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857B1 -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857B1
KR101726857B1 KR1020150099902A KR20150099902A KR101726857B1 KR 101726857 B1 KR101726857 B1 KR 101726857B1 KR 1020150099902 A KR1020150099902 A KR 1020150099902A KR 20150099902 A KR20150099902 A KR 20150099902A KR 101726857 B1 KR101726857 B1 KR 101726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on concentration
hydrogen ion
prepar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566A (ko
Inventor
김기태
변재일
Original Assignee
(주)케이케이티생명자원개발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케이티생명자원개발연구소 filed Critical (주)케이케이티생명자원개발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09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8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7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6Function of food ingredients pH modification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채류 및 농축수산물 유통시 신선도 유지를 위한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채류 및 농축수산물이 유통될 때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는 조건하에서 이산화염소(ClO2)가 서서히 생성되는 입제 및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하여 과채류 및 농축수산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은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1단계;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2단계; 상기 제 1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1-3단계; 상기 건조된 제 1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아염소산나트륨 분말 0.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1-4단계; 상기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1-5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isinfectant for crops using composition of controlling pH}
본 발명은 과채류 및 농축수산물 유통시 신선도 유지를 위한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채류 및 농축수산물이 유통될 때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는 조건하에서 이산화염소(ClO2)가 서서히 생성되는 입제 및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하여 과채류 및 농축수산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137518호에 따르면, 과채류 포장용 발포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발포수지를 주재료로 하여 발포제를 포함하는 다공성 흡착제를 이용하여 과채류의 장기간 저장 및 수송시 과채류의 호흡작용으로 발생하는 에틸렌가스, 탄산가스 등을 흡착·제거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일반적으로 제조되어 시중에 판매되는 과채류의 신선도 유지 제품에는 다공성 흡착제를 이용한 방법으로 과채류의 단기간 유통에는 효과적이지만, 국외로 수출되는 과채류의 장기간 신선도 유지가 어렵고 항균작용이 없어 장기간 유통시 생성되는 부패의 방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13751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유통되는 과채류의 부패를 막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은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1단계;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2단계; 상기 제 1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1-3단계; 상기 건조된 제 1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아염소산나트륨 분말 0.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1-4단계; 상기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1-5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온도가 상승하고 습도가 증가된 유통과정 조건에서 이산화염소가 서서히 발생하는 입제를 이용하여 장기간 과채류 및 농축수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6은 딸기 부패율 경감 실험을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딸기 저온유통 중 품질변화 실험을 나타내는 사진
본 발명은 과채류 및 농축수산물 유통시 신선도 유지를 위한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채류 및 농축수산물이 유통될 때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는 조건하에서 이산화염소(ClO2)가 서서히 생성되는 입제 및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하여 과채류 및 농축수산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1-1단계(S101)는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산(H2SO4)은 분자량 98.08g/mol의 강산성의 화합물이며, 본 발명의 살균소독제 제조시 아염소산나트륨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요소(CO(NH2)2)는 분자량 60.06g/mol의 유기화합물로, pH 완충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물(H20)은 분자량 18.00mol의 반응물로서, 상기 황산(H2SO4)과 요소(CO(NH2)2) 반응 시 전자이동의 매개체가 된다.
상기 황산, 요소, 물을 포함하는 수소이온농도 조절제의 함량을 중량%로 나타낼 경우, 요소 32.0 중량%를 기준으로 이에 대한 황산의 중량%를 환산한 후 그를 기반한 물의 조성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소 32.0 중량% 를 기준으로 이에 대한 황산과 물의 중량%를 환산하면 황산 54.7 중량%, 물 13.3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함량 중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의 함량이 10.2 중량% 미만일 경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의 자극성이 높아져 안전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16.4 중량%를 초과할 경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살균소독제에서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이 낮아져 효과가 미비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2단계(S102)는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나트륨, 칼륨, 칼슘과 같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류 원소들의 결정형 알루미노 규산염으로 형성된 다공성 무기소재로서, 상기 독특한 공극 구조에 의해 특정성분이나 물 등의 용매를 선택 흡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를 선택적으로 흡착하여 하기 단계에서 다른 혼합물과 혼합되었을 때 반응을 지연시켜 본 발명의 살균소독제가 서서히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는 그 자체로도 접촉 항균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비접촉에 의해서도 항균성을 보여 장기간 과채류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를 0.0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이산화염소 발생량이 낮아 살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제올라이트가 수소이온농도조절제를 모두 흡착하지 못하여 수소이온농도조절제의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1-3단계(S103)는 상기 제 1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는 건조기내에서 실시한다.
