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998B1 -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998B1
KR102068998B1 KR1020180069942A KR20180069942A KR102068998B1 KR 102068998 B1 KR102068998 B1 KR 102068998B1 KR 1020180069942 A KR1020180069942 A KR 1020180069942A KR 20180069942 A KR20180069942 A KR 20180069942A KR 102068998 B1 KR102068998 B1 KR 102068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ntainer
cap
discharge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805A (ko
Inventor
이종석
신용수
박재한
남권선
Original Assignee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998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분진수거용기(B)를 공급하는 용기공급부(10); 캡(C)을 공급하는 캡공급부(20); 분진저장부(A)에 저장된 분진을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정량 토출하고, 분진수거용기(B)를 밀봉하는 분진토출부(40);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가 배출되는 용기배출부(50); 분진수거용기(B)와 캡(C)을 이송하는 이송로봇(6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장치에 집진된 분진을 규격화된 매립 가능한 일반 용기에 충진하고, 밀봉하여 배출하는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분진의 폐기 처리가 용이하게 하고, 분진의 수거 과정에서 분진의 비산을 억제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분진의 수거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을 배제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dust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집진장치에 집진된 분진을 규격화된 매립 가능한 일반 용기에 충진하고, 밀봉하여 배출하는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분진의 폐기 처리가 용이하게 하고, 분진의 수거 과정에서 분진의 비산을 억제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분진의 수거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을 배제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한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장 내의 환경 개선, 또는 제품 생산 시 정밀성 및 청결성 향상을 위한 청정 생산환경의 유지를 위하여 산업현장 내 공기를 흡입하여 분진을 필터링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집진장치는 집진된 분진을 저장부에 저장하게 되는데, 저장된 분진의 저장량이 저장부를 초과하는 경우에, 저장부의 배출구에 수거용 비닐팩이나, 상자 등을 밀봉한 상태에서 배출구를 통해 분진을 배출시켜 비닐팩이나 상자 내부에 분진을 담은 후, 이를 폐기 처리하게 된다.
이때, 분진의 수거 후 폐기 처리 작업은 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부에 저장된 분진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켜 수거할 때, 일부 분진이 비산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반도체 공장이나, LCD 공장, 화학공장 등과 같이 제품 제조 과정에서 배출되는 분진에 인체에 유해한 유독 물질이 함유된 분진의 경우에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다양한 정화장치나 필터링장치를 이용해 여과가 이루어지므로, 집진장치에 집진된 분진에는 다량의 유해물질이 포함된다.
그로 인해 유해물질이 포함된 분진을 수거하여 폐기 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분진의 비산이 발생할 경우에, 작업자의 건강을 크게 해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집진된 분진을 작업자 없이 자동으로 수거하여, 비산 없이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52179호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집진장치에 집진된 분진을 규격화된 매립 가능한 일반 용기에 충진하고, 밀봉한 후, 배출하는 일련의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규격화된 매립 가능한 일반 용기를 이용해 분진을 수거함으로써, 수거된 분진의 폐기 처리를 위한 운반, 관리가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분진의 수거 과정에서 분진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분진의 비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분진의 수거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을 배제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은,
분진수거용기(B)를 공급하는 용기공급부(10);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를 밀봉할 캡(C)을 공급하는 캡공급부(20);
집진장치의 분진저장부(A) 일측에 설치되어 분진저장부(A)에 저장된 분진을 상기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토출하고, 분진수거용기(B)의 입구에 캡(C)을 결합하여 밀봉하는 분진토출부(40);
상기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가 배출되는 용기배출부(50);
상기 분진수거용기(B)와, 상기 캡(C)을 이송하는 이송로봇(60); 을 포함한다.
