 자동적으로 제어한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제어밸브(60)는 압축공기 분사관(12)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공지 기술의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C)은 공지의 에어 컴프레셔가 채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제1공급부,
11: 호퍼부, 11A: 개폐 밸브, 12: 압축공기 분사관,
13: 제1레벨 센서, 14: 히터부, 15: 플럭스 배출구,
20: 제2공급부,
21: 플럭스 제공부, 21A: 플럭스 흡입구, 21B: 플럭스 공급구,
22: 필터링부, 22A: 연통구, 22B: 분진 필터,
22C: 개폐 밸브, 22D: 분진 배출구, 23: 제2레벨 센서,
30: 제어부, 40: 플럭스 공급관,
50: 공급관 분사수단, 51: 압축공기 분사공, 60: 전자제어밸브,
A: 용접 장치 C: 압축공기 공급수단,
F: 용접 플럭스, N: 용접 노즐부, D: 분진(또는 이물질)

Claims (1)

  1. 용접 장치(A)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용접 플럭스가 저장되며 저장된 용접 플럭스를 압축공기를 통해 배출시키는 제1공급부(10)와,
    상기 제1공급부(1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상기 용접 장치(A)에 고정 설치되되 플럭스 공급관(40)을 통해 상기 제1공급부(10)와 연결되어 제1공급부(10)로부터 용접 플럭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용접 플럭스를 용접 노즐부(N)로 배출시키는 제2공급부(20)와,
    상기 제1공급부(1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일 경우에는 외부에 경고를 표시하고, 상기 제2공급부(2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1공급부(1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를 상기 제2공급부(20)로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급부(10)는,
    제1공급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공급부(10)의 내부로 용접 플럭스를 투입시키고 하부에 개폐 밸브(11A)를 구비하는 호퍼부(11)와,
    상단부는 제1공급부(10)의 외부에서 압축공기 공급수단(C)과 전자제어밸브(60)를 통해 연결되고 하단부는 제1공급부(10)의 내부에서 제1공급부(10)의 하부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배치되는 압축공기 분사관(12)과,
    제1공급부(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공급부(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레벨 센서(13)와,
    제1공급부(10)의 내부에 다수개로 배치되는 히터부(14)와,
    제1공급부(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의 일단과 연결되는 플럭스 배출구(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부(20)는,
    일측에 형성된 플럭스 흡입구(21A)에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공급부(10)로부터 용접 플럭스를 공급받고, 하단부에 구비되는 플럭스 공급구(21B)를 통해 용접 플럭스를 용접 노즐부(N)로 공급하는 플럭스 제공부(21)와,
    상기 플럭스 제공부(21)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측에 형성된 연통구(22A)를 통해 상기 플럭스 제공부(21)와 연통되며, 내부에 분진필터(22B)를 구비하여 상기 플럭스 제공부(21)로 흡입된 용접 플럭스 내에 존재하는 분진을 필터링하고, 하부에 개폐 밸브(22C)를 통해 개폐되는 분진 배출구(22D)를 구비하여 상기 분진필터(22B)에서 분리되어 낙하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필터링부(22)와,
    상기 플럭스 제공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럭스 제공부(21)의 내부에 저장되는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레벨 센서(23)를 포함하고,
    상기 플럭스 공급관(40) 상에는 압축공기 공급수단(C)과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의 내부로 분사시키는 공급관 분사수단(50)이 구비되되,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50)의 내측에는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의 내측 상방향으로 회오리 유동으로 압축 공기가 분사되도록 압축공기 분사공(51)이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C), 전자제어밸브(60), 제1레벨 센서(13), 및 제2레벨 센서(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레벨 센서(13)를 통해 상기 제1공급부(1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등을 점멸시킴으로써 외부에 경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2레벨 센서(23)를 통해 상기 제2공급부(20)에 저장된 용접 플럭스의 저장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C)을 가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자제어밸브(60)를 개방하여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분사관(12)으로 공급하고 상기 압축공기 분사관(12)의 하단부에서 압축공기가 제1공급부(10)의 하부를 향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공급부(10) 내의 용접 플럭스가 상기 플럭스 배출구(15)를 통해 상기 플럭스 공급관(40)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C)의 가동을 통해 상기 공급관 분사수단(50)의 압축공기 분사공(51)에서도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럭스 공급관(40) 내의 용접 플럭스가 원활하게 상기 제2공급부(20)의 플럭스 제공부(21)로 흡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
KR1020170122118A 2017-07-04 2017-09-21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 KR101799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86 2017-07-04
KR20170084786 2017-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737B1 true KR101799737B1 (ko) 2017-11-20

Family

ID=6080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118A KR101799737B1 (ko) 2017-07-04 2017-09-21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7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542B1 (ko) 2017-03-13 2017-08-22 오정식 용접 플럭스 회수 및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542B1 (ko) 2017-03-13 2017-08-22 오정식 용접 플럭스 회수 및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381B1 (ko) 중력 이용식 나노 포그 약액 분무기
ES2589780T3 (es) Un método para hacer funcionar un depósito de recogida de residuos y un sistema para controlar el funcionamiento del mismo
KR101770542B1 (ko) 용접 플럭스 회수 및 공급 장치
KR101338965B1 (ko) 자동용접기의 노즐용 크리닝장치
EP2389203A1 (fr) Appareil de decontamination par brumisation
KR101799737B1 (ko) 용접 플럭스 공급 장치
KR101304914B1 (ko) 용접 토치의 가스 디퓨저
KR100828410B1 (ko) 우산 탈수장치
KR101357790B1 (ko) 펌프 내장형 교육용 소화기
KR101727838B1 (ko) 강하분진 포집장치
JP2011130734A (ja) 散布機
KR101697714B1 (ko) 부유 가습기
JP2010203638A (ja) ミスト発生装置
JP5616828B2 (ja) 加煙試験器
CN209668521U (zh) 一种纱线吹管装置
KR20180047975A (ko) 무인방제장치
CN107259644B (zh) 快速散烟水烟壶
KR101417491B1 (ko) 크린 도포 시스템 및 클린 도포 건
KR101059324B1 (ko) 벤츄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약제분사장치
CN204896807U (zh) 一种自动真空上料装置
JP2007217006A (ja) 反転取出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413773Y1 (ko) 에어 챔버를 구비한 호퍼
ES2298098T1 (es) Filtro de aire con pliegues, dotado de limpieza pulsante inversa de la corriente de aire.
KR200220678Y1 (ko)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208220774U (zh) 带有负压降尘喷雾机构的双摇臂采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