상기 제 1 혼합물을 20℃ 미만으로 건조할 경우 건조효과가 미미하거나 건조시간이 오래 걸려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90℃를 초과하여 건조할 경우 상기 제 1 혼합물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1-4단계(S104)는 상기 건조된 제 1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아염소산나트륨 분말 0.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혼합물과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분말을 혼합하여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이산화염소(ClO2)를 생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5068103211-pat00001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은 산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ClO2)를 생성하는데, 이때 생성된 이산화연소(ClO2)가 표백, 항균 및 살균작용이 있고, 펄프 ·섬유제품(특히 합성섬유) ·식품의 표백, 수도물의 살균에 사용된다.
상기 건조된 제 1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아염소산나트륨 분말 0.01 내지 0.5 중량부 미만 또는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이산화염소의 생성량이 낮거나 아염소산나트륨의 과량으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1-5단계(S105)는 상기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는 공기와 물이 통하는 봉투에 포장하여 온도가 높아지거나 습도가 높아지는 조건에서 이산화염소(ClO2)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 후 밀폐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2-1단계(S201)는 덱스트린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100 중량부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덱스트린은 전분을 산과 함께 가열하면, 분해되어 냉수에 용해되는 물질로 변화하며 이것을 총칭해서 덱스트린’이라고 불린다. 상기 덱스트린의 제조방법은 산을 가해서 열로 가열하는 방법인 배소덱스트린과 물, 산 혹은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하는 습식덱스트린이 있다. 습식덱스트린은 현재 효소에 의한 반응이 중심으로, 효소변성덱스트린이라고 불린다. 상기 배소덱스트린과 습식덱스트린은 어느 것이나 냉수에 쉽게 용해되어 저점도의 안정하고 농후한 용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은 증점제, 결착제, 겔형성제, 콜로이드 안정제 등으로 식품공업에서 사용되고 표면사이징, 코팅, 내부 사이징 및 판지의 층간 접착제 등으로 제지공업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덱스트린은 유사한 코팅제인 전분, 소맥분, 친수콜로이드, 설탕으로 대체하여 사용가능하다.
상기 덱스트린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덱스트린의 농도가 너무 높아 상기 덱스트린이 물에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고, 상기 물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덱스트린의 이용목적들에 대한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2단계(S202)는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1단계(S101)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2-3단계(S203)는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덱스트린 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덱스트린 용액은 본 단계(S203)에서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와 혼합되어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의 반응성을 안정화시켜서 본 발명인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반응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덱스트린 용액은 온도 및 습도가 높아지는 유통기간 동안 상기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가 서서히 발생할 수 있도록 반응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는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와 상기 덱스트린 용액을 흡착하여 상기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가 서서히 발생할 수 있도록 반응을 지연시키는 2차 반응지연제 역할을 한다.