상기 분진수거용기(B)는 소정 용량의 매립 가능한 일반 용기를 사용하고,
상기 캡(C)은 압입부(c1)와 덮개부(c2)를 구비하되,
상기 압입부(c1)는 소정 길이의 기둥체로 되고, 외경은 상기 주입구(b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되,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패킹(c3)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c2)는 소정 두께로 상기 압입부(c1)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하되, 외경은 상기 주입구(b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공급부(10)는,
다수의 분진수거용기(B)가 적재되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트레이(101)를 구비하여 분진수거용기(B)가 자중에 의해 상기 트레이(101)를 따라 이동하여 자동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분진수거용기(B)를 적재하여 상기 분진토출부(40)에 의해 상기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분진이 토출되는 동안, 분진수거용기(B)를 지지하는 용기적재부(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적재부(30)는,
분진수거용기(B)가 적재되는 적재판(301);
(303)상기 적재판(301)에 적재된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적재부(30)는,
상기 적재판(301)을 소정 높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진토출부(40)는,
분진저장부(A)에 형성된 배출구(702)를 개폐하여 분진을 정량 배출하는 개폐밸브(401);
상기 개폐밸브(401)의 개방에 의해 배출되는 분진이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투입되게 하는 토출노즐(4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진토출부(40)는 밀폐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분진수거실(7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진수거실(70)에는 자동 개폐되는 차폐도어(703)가 구비된 투입구(701)와 배출구(70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분진수거실(70)에는 내부 공기에 비산된 분진을 포집하여 내부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여과장치(70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진수거실(70)은, 환기장치(705)를 이용해 내부 기압을 음압으로 유지하여, 외부의 공기는 분진수거실(70) 내부로 유입 가능케 되되, 분진수거실(70) 내부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여 분진수거실(70) 내부에 비산된 분진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진수거실(70) 내부에는 비산된 분진이 바닥으로 가라앉도록 물 입자를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분진제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진제거부는,
공기 중의 분진량을 측정하는 분진센서(706a);
상기 분진센서(706a)의 센싱값에 따라 소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706b);
상기 물공급장치(706b)에서 공급되는 물을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분무노즐(706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진수거실(70) 내부에는 분진수거용기(B) 외벽에 부착된 분진을 압축공기로 불어내는 블로우(70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수거용기(B)를 공급하는 용기공급부(10);
상기 용기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분진수거용기(B)가 적재되는 용기적재부(30);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를 밀봉할 캡(C)을 공급하는 캡공급부(20);
집진장치의 분진저장부(A)에 저장된 분진을 상기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토출하고, 분진수거용기(B)의 입구에 캡(C)을 결합하여 밀봉하는 분진토출부(40);
상기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가 배출되는 용기배출부(50);
상기 분진수거용기(B)를 이송하고, 상기 캡(C)을 공급하는 이송로봇(60); 을 포함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을 이용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방법에 있어서,
분진수거용기(B)가 용기적재부(30)에 적재되는 단계(S10);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 내부로 분진토출부(40)의 토출노즐(402)이 삽입되는 단계(S20);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분진이 충진되는 단계(S30);
분진의 충진이 완료된 분진수거용기(B)가 상기 토출노즐(402)과 분리되는 단계(S40);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를 밀봉할 캡(C)이 공급되는 단계(S50);
상기 캡(C)이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에 압입되어 주입구(b1)가 밀봉되는 단계(S60);
상기 주입구(b1)가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가 분진수거실(7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S70); 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진이 충진되는 단계(S30)는,
분진이 충진되는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분진의 충진량을 산출하는 단계(S30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C)이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가 밀봉되는 단계(S60)는,
상기 주입구(b1)가 캡(C)에 의해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의 외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외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불어내는 단계(S60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은 집진장치에 집진된 분진의 폐기 처리를 위해 분진을 수거할 때, 분진을 규격화된 매립 가능한 일반 용기에 충진하고, 밀봉한 후, 배출하는 일련의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분진의 수거에 따른 생산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규격화된 매립 가능한 일반 용기를 이용해 분진을 수거함으로써, 수거된 분진의 폐기 처리를 위한 운반, 관리가 용이하여 분진의 폐기 처리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진의 수거 과정에서 분진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분진의 비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진의 수거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을 배제하고, 전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평면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공급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분진수거용기와 캡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적재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분진토출부의 분진 토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분진토출부의 캡 밀봉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일련의 분진 수거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다음의 설명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평면 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 단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공급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분진수거용기와 캡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은 용기공급부(10), 캡공급부(20), 분진토출부(40), 용기배출부(50), 이송로봇(6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공급부(10)는 분진수거용기(B)를 공급한다.