상기 제올라이트 1 중량부와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를 0.05 내지 0.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덱스트린 용액을 0.0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수소이온농도의 조절을 위한 상기 덱스트린의 코팅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덱스트린 용액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제올라이트의 흡착 한계를 초과하여 원료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4단계(S204)는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한다. 상기 건조는 상기 제 1-3단계(S103)와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5단계(S205)는 상기 건조된 제 2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아염소산나트륨 분말 0.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한다. 상기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단계는 상기 제 1-4단계(S104) 및 [화학식 1]과 동일한 반응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6단계(S206) 상기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한다. 본 단계(S206)는 상기 제 1-5단계(S105)와 동일하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3-1단계(S301)는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단계(S301)는 상기 제 1-1단계(S10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3-2단계(S302)는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한다. 본 단계(S302)는 상기 제 1-2단계(S10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3-3단계(S303)는 상기 제 1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한다. 본 단계(S303)는 상기 제 1-3단계(S103)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3-4단계(S304)는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한 뒤 20 내지 90℃에서 건조하여 아염소산나트륨 입제를 제조한다.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입제는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용액을 제올라이트와 혼합하여 흡착시킨 것으로, 하기 단계에서 상기 [화학식 1]과 같은 반응이 일어날 때 황산과의 반응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반응의 지연효과도 가진다.
상기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0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이산화염소의 발생이 미미할 수 있고, 상기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제올라이트의 흡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 조건이 20℃ 미만으로 건조할 경우 건조효과가 미미하거나 건조시간이 오래 걸려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90℃를 초과하여 건조할 경우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입제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3-5단계(S305)는 상기 건조된 제 1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입제 0.01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한다. 상기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단계는 상기 제 1-4단계(S104) 및 [화학식 1]를 참조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3-6단계(S306)는 상기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한다. 본 단계(S306) 상기 제 1-5단계(S105)를 참조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4-1단계(S401)는 덱스트린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100 중량부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덱스트린 용액 제조 단계는 제 2-1단계(S201)를 참조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4-2단계(S402)는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단계(S402)는 상기 제 1-1단계(S101)를 참조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4-3단계(S403)는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덱스트린 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한다. 본 단계(S403)는 상기 제 2-3단계(S203)를 참조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4-4단계(S404)는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한다. 본 단계(S404)는 상기 제 1-3단계(S103)를 참조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4-5단계(S405)는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한 뒤 20 내지 90℃에서 건조하여 아염소산나트륨 입제를 제조한다. 본 단계(S405)는 상기 제 3-4단계(S304)를 참조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4-6단계(S406)는 상기 건조된 제 2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입제 0.01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4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한다. 상기 제 4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단계는 상기 제 1-4단계(S104) 및 [화학식 1]를 참조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4-7단계(S407)는 상기 제 4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한다. 본 단계(S407) 상기 제 1-5단계(S105)를 참조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5-1단계(S501)는 덱스트린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100 중량부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덱스트린 용액 제조 단계는 제 2-1단계(S201)를 참조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5-2단계(S502)는 황산 1 몰(mo)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단계(S502)는 상기 제 1-1단계(S101)를 참조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5-3단계(S503)는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덱스트린 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한다. 본 단계(S503)는 상기 제 2-3단계(S203)를 참조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5-4단계(S504)는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한다. 본 단계(S504)는 상기 제 1-3단계(S103)를 참조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5-5단계(S505)는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 덱스트린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한 뒤 20 내지 90℃에서 건조하여 아염소산나트륨덱스트린 입제를 제조한다.
상기 덱스트린 용액은 본 단계(S505)에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용액과 혼합되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용액의 표면에 1차 흡착하여 본 발명인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의 반응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는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용액와 상기 덱스트린 용액에 흡착하여 상기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가 서서히 발생할 수 있도록 반응을 지연시키는 2차 반응지연제 역할을 한다.
상기 제올라이트 1 중량부와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덱스트린용액 0.0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용액 조절을 위한 상기 덱스트린의 코팅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덱스트린 용액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제올라이트의 흡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덱스트린 입제를 20℃ 미만으로 건조할 경우 건조효과가 미미하거나 건조시간이 오래 걸려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90℃를 초과하여 건조할 경우 상기 아염소산나트륨덱스트린 입제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5-6단계(S506)는 상기 건조된 제 2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염소산나트륨덱스트린 입제 0.01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한다. 상기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단계는 상기 제 1-4단계(S104) 및 [화학식 1]를 참조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5-7단계(S507)는 상기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한다. 본 단계(S507) 상기 제 1-5단계(S105)를 참조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과채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살균소독제 제조시 사용되는 혼합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의 실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대조군으로서 무처리된 증류수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상기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제조한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상기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제조한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이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상기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제조한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이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상기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제조한 제 4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이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상기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제조한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이다.
ㄱ. 포도 유통기간 및 상품성 유지기간 실험
현재 포도는 수확 후 탈립 및 부패에 의한 선도저하로 생산지 및 유통시장에서 애로사항으로 지적되고 있고, 수출시 수입국에서의 선도저하에 의한 유통기간 단축으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과채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살균소독제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포도의 품종(켐벨얼리, 거봉)을 달리하여 상기 살균소독제를 처리하였을 때 유통기간 및 상품성 유지기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처리 상온(25℃±1) 저온(0℃) 상품성유지기간
탈립율(%) 부패율(%) 탈립율(%) 부패율(%)

켐벨얼리
비교예 1 34 22 17 12 상온 4일
저온 19일
실시예 1 14 15 - 10 상온 6일
저온 28일

거봉
비교예 1 25 18 18 15 상온 5일
저온 16일
실시예 1 12 9 7 9 상온 7일
저온 23일
유통기간 및 상품성 유지기간 실험 결과, '켐벨얼리', '거봉'에 대해 상기 살균소독제를 처리하였을 때 상온 및 저온에서 탈립과 부패율이 [비교예 1]에 비해 효과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상품성 유지 기간도 2 내지 10일 정도 연장되었다.
ㄴ. 포도 관능평가 실험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과채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살균소독제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포도의 품종을 달리하여(켐벨얼리, 거봉) 상기 살균소독제를 처리하였을 때 맛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매우 좋음은 *****, 좋음은 ****, 보통은 ***, 나쁨은 **, 매우나쁨은 * 로 표시하였다.
처리 상온(25℃±1) 저온(0℃)
켐벨얼리
비교예 1 * **
실시예 1 ** ****
거봉
비교예 1 * ***
실시예 1 *** ****
관능평가에 의한 기호도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1] 처리하였을 때 [비교예 1]에 비하여 기도호가 높았다.
따라서 수출을 위한 기타 원예작물에 본 발명에 의한 살균소독제를 처리하였을 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수출 및 국내 유통시 선도연장 및 부패 감소로 부가가치 증대 및 소비자 기호도를 충족할 것으로 사료된다.
ㄷ. 딸기 부패율 경감 실험
딸기는 생산량과 수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저장 및 수출과정에 따른 기술 개발의 낙후로 추정 손실량이 20~30%에 이르고 있고 수확 후 부패에 의한 선도저하로 생산지 및 유통시장에서 애로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수출시 수입국에서의 선도저하에 의한 유통기간의 단축으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딸기 부패율 경감 실험은 딸기 수확 후 예냉(5℃ 저장고, 6시간 정도) 실시한 뒤, 상기 [비교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를 딸기 품종(설향)에 처리한 후 저온 저장(5℃)하여 부패율을 관찰한 결과이다.
처리 저장기간(일)
0 3 6 9

설향
[비교예 1] - 6.3 70.5 91.0
[실시예 2] - - 31.2 35.6
[실시예 3] - 8.9 45.2 85.9
[표 3]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비교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설향에 처리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살균소독제가 곰팡이와 여러 가지 균 등 미생물 경감에 효과적이었고 이에 따른 부패율을 급격히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ㄹ. 딸기 저온유통 중 품질변화 실험
본 딸기 저온유통 중 품질변화 실험은 '설향'에 상기 [비교예 1], [실시예 4] 및 [실시예 5]를 처리한 후 저온유통하였을 때 6일 후 상기 '설향'의 품질변화를 관찰한 실험이다.