상기 분진수거용기(B)는 소정 용량의 매립 가능한 일반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매립 가능한 일반 용기의 용량은 한정하지 않으나, 분진의 충진량, 취급의 편의성, 구입원가 등을 고려할 때, 2리터 용량의 매립 가능한 소재로 된 일반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공급부(10)는, 다수의 분진수거용기(B)가 적재되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트레이(101)를 구비하여 분진수거용기(B)가 자중에 의해 상기 트레이(101)를 따라 이동하여 자동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01)는 다수의 분진수거용기(B)가 적재 가능하도록, 분진수거용기(B)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트레이(101)에 다수의 분진수거용기(B)를 적재하면, 트레이(101)의 경사를 따라 분진수거용기(B)가 일렬로 정렬된다.
이때, 경사진 트레이(101)의 최하단부에 적재된 분진수거용기(B)를 이송로봇(60)을 이용해 배출하면, 트레이(101)의 최하단부에는 배출된 분진수거용기(B)가 자리하던 만큼의 빈 공간이 생기게 되어, 트레이(101)에 적재된 또 다른 분진수거용기(B)들이 자중에 의해 상기 빈 공간이 생긴 트레이(101)의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분진수거용기(B)의 자동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트레이(101)의 길이만큼 분진수거용기(B)를 적재함으로써, 트레이(101)에 적재된 분진수거용기(B)가 모두 소진되기 전까지는 일일이 분진수거용기(B)를 용기공급부(10)에 공급해주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캡공급부(20)는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를 밀봉할 캡(C)을 공급한다.
상기 캡(C)은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를 밀봉하기 위하여 압입부(c1), 덮개부(c2)를 포함한다.
상기 압입부(c1)는 상기 소정 길이의 기둥체로 되고, 외경은 상기 주입구(b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압입부(c1)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패킹(c3)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주입구(b1) 내부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다중 패킹(c3)에 의해 주입구(b1)의 효과적인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덮개부(c2)는 소정 두께로 상기 압입부(c1)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하되, 외경은 상기 주입구(b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에 압입부(c1)의 압입이 완료된 후에는, 주입구(b1)의 외경보다 큰 덮개부(c2)가 주입구(b1)의 입구를 막기 때문에 주입구(b1)의 밀봉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c2)의 상면에는 덮개부(c2)가 분진토출부(40)의 토출노즐(402)의 저면에 밀착되게 공급될 때, 덮개부(c2)의 중심과, 토출노즐(40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토출노즐(402)의 내경에 대응하는 중심돌부(c4)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c2)의 중심이 토출노즐(402)의 중심에 일치하면서 캡(C)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용기적재부(30)에 의해 분진수거용기(B)가 상승하여 캡(C)의 압입부(c1)가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 내부에 압입될 때, 정확한 압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적재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분진수거용기(B)를 적재하여 상기 분진토출부(40)에 의해 상기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분진이 토출되는 동안, 분진수거용기(B)를 지지하는 용기적재부(3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적재부(30)는 적재판(301), 무게측정수단(302), 승강수단(303)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판(301)에는 상기 용기공급부(10)에서 공급되어 상기 이송로봇(60)에 의해 이송되는 분진수거용기(B)가 적재된다.
상기 적재판(301)은 적재된 분진수거용기(B)의 승강 시 분진수거용기(B)의 흔들림이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높이의 측벽(301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게측정수단(302)은 상기 적재판(301)에 적재되는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재판(301) 일측에 설치된다.
일예로서, 상기 적재판(301)의 바닥면에 무게측정수단(302)을 설치함으로써, 적재판(301)에 분진수거용기(B)를 적재하면, 분진수거용기(B)의 바닥면이 무게측정수단(302)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가 실시간으로 측정된다.
또한, 분진수거용기(B)에 분진이 충진됨에 따라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가 변화하면 그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그 측정값을 제어모듈(도시하지 않음)에 제공함에 따라 제어모듈에 사전 저장된 산출식에 대입하여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충진되는 분진량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충진된 분진량이 실시간으로 산출됨으로써,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일정량의 분진이 충진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분진토출부(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분진의 배출이 제어되어 분진수거용기(B)에 일정량의 분진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302)은 하중센서 등 적재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승강수단(303)은 상기 적재판(301)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판(301)을 소정 높이로 승강시켜, 상기 분진토출부(40)의 토출노즐(402)이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 내부로 삽입되게 한다.
이때 승강수단(303)은 적재판(301)의 승강 높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되, 구조적으로 간소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엑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분진토출부의 분진 토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분진토출부의 캡 밀봉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진토출부(40)는, 집진장치의 분진저장부(A)에 저장된 분진을 상기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정량 토출하고, 분진수거용기(B)의 입구에 캡(C)을 결합하여 밀봉한다.
상기 분진토출부(40)는 개폐밸브(401), 토출노즐(402)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밸브(401)는 분진저장부(A)에 형성된 배출구(702)에 설치되어 배출구(702) 개폐를 통해 분진이 정량 배출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밸브(401)는 개폐시간의 조절을 통해 분진저장부(A)에 저장된 분진을 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타이밍의 정밀 제어가 가능한 전자식 개폐밸브(40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노즐(402)은, 상기 개폐밸브(401)의 개방에 의해 배출되는 분진이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투입되도록 소정 직경의 관체로 되어 수직 하방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용기적재부(30)에 의해 분진수거용기(B)가 상승하면, 분진수거용기(B)의 상단부에 형성된 주입구(b1) 내측으로 상기 토출노즐(402)이 삽입된다.
이때, 토출노즐(402)이 상기 주입구(b1)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토출노즐(402)의 외경은,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입구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노즐(402)에는 토출노즐(402)과 분진수거용기(B) 입구 간의 틈새를 밀봉하는 실링수단(40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토출노즐(402)이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입구 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토출노즐(402)을 통해 배출되는 분진이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충진되는 과정에서 분진이 분진수거용기(B)의 입구와, 토출노즐(402)의 틈새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적재부(30)에 의해 분진수거용기(B)가 상승하여,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 내측으로 토출노즐(402)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밸브(401)가 개방되어 분진저장부(A)에 저장된 분진이 토출된다.
그리하여 토출되는 분진이 분진수거용기(B)에 충진되면서, 상기 용기적재부(30)의 무게측정수단(302)이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 측정을 통해 분진의 충진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진량이 사전에 설정된 설정량에 도달하면, 제어모듈(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개폐밸브(401)의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설정량만큼의 분진이 분진수거용기(B)에 충진된다.
상기와 같이 분진수거용기(B)에 정량의 분진 충진이 완료되면, 상기 용기적재부(30)에 의해 분진수거용기(B)가 다시 하강하고, 이어서 이송로봇(60)에 의해 캡(C)이 공급된다.
즉, 상기 캡(C)은 상기 이송로봇(60)에 의해 공급되어 덮개부(c2)의 상면이 상기 분진토출부(40)에 형성된 토출노즐(402)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상태로 공급된다.
캡(C)의 공급이 완료되면, 용기적재부(30)에 의해 분진수거용기(B)가 다시 상승하여, 토출노즐(402)에 의해 지지되는 캡(C)의 하방으로 돌출된 압입부(c1)가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 내부에 압입됨으로써, 분진이 충진된 분진수거용기(B)가 밀봉된다.
상기 용기배출부(50)는 상기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를 배출한다.
상기 이송로봇(60)은 상기 분진수거용기(B)와 상기 캡(C)을 이송한다.
상기 이송로봇(60)은 자동 제어 및 분진수거용기(B)의 자유로운 픽업이 가능한 다축로봇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진토출부(40)는 밀폐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분진수거실(7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진수거실(70)에는 자동 개폐되는 차폐도어(703)가 투입구(701)와 배출구(702)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로봇(60)은 상기 분진수거실(70)의 투입구(701)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용기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분진수거용기(B)를 픽업하여 상기 용기적재부(30)로 공급한다.
또한, 용기적재부(30)에서 분진의 충진과 캡(C)의 결합에 따른 밀봉이 완료된 분진수거용기(B)를 픽업하여 상기 분진수거실(70)의 배출구(702)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용기배출부(50)로 배출한다.
상기 분진수거실(70)에는 내부 공기를 여과하여, 분진수거실(70) 내부에 비산된 분진을 포집하는 공기여과장치(70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여과장치(704)는 FFU(Fan Filter Unit)을 구비한 공기여과장치(704)를 구비함으로써, 분진수거실(70) 내부의 공기 청정도 유지 관리가 가능케 된다.