처리 품질요인
중량감소율
(%)
당도
(%)
산도
(%)
경도
(N)
색도
(Hunter a값)

설향
[비교예 1] 1.8 7.4 3.23 2.0 35.05
[실시예 4] 1.7 7.9 3.63 2.5 32.09
[실시예 5] 1.8 7.8 2.78 2.2 31.56
[표 4]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비교예 1], [실시예 4] 및 [실시예 5]를 설향에 처리한 결과 중량감소율은 크게 변화없었고 당도와 경도는 약간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산도와 색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전반적으로 관찰하였을 때 품질요인은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온도가 상승하고 습도가 증가된 유통과정 조건에서 이산화염소가 서서히 발생하는 입제를 이용하여 장기간 과채류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각각은 하기 [표 5]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Type 장점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 반응성이 좋음
- 습도에 따른 씨에로투 발생이 빠름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 보관성이 좋음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 습도에 따른 반응성이 좋음
- ClO2 생성이 용이
제 4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 보관성이 좋음
- ClO2 생성이 용이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 보관성 좋음
- ClO2 생성이 용이
- 원료 보관성 좋음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1.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1단계
S102.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2단계
S103. 상기 제 1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1-3단계
S104. 상기 건조된 제 1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아염소산나트륨 분말 0.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1-4단계
S105. 상기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1-5단계
S201. 덱스트린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100 중량부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하는 제 2-1단계
S202.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2단계
S203.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덱스트린 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3단계
S204.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2-4단계
S205. 상기 건조된 제 2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아염소산나트륨 분말 0.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2-5단계
S206. 상기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2-6단계
S301.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1단계
S302.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3-2단계
S303. 상기 제 1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3-3단계
S304.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한 뒤 20 내지 90℃에서 건조하여 아염소산나트륨 입제를 제조하는 제 3-4단계
S305. 상기 건조된 제 1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입제 0.01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3-5단계
S306. 상기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3-6단계
S401. 덱스트린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100 중량부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하는 제 4-1단계
S402.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2단계
S403.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덱스트린 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3단계
S404.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4-4단계
S405.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한 뒤 20 내지 90℃에서 건조하여 아염소산나트륨 입제를 제조하는 제 4-5단계
S406. 상기 건조된 제 2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입제 0.01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4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4-6단계
S407. 상기 제 4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4-7단계
S501. 덱스트린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100 중량부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하는 제 5-1단계
S502.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5-2단계
S503.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덱스트린 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5-3단계
S504.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5-4단계
S505.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 덱스트린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한 뒤 20 내지 90℃에서 건조하여 아염소산나트륨덱스트린 입제를 제조하는 제 5-5단계
S506. 상기 건조된 제 2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염소산나트륨덱스트린 입제 0.01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5-6단계
S507. 상기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5-7단계

Claims (7)

  1.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1단계;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2단계;
    상기 제 1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1-3단계;
    상기 건조된 제 1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아염소산나트륨 분말 0.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1-4단계;
    상기 제 1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1-5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2. 덱스트린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100 중량부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하는 제 2-1단계;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2단계;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덱스트린 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3단계;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2-4단계;
    상기 건조된 제 2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아염소산나트륨 분말 0.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2-5단계;
    상기 제 2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2-6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덱스트린은 전분, 소맥분, 친수콜로이드, 설탕 중 어느 하나와 대체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3.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1단계;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3-2단계;
    상기 제 1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3-3단계;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한 뒤 20 내지 90℃에서 건조하여 아염소산나트륨 입제를 제조하는 제 3-4단계;
    상기 건조된 제 1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입제 0.01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3-5단계;
    상기 제 3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3-6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4. 덱스트린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100 중량부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하는 제 4-1단계;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2단계;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덱스트린 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3단계;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4-4단계;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한 뒤 20 내지 90℃에서 건조하여 아염소산나트륨 입제를 제조하는 제 4-5단계;
    상기 건조된 제 2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입제 0.01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4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4-6단계;
    상기 제 4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4-7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덱스트린은 전분, 소맥분, 친수콜로이드, 설탕 중 어느 하나와 대체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5. 덱스트린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100 중량부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하는 제 5-1단계;
    황산 1 몰(mol)에 대하여 요소 1 몰(mol)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제조하되,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내 상기 물의 함량은 10.2 내지 16.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5-2단계;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절제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덱스트린 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5-3단계;
    상기 제 2 혼합물을 20 내지 90℃에서 건조하는 제 5-4단계;
    제올라이트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아염소산나트륨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 덱스트린용액 0.05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20 내지 90℃에서 건조하여 아염소산나트륨덱스트린 입제를 제조하는 제 5-5단계;
    상기 건조된 제 2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염소산나트륨덱스트린 입제 0.01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제조하는 제 5-6단계;
    상기 제 5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를 포장하는 제 5-7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덱스트린은 전분, 소맥분, 친수콜로이드, 설탕 중 어느 하나와 대체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50099902A 2015-07-14 2015-07-14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KR101726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902A KR101726857B1 (ko) 2015-07-14 2015-07-14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902A KR101726857B1 (ko) 2015-07-14 2015-07-14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66A KR20170008566A (ko) 2017-01-24
KR101726857B1 true KR101726857B1 (ko) 2017-04-13

Family

ID=5799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902A KR101726857B1 (ko) 2015-07-14 2015-07-14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3299A (zh) * 2022-09-27 2023-01-03 黄岛海关综合技术服务中心 一种冷链食品用消毒剂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4466A (en) * 1992-07-24 1993-08-10 Peach State Labs, Inc. Lowering of the pH of textile processing solutions by adding urea sulfate as a pH adjusting agent
KR0154964B1 (ko) * 1993-06-14 1998-12-01 성재갑 수소 이온을 함유한 흡착성이 우수한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항균성 수지 조성물
KR101137518B1 (ko) 2010-01-08 2012-04-20 (주)농협아그로 신선도유지를 위한 과채류 포장용 발포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66A (ko)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3685B (zh) 一种番茄保鲜包装材料
CN101797011B (zh) 一种饲料防霉剂
CN101019571B (zh) 一种防褐型广谱水果保鲜剂及其制备方法
KR101137381B1 (ko)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함유한 겔상의 살균 및 소취제 조성물
US11566084B2 (en) Method for preparing an inhibited starch
CN111937900A (zh) 一种高稳定的分子态的次氯酸消毒液及其制备方法
CN102617906A (zh) 一种蚕豆储存杀菌防虫保鲜膜及其制备方法
KR101726857B1 (ko) 수소이온농도 조절제를 이용한 농축수산물 살균소독제 제조방법
CN104663868A (zh) 一种缓释型乙醇保鲜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1133760A (zh) 葡萄保鲜剂
KR101151406B1 (ko)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868687B (zh) 一种丝瓜络纤维抗菌包装纸及制备方法
CN101822287A (zh) 果蔬保鲜剂及其制备方法
CN1620875A (zh) 一种双组份葡萄保鲜剂及生产方法
JP7489706B2 (ja) 次亜塩素酸水の製造方法
CN111543426A (zh) 一种缓释型二氧化氯凝胶的制备方法
KR101168640B1 (ko) 항균기능이 있는 탈산소제와 그 제조 방법
CN111763484B (zh) 果蔬保鲜胶及其制备方法
JP2002058440A (ja) 保存性に優れた非加熱穀粉半製品の製造方法
CN111808549B (zh) 瓦楞纸胶水用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20030018517A (ko) 농산물 신선도 보관용 복합흡착제의 제조방법과 그의응용방법
KR101524591B1 (ko) 원예작물 저장성 증진방법
CN108065446A (zh) 用于烟草仓储防霉防潮剂及其制备方法
JPH04142340A (ja) 抗菌及び防かび性を有する高分子発泡体及びその製法
CN111493090A (zh) 一种固态氯杀菌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