FFU를 구비한 공기여과장치(704)는 일반적으로 반도체 생산 시설이나, 정밀 기계, 정밀 전자 부품 생산 시설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바, 그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나, 원리, 작용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분진수거실(70)은, 환기장치(705)를 이용해 내부 기압을 음압으로 유지하여, 외부의 공기는 분진수거실(70) 내부로 유입 가능케 되되, 분진수거실(70) 내부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여 분진수거실(70) 내부에 비산된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음압이란, 주로 병원에서 병실 사이의 오염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격리 방식으로서, 환기 장치를 사용해 실내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는 것이다.
즉, 환기장치(705)를 이용해 분진수거실(70) 내부의 기압을 분진수거실(70) 외부의 기압보다 낮추어 줌으로써, 분진수거실(70)의 투입구(701) 또는 배출구(702)가 일시적으로 개방되었을 때, 분진수거실(70)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로 인해 외부의 공기는 분진수거실(70) 내부로 유입 가능케 되지만, 분진수거실(70)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분진수거실(70) 내부에서 분진이 비산되어 분진수거실(70) 내부 공기에 섞여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음압에 의해 분진수거실(70) 내부 공기의 외부 유출이 차단되기 때문에 분진수거실(70) 내부에서 비산된 분진의 배출이 방지된다.
상기 분진수거실(70)에는 내부에는 비산된 분진이 바닥으로 가라앉도록 물 입자를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분진제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진제거부는 분진센서(706a), 물공급장치(706b), 분무노즐(706c)을 포함한다.
상기 분진센서(706a)는 공기 중의 포함된 분진의 양(농도)을 측정한다.
상기 물공급장치(706b)는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물펌프, 물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분무노즐(706c)까지 안내하는 급수라인, 급수라인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무노즐(706c)은 상기 물공급장치(706b)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안개 형태로 분무되도록 초미세입자로 분무한다.
따라서 분무노즐(706c)에 의해 분무되는 초미세 물입자는 상기 분진수거실(70) 내부에 비산된 분진을 응집시켜 바닥으로 가라앉힘으로써, 분진의 비산이 억제된다.
또한, 바닥으로 가라앉은 분진은 상기 분진수거실(70) 바닥부에 배치되는 공기여과장치(704)에 강제 흡입되어 여과되고, 여과 과정에서 공기와 분리된 분진은 상기 분진저장부(A)로 재공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진수거실(70) 내부에는 분진수거용기(B) 외벽에 부착된 분진을 압축공기로 불어내는 블로우(70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분진수거실(70) 내부로 분진수거용기(B)가 공급되거나, 공급된 분진수거용기(B)에 분진을 충진하거나, 분진이 충진된 분진수거용기(B)를 분진수거실(70)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분진수거용기(B)의 외표면에는 비산된 분진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진수거용기(B)가 외표면에 분진이 부착된 상태로 분진수거실(70) 외부로 배출되면, 그 분진수거용기(B)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부착된 분진이 외부에 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분진수거용기(B) 외부에 부착된 분진을 밀폐된 분진수거실(70) 내부에서 털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블로우(707)는 압축공기공급수단(707a)과 연결되어, 분진수거실(70) 내에서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에 대한 밀봉이 완료된 직후, 분진수거용기(B) 외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분진수거용기(B) 외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불어낸다.
그리하여 압축공기에 의해 분진수거용기(B)의 외표면에서 분리된 분진은 상기 분진수거실(70) 바닥부에 배치되는 공기여과장치(704)에 강제 흡입되어 공기여과장치(704)에 의해 여과되고, 여과 과정에서 공기와 분리된 분진은 상기 분진저장부(A)로 재공급된다.
따라서 분진이 충진된 분진수거용기(B)를 청결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분진수거실(70) 외부로 배출된 분진수거용기(B)를 취급하는 과정에서의 부진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분진의 폐기 처리를 위한 분진수거용기(B)의 운반, 보관 등 취급 및 관리가 보다 청결하고,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블로우(707)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수단(707a)은 압축공기를 생산하는 통상의 컴프레서와, 컴프레서에서 생산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라인 및 압축공기라인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일련의 분진 수거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방법은, 분진수거용기(B)가 용기적재부(30)에 적재되는 단계(S10);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 내부로 토출노즐(402)이 삽입되는 단계(S20);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분진이 충진되는 단계(S30); 분진수거용기(B)가 상기 토출노즐(402)과 분리되는 단계(S40); 분진수거용기(B)를 밀봉할 캡(C)이 공급되는 단계(S50); 캡(C)에 의해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가 밀봉되는 단계(S60);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가 배출되는 단계(S70); 를 포함한다.
상기 분진수거용기(B)가 용기적재부(30)에 적재되는 단계(S10)는, 상기 용기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용기를 이송로봇(60)이 픽업하여 상기 용기적재부(30)에 적재한다.
이때, 상기 용기적재부(30)는 상기 용기공급부(10)와 구획되어 밀폐된 분진수거실(70)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송로봇(60)에 의해 분진수거용기(B)를 용기공급부(10)에서 이송하여 용기적재부(30)에 적재할 때에는 밀폐된 분진수거실(70)에 형성된 투입구(701)를 이용하며, 상기 투입구(701)는 차폐도어(703)에 의해 자동 개폐된다.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 내부로 토출노즐(402)이 삽입되는 단계(S20)는, 분진수거용기(B)가 적재된 용기적재부(30)에 의해 분진수거용기(B)가 소정 높이로 상승함으로써,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 내부로 분진토출부(40)의 토출노즐(402)이 삽입된다.
상기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분진이 충진되는 단계(S30)는, 분진토출부(40)에 구비된 개폐밸브(401)가 개방됨에 따라 집진장치의 분진저장부(A)에 저장된 분진이 토출노즐(402)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충진된다.
이때, 용기적재부(30)의 무게감지수단이 분진이 충진되는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를 측정하여 분진의 충진량을 산출하고, 일정량의 충진이 이루어지면 상기 개폐밸브(401)의 제어를 통해 분진의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분진수거용기(B)에 일정량의 분진이 충진된다.
상기 분진수거용기(B)가 상기 토출노즐(402)과 분리되는 단계(S40)는, 분진수거용기(B)에 일정량의 분진 충진이 완료되면, 상기 용기적재부(30)가 하강함으로써,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에서 상기 토출노즐(402)이 분리된다.
상기 분진수거용기(B)를 밀봉할 캡(C)이 공급되는 단계(S50)는, 이송로봇(60)이 캡공급부(20)에서 공급되는 캡(C)을 픽업하여 캡(C) 상단부의 덮개부(c2)를 상기 배출노즐(402)의 하단부에 밀착시킨다.
상기 캡(C)에 의해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가 밀봉되는 단계(S60)는,
상기 용기적재부(30)에 의해 상기 분진수거용기(B)가 다시 상승함으로써,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 내측으로 상기 캡(C)의 압입부(c1)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캡(C)은 상기 토출노즐(402)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용기적재부(30)에 의해 작용하는 상승압력에 의해 상기 주입구(b1) 내부로 캡(C)의 압입부(c1)가 압입되어, 주입구(b1)가 밀봉된다.
상기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가 배출되는 단계(S70)는, 캡(C)에 의해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 밀봉이 완료되면, 용기적재부(30)가 하강하고, 이어서 이송로봇(60)이 상기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를 픽업하여 용기배출부(50)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분진수거용기(B)를 용기배출부(50)로 배출할 때에는 밀폐된 분진수거실(70)에 형성된 배출구(702)를 이용하며, 상기 배출구(702)는 차폐도어(703)에 의해 자동 개폐된다.
상기 분진이 충진되는 단계(S30)는, 분진이 충진되는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분진의 충진량을 산출하는 단계(S30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분진수거용기(B)가 적재되는 용기적재부(30)에는 용기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2)이 구비되어 분진수거용기(B)에 분진이 충진됨에 따라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가 변화하면 그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그리하여 그 측정값은 제어모듈(도시하지 않음)에 제공함에 따라 제어모듈에 사전 저장된 산출식에 대입하여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충진되는 분진량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충진된 분진량이 실시간으로 산출됨으로써,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일정량의 분진이 충진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분진토출부(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분진의 배출이 제어되어 분진수거용기(B)에 일정량의 분진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분진이 충진되는 단계(S30)는, 상기와 같이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분진을 일정량 충진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분진수거용기(B)를 투명한 소재로 형성하여, 분진수거용기(B)에 충진되는 분진의 높이를 광센서를 이용해 측정함으로써 분진을 정량 측정하는 것도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방법은 상기 주입구(b1)가 캡(C)에 의해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의 외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분진수거용기(B) 외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불어내는 단계(S60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분진수거실(70) 내부로 분진수거용기(B)가 공급되거나, 공급된 분진수거용기(B)에 분진을 충진하거나, 분진이 충진된 분진수거용기(B)를 분진수거실(70)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분진수거용기(B)의 외표면에는 비산된 분진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에 대한 밀봉이 완료된 직후, 블로우(707)를 이용해 분진수거용기(B) 외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분진수거용기(B) 외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불어낸다.
그로 인해 분진이 충진된 분진수거용기(B)를 청결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분진수거실(70) 외부로 배출된 분진수거용기(B)를 취급하는 과정에서의 분진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분진의 폐기 처리를 위한 분진수거용기(B)의 운반, 보관 등 취급 및 관리가 보다 청결하고, 용이하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A: 분진저장부 B: 분진수거용기
b1: 주입구 C: 캡
c1: 압입부 c5: 패킹
c2: 덮개부 10: 용기공급부
101: 트레이 20: 캡공급부
30: 용기적재부 301: 적재판
302: 무게측정수단 303: 승강수단
40: 분진토출부 401: 개폐밸브
402: 토출노즐 403: 실링수단
50: 용기배출부 60: 이송로봇
70: 분진수거실 701: 투입구
702: 배출구 703: 차폐도어
704: 공기여과장치 705: 환기장치
706: 분진제거부 707: 블로우

Claims (16)

  1. 분진수거용기(B)를 공급하는 용기공급부(10);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를 밀봉할 캡(C)을 공급하는 캡공급부(20);
    집진장치의 분진저장부(A) 일측에 설치되어 분진저장부(A)에 저장된 분진을 상기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토출하고, 분진수거용기(B)의 입구에 캡(C)을 결합하여 밀봉하는 분진토출부(40);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가 배출되는 용기배출부(50);
    상기 분진수거용기(B)와, 상기 캡(C)을 이송하는 이송로봇(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수거용기(B)는 소정 용량의 매립 가능한 일반 용기를 사용하고,
    상기 캡(C)은 압입부(c1)와 덮개부(c2)를 구비하되,
    상기 압입부(c1)는 소정 길이의 기둥체로 되고, 외경은 상기 주입구(b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되,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패킹(c3)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c2)는 소정 두께로 상기 압입부(c1)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하되, 외경은 상기 주입구(b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공급부(10)는,
    다수의 분진수거용기(B)가 적재되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트레이(101)를 구비하여 분진수거용기(B)가 자중에 의해 상기 트레이(101)를 따라 이동하여 자동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분진수거용기(B)를 적재하여 상기 분진토출부(40)에 의해 상기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분진이 토출되는 동안, 분진수거용기(B)를 지지하는 용기적재부(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적재부(30)는,
    분진수거용기(B)가 적재되는 적재판(301);
    상기 적재판(301)에 적재된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적재부(30)는,
    상기 적재판(301)을 소정 높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토출부(40)는,
    분진저장부(A)에 형성된 배출구(702)를 개폐하여 분진을 정량 배출하는 개폐밸브(401);
    상기 개폐밸브(401)의 개방에 의해 배출되는 분진이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투입되게 하는 토출노즐(4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토출부(40)는 밀폐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분진수거실(7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진수거실(70)에는 자동 개폐되는 차폐도어(703)가 구비된 투입구(701)와 배출구(70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수거실(70)에는 내부 공기에 비산된 분진을 포집하여 내부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여과장치(70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수거실(70)은, 환기장치(705)를 이용해 내부 기압을 음압으로 유지하여, 외부의 공기는 분진수거실(70) 내부로 유입 가능케 되되, 분진수거실(70) 내부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여 분진수거실(70) 내부에 비산된 분진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수거실(70) 내부에는 비산된 분진이 바닥으로 가라앉도록 물 입자를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분진제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제거부는,
    공기 중의 분진량을 측정하는 분진센서(706a);
    상기 분진센서(706a)의 센싱값에 따라 소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706b);
    상기 물공급장치(706b)에서 공급되는 물을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분무노즐(706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수거실(70) 내부에는 분진수거용기(B) 외벽에 부착된 분진을 압축공기로 불어내는 블로우(70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14. 분진수거용기(B)를 공급하는 용기공급부(10);
    상기 용기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분진수거용기(B)가 적재되는 용기적재부(30);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를 밀봉할 캡(C)을 공급하는 캡공급부(20);
    집진장치의 분진저장부(A)에 저장된 분진을 상기 분진수거용기(B) 내부로 토출하고, 분진수거용기(B)의 입구에 캡(C)을 결합하여 밀봉하는 분진토출부(40);
    상기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가 배출되는 용기배출부(50);
    상기 분진수거용기(B)를 이송하고, 상기 캡(C)을 공급하는 이송로봇(60); 을 포함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을 이용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방법에 있어서,
    분진수거용기(B)가 용기적재부(30)에 적재되는 단계(S10);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 내부로 분진토출부(40)의 토출노즐(402)이 삽입되는 단계(S20);
    분진수거용기(B) 내부에 분진이 충진되는 단계(S30);
    분진의 충진이 완료된 분진수거용기(B)가 상기 토출노즐(402)과 분리되는 단계(S40);
    상기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를 밀봉할 캡(C)이 공급되는 단계(S50);
    상기 캡(C)이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에 압입되어 주입구(b1)가 밀봉되는 단계(S60);
    상기 주입구(b1)가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가 분진수거실(7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S70); 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이 충진되는 단계(S30)는,
    분진이 충진되는 분진수거용기(B)의 무게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분진의 충진량을 산출하는 단계(S30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캡(C)이 분진수거용기(B)의 주입구(b1)에 압입되어 주입구(b1)가 밀봉되는 단계(S60)는,
    상기 주입구(b1)가 캡(C)에 의해 밀봉된 분진수거용기(B)의 외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외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불어내는 단계(S60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방법.
KR1020180069942A 2018-06-19 2018-06-19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102068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942A KR102068998B1 (ko) 2018-06-19 2018-06-19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942A KR102068998B1 (ko) 2018-06-19 2018-06-19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805A KR20190142805A (ko) 2019-12-30
KR102068998B1 true KR102068998B1 (ko) 2020-01-22

Family

ID=6910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942A KR102068998B1 (ko) 2018-06-19 2018-06-19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947B1 (ko) * 2020-02-03 2022-02-04 (주)상진기공 가수량 조절 가능한 분진 믹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18B1 (ko) 2001-12-20 2008-02-2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의 먼지 자동 배출장치
JP5328600B2 (ja) 2009-10-09 2013-10-30 三菱重工食品包装機械株式会社 ウェイト計量式充填装置
KR101612920B1 (ko) 2015-09-07 2016-04-18 발라드동물병원(주) 축사용 건습식 공기 소독 청정기
KR101727838B1 (ko) 2015-12-24 2017-04-1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하분진 포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9784B2 (en) * 2007-03-15 2013-07-09 The Coca-Cola Company Multiple stream fill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18B1 (ko) 2001-12-20 2008-02-2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의 먼지 자동 배출장치
JP5328600B2 (ja) 2009-10-09 2013-10-30 三菱重工食品包装機械株式会社 ウェイト計量式充填装置
KR101612920B1 (ko) 2015-09-07 2016-04-18 발라드동물병원(주) 축사용 건습식 공기 소독 청정기
KR101727838B1 (ko) 2015-12-24 2017-04-1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하분진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805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4282B2 (en) System for conveying proppant to a fracking site hopper
US20160372225A1 (en) Waste container for collecting hazardous material
KR102068998B1 (ko) 집진장치용 분진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JP2000335518A (ja) 蓋で閉鎖できる容器を粉体で充填するための方法及び粉体を移送するための関連装置
KR102040985B1 (ko) 차량을 통하여 이송되는 고상 유해물질 이송 저장 장치
CN219770228U (zh) 一种装箱设备
JP4188038B2 (ja) 粉体集塵装置
JP2002079117A (ja) 安全キャビネット
CN210734549U (zh) 一种有机溶剂输送装置
JP2009298580A (ja) バケットリフター
JP2004125663A (ja) 粒状又は粉末状放射性廃棄物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